KR20160090973A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973A
KR20160090973A KR1020150010838A KR20150010838A KR20160090973A KR 20160090973 A KR20160090973 A KR 20160090973A KR 1020150010838 A KR1020150010838 A KR 1020150010838A KR 20150010838 A KR20150010838 A KR 20150010838A KR 20160090973 A KR20160090973 A KR 2016009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ouch
image data
over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890B1 (ko
Inventor
박수형
정호용
홍준우
고준철
박문산
손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890B1/ko
Priority to US14/861,840 priority patent/US20160216839A1/en
Publication of KR2016009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위한 제1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터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경로를 토대로 상기 제1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데이터를 결합한 제2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스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제2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 시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스캔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라인 간격으로 건너 뛰어 공급되도록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에 통합되거나 결합되는 표시 패널(display panel)은 이동 전화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터치-가능 전자 기기에 상호 작용 시스템(interaction system)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 표시 패널 상에 그래픽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하여(예를 들어 능동 스타일러스, 수동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전자 기기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에 의해 검출되는 터치 이벤트(touch event)는 전형적으로 전자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상에서 가동되는 고 레벨(high level)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된다.
터치 센서 패널에 의해 검출된 터치 이벤트가 AP에 의해 프로세싱 되어 대응하는 응답이 표시 장치에 표시되기까지는, 터치 센서 패널 및 AP 사이의 많은 프로세싱 단계와 AP 상에서의 비결정성(non-deterministic) 프로세싱 시간(AP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계산 업무들로 인한 지연들을 포함)으로 인해 긴 대기 시간(latency)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전자 기기의 응답성(responsiveness)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의 사용자 대부분이 적게는 수십 밀리초에서 많게는 수백 밀리초의 지연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피드백을 즉각 제공하도록 디바이스를 컴퓨팅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불만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지는 전자 기기에서 터치 입력에 따른 표시 지연(display lag)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위한 제1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터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경로를 토대로 상기 제1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데이터를 결합한 제2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스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제2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 시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스캔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라인 간격으로 건너 뛰어 공급되도록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터치 센서 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위한 제1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터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경로를 토대로 상기 제1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데이터를 결합한 제2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스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제2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 시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스캔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라인 간격으로 건너 뛰어 공급되도록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지는 전자 기기에서 터치 입력 장치와 표시 장치 사이의 표시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터치 입력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시스템에서의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 생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표시 지연 감소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표시 지연 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터치 입력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가능 전자 기기에 대한 흔한 불만 중 하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대한 응답 지연이다. 현재의 터치-가능 전자 기기에서는 전형적으로 터치 행위에 응답하여 표시를 업데이트하는 데 적게는 수십 밀리초에서 많게는 수백 밀리초가 소요된다.
도 1은 터치 입력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스타일러스가 화면을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경우, 스타일러스의 터치 위치와 표시된 라인(100)의 최종 드로잉된 부분 사이에 갭(102)이 존재한다. 즉, 사용자의 터치와 표시된 라인(100) 사이에 현저한 표시 지연이 발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표시 지연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에서 터치 이벤트와 관련하여 렌더링한 영상(이하, "고-대기 시간 영상"이라 칭함)에 앞서 터치 위치에 기초한 이미지를 오버레이한 영상(이하, "저-대기 시간 영상"이라 칭함)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화면 상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위치(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지 간에)와 라인의 드로잉 사이의 갭을 좁힘으로써, 감지되는 표시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위치에 기초한 저-대기 시간의 영상을 먼저 표시함으로써 터치 이벤트가 AP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표시 지연을 감소시키더라도, 표시 모듈의 화면 업데이트 속도에 의한 물리적인 표시 지연은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초당 60 프레임(frames per second, FPS)의 리프레시율(refresh rate)을 가지는 표시 모듈의 경우, 저-대기 시간 영상의 처리 속도가 아무리 빠르더라도, 저-대기 시간 영상이 화면에 업데이트되기까지 대략 16.7ms인 물리적인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위치에 기초한 저-대기 시간의 영상을 표시 모듈로 출력 시, 인터레이스(interlaced) 모드로 표시 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물리적인 표시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사로서 사용될 때 "오버레이"는 영상(예를 들어 AP가 렌더링하는 이미지)와 추가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추가 이미지 데이터가 원 영상의 일부분을 대체(또는 오버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칭한다. 명사로서 사용될 때 "오버레이"는 결합된 표시 이미지에서 추가 이미지 데이터의 외형을 칭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시스템에서의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 생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200)는 표시 모듈, AP(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은,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 211), 터치 제어기(touch controller, 212), 표시 패널(display panel, 213), 타이밍 제어기(timing controller, 214), 데이터 구동부(data driver, 215) 및 게이트 구동부(gate driver, 216, 217)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은, 메모리(21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터치 센서 패널(211), 터치 제어기(212), 표시 패널(213), 타이밍 제어기(214), 데이터 구동부(215) 및 게이트 구동부(216, 217)는 표시 모듈의 구성 요소이고, 이들은 AP(220)와 별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터치 센서 패널(211), 터치 제어기(212), 표시 패널(213), 타이밍 제어기(214), 데이터 구동부(215) 및 게이트 구동부(216, 217) 또는 이들의 결합들은 별개의 모듈들에 위치되거나 AP(22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터치 제어기(212)가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 예에서 터치 제어기(212)는 다른 집적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제어기(212)는 AP(220) 및/또는 타이밍 제어기(214)와 동일한 집적 회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패널(211)은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고, 터치 제어기(212)로 공급되는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
터치 센서 패널(211)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포인팅 도구(pointing implement)를 사용한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인팅 도구"는 디바이스(능동형 스타일러스 또는 수동형 스트일러스) 및 신체의 일부(손가락 또는 머리)을 포함하여 터치 센서 패널(21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물체를 칭한다.
터치 센서 패널(211)은, 저항성 터치 패널, 표면 탄성파 터치 패널, 용량성 터치 패널, 적외선 터치 패널, 광 터치 패널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패널 중 임의의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모듈에 터치 센서 패널(211)을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온 셀 타입(On Cell Type), 인 셀 타입(In-Cell Type), 하이브리드 인 셀 타입(Hybrid In-Cell Type) 등이 있다.
터치 제어기(212)는 터치 센서 패널(211)에 포인팅 도구의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21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한다. 터치 센서 패널(211)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신호는, 터치 센서 패널(211) 내의 각각의 위치에 대한 커패시턴스, 전압 또는 전류의 측정치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211)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한다.
터치 제어기(212)는 터치 센서 패널(211)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좌표와 같은 터치 이벤트를 AP(220)와 타이밍 제어기(214)로 출력한다. 터치 제어기(212)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검출된 위치(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의 검출을 이루는데 충분한 값의 커패시턴스, 전압 또는 전류의 변경)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의 스트림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터치 이벤트는 터치 센서 패널(211)에 가해진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P(220)는 터치 제어기(212)로부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를 프로세싱한다. AP(22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터치 제어기(212)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이벤트의 프로세싱에 대응하여, 표시 패널(217) 상에 표시하기 위한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또는 영상 프레임)를 렌더링한다.
AP(220)에 의해 렌더링된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230)에 저장되며, AP(220)에 의해 타이밍 제어기(214)로 전달된다.
AP(220)는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모드와 인터레이스(interlaced)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표시 패널(213)의 표시 모드로 선택한다.
프로그레시브 모드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수평 라인의 데이터들이 순차 주사되는 표시 모드이다. 프로그레시브 모드에서, 표시 모듈은 프레임 단위로 화면을 업데이트 한다.
인터레이스 모드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주사하지 않고 적어도 한 라인 간격으로 뛰어 넘어 주사되는 표시 모드이다. 인터레이스 모드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복수의 필드로 나누어지며, 표시 모듈은 필드 단위로 화면을 업데이트한다.
인터레이스 모드에서, 각 필드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일부 수평 라인들만 포함하므로, 프레임에 비해 낮은 해상도를 가지나 화면 업데이트에 소요되는 시간이 하나의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는 시간에 비해 짧다. 따라서, 인터레이스 모드는, 프로그레시브 모드에 비해 화면 업데이트 주기가 짧다.
AP(220)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표시 패널(213)의 표시 모드를 선택한다.
AP(220)는 예를 들어, 노트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반응 시간이 표시 품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표시 지연이 상대적으로 작은 인터레이스 모드를 표시 모드로 선택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반응 시간보다 표시 품질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표시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프로그레시브 모드를 표시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AP(220)는 터치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화면에 터치 경로에 대응하는 라인이 드로잉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경우, 인터레이스 모드를 표시 모드로 선택하여 표시 지연을 감소시킨다.
AP(220)는 표시 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표시 모드에 대한 표시 모드 정보를 타이밍 제어기(214)로 출력한다.
AP(2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al processing unit, G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3)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1 내지 G2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의 교차로 정의되는 각 화소 영역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기(214)는 외부 시스템(AP(220))으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215) 및 게이트 구동부(216, 21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기(214)는 외부 시스템(AP(22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를 데이터 구동부(215)로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기(214)는 제어신호 생성부(310), 오버레이 시스템(320) 및 데이터 정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외부 시스템(AP(220))으로부터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 제어신호 생성에 필요한 신호들을 수신한다.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수신되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215)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와, 게이트 구동부(216, 217)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수직동기신호는 각 프레임을 구별하기 위한 신호이고, 수평동기신호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수평 라인을 구별하기 위한 신호이다. 영상 데이터를 위한 한 프레임 시간은 수직동기신호에 의한 수직 주기에 해당하고, 하나의 수직 주기에서는 복수의 수평 주기가 반복된다.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외부 시스템(AP(220))으로부터 표시 모드 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토대로 데이터 구동부(215) 및 게이트 구동부(216, 217)를 프로그레시브 모드 또는 인터레이스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AP(220)로부터 프로그레시브 모드를 지시하는 표시 모드 정보를 수신하면, 모든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가 공급되도록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AP(220)로부터 인터레이스 모드를 지시하는 표시 모드 정보를 수신하면, 적어도 한 라인 이상 건너뛰어 스캔 신호가 공급되도록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게이트 구동부(216, 217)가 프로그레시브 모드 또는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 시,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순서에 따라서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도록 데이터 제어신호를 데이터 구동부(215)로 공급한다.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터치 제어기(212)와 연결되며 터치 제어기(212)로부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한다.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AP(220)와 연결되며, AP(220)로부터의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에 터치 이벤트에 기초한 이미지를 오버레이한다.
터치 제어기(212)의 터치 이벤트가 AP(220)로 전달되어 프로세싱된 후, 이에 대응하는 응답 이미지(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로 출력되기까지는 상당한 지연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AP(220)로부터 터치 이벤트에 대한 응답 이미지를 수신하기 전에, 터치 이벤트에 기초한 이미지를 내부적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AP(220)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에 터치 이벤트에 기초한 이미지를 오버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경로가 대응하는 응답 이미지(예를 들어, 라인 드로잉)로 표시되기까지의 갭을 좁힐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감지하는 표시 지연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을 포함한다.
터치 경로 로직(410)은 터치 제어기(212)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 제어기(212)로부터 터치 이벤트(501)를 수신한다. 터치 경로 로직(410)은 터치 제어기(212)로부터의 터치 이벤트(501)로부터 추정 터치 경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터치 경로 로직(410)은 연속된 터치 이벤트(501)의 위치들을 내삽(interpolation) 및/또는 외삽(extrapolation)함으로써 추정 터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경로 로직(410)은 AP(220)에 연결되어 설정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AP(220)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는 터치 경로가 생성될 때 추정 터치 경로의 특성을 결정한다. AP(220)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는, 추정 터치 경로의 폭, 단일 직선 세그먼트 및 곡선과 같은 생성되는 라인 세그먼트의 스타일, 경로가 허용되는 표시 영역(예를 들어 활성 드로잉 영역) 및 렌더링 동작의 스타일(예를 들어 안티에일리어싱(antialiasing) 동작, 스무딩(smoothing) 동작 및 투명화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경로 로직(410)은 렌더링 로직(440)에 의해 사용되는 마스크 버퍼(420)에 연결되며, 추정 터치 경로 및 AP(220)로부터 수신한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마스크 버퍼(420) 내에 저장되는 마스크 데이터(502)를 생성한다.
마스크 데이터(502)는 수치들의 매트릭스이다. 마스크 데이터(502)에서, 매트릭스 내의 각 수치의 위치는 표시 패널(213) 내의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고, 매트릭스 내의 값들의 상대 위치는 표시 패널(213) 내의 화소의 상대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마스크 데이터(502)는 렌더링 로직(44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520) 내의 화소 위치들의 2차원 맵에 대응하는 2차원 매트릭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마스크 데이터(502)의 수치들 각각은 영상 데이터(520)를 구성하는 각 화소 위치에서의 오버레이 데이터의 오버레이 여부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마스크 데이터(502)는, 영상 데이터(520)에서 오버레이 데이터가 보여야 하는 위치는 제1값(예를 들어, "1")으로 설정된 값을 가지고, 오버레이 데이터가 보이지 않아야 하는(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가 보여야 하는) 위치는 제1값과 다른 제2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 데이터(502)에 저장된 마스크 데이터(502)는, 터치 경로 로직(410)으로 새로운 터치 이벤트가 수신될 때마다, 새롭게 추정된 터치 경로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다. 또한, 마스크 데이터(502)는 AP(220)로부터 새로운 영상 데이터(510)이 수신될 때마다, 적어도 일부의 값이 리셋될 수 있다.
오버레이 버퍼(430)는 렌더링 로직(440)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오버레이 데이터(503)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이다. 오버레이 데이터(503)는 오버레이 버퍼(430)에 연결된 AP(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오버레이 데이터(503)는 AP(220)로부터의 입력 없이 오버레이 시스템(320) 내에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오버레이 데이터(503)는 오버레이 시스템(320) 내부에서 만들어진 데이터 및 AP(2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결합일 수도 있다.
오버레이 데이터(503)의 특성(색상, 질감, 투명도 등)은 렌더링 로직(440)의 원하는 출력에 의해 결정된다. 즉, 오버레이 데이터(503)의 특성은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라인의 특성과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검은 라인을 드로잉하면, 오버레이 데이터(503)는 소프트웨어가 드로잉한 라인과 동일한 검은 색상(예를 들어 화소 모두가 검은 이미지)을 포함하기 위하여 AP(220)에 의해 제공되거나 오버레이 시스템(320)에 의해 내부적으로 생성될 것이다.
오버레이 버퍼(430)는 저장된 오버레이 데이터(503)를 렌더링 로직(440)에 공급한다.
렌더링 로직(440)은 AP(220) 및 오버레이 버퍼(430)에 연결된다. 렌더링 로직(440)은 AP(220)로부터 AP(220)에 의해 렌더링된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510)를 수신하며, 오버레이 버퍼(430)로부터 오버레이 데이터(503)를 수신한다.
렌더링 로직(440)은 마스크 데이터(502)에서의 값에 따라 AP(2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510)에 오버레이 데이터(503)를 결합 또는 혼합한다. 즉, 렌더링 로직(440)은 마스크 데이터(502)에서의 값에 따라, 오버레이 데이터(503)를 이용하여 AP(2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510)를 업데이트한다.
렌더링 로직(440)은 마스크 데이터(502)로부터 각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값에 따라 해당 화소의 영상 데이터(510)와 오버레이 데이터(503)를 혼합하거나, 해당 화소의 영상 데이터(510)를 오버레이 데이터(503)로 대체하여,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520)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렌더링 로직(440)에서 출력되는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520)는, AP(220)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510)(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드로잉한 라인)와, 마스크 데이터(502)와 오버레이 데이터(503)에 의해 결정되는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504)를 인접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검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은 각각 상이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단일 ASIC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가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ARM(advanced RSIC machines) 프로세서 등 범용 프로세서가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은 AP(220)의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이 타이밍 제어기(214)의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터치 경로 로직(410), 마스크 버퍼(420),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터치 제어기(212) 또는 AP(220) 내에 위치하거나,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위치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 또는 이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디바이스의 상이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경로 로직(410)은 터치 제어기(2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오버레이 버퍼(430) 및 렌더링 로직(440)은 AP(2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보면,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데이터 정렬부(330)에 연결되며, 렌더링 로직(440)에 의해 생성된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520)를 데이터 정렬부(330)로 공급한다.
데이터 정렬부(330)는 오버레이 시스템(320)과 연결되며, 오버레이 시스템(320)로부터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정렬부(330)는 오버레이 시스템(3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217)의 구조 및 특성에 맞춰 정렬한다. 즉, 데이터 정렬부(330)는 오버레이 시스템(3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소행 단위(하나의 수평 주기 내에 출력 가능한 데이터 그룹)로 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215)로 공급한다.
데이터 정렬부(330)에 의해 정렬된 영상 데이터(또는 표시 데이터)는, 각 수평 라인의 스캔 신호 공급 타이밍에 맞춰 데이터 구동부(215)로 공급된다.
데이터 정렬부(330)는 AP(220)로부터 수신되는 표시 모드 정보에 따라, 표시 패널(213)이 프로그레시브 모드 또는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도록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215)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정렬부(330)는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 시, 데이터 구동부(215)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하나의 화소행) 간격으로 건너 뛰어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도록 데이터 구동부(215)로 데이터를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정렬부(330)는 프로그레시브 모드로 동작 시, 데이터 구동부(215)가 모든 수평 라인(화소행)에 순차적으로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도록 데이터 구동부(215)로 데이터를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AP(220)는 표시 모드에 상관 없이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도 5의 도면 부호 510 참조)를 프레임 형태로 오버레이 시스템(3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인터레이스 모드에서 프레임 단위로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도 5의 도면부호 520 참조)를 생성한다. 데이터 정렬부(330)는 오버레이 시스템(320)으로부터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가 프레임 단위로 공급되면,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 시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필드로 구분한다. 데이터 정렬부(330)에 의해 복수의 필드로 구분된 데이터 열들은 메모리(218)에 저장되며, 데이터 정렬부(330)는 각 필드의 출력 순서에 따라서 대응하는 데이터를 메모리(218)로부터 읽어와 데이터 구동부(215)로 공급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AP(220)는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도 5의 도면 부호 510 참조)를 미리 복수의 필드로 분할하고, 각 필드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기(214)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인터레이스 모드에서 필드 단위로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도 5의 도면부호 520 참조)를 생성한다. 데이터 정렬부(330)는 인터레이스 모드에서 오버레이 시스템(320)으로부터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가 필드 단위로 공급되면, 이를 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215)로 공급한다. 이 경우, 메모리(218)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표시 모드와 상관 없이 AP(22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가 오버레이 시스템(320)을 거쳐 데이터 정렬부(330)로 공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그레시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AP(220)로부터 영상 데이터는 오버레이 시스템(320)을 통과하지 않고 데이터 정렬부(330)로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데이터 구동부(215)는 타이밍 제어기(214)의 데이터 정렬부(330)와 연결되며, 데이터 정렬부(3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구동부(215)는 데이터 정렬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213)의 특성에 맞춰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이를 표시 패널(217)의 각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에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215)는 타이밍 제어기(214)의 제어신호 생성부(3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평개시신호 등의 데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는 표시 패널(213)에 데이터 신호가 실질적으로 출력되는 액티브 구간을 구별하기 위한 신호이다. 데이터 구동부(215)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215)는 각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하나의 수평 기간마다 하나의 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즉, 데이터 구동부(215)는 각 수평 라인의 스캔 신호 공급 타이밍에 맞춰,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대응하는 화소 행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216, 217)는 타이밍 제어기(214)의 제어신호 생성부(310)와 연결되며, 제어신호 생성부(310)로부터 게이트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게이트 구동부(216, 217)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토대로 각 게이트 라인(G1 내지 G2n)에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 모듈은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216, 217)를 포함하며, 표시 패널(213)을 구성하는 게이트 라인들은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216, 217)로 구분되어 연결된다. 즉, 각 게이트 구동부(216, 217)에는 서로 다른 게이트 라인들이 연결되며, 각 게이트 구동부(216, 217)에는 게이트 라인들이 적어도 하나의 라인 간격으로 건너 뛰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에 포함되는 게이트 구동부가 2개인 경우, 제1 게이트 구동부(216)에는 2n-1(n은 자연수)번째 게이트 라인(G1, G3, ..., G2n-1)들이 연결되고, 제2 게이트 구동부(217)에는 2n번째 게이트 라인(G2, G4, ...., G2n)들이 연결된다.
또한, 예를 들어, 표시 모듈에 포함되는 게이트 구동부가 4개인 경우, 제1, 제2, 제3 및 제4게이트 구동부에는 각각 4n-3번째, 4n-2번째, 4n-1번째 및 4n번째 게이트 라인들이 연결된다.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216, 217)는 AP(220)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 모드에 따라, 구동되는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다.
표시 모드가 프로그레시브 모드인 경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216, 217)는 모두 구동되어 모든 게이트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순차 공급한다.
표시 모드가 인터레이스 모드인 경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216, 217)는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게이트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한다.
인터레이스 모드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복수의 필드로 나누어져 출력되며, 필드 별로 서로 다른 게이트 구동부(216, 217)에 동기화되어 출력된다. 즉, 인터레이스 모드에서, 각 게이트 구동부(216, 217)는 대응하는 필드의 출력 타이밍에 맞춰 구동되어 스캔 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표시 지연 감소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터치 제어기(212)로부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한다(S100).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터치 이벤트를 내삽 또는 외삽함으로써 터치 이벤트로부터 추정 터치 경로를 생성한다(S110).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추정 터치 경로로부터 마스크 데이터를 생성한다(S120). 마스크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값은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가 오버레이 데이터와의 결합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낸다. 마스크 데이터는 마스크 버퍼(420)에 저장된다.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마스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버레이 데이터와 AP(220)로부터의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표시 패널(217)로 전달할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30).
상기 S13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는 기입 순서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정렬부(330)는 한 프레임 단위의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필드 단위로 분할하여 정렬한다.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는 기입 순서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15)로 공급되며, 데이터 구동부(215)는 이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인터레이스 모드로 표시 패널(213)로 출력한다(S140).
상기 S140 단계에서, 제어신호 생성부(310)는 표시 패널(213)이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도록,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15)는 각 수평 라인의 스캔 신호 공급 타이밍에 맞춰,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대응하는 화소 행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표시 지연 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나의 프레임이 두 개의 필드(홀수 필드, 짝수 필드)로 분할되어 업데이트 되는 인터레이스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프레임(Frame1)의 1번째 필드(fd11)가 표시 패널로 출력됨에 따라, 화면에는 AP(도 2의 도면부호 220 참조)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700)(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드로잉한 라인)와, 오버레이 시스템(도 3의 도면 부호 320 참조)에서 터치 경로에 의해 결정한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이 표시된다. 이때, 표시 패널은 인터레이스 모드로 구동되므로, 오버레이 시스템(320)에 의해 계산된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1)는 짝수(또는 홀수)번째 수평 라인들에 대응하는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이다.
이후, 제1프레임의 2번째 필드(fd12)가 표시 패널로 출력됨에 따라, 화면에는 AP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700)와, 오버레이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터치 경로에 의해 결정한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1, 70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이 표시된다. 이때, 표시 패널은 인터레이스 모드로 구동되므로, 오버레이 시스템(320)에 의해 계산된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1, 702)는 먼저 출력된 짝수(또는 홀수)번째 수평 라인들에 대응하는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1)와 다음에 출력된 홀수(또는 짝수)번째 수평 라인들에 대응하는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211)은 하나의 수직 주기 내에 여러 번 터치 이벤트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오버레이 시스템(320)은 1번째 필드가 출력되는 도중에도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여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의 1번째 필드(fd11)가 표시 패널로 출력되는 동안 업데이트된 제1프레임의 2번째 필드(fd12)는, 1번째 필드 출력 시 이미 계산된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2)에, 1번째 필드 출력 시 업데이트된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frame)은 AP(220)에 의해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가 갱신됨에 따라, AP(도 2의 도면부호 220 참조)에 의해 새롭게 추가된 이미지 세그먼트(710)(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드로잉한 라인)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2프레임의 1번째 필드(fd21) 및 2번째 필드(fd22)가 표시 패널로 출력되는 경우, 화면에는 AP(220)에 의해 갱신된 이미지 세그먼트(700, 710)에, 오버레이 시스템(330)에서 터치 경로에 의해 결정한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11, 712)가 결합되어 표시된다. 이때, 제2프레임에서 제1프레임에서의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01, 702, 703)는 삭제되며, 새롭게 추가된 이미지 세그먼트(710)로부터 이어지는 오버레이 이미지 세그먼트(711, 712)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AP에 의해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고-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기 이전에, 터치 경로에 따른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를 먼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표시 지연을 감소시킨다. 또한, 저-대기 시간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로 출력 시 인터레이스 모드로 표시 패널을 구동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화면 리프레시 속도에 따른 물리적인 지연 시간 또한 감소시켜, 전체적인 시스템 대기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터치 센서 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위한 제1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터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경로를 토대로 상기 제1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데이터를 결합한 제2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스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제2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 시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스캔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라인 간격으로 건너 뛰어 공급되도록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경로를 결정하며, 상기 터치 경로에 따른 마스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 경로 로직, 그리고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마스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데이터와 상기 오버레이 데이터를 결합한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렌더링 로직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영상 데이터는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레이 데이터의 특성은 상기 라인의 특성과 일치하는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마스크 데이터는 복수의 수치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릭스 내에서 각 수치의 위치는 상기 제2영상 데이터에서의 각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각 수치는 대응하는 화소에서의 오버레이 동작을 특정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타이밍 제어기의 구성 요소인 표시 장치.
  6.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터치 센서 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위한 제1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터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경로를 토대로 상기 제1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데이터를 결합한 제2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스캔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제2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 시 인터레이스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스캔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라인 간격으로 건너 뛰어 공급되도록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경로를 결정하며, 상기 터치 경로에 따른 마스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 경로 로직,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마스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데이터와 상기 오버레이 데이터를 결합한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렌더링 로직
    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서,
    상기 마스크 데이터는 복수의 수치의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내에서 각 수치의 위치는 상기 제2영상 데이터에서의 각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각 수치는 대응하는 화소에서의 오버레이 동작을 특정하는 전자 기기.
  9. 제6항에서,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타이밍 제어기의 구성 요소인 전자 기기.
KR1020150010838A 2015-01-22 2015-01-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315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38A KR102315890B1 (ko) 2015-01-22 2015-01-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4/861,840 US20160216839A1 (en) 2015-01-22 2015-09-22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38A KR102315890B1 (ko) 2015-01-22 2015-01-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973A true KR20160090973A (ko) 2016-08-02
KR102315890B1 KR102315890B1 (ko) 2021-10-21

Family

ID=5643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38A KR102315890B1 (ko) 2015-01-22 2015-01-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16839A1 (ko)
KR (1) KR102315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5507A (zh) * 2021-02-24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9645B (zh) 2019-06-25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垂直同步信号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7032603A (zh) * 2022-05-09 2023-11-10 株式会社和冠 计算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04A (ko) * 2010-01-27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이미지 검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30054795A (ko) * 2011-11-17 2013-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84326A (ko) * 2011-04-08 2013-07-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130111072A (ko) * 2012-03-30 201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26263A (ko) * 2013-04-22 2014-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미지 오버레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994B1 (ko) * 1998-12-31 2001-01-15 구자홍 경계 영역 표시 장치
US7782954B2 (en) * 2003-09-07 2010-08-24 Microsoft Corporation Scan patterns for progressive video content
US8203527B2 (en) * 2009-04-24 2012-06-19 Seiko Epson Corporation Minimizing pen stroke capture latency
JP5439059B2 (ja) * 2009-06-30 2014-03-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04A (ko) * 2010-01-27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이미지 검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30084326A (ko) * 2011-04-08 2013-07-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130054795A (ko) * 2011-11-17 2013-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111072A (ko) * 2012-03-30 201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26263A (ko) * 2013-04-22 2014-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미지 오버레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5507A (zh) * 2021-02-24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CN112835507B (zh) * 2021-02-24 2022-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6839A1 (en) 2016-07-28
KR102315890B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355B1 (ko) 이미지 오버레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240294B1 (ko)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오버레이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9357B1 (ko) 터치 이벤트들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21781A (ko) 영상 표시 시스템
US948317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isplay lag of soft keyboard presses
KR102315890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6073696B2 (ja)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及び半導体装置
US20160077782A1 (en) Termi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isplay lag
KR102161745B1 (ko) 터치 입력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가속기, 터치 입력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터치 입력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방법
CN102473042B (zh) 用于操作多个计算装置的系统、方法以及计算机程序
US9922397B2 (en) Touch sensitive image display system having reduced lag
KR20160059549A (ko) 저지연 터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213033B2 (ja) ソフトウェア入力キー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端末
KR101221738B1 (ko)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JP5156678B2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放送受信プログラム
CN116048238A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0148991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JPH01277888A (ja) 表示制御回路
JPH03206518A (ja) グラフィックカーソル表示コントロール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