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716A -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 Google Patents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716A
KR20160090716A KR1020150010882A KR20150010882A KR20160090716A KR 20160090716 A KR20160090716 A KR 20160090716A KR 1020150010882 A KR1020150010882 A KR 1020150010882A KR 20150010882 A KR20150010882 A KR 20150010882A KR 20160090716 A KR20160090716 A KR 20160090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sh
fishing net
lifting memb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1206B1 (en
Inventor
김창순
Original Assignee
김승평
김준범
김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평, 김준범, 김승국 filed Critical 김승평
Priority to KR102015001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206B1/en
Publication of KR2016009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1/00Float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2Illuminating devices for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floating fish trap comprising: a lifting member which sinks beneath the water when the lifting member is thrown in the water and the water flows into the lifting member and floats on the water when the air is injected since having a cavity in order to guide the desired fishes in the water into a fishing net and gather the same, and primarily keep the fishes confined in bubbles to prevent the same from escaping, and then slowly float the fishes on water surface with the fishing net, thereby catching the same; a temporary capture member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fting member and generating bubbles by discharging the injected air so as to trap the fishes; and a fishing net therein a bait net for luring the desired fishes at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member is prepared on the bottom surfa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fish catching simply and conveniently without the complexity and hassle.

Description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Floating fish trapping device}[0001]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集魚)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fish catc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sh catching apparatus which catches fishes to be captured in the water by a fishing net and collects them in a bubble to prevent the fish from escaping, So that the fish can be suspended and floated slowly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일반적으로 어망을 사용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방법에는 크게 선박 등을 이용하는 어망과, 강·호수 또는 바다 등에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와 투망식 그물을 사용하여 어류를 포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발 형태의 어망을 사용하기도 한다. In general, fish catching methods using fish nets include fishing nets using vessels, catching fish in rivers, lakes or seas, and fishing nets. In addition, a fishing net is used.

통상 어류를 포획하고자 수중에 어망을 투망 후 건져 올릴 때 물에 젖은 어망은 그 무게가 무겁고, 그물코에 걸린 어류가 많을수록 어망의 무게는 가중될 수밖에 없으며, 선박이나 뭍에서 그물코에 걸린 어류를 분리하는 작업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진다. In order to catch fish in general, the fish net that is wet in water is heavy when the fish net is taken and raised in the water, and the more fishes are caught in the net, the weight of the fish net becomes more and more weight. The work also has a drawback that it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또한, 종래 통상적인 어망은 사용하고 난 후 바다에 버림으로 인해 바다가 오염되는 문제점도 가진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fishing net has a problem that the sea is contaminated due to discarding to the sea after use.

종래 어류 포획을 위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409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다, 강, 저수지 등에서 정치망 형태로 설치하여 횟집 등을 경영하는 자가 직접 자연산 활어를 포획할 수 있는 활어 포획용 어구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Conventional techniques for catching fish conventionally include a method of installing a fish net in a sea, a river, a reservoir, etc.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42409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Such as fish catching fishes, which can capture fishes.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606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물 구조를 촘촘하게 구성하고, 그물을 확실하게 오므려 내부에 포획된 포획물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게 뿐만 아니라 여러 물고기들을 포획 가능하도록 한 어류 포획망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바 있다. Furth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60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the net structure is made compact, the net is securely pinched to prevent the captures trapped in the inside from escaping, In addition, techniques such as fish capture networks have been proposed that can capture multiple fishes.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8494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동력으로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 그물을 자동으로 승강시켜 다량의 어류를 포획하고 이렇게 포획된 어류를 그물의 출구를 통해 어선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어류 포획과 운반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 포획을 위한 그물 승강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바 있다. Also,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0849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a motor positioned below the sea level is automatically lifted and lowered to capture a large amount of fish, Such as a net lifting device for catching fish, which makes it easy to capture and transport fish while creating high profit by moving the fish to the fishing boat through the outlet of the net.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2320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이용하여 단순구조로 수중의 바닥층에서 새우 및 작은 어류들을 포획할 수 있음과 아울러, 휴대 보관이 간편하도록 한 부력식 어망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바 있다.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523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buoyancy can be used to capture shrimp and small fish in the bottom layer in a simple structure, A technique such as a buoyancy fishing net has also been proposed to facilitate thi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4094호Korean Patent No. 10-042409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6063호Korean Patent No. 10-084606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849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849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2320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2320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포획용 어구에 의하여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설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only troublesome to install it by a plurality of catching fishes provided separately, but also requires an excessive facility investment cost.

특허문헌 2는 어류를 집어 한 상태에서 포획그물을 오므리는 과정에서 집어된 어류가 오므리기 전에 도망가는 단점을 가진다. Patent Document 2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ish caught in the process of catching the catch net in the state of picking the fish escapes before it catches down.

특허문헌 3은 시설투자비가 많이 소용되는 단점은 물론 수표면으로 승강시까지 그물에 집어된 어류가 그물이 오므려지기 전에 쉽게 도망하는 단점을 가진다. Patent Document 3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facility investment cost is heavily used, and a fish caught on a net tends to escape before a net is caught until it reaches a water surface.

특허문헌 4는 그물에 집어된 어류가 그물을 수표면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그물로부터 쉽게 벗어나는 단점을 가진다.
Patent Document 4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ish caught in the net easily escape from the net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net to the water surfac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集魚)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event fish from escaping in a state of collecting fish by inducing fishes to be captured in water by a fishing net, Thereby allowing the fish to be slowly float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rapp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 등에 의해 다른 위치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ater from flowing to other places by a bird or the like in a state of sink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ick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류를 집어한 상태에서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획된 어류를 보다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ier to float to the water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fish is picked up, and at the same time to take the captured fish more smooth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망 내로의 집어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whether or not the fishing boat is picked up in a fishing n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획장치 자체가 부력을 가져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the trapping device itself to have buoyancy so that floating to the surface of the water can be facilitat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 주입시에는 부유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가포획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tching device for catching and catching fish after catching fish in water, wherein the catching device sinks into the water due to the hollowed- A lifting member that floats; A scavenging member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fting member to generate bubbles while discharging the inflow air to trap the fish that are picked up; And a fishing net for capturing fish caught on the bottom surface of a bait net for attracting fish to be captur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on member.

상기 승강부재는 일 측면에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게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일측 승강부재에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공기 주입구를 포함한다. The elevating member includes an inlet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allow water to flow in the fresh water into the water, and an air inlet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at one side of the inlet from the air supplying means to the connecting line.

상기 가포획부재는 관 형태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에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The fuser member has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tube shape, and the nozzle includes a check valve.

상기 승강부재에는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키기 위해 연결라인으로 인해 펌프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The eleva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pump connected by a connecting line to quickly float and float into the water.

상기 승강부재에는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로프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추를 더 포함한다. The eleva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xed weight connected to the rope so as not to be moved by the algae in a state where the elevated member sink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상기 승강부재에는 어망 내로 집어된 어류를 확인하기 위한 수중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The eleva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n underwater camera for identifying a fish picked up in the fishing net.

상기 어망에는 집어를 위한 빛 발생부재를 더 포함한다. The fishing net further includes a light generating member for picking up.

상기 어망은 승강부재에 연결되는 제1 어망, 상기 제1 어망의 하단에 상기 승강부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제2 유입구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제2 공기 주입구의 공기 주입에 따라 부유되는 제2 승강부재, 및 상기 제2 승강부재의 하부에 상기 미끼망을 포함하는 제2 어망을 포함한다. Wherein the fishing net has a first fishing net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a first fishing net connected to the first fishing net, the second fishing net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fting member, A second lifting member suspended by air infusion of the second air inlet, and a second fishing net including the bait net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ifting member.

상기 제2 어망의 밑면에는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를 더 포함한다. The bottom of the second fishing net further includes a buoyant body having buoyancy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수중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부재와 로프로 연결되어 고정된 후 고정력 해제시 수표면으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기포발생부재; 및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그물망;을 포함한다.
A capturing device for trapping and capturing fish in water, the capturing device comprising: a buoyancy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a fixing member provided on a floor surface in water and fixed to the buoyancy device, absence; A bubble generating member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uoyancy member to generate air bubbles while discharging the air to be introduced, And a mesh network for catching the fishes picked up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it net for attracting the fish to be captured at the lower part of the buoyancy member.

본 발명은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 편리하게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 fish to be captured in water in a state where the fish are guided to a fishing net and then being trapped in bubbles so that the fish do not run away, It is possible to capture the fish with ease.

또한, 사용 후 바다에 버리지않고 재활용이 용이하여 바다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수중으로 담수 후 부유시켜 어류를 포획함에 따라 이동 거리도 최소화하여 연료를 절감함에 따라 뛰어난 경제성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recycle without disposing it in the sea after use, it prevents pollution of the sea, and besides, it catches fish by floating after floating in water,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and also has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as fuel is saved.

또,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 등에 의해 다른 위치로 흘러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실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the loss of the water by preventing the water from flowing to other places by algae or the like while sink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또, 집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획 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picking up,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atch amount.

또, 어류를 집어한 상태에서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획된 어류를 보다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포획된 어류를 더욱더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loat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state where the fish is picked up, and at the same time, the captured fish can be collected more smoothly, so that the captured fish can be collected more rapidly .

또, 어망 내로의 집어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획 여부를 확연하게 확인하여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grasp whether or not the fishing net is picked up in the fishing net,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fishing net by clearl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ishing net is captured.

또, 포획장치 자체가 부력을 가져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In addition, since the capturing device itself has buoyancy and can be easily floated to the water surface, the fish can be captured by a simpler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 state according to No. 3,
FIG.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FIG. 3;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 state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1)를 개시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a capturing device (1) for picking up fish and catching them by floating is disclosed.

본 발명은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atching fish by floating fish with a bubble in order to prevent fish from escaping in a state where the fish are caught in the water by guiding them to a fishing ne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획장치(1)는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한 중량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 주입시에는 상기 유입된 물을 배출과 함께 공기가 주입되어 부유되는 승강부재(10)와; 상기 승강부재(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가두는 가포획부재(20); 및 상기 승강부재(10)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32)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어망(30);을 포함한다. 상기 미끼망은 내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에 따라 그 어류를 집어하기 좋은 미끼는 넣어놓도록 통상적인 구조로, 어망으로 결속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어망과 서로 대응되는 면에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 테이프 또는 매직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시킬 수 있다. The trapp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ks into the water due to the weight due to the inflow of water when the inside is hollow and the water is thrown into the water, and when the air is injected, Member (10); A fusible foil member 2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levation member 10 to generate air bubbles while discharging the inflow air to prevent the fishes from escaping; And a fishing net (3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 catching the fish picked up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bait net (32) for attracting the fish to be captured at the lower part of the elevation member (10). The bait net has a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bait suitable for catching the fish is put according to the fish to be caught therein, and is fixed to the fishing net by a fishing net or a velcro tape (aka: Magic tape) or the like.

승강부재(10)는 일 측면에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게 통상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구(12), 및 상기 유입구(12)의 일측 승강부재(10)에 선박 또는 지상에 구비되는 통상의 컴프레서(compressor) 등과 같은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호스 등과 같은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공기 주입구(14)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원형, 또는 사각이나 오각 이상의 다각형 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플라스틱이나 철강재, 알루미늄,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elevating member 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2 formed at one side of the inlet 12 in the form of a normal tube so that water flows in the water during desalination and an inlet 12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10 of the inlet 12, And an air inlet 14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such as a hose or the like from an air supply means such as a compressor of a compressor. The elevating member may be formed as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or a pentagon, or may be made of plastic, steel, aluminum, rubber, or the like.

그에 따라 수중으로 투척하게 되면 유입구를 통하여 승강부재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중량을 가지게 됨에 따라 수중으로 서서히 가라앉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water is thrown into the water, it gradually sinks into the water due to its weight due to the water flowing into the lifting member through the inlet.

이렇게,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부유시키고자 할 때에는 공기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물이 유입되었던 유입구를 통하여 승강부재에 채워져 있던 물은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승강부재로부터 배출되면서 물이 채워져 있던 공간으로 공기가 충진된다. In this way, when floating in a state of being submerged in the water, the air is injected through the air inlet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elevating member through the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has flowed is discharged from the elevating member The space filled with water is filled with air.

그로 인해 승강부재는 충진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짐으로써, 수중의 바닥면으로부터 부유 되면서 수표면상으로 부유되어 진다. As a result, the lifting member is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hile floating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by having buoyancy by the air to be filled.

이로써, 하나의 승강부재는 유입되는 물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는 역할과 함께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As a result, one lifting member sinks into the water by the incoming water and also floats to the water surface.

가포획부재(20)는 공기가 공급되어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작은 직경을 갖는 관 형태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22)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22)에는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지 않은 공지된 체크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포획부재는 승강부재에 로프나 와이어 등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브래킷이나 클램프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The gauze member 20 has a plurality of nozzles 22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orm of a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so that air is quickly supplied to the nozzle member 22 so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nozzle 22 (Not shown). At this time, the fountain block member may be fixed to the elevating member by means of a rope or a wire, or may be fixed by a bracket, a clamp, or the like.

그에 따라 상기 가포획부재는 어망 내의 미끼망에 의해 어류가 집어된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통상의 에어 커튼과 같은 기포 막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상기 어망 내에 집어된 어류가 그 어망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가두는 역할을 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fibrino element generates air bubbles by supplying air in the state where the fish are picked up by the bait net in the fishing net, and forms a foam film like a normal air curtain so that the fish picked up in the fishing net catches the fishing net It will serve as a receptacle to keep you from escaping.

이는 전술한 승강부재에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먼저 어망 내로 어류가 집어된 상태에서 가포획부재에 의해 집어된 어류가 어망을 벗어나지 않도록 기포에 의해 가둔 상태에서 승강부재로 공기를 주입하는 순서로 이루어져, 높은 어획 량을 확보할 수 있다. This is performed before the air is su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levating member. First, in order to prevent the fish picked up by the fizzy sheet member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fishing net in a state where the fish is picked up in the fishing net, So that a high fishing load can be ensured.

아울러, 상기 미끼망(32)에는 수중으로 가라앉은 포획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통상의 연결로프로 연결되는 부표(3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ait net (32) includes a buoy (34) that is pro-connected in a conventional manner to locate the capture device submerged in water.

또한, 상기 승강부재(10)에는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키기 위해 통상의 호수 등과 같은 연결라인으로 인해 선박이나 지상에 구비되는 펌프(P)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member 10 further includes a pump P connected to the ship or the ground due to a connection line such as a normal lake or the like for quickly sinking and floating in water.

즉, 상기 펌프는 승강부재의 내부로 유입구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면서 수중으로 가라앉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펌프로 물을 공급하여 주입되도록 함에 따라 신속하게 가라앉도록 한다. 또, 부유시에도 공기주입에 의해서면 서서히 부유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펌프에 의해 승강부재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킴에 따라 공기 공급에도 큰 부하 없이도 더욱더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함은 물론 부유시간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pump makes the water sink into the elevating member as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elevating member by the pump to increase the sinking speed. In addition, when the air is floated, it is not floated slowly and slowly by air injection but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elevating member is quickly discharged by the pump, so that the air supply can be supplied more rapidly and smoothly So that the time can be shortened.

그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는 연결라인으로 연결된 펌프에 의하여 수중으로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가라앉도록 함과 아울러 부유시에도 신속하게 부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류 포획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elevating member can be rapidly floated in water in a short time by the pump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e, and can be floated quickly even when floated, so that the efficiency of capturing the fish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상기 승강부재(10)에는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통상의 닻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로프 등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추(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추는 금속재질이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ing member 1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ixed weight 16 connected by a rope or the like so as to serve as an ordinary anchor so as not to be moved by algae in a state where the elevated member 10 sinks to the bottom of the water. The fixed weight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concrete structure.

그에 따라 상기 고정 추는 상기 승강부재가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는 바닥면으로 걸려져 수중의 조류 등에 의해 휩쓸려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로 인해 최초 수중으로 투척된 위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항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ixed weight is caught by the bottom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elevation member sinks to the bottom of the water,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hifted by being swept away by algae in the water. Therefore, it can always be positioned at a constant position without deviating greatly from the position projected into the initial water.

한편, 상기 승강부재(10)에는 어망(30) 내로 집어된 어류를 확인하기 위한 통상의 수중 카메라(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중 카메라는 선박이나 물과 가까운 육지에 구비되는 모니터와 공지된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elevation member 10 further includes a conventional underwater camera 18 for confirming the fish caught in the fish net 30. The underwater camera is connected to a ship or a monitor located on the land close to water by a known method.

그에 따라 상기 수중 카메라에 의해 어망으로 어류가 집어된 상태를 항시 모니터링 할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어획 량을 더욱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tate where the fish is picked up by the fish net by the underwater camera at all tim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increase the catch amount.

이러한, 수중 카메라는 가포획부재와 승강부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도 겸한다. 즉, 수중 카메라에 의해 집어가 이루어지게 되면 가포획부재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로 집어된 어류를 가둔 후 승강부재로 공기를 주입시킴에 따라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원하는 상태로의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것이다. Such an underwater camera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abling the crawler member and the lifting member to be sequentially operated. In other words, when the fish is picked up by an underwater camera, air is injected into the fingertip member, the fish picked up by the bubbles are put in, and air is injected into the lift member to float the fish surface to the water surface. It is.

그리고, 상기 수중 카메라 대신에 통상의 어군 탐지기 등을 활용하여 집어 여부를 확인하여도 무방하다.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underwater camera, a normal fish finder or the like may be used to check whether or not it is picked up.

아울러, 상기 어망(30)에는 집어를 위한 통상의 케미 라이트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 등을 공지된 방식에 의해 설치하는 빛 발생부재(3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빛 발생부재는 어망 뿐만 아니라 승강부재나 부표와 연결되는 로프 등에 설치할 수 있으나, 어류가 직접적으로 집어될 수 있는 어망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shing net 30 further includes a light generating member 36 for installing a common chemical light for picking up or a lamp for generating light by electric energy according to a known method. At this time, the light generating member may be installed not only in a fishing net but also in a rope connected to an elevating member or a buoy, but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fishing net in which fish can be directly picked up.

그에 따라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새벽이나 저녁 등 비교적 어두울 때나, 수중 내의 어두운 부분에서도 빛 발생부재에 의해 집어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높은 어획 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fishing load due to the condition that it can be picked up by the light generating member even in the dark part such as dawn or evening to capture the fish and in the dark part in the water, and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중으로 가라앉혀 집어가 이루어진 후 기포에 의해 집어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가둔 다음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효율적으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은 물론 어류의 포획량을 한층 증대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fish is squeezed into the water and then picked up, the fish picked up by the bubbles are caught so as not to escape, and then floated to the water surface so as to capture the fish. Thus, the fish can be captured efficiently and without inconvenienc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further increasing the amount of fish caught.

또한, 펌프에 의해 신속하게 물을 주입하고 배출시킴에 따라 수중으로의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킴에 따라 어류의 어획 효율성도 증대시킨다. In addition, as the water is quickly injected and discharged by the pump, the water is rapidly flooded into the water and floated, thereby increasing the fishing efficiency of the fish.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 state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어망으로 포획된 어류의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loating of the water surface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the fish captured by the fishing net can be easily collected.

어망(30)은 승강부재(10)에 연결되는 제1 어망(30A)과, 상기 제1 어망(30A)의 하단에 상기 승강부재(1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12A)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제2 공기 주입구(14A)의 공기 주입에 따라 부유되는 제2 승강부재(10A), 및 상기 제2 승강부재(10A)의 하부에 상기 미끼망(32)을 포함하는 제2 어망(30B)을 포함한다. The fishing net 30 includes a first fishing net 30A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10 and a second fishing net 30A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shing net 30A so as to be hollow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fting member 10, A second lifting member 10A which is floated according to the air infusion of the second air inlet 14A that sinks into the water due to the second inflow port 12A into which the water flows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from the air supply means, And a second fishing net 30B including the bait net 32 below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0A.

다시 말해서, 상기 어망을 제1 어망과 제2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제2 어망으로 형성하는 것은 하나의 승강부재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것에 비하여, 승강부재와 함께 제2 승강부재에 의해 수표면으로 보다 신속하게 부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shing net is formed as a second fishing net including the first fishing net and the second fishing net, the fishing net is floated to the water surface by one lifting member, So that it can float more quickly.

또한,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과정에서 제1 어망으로 포획된 어류를 다시 제2 어망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표면으로 부유시킨 상태에서 포획된 어류를 보다 편리하게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fish captured by the first fishing net can be collected again by the second fishing net in the process of floating to the water surface, thereby collecting the captured fish more conveniently in a floated state on the water surface.

즉, 수중에서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과정에서 제1 어망의 넓은 공간에 있던 어류는 상승에 따라 작은 크기의 제2 어망으로 모여져 포집 됨으로써, 포획된 어류를 인출시 제2 어망으로 포집된 어류만을 더욱더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floating to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the fish in the wide space of the first fishing nets are gathered by the small second fishing nets as they ascend, so that when the captured fish are taken out, only the fish captured by the second fishing nets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taken easily.

이때, 제1 어망과 제2 어망의 수중에서의 부유는 승강부재가 먼저 상승된 후 제2 승강부재가 순차적으로 상승됨에 따라 제1 어망으로 포획된 어류는 자연스럽게 제2 어망으로 모여져 포집이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floating in the water of the first and second fishing nets causes the fish to be caught by the first fishing naturally to be collected by the second fishing net naturally as the lifting members are raised first and then the second lifting members are sequentially raised.

그에 따라 제2 어망으로 포집되어 포획된 어류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더욱더 손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ly,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aptured fish captured by the second fishing nets can be draw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without inconvenience or inconvenience.

아울러, 제2 어망으로 포집되어 포획된 어류를 더욱더 편리하게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어망(30B)의 밑면으로 상기한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통상의 풍선이나 튜브 등과 같은 부력체(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력체는 제2 어망의 밑면에 로프나 와이어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more easily retrieve the captured fish captured by the second fishing net,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ishing net 30B, And a buoyant body 40 such as a balloon, a tub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buoyant body is kep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ishing net by a rope or a wire.

그에 따라 제2 어망의 밑면까지 수표면과 근접되게 부유시킴으로써, 제2 어망 내의 어류를 남김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And thus floa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ishing net clos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so that the fish in the second fishing ne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collected.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10)와 제2 승강부재(10A)에도 선박이나 육지에 구비되는 펌프(P)를 연결라인으로 연결시켜 물을 신속하고 공급하여 주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함에 따라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ump P connected to the ship or the la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10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0A by the connection line, the water is rapidly supplied to be injected and discharged quickly, Quickly sink into the water and allow flooding to occur.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 state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기포에 의해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가둔 상태에서 별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포획장치 자체가 부유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atching device itself can be floated rather than supplying separate air in a state in which the fish does not run away by the air bubbles.

포획장치(1)는 수중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부재(50)와 로프로 연결되어 고정된 후 고정력 해제시 수표면으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부재(52)와; 상기 부력부재(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기포발생부재(54); 및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53)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그물망(56);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를 선박이나 지상에 구비되는 통상의 윈치에 의해 감김과 풀림이 되풀이된다. The capturing device (1) comprises a buoyancy member (52) connected to a fixing member (50)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water and connected to the buoyancy member by a rope and then formed to have buoyancy to float to the water surface at the time of releasing the fixing force; A bubble generating member 54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uoyancy member 52 to generate bubbles while discharging the air to be inflated, thereby trapping the fishes picked up; And a mesh network (56) for capturing fish cau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it net (53) for attracting the fish to be captured at the lower part of the buoyancy member. The rope is wound and unwound by a ship or an ordinary winch provided on the ground.

기포발생부재는 전술한 각포획부재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그물망 또한 전술한 어망과 동일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이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has the same technical constitution as each of the capturing members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mesh network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mesh network,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고정부재(50)는 수중의 바닥면에 미리 고정된 고정체(50a)와, 상기 고정체(50a)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와 일단이 결속 고정될 로프가 상기 윈치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고리(50b)로 구성된다. The fixing member 50 includes a fixing body 50a previously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and a loop provided on the fixing body 50a and adapted to be connected to the winch, 50b.

부력부재는 통상의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거나 내부가 중공되어 높은 부력을 가지는 중공된 형태이면 족하다. The buoyancy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buoyancy such as ordinary styrofoam or a hollow shape having a high buoyancy and hollow inside.

그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를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히고 할 때에는 선박이나 혹은 지상에 구비된 윈치 등과 연결된 로프를 감게 됨에 따라 상기 로프와 연결된 부력부재는 강재로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를 유지한다. Accordingly, when the buoyancy member is submer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ancy member, the buoyancy member connected to the ship or the winch provided on the ground is wou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ancy member .

그런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그물망으로 어류가 집어되면 기포발생부재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가 도망가지 않게 가둔 후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력을 해제함에 따라, 즉 윈치에 의해 로프를 서서히 풀게 됨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가 수표면으로 부유되어 상승된다. 그로 인해 상기 그물망으로 포획된 어류의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n, when a fish is picked up in a net according to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so that the picked fish does not run away, and after rel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member, the rope is slowly released The buoyancy member floats up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herefore, the fish captured by the net can be easily collected.

아울러, 포획된 어류의 채취가 이루어지면 다시 윈치를 구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부재를 수중으로 가라앉혀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aptured fish is collected, the winch is driven again so that the buoyancy member is submerged as described above to capture the fish.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부력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이 아닌 부력부재의 자체 부력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방식으로 전술한 포획장치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buoyancy member,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imple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trapping apparatus in a manner that the buoyancy member floats on the water surface by the buoyant force of the buoyancy member, .

1 : 포획장치
10 : 승강부재 10A : 제2 승강부재
12 : 유입구 12A : 제2 유입구
14 : 공기 주입구 14A : 제2 공기주입구
16 : 고정 추 18 : 수중카메라
20 : 가포획부재 22 : 노즐
30 : 어망 32,53 : 미끼망
34 : 부표 36 : 빛 발생부재
40 : 부력체 50 : 고정부재
50a : 고정체 50b : 고리
52 : 부력부재 54 : 기포발생부재
56 : 그물망
1: Capture device
10: elevating member 10A: second elevating member
12: inlet 12A: second inlet
14: air inlet 14A: second air inlet
16: fixed weight 18: underwater camera
20: gauge member 22: nozzle
30: fishing net 32,53: bait net
34: Buoy 36: Light generating member
40: Buoyant body 50: Fixing member
50a: Fixture 50b: Ring
52: buoyancy member 54: bubble generating member
56: Network

Claims (10)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 주입시에는 부유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가포획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As a catching device for picking up and catching fish in water after flooding,
Wherein the trapping device comprises: a lifting member that sinks into the water due to the inflow of water when the inside is hollow and thrown into the water;
A scavenging member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fting member to generate bubbles while discharging the inflow air to trap the fish that are picked up; And
And a fishing net for catching the fish which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it net for attracting the fish to be captur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on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일 측면에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게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일측 승강부재에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member includes an inlet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allow water to flow in the fresh water into the water and an air inlet connected to the one side lifting member of the inlet at a connection line from the air supply means.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포획부재는 관 형태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에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gauze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orm of a tube, the nozzle comprising a check val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는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키기 위해 연결라인으로 인해 펌프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pump connected by a connecting line to quickly sink and float into the w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는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로프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fixed weight connected to the rope so as not to be moved by the alga in a state that the lifting member sink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는 어망 내로 집어된 어류를 확인하기 위한 수중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va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n underwater camera for identifying a fish picked up in the fishing 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에는 집어를 위한 빛 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shing net further comprises a light generating member for picking up.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은 승강부재에 연결되는 제1 어망, 상기 제1 어망의 하단에 상기 승강부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제2 유입구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제2 공기 주입구의 공기 주입에 따라 부유되는 제2 승강부재, 및 상기 제2 승강부재의 하부에 상기 미끼망을 포함하는 제2 어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fishing net has a first fishing net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a first fishing net connected to the first fishing net, the second fishing net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fting member, A second lifting member suspended by air inlets of the second air inlet, and a second fishing net including the bait net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ifting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망의 밑면에는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buoyant body having buoyancy by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ishing net.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수중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부재와 로프로 연결되어 고정된 후 고정력 해제시 수표면으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기포발생부재; 및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As a catching device for picking up and catching fish in water after flooding,
Wherein the catching device comprises a buoyancy member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a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y a rope and has buoyancy to float to the water surface when the fixing force is released;
A bubble generating member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uoyancy member to generate air bubbles while discharging the air to be introduced, And
And a mesh network for capturing the fishes picked up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it net for attracting the fish to be captur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member.
KR1020150010882A 2015-01-22 2015-01-22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KR101801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82A KR101801206B1 (en) 2015-01-22 2015-01-22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82A KR101801206B1 (en) 2015-01-22 2015-01-22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16A true KR20160090716A (en) 2016-08-01
KR101801206B1 KR101801206B1 (en) 2017-12-29

Family

ID=5670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82A KR101801206B1 (en) 2015-01-22 2015-01-22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20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1063A (en) * 2017-09-22 2018-03-06 浙江海洋大学 Harvesting comprehensive management platform is traped in a kind of bait throwing in
CN108371151A (en) * 2018-03-13 2018-08-07 新乡市绿色园林新能源有限公司 A kind of receipts fish facilitates solar energy insect-trapping lamp trapping inflation lift net
CN108575868A (en) * 2018-06-25 2018-09-28 温州农联农业科技与项目设计研究所 A kind of aquaculture device and the aquaculture method with the device
CN114097716A (en) * 2021-11-22 2022-03-01 淮阴师范学院 Collection box of rice field eel seedling
KR20230015094A (en)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Floating fish cage
GB2620619A (en) * 2022-07-14 2024-01-17 Fishtek Marine Ltd A scallop trap and method of catching scallop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281B1 (en) * 2019-09-11 2020-11-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Circulation fish transfe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20Y1 (en) 2001-07-23 2001-11-17 오호환 buoyancy type a fishing net
KR100424094B1 (en) 2002-01-03 2004-03-22 정정호 Fishing implements using as a drift gill net
KR100846063B1 (en) 2007-07-27 2008-07-11 차광수 Fish catching net
KR20130108494A (en) 2012-03-25 2013-10-04 김동희 Apparatus of lifting the net for catching fis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598B1 (en) * 2007-01-04 2007-04-02 주식회사 셀플렉스 Apparatus for catching fi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20Y1 (en) 2001-07-23 2001-11-17 오호환 buoyancy type a fishing net
KR100424094B1 (en) 2002-01-03 2004-03-22 정정호 Fishing implements using as a drift gill net
KR100846063B1 (en) 2007-07-27 2008-07-11 차광수 Fish catching net
KR20130108494A (en) 2012-03-25 2013-10-04 김동희 Apparatus of lifting the net for catching fish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1063A (en) * 2017-09-22 2018-03-06 浙江海洋大学 Harvesting comprehensive management platform is traped in a kind of bait throwing in
CN108371151A (en) * 2018-03-13 2018-08-07 新乡市绿色园林新能源有限公司 A kind of receipts fish facilitates solar energy insect-trapping lamp trapping inflation lift net
CN108371151B (en) * 2018-03-13 2024-01-02 新乡市绿色园林新能源有限公司 Convenient solar trap lamp trapping, inflating and lifting net for collecting fish
CN108575868A (en) * 2018-06-25 2018-09-28 温州农联农业科技与项目设计研究所 A kind of aquaculture device and the aquaculture method with the device
KR20230015094A (en)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Floating fish cage
CN114097716A (en) * 2021-11-22 2022-03-01 淮阴师范学院 Collection box of rice field eel seedling
CN114097716B (en) * 2021-11-22 2023-03-10 淮阴师范学院 Collection box of rice field eel seedling
GB2620619A (en) * 2022-07-14 2024-01-17 Fishtek Marine Ltd A scallop trap and method of catching scallops
WO2024013467A1 (en) * 2022-07-14 2024-01-18 Fishtek Marine Ltd A scallop trap and method of catching scallo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206B1 (en)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206B1 (en) 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US20110303613A1 (en) Crouse oil spill response process
CN202618060U (en) Inflating escape-proof fishing net
US4092797A (en) Fish trapping device
JP7313436B2 (en) A ship that farms marine life
EP33373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tying a sea pen of marine organisms
CN103478087A (en) Fish catching device of fishing boat
CN108371151B (en) Convenient solar trap lamp trapping, inflating and lifting net for collecting fish
CA2821053A1 (en) Construction of a pumping system and uses thereof
CN114902983A (en) Abalone culture equipment and method
CN211581268U (en) Fish driving device
CN207284842U (en) A kind of fishery trap
CN111109211A (en) Fishing gear
JP7264456B2 (en) Cultivated fish collection device, cultured fish collection method using same, and chemical bath treatment method
JP2018113954A (en) Fish catching device and fish catching method
JP2004016118A (en) Apparatus for capturing aquatic life
JP2004049053A (en) Suction fishing boat and searching and gathering fishing boat
CA3213113A1 (en) Submersible fish farm
KR20130108494A (en) Apparatus of lifting the net for catching fish
CN211832480U (en) Fishing gear
KR100759318B1 (en) The underwater crawl facility
CN216931498U (en) Fishing net
CN111513038B (en) Acete chinensis sampling dip net
CA1073672A (en) Fish trapping device
CN108651397A (en) River mouth intertidal zone biological monitoring n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