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211A -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211A
KR20160090211A KR1020150010244A KR20150010244A KR20160090211A KR 20160090211 A KR20160090211 A KR 20160090211A KR 1020150010244 A KR1020150010244 A KR 1020150010244A KR 20150010244 A KR20150010244 A KR 20150010244A KR 20160090211 A KR20160090211 A KR 20160090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ouch
lens
print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84B1 (ko
Inventor
박순덕
Original Assignee
박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덕 filed Critical 박순덕
Priority to KR102015001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7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16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터치패드 등과 같은 평면형태의 터치화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멜로디나 음성의 출력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특히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터치화면의 그림을 공간이 확보되는 원근감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서 다양한 취미감을 환기토록 한 것이다.
또한 공간이 확보되는 원근감을 갖도록 구현되는 그림이 유동이 가능토록 하여 보다 다양하게 3D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Touch of toys}
본 발명은 완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터치패드 등과 같은 평면형태의 터치화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멜로디나 음성의 출력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특히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터치화면의 그림을 공간이 확보되는 원근감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서 다양한 취미감을 환기토록 한 것이다.
또한 공간이 확보되는 원근감을 갖도록 구현되는 그림이 유동이 가능토록 하여 보다 다양하게 3D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핸드폰을 이용한 어린이들의 놀이 수단으로는 폴더형이라 하여 구비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다양한 멜로디의 발생이 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폴더형의 핸드폰은 현재 사용되지 않게 됨으로 실질적인 판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이나 터치패드 등과 같은 평면상의 터치화면을 갖는 장난감의 개발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난감은 터치화면에 표시되는 그림이 단순한 평면상태로 이루어짐으로 실질적으로 제품을 제조할 경우에 취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평면상에 버튼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기능을 위한 수단의 제공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 제322971호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 제373443호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 제329404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평면상태의 터치화면에서 터치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의 선택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터치화면에 표시되는 그림을 전후 그림의 배경 사이에서 공간이 확보되는 원근감을 갖도록 3D형식으로 구현토록 함은 물론 그림의 유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아이들에게 집중력을 배가토록 함은 물론 취미감을 환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평면상의 터치화면에 평면상으로 구현된 기능버튼을 가압하면 터치화면의 이면에 밀착되어진 압력센서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토록 한 것이다.
또한 평면상의 터치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전후 그림의 갯수에 따라 3D인쇄기법으로 인쇄한 인쇄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시트의 인쇄는 굴곡렌즈의 굴곡각도와 동일한 패턴으로 구비되고 상기 인쇄시트의 상면에 빛의 굴절을 유도하여 전후 그림의 사이에 공간감을 갖도록 굴곡렌즈가 구비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굴곡렌지의 촛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구현토록 하고, 상기 인쇄시트의 이면에는 커버시트를 합지토록 함으로서 굴곡렌즈에 의한 굴곡으로 보여지는 바탕화면의 전후 그림이 원근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굴곡렌즈가 구비된 시트와 인쇄시트가 서로 유동이 발생토록 함으로서 유동가능한 입체영상을 구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인쇄시트에 인쇄되는 인쇄층은 별색을 사용한 실크인쇄기법이나 또는 옵셋인쇄기법을 사용하여 원색 4도로 인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굴절율을 갖는 굴곡렌즈를 구비한 시트 및 상기 굴곡렌즈가 구비된 시트 하부에 배치되고, 2D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인쇄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렌즈가 구비된 시트 및 인쇄시트는 어느 하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축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탕화면의 나타내는 그림이 원근감에 의하여 아이들의 집중력과 취미감을 환기토록 함은 물반복적인 놀이에도 싫증나지 않토록 함으로서 종래 단기간에 버려지는 문제점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조립사시도.
도1a는 본 발명의 터치보드에 감지부가 장착되는 상태도.
도 2는 도1의 터치보드의 이면에 인쇄된 인식표시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시트의 일실시예의 인식표시부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보드의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보드의 또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시트의 일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입체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입체시트의 유동방식의 일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입체시트의 유동방식의 또 다른 일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예시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어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평면상으로 구비되는 터치보드(100)와 상기 평면상의 터치보드(100)의 상층에 합지되는 다양한 기능버튼(210)이 인쇄되는 F-PCB(200)와 상기 F-PCB(200)에 인쇄되어진 다양한 기능버튼(210)과 동일한 위치에 인쇄형식으로 인쇄되어지는 표시부(310)를 갖는 입체시트(300)와 상기 터치보드(100)의 이면에 장착되어지는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구동토록 되는 모듈부(120)와 상기 모듈부(120)의 신호에 의하여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스피커부(130)와 상기 감지부(110)와 모듈부(120)는 물론 스피커부(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40)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터치보드의 후방을 덮어주는 덮개(4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터치보드(100)의 표면에 합지되어지는 F-PCB(200)에 인쇄되어지는 기능버튼(210)중에서 일부는 텃치 상태를 순간적으로 인식토록 하기 위하여 광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광센서의 동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능버튼(210)에는 빛의 차단에 빛의 차단면(211)과 투시면(212)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가볍게 터치하는 동작만으로 순간적인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작의 정확성을 위하여 터치보드(100)의 이면에 장착되는 감지부(110)는 갓(111)의 내부에 수용되어지는 광센서(112)에서 빛의 차단과 통과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된 차단면(211)과 투시면(212)에 의하여 광센서의 동작을 유도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갓(111)은 하나의 바의 형태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갓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갓이 구비된 바(113)에는 터치보드(100)의 이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부(101)와 맞물림되도록 관통홀(114)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터치보드의 이면에 형성된 돌부와 관통홀은 터치보드의 표면에 합지되어지는 F-PCB(200)에 인쇄되어진 기능버튼(210)과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형태는 터치보드의 이면에 장착되는 스피커부(130)는 물론 모듈(120)과 전원부(140)도 동일한 형태로 조립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터치보드의 표면에 합지되어지는 F-PCB(200)에 인쇄되어지는 기능버튼(210)은 제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피아노완구일 경우에는 건반으로 표시되는 것이고, 북일 경우에는 원형의 표시되어지는 것이고 스마트폰의 형태일 경우에는 아이콘의 형태로 인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평면상의 터치보드(100)의 상층에 합지되는 다양한 기능버튼이 인쇄되는 입체시트(300)에도 이러한 F-PCB(200)에 인쇄되어진 기능버튼과 동일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인식표시부(310)가 인쇄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인쇄의 형태는 입체적으로 표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시트(300)는 인간의 좌안과 우안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발생되는 양안 시차와 상기 양안 시차의 미세한 차를 뇌가 적절히 해석하여 공간이 확보되는 원근감을 느끼게 되는 원리를 활용한 것이다.
상기의 입체시트(300)로 사용되는 구조는 수직 또는 수평과 또는 이들이 직교하는 형태로 연속되는 배열의 간격으로 반구형의 렌즈(321)가 배열되는 렌즈층(320)과 상기 렌즈층(320)에는 원근감의 깊이를 나타내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투명층(322)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층(320)의 하부에는 수직 또는 수평과 직교하는 형태로 연속되는 배열의 형태에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인쇄되어진 패턴 인쇄층(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패턴 인쇄층(330)에 형성되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서로 다른 패턴과 연속되는 반구형의 렌즈(321)의 구획되는 간격을 적절히 일치시키면, 인간의 좌안과 우안은 각각 다른 패턴의 인쇄내용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반구형의 렌즈(321)를 프리즘과 같이 삼각형의 형태로 각이지게 형성함으로서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그림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입체감에 원근감을 더욱 부각토록 하기 위하여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의 하부로 보조투명층(322a)을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원근감을 사실감이 있게 나타내도록 상기 보조투명층(322a)의 상면에 실사인쇄층(323)을 형성하고, 보조투명층(322a)은 반구형의 렌즈(321)의 촛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한 후 상기 보조투명층(322a)의 이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인쇄층(330)을 형성함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렌즈층(320)은 열 합지를 위하여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도가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수지, MS 계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공중합 수지) 폴리스티렌, PET 등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 것이다.
또한 실사인쇄층(323)은 물론 패턴 인쇄층(330)의 인쇄는 정밀인쇄가 가능한 오프셋 인쇄 기법으로 인쇄하였으나 이러한 기법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 하는 것이 아님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실사인쇄층(323)은 그림이나 사진등의 다양한 바탕면이 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패턴 인쇄층(330)은 보조투명층(322a)의 이면에 직접 인쇄되거나 또는 별도의 시트를 사용하여 합지가능한 것이고, 구현되는 패턴은 통상 좌우로 또는 상하로 연속으로 등분된 상태로 표현되어지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도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인쇄층에 반구형의 렌즈의 촛점거리가 동일한 패턴으로 맞춰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는 인쇄층이나 실사인쇄층에 대한 원근감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감의 구현은 오목렌즈를 일정간격으로 교차되게 배열토록 하고, 오목렌즈의 배면 즉 볼록한 부분에 패턴 인쇄층을 형성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입체시트에 구현되어지는 무늬가 원근감과 동시에 특정한 형태로 작동이 반복적으로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패턴인쇄층과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이 서로 유동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패턴인쇄층과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의 어느 하나에는 축(331)을 형성하고 어느 하나에는 맞물림을 위한 홈(321)을 형성함으로서 자연스러운 유동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이 아니고 상하유동을 위하여는 패턴인쇄층과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의 어느 하나의 양변에 레일(332)을 형성하여 레일에 맞물림(322)된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패턴 인쇄층을 형성하는 배열의 간격은 오프셋 인쇄에 의하여 정밀하게 인쇄할 경우에 수십에서 100㎛의 인쇄가 가능함은 물론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공정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의 몇배의 간격으로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패턴은 양안 시차를 감안하여 다양한 위치로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0:터치보드
200:F-PCB
300:입체시트
400:덮개

Claims (11)

  1. 일정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평면상으로 구비되는 터치보드(100)와
    상기 평면상의 터치보드(100)의 상층에 합지되는 다양한 기능버튼(210)이 인쇄되는 F-PCB(200)와
    상기 터치보드의 이면에 장착되어지는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구동토록 되는 모듈부(120)와
    상기 모듈부(120)의 신호에 의하여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스피커부(130)와
    상기 감지부(110)와 모듈부(120)는 물론 스피커부(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40)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터치보드의 후방을 덮어주는 덮개(400)를 포함하며,
    상기 F-PCB(200)에 인쇄되어진 다양한 기능버튼(210)과 동일한 위치에 인쇄형식으로 인쇄되어지는 인식표시부(310)를 갖는 입체시트(300)는 원근감이 구현토록 되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보드의 표면에 합지되어지는 F-PCB(200)에 인쇄되어지는 기능버튼중에서 일부는 터치 상태를 순간적으로 인식토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센서의 동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능버튼(210)에는 빛을 차단하는 차단면(211)과 투시되는 투시면(212)을 하나의 기능버튼으로 구현한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보드(100)의 이면에 장착되는 감지부(110)는 내공간을 갖는 갓(111)과 상기 갓(111)은 하나의 바에 복수개가 연결되고,
    상기 바(113)에는 터치보드(100)의 이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부(101)와 맞물림되도록 관통홀(114)이 형성되어져 터치보드의 이면에서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가능토록 하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PCB(200)에 인쇄되어지는 기능버튼(210)은 제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 피아노완구일 경우에는 건반으로 북일 경우에는 원형으로, 스마트폰의 형태일 경우에는 아이콘의 형태로 인쇄되어지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시트(300)는 수직 또는 수평과 또는 이들이 직교하는 형태로 연속되는 배열의 간격으로 반구형의 렌즈(321)가 배열되는 렌즈층(320)과
    상기 렌즈층(320)에는 원근감의 깊이를 나타내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투명층(322)과
    상기 렌즈층(320)의 하부에는 수직 또는 수평과 직교하는 형태로 연속되는 배열의 형태에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인쇄되어진 패턴 인쇄층(330)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의 렌즈(321)를 프리즘과 같이 삼각형의 형태로 각이지게 형성함으로서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그림을 인식하게 되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의 하부로 보조투명층(322a)을 더 포함하게 되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투명층(322a)의 상면에 실사인쇄층(323)을 형성하고,
    보조투명층(322a)은 반구형의 렌즈(321)의 촛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한 후
    상기 보조투명층(322a)의 이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인쇄층(330)을 형성하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감의 구현은 오목렌즈를 일정간격으로 교차되게 배열토록 하고, 오목렌즈의 배면 즉 볼록한 부분에 패턴 인쇄층을 형성하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인쇄층과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이 서로 유동되어지도록 패턴인쇄층과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의 어느 하나에는 축을 형성하고 어느 하나에는 맞물림을 위한 홈을 형성하여 입체패턴이 반복적인 동작이 가능토록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11. 제5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패턴인쇄층과 연속되는 반구의 렌즈(321)로 이루어지는 렌즈층(320)의 어느 하나의 양변에는 레일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레일에 맞물림토록 하여 입체패턴이 반복적으로 동작토록 되는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KR1020150010244A 2015-01-21 2015-01-21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KR10168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244A KR101685784B1 (ko) 2015-01-21 2015-01-21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244A KR101685784B1 (ko) 2015-01-21 2015-01-21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211A true KR20160090211A (ko) 2016-07-29
KR101685784B1 KR101685784B1 (ko) 2016-12-12

Family

ID=5661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244A KR101685784B1 (ko) 2015-01-21 2015-01-21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391A (zh) * 2019-07-09 2019-10-11 小兔母婴(深圳)有限公司 一种物理按键及触控按键二合一玩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951A (ja) * 2000-07-11 2002-01-23 Nobumitsu Asahi 色変り蛇腹状組立て体
KR100322971B1 (ko) 2000-04-18 2002-02-02 박보인 오버록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장치
KR100329404B1 (ko) 1998-04-09 2002-03-20 클라크 3세 존 엠. 자기 정렬 지지 기둥을 갖는 박막 액정 변환기 화소셀
KR100373443B1 (ko) 2000-09-26 2003-02-25 주식회사 마크애니 워터마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카드 제작 및 인증을 위한장치 및 방법
JP2008176254A (ja) * 2007-01-18 2008-07-31 Yasuki Sonobe 知育装置
KR20130111245A (ko) * 2010-06-17 2013-10-10 퓨어 이메지네이션 엘엘씨 일면 박막 용량성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404B1 (ko) 1998-04-09 2002-03-20 클라크 3세 존 엠. 자기 정렬 지지 기둥을 갖는 박막 액정 변환기 화소셀
KR100322971B1 (ko) 2000-04-18 2002-02-02 박보인 오버록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장치
JP2002022951A (ja) * 2000-07-11 2002-01-23 Nobumitsu Asahi 色変り蛇腹状組立て体
KR100373443B1 (ko) 2000-09-26 2003-02-25 주식회사 마크애니 워터마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카드 제작 및 인증을 위한장치 및 방법
JP2008176254A (ja) * 2007-01-18 2008-07-31 Yasuki Sonobe 知育装置
KR20130111245A (ko) * 2010-06-17 2013-10-10 퓨어 이메지네이션 엘엘씨 일면 박막 용량성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391A (zh) * 2019-07-09 2019-10-11 小兔母婴(深圳)有限公司 一种物理按键及触控按键二合一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784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402B1 (ko) 3d시트를 갖는 광고표시장치
US20180348960A1 (en) Input device
JP4964139B2 (ja) 二及び三次元の視像のディスプレイ
US20210263612A1 (en) Input device
EP2239538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ree-dimensional distance
JP2008129038A (ja) レンズ付き印刷物
WO2013161498A1 (ja) 表示入力装置
CN109155801A (zh) 移动终端
US20100134410A1 (en) Image display device
JP5947333B2 (ja) 表示装置
KR20050048726A (ko) 투명창이 있는 입체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3173246A (ja) 装飾体及び該装飾体を用いた装飾表示装置
KR101685784B1 (ko) 터치방식의 완구 멜로디발생장치
US10877662B2 (en) Input device
JP2020009266A (ja) 入力装置
KR100980360B1 (ko)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사용한 히든 이미지 형성 및 검출방법
WO2016052801A1 (ko) 공간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 곡면디스플레이 장치
JP2022129473A (ja) 空中映像表示装置
KR20110053010A (ko) 돌출부를 구비한 입체 렌즈 시트 및 그 입체 렌즈 시트의 제조방법
JP2022539483A (ja) 非接触式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既存のタッチスクリーンに装着可能な非接触式入力装置
US10178318B1 (en) Self-imaging alignment indicator
CN102012620B (zh) 电子化妆品盒
CN111770218A (zh) 一种设有双面触控显示屏背输键盘的双界面显示智能手机
KR20180092570A (ko)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TW201342880A (zh) 非接觸式操控之立體影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