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734A - 눈용 보호구 - Google Patents

눈용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734A
KR20160090734A KR1020150147240A KR20150147240A KR20160090734A KR 20160090734 A KR20160090734 A KR 20160090734A KR 1020150147240 A KR1020150147240 A KR 1020150147240A KR 20150147240 A KR20150147240 A KR 20150147240A KR 20160090734 A KR20160090734 A KR 2016009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ase
lens
contact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474B1 (ko
Inventor
가즈토 야스하라
히로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glass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눈용 보호구는 일단에 제1 걸어맞춤부(11)를 갖고, 타단에 부착부(12)를 갖는 렌즈(10)와, 일단에 상기 제1 걸어맞춤부(11)에 대응하는 제2 걸어맞춤부(26)를 갖고, 타단에 축부(43)를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기부(40)를 갖는 프레임(20)과, 상기 부착부(12)를 통하여 상기 기부(40)의 지지편(44)을 억압하여 상기 기부(40)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부(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41)를 상기 프레임의 접촉벽부(29)에 형성되는 잠금 해제 영역으로부터 잠금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부(40)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여 잠금 상태로 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의 표면 및 이면에 접촉되지 않고 렌즈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관한 잠금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한 눈용 보호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눈용 보호구{PROTECTIVE DEVICE FOR EYES}
본 발명은 스키, 스노보드, 제설 작업 등을 하는 경우, 바이크나 카트(buggy) 등의 모터 스포츠를 하는 경우, 카누, 요트, 서핑 등의 수상 스포츠를 하는 경우, 공장, 현장 등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눈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가 교환 가능한 눈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646212호에서는, 스키 경기 기타 헬멧을 장착하는 스포츠, 작업 등에 사용되는 눈용 보호구로서, 렌즈 유지틀의 상부틀부 전면(前面) 및 렌즈 유지틀의 하부틀부 전면 각각의 좌우 부분에 있는 돌출위치로부터, 상부틀부 및 하부틀부와 일체 성형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탄성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암(arm)을 설치하고, 상기 암은 돌출 위치로부터 떨어진 벨트 부착 위치 근방에 끝단을 갖고, 상기 끝단 근방에서 벨트 부착부를 통하여 벨트에 접속되고, 또한 암이 전방면에서 보아 렌즈 유지틀의 상부틀부 전면 및 렌즈 유지틀의 하부틀부 전면에 겹치게 되어 있는 눈용 보호구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눈용 보호구에서의 렌즈 유지틀의 내주면에는, 렌즈를 끼워 맞추어 유지하기 위한 맞물림홈이 형성되어 있어, 렌즈가 부주의로 빠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418814호에서는,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및 하측 프레임에 각각 고정 구멍을 설치하고, 고정 구멍에 대응하는 고정 구멍을 렌즈측에 설치하며, 좌우 한쌍의 벨트 암의 두 갈래부의 선단에 잠금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하며, 이들 고정구멍을 벨트 암의 잠금 기구에 의해 잠금 상태로 하고, 프레임과 렌즈와 좌우 한쌍의 벨트 암을 고정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눈용 보호구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잠금기구는 잠금핀, 슬리브, 노브 및 고정체로 구성되고, 노브가 벨트 암의 두 갈래부의 선단에 설치된 단차부에 위로부터 횡방향 또는 횡으로부터 윗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윗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횡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잠금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3646212호의 구조에서는, 프레임 전체가 플렉시블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지만, 렌즈 교환시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에 접촉되는 경우가 많아, 렌즈의 표면 및 이면에 지문이나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제5418814호의 구조에서는, 렌즈 교환시에 프레임 및 렌즈의 고정 구멍에 설치되는 각각의 잠금 기구의 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잠금기구를 해제하는 것이므로,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져, 비용이 증대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의 표면 및 이면에 접촉되지 않고 교환 가능하게 하고, 이에 관한 잠금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한 눈용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일단에 제1 걸어맞춤부를 갖고 타단에 부착부를 갖는 렌즈와, 일단에 상기 제1 걸어맞춤부에 대응하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갖고, 타단에 축부를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기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부착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의 지지편을 억압하여 상기 기부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를 상기 프레임의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잠금 해제 영역으로부터 잠금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부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여 잠금 상태로 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제1 접촉벽면과 상기 기부의 측벽부가 접촉되고, 상기 기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접촉벽부와 상기 기부의 측벽부를 이격하도록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에 의한 상기 기부의 회전은 부세력에 저항하여 후방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영역내의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제2 접촉벽면과,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잠금시 접촉면이 접촉되어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영역내의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제2 접촉벽면과,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잠금시 접촉면이 접촉되어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내의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절개부는 소정 범위내에서의 상기 기부의 회전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절개부내에 형성되는 제3 접촉벽면과,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잠금해제시 접촉면이 접촉되어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는 팽창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착부를 상기 기부측으로 유도하는 이동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렌즈의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는 돌출부로 억압되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렌즈와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끼워넣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의 지지편을 억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착부의 제1 억압부에 면접촉하여 합치되도록 상기 기부의 제2 억압부가 후방측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눈용 보후구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벽면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잠금 영역내를 이동함에 따라서, 또한 상기 기부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눈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팽창부의 입구가 되는 상기 이동영역의 개구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 단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눈용 보호구에서는, 렌즈의 부착시에는 부착부를 통하여 기부를 회전시키고, 조작부를 잠금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잠금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를 잠금 해제 영역으로 이동시켜서 잠금 해제 상태로 함으로써, 기부를 부세력에 의해 회전시키고, 부착부를 통하여 렌즈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의 표면 및 이면에 접촉되지 않고, 렌즈의 교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눈용 보호구의 일단에 제1 걸어맞춤부 및 제2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고, 타단에 잠금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종래품과 같이 상하 좌우의 각 프레임에 잠금기구를 설치하는 눈용 보호구와 비교하여, 잠금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의 삭감으로도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렌즈의 전방사시도, 도 3b는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잠금기구가 설치되는 측의 프레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기부 및 조작부의 전방 사시도, 도 5b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잠금 상태에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잠금 상태에서 조작부를 이동시킨 상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렌즈를 부착하는 도중의 사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도 1의 X-X선 확대 단면도, 도 11b는 Y-Y선 확대 단면도, 도 11c는 Z-Z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부착부에서 기부를 회전시킬 때의 도 1과 동일한 각 평면에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도 8의 X-X선 확대 단면도, 도 13b는 Y-Y선 확대 단면도, 도 13c는 Z-Z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프레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렌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장착 벨트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프레임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눈용 보호구의 렌즈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눈용 보호구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눈용 보호구는 잠금 기구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렌즈를 프레임으로부터 띄워 분리할 수 있고, 렌즈의 부착부를 쥐고 잠금기구의 기부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잠금기구의 기부를 회전시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서, 렌즈를 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렌즈 교환시에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의 표면 및 이면에 접촉되지 않고 교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눈용 보호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키, 스노보드, 제설 작업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고글을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 눈용 보호구를 사용자가 장착한 상태에서, 렌즈측을 눈용 보호구의 전방으로 하고, 장착 벨트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부측을 눈용 보호구의 상방으로 하고, 턱부측을 눈용 보호구의 하방으로 하며, 얼굴의 폭방향을 눈용 보호구의 좌우방향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눈용 보호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렌즈(10)와, 렌즈 교환이 가능해지도록 잠금기구로 착탈 자유롭게 하는 프레임(20)과, 렌즈(10)가 부착된 프레임(20)을 사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벨트(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렌즈(10)는 프레임(20)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렌즈(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일단에 프레임(20)에 걸어 맞추기 위한 제1 걸어맞춤부(11)가 설치되고, 또한 타단에 프레임(20)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부(12)가 설치된다. 또한, 렌즈(10)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판 등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일안(一眼) 렌즈로 구성된다.
제1 걸어맞춤부(11)는 후술하는 프레임(20)의 제2 걸어맞춤부(26)에 걸어맞추어, 렌즈(10)의 일단을 프레임(20)의 일단에 부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1 걸어맞춤부(11)는 예를 들어, 오목부, 관통구멍, 볼록부, 돌출조부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12)는 프레임(20)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기부(40)에 대해서 부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부착부(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돌출부(13), 제1 억압부(14)와, 후방측에 설치되는 팽창부(15)를 구비하고, 렌즈(10)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3)는 렌즈 교환시에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10)의 표면 및 이면에 접촉되지 않고 교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렌즈(10)의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부착부(12)에는 렌즈(10)와 돌출부(13) 사이에 기부(40)의 지지편(44)을 끼워 넣기 위한 수용부(16)가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16)에서의 상하방향의 위치에는, 기부(40)의 제2 억압부(47)와 합치하는 제1 억압부(14)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억압부(14)는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3)의 후방측에 연이어 설치되고, 렌즈(10)의 중심방향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여, 렌즈(10)의 단부 근방에 이를 때까지 단계적으로 굴곡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억압부(14)에서의 전후방향의 두께 치수는, 적어도 렌즈(10)와 돌출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수용부(16))의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억압부(14)는 예를 들어 단면이 대략 "く"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팽창부(15)는 제1 억압부(14)로부터 렌즈(10)의 후방측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기부(40)에서의 측벽부(48)에 설치되는 이동영역(49)을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영역내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팽창부(15)를 이동영역(49)을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부착부(12)를 기부(40)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0)는 외부 렌즈(17)와 내부 렌즈(18)를 양면 테입 등으로 접합시킨 이중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0)의 좌측단에는 제1 걸어맞춤부(11)가 설치되고, 렌즈(10)의 우측단에는 부착부(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걸어맞춤부(11)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2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착부(12)에는 도 3,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단면이 대략 쐐기 형상의 돌출부(13)가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13)는 렌즈(10)와의 사이에 수용부(16)를 형성한 상태에서, 렌즈(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또한 돌출부(13)의 후방측에 연이어 설치된 수용부(16)의 상하 위치에는 제1 억압부(14)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억압부(14)로부터 렌즈(10)의 후방측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제1 억압부(14)의 후방측에 2개의 팽창부(15)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프레임(21), 하측 프레임(22)과, 이들 상측 프레임(21), 하측 프레임(22)을 연결하는 좌측 프레임(23), 우측 프레임(2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기 하여 구성되는 프레임(20)은 예를 들어 전체가 플렉시블한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렌즈(10)와 접촉되는 상측 프레임(21) 및 하측 프레임(22)의 전면측에는,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완충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측 프레임(22)에는 중앙부를 내측방향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 콧등부(25)가 설치된다. 또한, 좌측 프레임(23), 우측 프레임(24) 중 어느 한쪽에는 렌즈(10)의 제1 걸어맞춤부(11)에 대응하는 제2 걸어맞춤부(26)가 설치되고, 또한 다른쪽에 렌즈(10)의 부착부(12)를 고정하기 위한 기부(40)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또한, 좌측 프레임(23) 및 우측 프레임(24)에서의 후방측의 단부에는 장착 벨트(B)를 부착하기 위한 벨트 부착부(28)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제2 걸어맞춤부(26)가 설치되는 좌측 프레임(23) 또는 우측 프레임(24)의 전방측 단부(27)는, 상측 프레임(21) 및 하측 프레임(22)의 대략 중앙부를 향하여, 양 프레임을 따르도록 하여 원호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측의 단부(27)에 제2 걸어맞춤부(2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걸어맞춤부(26)와 렌즈(10)의 제1 걸어맞춤부(11)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렌즈 교환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걸어맞춤부(26)는 렌즈(10)의 제1 걸어맞춤부(11)에 걸어 맞추어, 렌즈(10)의 일단을 프레임(20)의 일단에 부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걸어맞춤부(26)는 제1 걸어맞춤부(11)에 대응하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오목부, 관통구멍, 볼록부, 돌출조부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이를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기부(40)가 설치되는 좌측 프레임(23) 또는 우측 프레임(2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에서 기부(40)를 부착하기 위해 전방측을 움푹 들어가게 한 접촉 벽부(29)가 설치되고, 후방측에서 장착 벨트(B)를 부착하기 위한 벨트 부착부(28)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이 상측 프레임(21)과 하측 프레임(2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접촉벽부(29)는 전방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촉벽면(30)과, 상기 제1 접촉벽면(30)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잠금 영역 및 잠금 해제 영역으로 이루어진 조작부 이동영역(31)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 이동영역(31)은 기부(40)의 조작부(41)를 잠금 영역과 잠금 해제 영역 중 어느 것에 이동시킴으로써,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조작부 이동영역(31)은 제1 접촉벽면(30)의 일단부로부터 대략 중앙부까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촉벽면(32)과, 상기 제2 접촉벽면(32)의 일단부로부터 후방측으로 단차를 통하여 움푹 들어간 상태에서, 제1 접촉벽면(30)의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33)로 구성된다.
제1 접촉벽면(30)은 잠금기구의 잠금 상태에서, 기부(40)의 측벽부(48)가 접촉함으로써 기부(40)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렌즈(10)의 부착을 정설(定設)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접촉벽면(30)에는 부세수단이 되는 복귀 스프링(42)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용부(34)는 예를 들어 오목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복귀 스프링(42)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제2 접촉벽면(32)은 잠금기구의 조작부(41)가 접촉됨으로써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절개부(33)는 잠금 기구의 조작부(41)가 이동하여, 제2 접촉벽면(32)과의 접촉을 회피함으로써, 소정 범위내에서의 기부(40)의 회전을 허용하고,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절개부(33)에는 기부(40)에서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잠금 해제 상태의 조작부(41)가 접촉되는 제3 접촉벽면(35)이 형성된다. 또한, 접촉 벽부(29)에서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측 프레임(21) 및 하측 프레임(22)에는, 축부(43)를 설치하기 위한 축구멍(36)이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23)에는 렌즈(10)의 제1 걸어맞춤부(11)에 대응하는 제2 걸어맞춤부(26)가 설치되고, 우측 프레임(24)에는 렌즈(10)의 부착부(12)를 고정하기 위한 기부(40)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걸어맞춤부(26)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어맞춤부(11)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2개의 볼록부가 된다. 또한, 제1 접촉벽면(3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복귀 스프링(42)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34)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접촉벽면(32)은 제1 접촉벽면(30)의 하단부로부터 대략 중앙부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개부(33)는 제2 접촉벽면(32)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측에 단차를 통하여 움푹 들어간 상태로 제1 접촉벽면(30)의 상단부에 이르기까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0)은 전방측의 하드 프레임(37)에 대하여 후방측의 소프트 프레임(38)이 부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잠금기구는 축부(43)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부(40)와, 기부(4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41)와, 접촉벽부(29)의 제1 접촉벽면(30)과 기부(40)의 측벽부(48)를 이격하도록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과, 조작부(41)를 어느 것에 접촉시킴으로써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제2 접촉벽면(32) 및 제3 접촉벽면(35)으로 구성된다.
기부(4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벽부(29)를 따르도록 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축선방향으로 축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복귀 스프링(42)을 구비한 축부(43)가 삽입 통과된다. 상기 기부(40)에는 동일한 도면인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12)의 수용부(16)에 삽입되는 지지편(44)이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후방측에 조작부(4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안내 레일(45)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편(44)은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레일(45)은 기부(40)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레일(45)의 일부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에서 안내레일(45) 위를 슬라이딩하는 조작부(41)의 가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1 끼워맞춤부(46)가 형성된다. 제1 끼워맞춤부(46)는 예를 들어 오목부, 볼록부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편(44)에서의 상하방향의 위치에는, 지지편(44)보다 짧은 치수를 갖고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잠금기구의 잠금 상태에서 부착부(12)의 제1 억압부(14)와 합치되는 제2 억압부(47)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억압부(47)는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부(40)에는 축부(43)의 축심으로부터 안내레일(45)이 설치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측벽부(48)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측벽부(48)에는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부착부(12)의 팽창부(15)를 이동시키기 위한 홈형상 또는 구멍형상의 이동영역(49)이, 상기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이동영역(49)의 일단에는 팽창부(15)의 입구가 되는 개구부(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부(48)의 후방측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42)의 타단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부(51)는 예를 들어 제1 수용부(34)와 동일하게 하여 오목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복귀 스프링(42)의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편(44)은 기부(40)에서의 상하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편(44)의 상하 위치에는 제2 억압부(47)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부착부(12)의 돌출부(13)에 의해 지지편(44)을 억압할 때의 부가력을 균등하게 부여할 수 있고, 기부(40)의 회전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편(44)의 상하 위치에서 제1 억압부(14)에 대해서 균등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끼워맞춤부(46)는 안내 레일(45)에서의 상하방향의 대략 중앙부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조작감을 갖게 하기 위한 돌출조부를 통하여 형성되는 오목부가 된다. 그리고, 이동영역(49)은 측벽부(48)의 상하단면으로부터 홈형상이 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48)의 전방측에서 팽창부(15)의 입구가 되는 개구부(50)가 설치된다.
조작부(41)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40)의 안내레일(45)을 타고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단면이 대략 "く"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41)의 전방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걸이가 되는 손잡이부(52)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조작부(41)의 후방측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시에 접촉 벽부(29)의 제3 접촉벽면(35)과 접촉되는 잠금해제시 접촉면(5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시 접촉면(53)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굴곡이 있도록 하여, 잠금시 접촉면(54)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시 접촉면(54)은 잠금 상태시에 접촉 벽부(29)의 제2 접촉벽면(32)과 접촉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부(41)의 내측면에는 기부(40)의 안내레일(45)에 대응하는 가이드부(55)가 설치되고, 또한 기부(40)의 제1 끼워맞춤부(46)에 대응하는 제2 끼워맞춤부(56)가 설치된다. 제2 끼워맞춤부(56)는 예를 들어 오목부, 볼록부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끼워맞춤부(56)는 볼록부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잠금기구는 조작부(41)를 구비한 기부(40) 및 복귀 스프링(42)에 대하여 축부(43)를 삽입 통과시키고, 축부(43)의 양단부를 축구멍(36)에 설치함으로써, 기부(40)를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귀 스프링(42)의 일단(42a)을 접촉벽부(29)의 제1 수용부(34)에 접촉시키고, 또한 복귀 스프링(42)의 타단(42b)을 기부(40)의 제2 수용부(51)에 접촉시킴으로써, 복귀 스프링(42)을 위치 결정하고, 접촉벽부(29)의 제1 접촉벽면(30)과 기부(40)의 측벽부(48)를 복귀 스프링(42)의 부세력으로 이격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기부(4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조작부(41)가 잠금 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잠금시 접촉면(54)이 제2 접촉벽면(32)과 접촉됨으로써, 복귀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기부(40)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고, 잠금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조작부(41)가 잠금 해제 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복귀 스프링(42)의 부세력으로 기부(40)가 전방측으로 회전하고, 잠금해제시 접촉면(53)이 제3 접촉벽면(35)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회전이 규제되며,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잠금 상태에서는 조작부(41)가 잠금 영역을 이동함에 따라서, 또한 부세력에 저항하여 기부(40)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도록, 제2 접촉벽면(32)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벨트(B)는 좌우 한쌍으로 되어 있고, 신축 탄성 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벨트(B)의 각각의 1단은 프레임(20)의 각각의 벨트 부착부(28)에 연결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장착벨트(B)의 각각의 타단에는 걸어맞춤 가능한 버클(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된다. 또한, 장착벨트(B)에는 각각에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구(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눈용 보호구의 렌즈교환 작업은, 도 1, 도 6 내지 도 13과 같이 하여 실시된다. 렌즈(10)를 부착할 때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렌즈(10)의 제1 걸어맞춤부(11)와 프레임(20)의 제2 걸어맞춤부(26)를 걸어맞춘 상태로 한다. 이 때, 렌즈(10)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를 협지하여 걸어맞출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10)의 표면 및 이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0)의 부착부(12)를 쥐고, 팽창부(15)를 측벽부(48)에서의 이동 영역(49)의 개구부(50)로부터 진입시킨다. 이 때, 잠금기구의 조작부(41)가 접촉벽부(29)의 절개부(33) 내의 영역에 위치하고, 렌즈(10)가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 소위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42)의 1단(42a)이 접촉 벽부(29)의 제1 수용부(34)에 접촉되고, 복귀 스프링(42)의 타단(42b)이 기부(40)의 제2 수용부(51)에 접촉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의해, 축부(43)를 중심으로 하여 기부(40)가 반시계 방향(전방측)으로 회전하고, 접촉벽부(29)의 제1 접촉벽면(30)과 기부(40)의 측벽부(48)가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43)를 중심으로 한 기부(40)의 회전에 따라서 절개부(33) 내의 영역에서 조작부(41)가 동일하게 회전하고, 조작부(41)의 잠금해제시 접촉면(53)이 접촉벽부(29)의 제3 접촉벽면(35)에 접촉됨으로써, 기부(40)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기부(40)에서의 측벽부(48)의 전방측이 프레임(20)보다 전방측으로 띄워진 상태가 되므로, 렌즈(10)의 부착부(12)를 안내하기 용이하게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부(15)의 입구가 되는 이동 영역(49)의 개구부(50)가 프레임(20)의 전방측 단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12)를 기부(40)측으로 접근시켜, 팽창부(15)를 이동영역(49)의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렌즈(10)의 후방측면에서 측벽부(48)의 전방측면을 억압하고, 축부(43)를 중심으로 하여 기부(40)를 시계방향(후방측)으로 부세력에 저항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렌즈(10)의 부착부(12)가 소정 위치까지 이동되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3)의 후방측이 기부(40)의 지지편(44)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돌출부(13)를 후방측으로 억압함으로써, 지지편(44)을 통하여 축부(43)를 중심으로 하여 기부(40)를 더욱 시계방향(후방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벽부(29)의 제1 접촉벽면(30)과 기부(40)의 측벽부(48)의 간극이 서서히 줄어 들어, 후에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가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이동영역(49)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을 향하여 경사져 배치되고, 팽창부(15)가 이동영역(49)에서의 후방측의 단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단부의 근방벽부에 의해 팽창부(15)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팽창부(15)가 측벽부(48)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12)의 제1 억압부(14)와 기부(40)의 제2 억압부(47)가 합치되고, 또한 부착부(12)의 수용부(16)에 기부(40)의 지지편(44)이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부착부(12)와 기부(40)의 간극을 가능한 적게 함으로써, 먼지 등이 렌즈(10)의 내측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는 기부(40)와 접촉벽부(29)의 제2 접촉벽면(32) 사이에 조작부(41)를 이동시킬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되므로, 도 11c,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레일(45)을 따라서 조작부(41)를 제2 접촉벽면(32) 내의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복귀 스프링(42)의 부세력은 접촉벽부(29)의 제1 접촉벽면(30)과 기부(40)의 측벽부(48)를 이격시키도록 작용하지만, 조작부(41)의 잠금시 접촉면(54)과 접촉벽면(29)의 제2 접촉벽면(32)이 접촉함으로써, 축부(43)를 중심으로 하여 기부(40)가 반시계 방향(전방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잠금기구의 조작부(41)가 접촉벽부(29)의 제2 접촉벽면(32) 내의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렌즈(10)가 프레임(20)으로부터 부착된 상태, 소위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 잠금 상태에서는 부착부(12)의 팽창부(15)가 측벽부(48)의 이동영역(49) 내에 위치하고, 기부(4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억압부(47)가 회전함으로써, 제2 억압부(47)가 부착부(12)의 제1 억압부(14)에 면접촉하여 합치되고, 부착부(12)의 수용부(16)에 기부(40)의 지지편(44)이 수용됨으로써, 부착부(12)가 각각의 부분에 접촉되고, 렌즈(1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느슨해지지 않고 확실하게 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 접촉벽면(32)이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을 조작부(41)가 슬라이딩할 때, 축부(43)를 중심으로 하여 기부(40)가 시계방향(후방측)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렌즈(10)가 프레임(20)측으로 더욱 억압되므로, 양자간의 밀착도가 증가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부(40)에 제1 끼워맞춤부(46)가 설치되고, 조작부(41)에 제2 끼워맞춤부(56)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끼워맞춘 상태로 하여, 잠금 상태를 보다 완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정 이상의 힘으로 조작부(41)를 슬라이딩시키지 않는 한, 제1 끼워맞춤부(46)과 제2 끼워맞춤부(56)의 끼워맞춤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부(12)의 팽창부(15)와 측벽부(48)의 이동영역(49)을 통하여 부착부(12)를 기부(40)측에 이동시킨 후, 부착부(12)를 억압하여 기부(4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조작부(41)를 기부(4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벽부(29)의 잠금 영역(제2 접촉벽면(32) 내)에 이동시킴으로써, 프레임(20)에 대해서 렌즈(1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10)를 분리할 때에는 조작부(41)를 접촉벽면(29)의 잠금 해제 영역(제3 접촉벽면(35) 내)에 이동시키면 좋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눈용 보호구에 따르면, 렌즈(10)의 부착시에는 부착부(12)를 통하여 기부(40)를 회전시키고, 조작부(41)를 잠금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잠금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1)를 잠금 해제 영역으로 이동시켜서 잠금 해제 상태로 함으로써, 기부(40)를 부세력에 의해 회전시키고, 부착부(12)를 통하여 렌즈(10)의 분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끝이 렌즈(10)의 표면 및 이면에 접촉되지 않고 렌즈(10)의 교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눈용 보호구의 일단에 제1 걸어맞춤부(11) 및 제2 걸어맞춤부(26)를 설치하고, 타단에 잠금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종래품과 같이 상하 좌우의 각 프레임에 잠금기구를 설치하는 눈용 보호구와 비교하여, 잠금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비용의 삭감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눈용 보호구의 좌우단의 한쪽에, 제1 걸어맞춤부(11) 및 제2 걸어맞춤부(26)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잠금기구가 설치되는 구조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눈용 보호구의 상하단의 한쪽에, 제1 걸어맞춤부(11) 및 제2 걸어맞춤부(26)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잠금기구가 설치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눈용 보호구의 좌우단의 한쪽에, 제1 걸어맞춤부(11) 및 제2 걸어맞춤부(26)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잠금기구가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는, 상하단 중 어느 한쪽을 갖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23)과 우측 프레임(24)을 상측 프레임(21)으로 연결하고, 하측 프레임(22)은 갖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눈용 보호구의 렌즈(10)는 1안 렌즈로 되어 있었지만, 안경, 선글라스 등의 2안 렌즈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의 콧등부(25)측에 제1 걸어맞춤부(11) 및 제2 걸어맞춤부(26)를 설치하고,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안경의 힌지측에 잠금기구를 설치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눈용 보호구는 고글형으로 되는 것이었지만, 장착벨트(B)를 힌지부를 구비한 템플(T)로 변경하거나, 장착벨트(B)를 설치하지 않고 프레임(20)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되는 분기 프레임(39) 등의 다른 사양으로 함으로써,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틀 또는 일안 렌즈형의 안경으로 할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멧(H)에 장착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착부(12)는 렌즈(10)의 단부에 부착되는 것이었지만, 도 14,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0)의 주위에 림(19)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림(19)과 부착부(12)를 일체로 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부착부(12)는 렌즈(10)에 대해서 부착되는 구조이면, 부착부(12)가 다른 부재와 일체로 되어도 좋다는 취지이다.
또한, 접촉벽부(29)에서는 잠금 영역의 제2 접촉벽면(32)을 하방측으로 하고, 잠금 해제 영역의 절개부(33)를 상방측으로 하는 것이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잠금 영역의 제2 접촉벽면(32)을 상방측으로 하고, 잠금 해제 영역의 절개부(33)를 하방측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잠금 영역을 접촉벽부(29)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그 상하 위치에 잠금 해제 영역을 위치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때, 제2 접촉벽면(32)의 경사면은 적절하게 변경하여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부착부(12)의 팽창부(15)와 기부(40)에서의 측벽부(48)의 이동영역(49)은 각각이 대응하도록 하여 형성되고, 렌즈(10)를 부착할 때, 부착부(12)를 기부(40)측으로 유도하는 것이면, 형상, 위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팽창부(15)가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하여 이동 영역(49)이 측벽부(48)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때에, 잠금 상태에서의 이동영역(49)의 후방단부는, 팽창부(15)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 상태에서 지지편(44)이 수용부(16)에 끼워넣어지고, 제1 억압부(14) 및 제2 억압부(47)에 의해 부착부(12)가 기부(40)에 고정되는 구조이면, 부착부(12)의 팽창부(15) 및 측벽부(48)의 이동영역(49)을 설치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부세수단이 되는 복귀 스프링(42)의 부세력을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잠금 상태에서 접촉벽면(29)의 제1 접촉벽면(30)과 기부(40)의 측벽부(48)를 접촉시키지 않는 구조로 하고, 양자간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상태로 하며, 프레임(20)에 대해서 렌즈(1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42)은 접촉벽부(29)의 제1 접촉벽면(30)과 기부(40)의 측벽부(48)를 부세력으로 이격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지만, 복귀 스프링(42)을 설치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때에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기부(40)는 소정 범위내에서 전후방향으로의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또한, 잠금 상태에서는 제1 접촉벽면(30)과 측벽부(48)를 접촉시키고, 제2 접촉벽면(32)과 잠금시 접촉면(54)을 접촉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기부(40)의 전후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프레임(20)에 대해서 렌즈(10)를 느슨해짐 없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을 생략할 수 있고, 일부 추출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서로 모순되지 않는 경우에, 실시예끼리 조합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다른 실시예 중의 특징끼리 조합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렌즈 11: 제1 걸어맞춤부
12: 부착부 13: 돌출부
20: 프레임 37: 하드 프레임
38: 소프트 프레임 40: 기부
41: 조작부 44: 지지편
48: 측벽부 49: 이동영역
50: 개구부 B: 장작벨트

Claims (11)

  1. 일단에 제1 걸어맞춤부를 갖고, 타단에 부착부를 갖는 렌즈;
    일단에 상기 제1 걸어맞춤부에 대응하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갖고, 타단에 축부를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기부를 갖는 프레임; 및
    상기 부착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의 지지편을 억압하여 상기 기부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를 상기 프레임의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잠금 해제 영역으로부터 잠금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부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여 잠금 상태로 하는 잠금기구
    를 구비하는, 눈용 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제1 접촉벽면과 상기 기부의 측벽부가 접촉되고, 상기 기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눈용 보호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벽부와 상기 기부의 측벽부를 이격하도록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에 의한 상기 기부의 회전은 부세력에 저항하여 후방측으로 이루어지는, 눈용 보호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잠금 영역내의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제2 접촉벽면과,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잠금시 접촉면이 접촉되어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눈용 보호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영역내의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제2 접촉벽면과,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잠금시 접촉면이 접촉되어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눈용 보호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내의 상기 접촉벽부에 형성되는 절개부는, 소정 범위내에서의 상기 기부의 회전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절개부내에 형성되는 제3 접촉벽면과,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잠금 해제시 접촉면이 접촉되어 전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눈용 보호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는 팽창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착부를 상기 기부측으로 유도하는 이동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눈용 보호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렌즈의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는 돌출부에 억압되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렌즈와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삽입하는, 눈용 보호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의 지지편을 억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착부의 제1 억압부에 면접촉하여 합치되도록 상기 기부의 제2 억압부가 후방측으로 회전하는, 눈용 보호구.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벽면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잠금 영역내를 이동함에 따라서, 또한 상기 기부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눈용 보호구.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팽창부의 입구가 되는 상기 이동영역의 개구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 단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눈용 보호구.
KR1020150147240A 2015-01-22 2015-10-22 눈용 보호구 KR102383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0406A JP6443748B2 (ja) 2015-01-22 2015-01-22 眼用保護具
JPJP-P-2015-010406 2015-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34A true KR20160090734A (ko) 2016-08-01
KR102383474B1 KR102383474B1 (ko) 2022-04-05

Family

ID=5643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240A KR102383474B1 (ko) 2015-01-22 2015-10-22 눈용 보호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3748B2 (ko)
KR (1) KR102383474B1 (ko)
CN (1) CN105824135B (ko)
TW (1) TWI6618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4867B2 (en) 2017-08-01 2022-02-01 Spy Optic Inc. Goggle lens changing system
US11389330B2 (en) 2019-12-31 2022-07-19 Spy Optic Inc. Magnetic goggle lens changing system
CN117547409B (zh) * 2024-01-08 2024-03-12 德州爱尔眼科医院有限公司 一种多场景切换的术后护目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9747A1 (en) * 2012-08-31 2014-03-06 Oakley, Inc. Eyewear having multiple ventilation states
JP2014142654A (ja) * 2010-03-19 2014-08-07 Oakley Inc アイウェア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201320U (zh) * 1985-04-14 1986-01-22 钟东 折缩式便携眼镜
AU5876500A (en) * 1999-06-19 2001-01-09 David Wedeck Eyeglass frame for removal and insertion of lenses
JP2005258038A (ja) * 2004-03-11 2005-09-22 Sasamata:Kk ノーズパッド組立体
US20060164594A1 (en) * 2005-01-25 2006-07-27 Xiao Tony X Swivel lens-locker for spectacle frames
US7797765B2 (en) * 2005-12-30 2010-09-21 Bell Sports, Inc. Lens replacement system
JP2008292967A (ja) * 2007-05-28 2008-12-04 Toshiro Tonai 組合せ眼鏡、及び眼鏡セット
EP2252245A1 (en) * 2008-02-14 2010-11-24 Redlab Srl Goggles with interchangeable lens, particularly for sports
NZ566513A (en) * 2008-03-07 2008-07-31 Jason Gregory Gill Prefabricated transparent film drawn from canister across lens and suitable for goggles for motorcross
JP5553328B2 (ja) * 2008-04-22 2014-07-16 株式会社大木工藝 貼着型健康増進用具
US9301879B2 (en) * 2011-10-18 2016-04-05 Abominable Labs, Llc Goggle with easily interchangeable lens that is adaptable for heating to prevent fogging
MY162212A (en) * 2012-08-14 2017-05-31 Tzy Cuan Tai Eyeglass frame assembly
ITPD20130001U1 (it) * 2013-01-15 2014-07-16 Luca Sorgato Maschera protettiv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2654A (ja) * 2010-03-19 2014-08-07 Oakley Inc アイウェア
US20140059747A1 (en) * 2012-08-31 2014-03-06 Oakley, Inc. Eyewear having multiple ventilation st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0578A (zh) 2016-09-01
CN105824135A (zh) 2016-08-03
JP2016131832A (ja) 2016-07-25
TWI661818B (zh) 2019-06-11
CN105824135B (zh) 2019-11-22
JP6443748B2 (ja) 2018-12-26
KR102383474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326B1 (ko) 안경
US10935812B2 (en) Magnetic attachment mechanism for eyewear
US9188792B2 (en) Mounting mechanism for eyewear
JP5667698B2 (ja) レンズ保持メカニズムを伴うアイウェア
EP3366153B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KR20100103419A (ko) 고글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US11179272B2 (en) Goggles
KR20160090734A (ko) 눈용 보호구
KR200367353Y1 (ko) 다용도 안경
US8087774B2 (en) Side shield for eyewear
JP2006317817A (ja) 多焦点用眼鏡フレーム
CN111149354A (zh) 头戴式显示器
CN108292052B (zh) 用于可佩带设备的佩戴工具
TWI668485B (zh) 眼鏡側蓋之組裝結構
JP3246701U (ja) ゴーグルフレーム及びゴーグル
TWI815207B (zh) 頭戴顯示裝置
JP6637138B2 (ja) ウエアラブル機器のための装着具
JPH0753615Y2 (ja) 保護眼鏡
JP2020052429A (ja) ウエアラブル機器のための装着具
TW202125046A (zh) 眼鏡
WO2007119255A1 (en) Spectacl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CA2925650A1 (en) Helmet and visor assembly
JPH0686722U (ja) 保護メガネ
JP2002055317A (ja) レンズ保護具付きメガ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