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607A -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07A
KR20160089607A KR1020150008977A KR20150008977A KR20160089607A KR 20160089607 A KR20160089607 A KR 20160089607A KR 1020150008977 A KR1020150008977 A KR 1020150008977A KR 20150008977 A KR20150008977 A KR 20150008977A KR 20160089607 A KR20160089607 A KR 20160089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unit
us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234B1 (ko
Inventor
설태영
이준형
최재혁
이준
이재환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설태영
최재혁
이준형
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태영, 최재혁, 이준형, 이준 filed Critical 설태영
Priority to KR102015000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02J7/008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방 등에서 광고 노출 또는 사용자의 특정 피광고 액션(Action)을 조건(Condition)으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USB 포트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PC에서 이동단말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단부; 및 PC 및 차단부와 연결되고,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PC는 제어부에 차단해제요청을 송신하며, 제어부는, PC에서의 차단해제요청을 수신하면, PC에서 이동단말기로의 전원공급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차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PC방 등에 새로운 광고 플랫폼을 제공하여 점주에게 광고 수익의 일정부분을 배분할 수 있으므로, PC방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MOBILE TERMINAL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CONDITIONS OF ADVERTISING,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PC방 등에서 광고 노출 또는 사용자의 특정 피광고 액션(Action)을 조건(Condition)으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USB 포트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약 15 여년 전 등장하기 시작한 PC방은 2001년과 2005년 즈음 정점을 찍고, 2009년 즈음부터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1년도에 PC방 업소는 15,817개소로 2010년 19,014개소 대비 16.8%에 해당하는 약 3,200여개 업소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PC방은 과도한 출혈경쟁으로 인해 시장성이 낮아지고 있다. 특히 수요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공급으로, 가격경쟁을 시작하면서부터 PC방의 수익률은 낮아지고 있다. 10년 전 2000원 내지 1500원을 받던 시간당 이용료가 최근 500원 정도까지 하락하면서 공멸위험까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격 경쟁 뿐만아니라 PC 사양 경쟁 또한 상당히 치열하다. 완전 경쟁 상태에 놓여있는 PC방 창업자들은 주변 경쟁업소에 뒤지지 않기 위해 PC의 성능을 필요 이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카매니저, 게토, 넷커맨더, 네티모, 이지클릭과 같은 PC방 관리 프로그램의 비용은 PC방 업소의 점주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이러한 PC방 관리 프로그램은 팝업 광고(푸시형 팝업 배너) 등에 의한 수익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비용을 대신하는 무료 프로그램이 제공되기 시작하였고, PC방 업소의 점주는 부담없이 PC방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불특정 다수의 출입이 많은 공간에서는 여지없이 기업들의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이어지게 된다.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영화관 등의 각종 점포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PC방에서 제대로 정착된 광고 플랫폼은 위와 같은 PC방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푸시형 팝업 배너밖에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특2000-0050127,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킹에 의한 PC방 네트워크 운영 방법 공개특허 특2002-0039200, 인터넷 초기화면의 실시간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통한 광고주 사이트의 홍보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C방 이용자의 USB 포트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의 충전시에 광고를 제공하는 새로운 광고 플랫폼인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C와 이동단말기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PC에서 이동단말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단부; 및 상기 PC 및 상기 차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전원공급의 차단과 차단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PC는 상기 제어부에 차단해제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PC에서의 상기 차단해제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전원공급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피광고 행위는,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특정 광고가 노출되는 행위;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PC 이용자의 접속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및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PC 이용자의 가입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는 상기 PC의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PC 이용자에게 과금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에서 상기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PC 이용자에게 무료 이용시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PC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단말기 접속단계; 상기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지는 광고행위단계; 및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피광고 행위는,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특정 광고가 노출되는 행위;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PC 이용자의 접속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및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PC 이용자의 가입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는 상기 PC의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PC 이용자에게 과금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고행위단계 이후에, 상기 PC 이용자에게 무료 이용시간이 제공되는 무료시간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PC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단말기 접속단계; 상기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지는 광고행위단계; 및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PC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단말기 접속단계; 상기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지는 광고행위단계; 및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C방 등에 새로운 광고 플랫폼을 제공하여 점주에게 광고 수익의 일정부분을 배분할 수 있으므로, PC방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C방의 이용자에게 일정한 피광고 액션(Action)에 대한 보상으로 무료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단말기 충전시스템
이동단말기 충전시스템과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시스템(1)은 USB 포트를 지닌 PC(2),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PC(2)는 PC방 등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이용되는 컴퓨터를 의미하며, 이동단말기(3)를 연결하여 USB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USB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PC(2)는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를 통해 이동단말기(3)와 연결되게 된다.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는 3 가지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C와 이동단말기 사이에 차단부가 연결되는 제1실시예, 차단 기능을 포함한 메인보드를 활용하는 제2실시예, PC의 USB 포트에 임베드(Embed)되어 구현되는 제3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그 중 제1실시예에서, 이동단말기 충전장치의 일측은 PC(2)의 USB 포트에 접속되어 이동단말기(3)에의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고, 타측은 USB 포트가 구성되어 이동단말기(3)의 충전부에 접속되는 충전잭(4)과 연결될 수 있다.
PC(2)의 USB 포트에 장착된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에서는 기본적으로 USB 포트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된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의 타측에 연결된 충전잭(4)에 PC방 이용자의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PC(2)의 디스플레이에 특정 광고주의 광고가 팝업되고, 상기 이용자가 해당 광고에 특정 시간 이상 노출되거나, 팝업 광고를 클릭하거나 해당 광고주의 홈페이지에 가입하는 등의 특정 피광고 액션이 인정(특정 조건이 완료)되는 경우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의 전원 차단이 해제되어 상기 이용자의 이동단말기(3)에 PC(2)의 전원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이용자가 이동단말기(3)를 충전하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광고의 팝업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동단말기 충전 시스템(1)과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가 분리구성되는 것과 같이 기재되었으나,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는 PC(2) 내에 임베디드되거나, PC의 메인보드에 기구성된 회로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동단말기 충전장치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3 가지 실시예가 제안된다. 다만 이는 위의 3 가지 실시예가 아닌 다른 형태를 본 발명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동단말기 충전장치는, PC와 이동단말기 사이에 차단부가 연결되는 제1실시예, 차단 기능을 포함한 메인보드를 활용하는 제2실시예, PC의 USB 포트에 임베드(Embed)되어 구현되는 제3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는 제1,2,3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 PC와 이동단말기 사이에 차단부가 연결되는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는 USB 허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고, 제어부(100), 차단부(110), USB 포트(120), USB 커넥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단부(110)를 제어하여 USB 포트(120)에의 전원 공급의 차단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USB 포트(120)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USB 포트(120)에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면 PC에 이동단말기 접속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USB 포트(120)의 데이터 선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이동단말기 접속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00)는 PC에서의 특정 조건 수행 완료 정보(특정 피광고 행위 수행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USB 전원 공급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차단부(110)는 PC의 USB 포트를 통해 USB 커넥터부(130)로 전달되는 약 2.5W의 전원을 차단하여 USB 포트(12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전원과 이동단말기의 사이에 연결되게 되며, 제어부(100)에서 차단 해제 신호를 받으면 PC에서 전달되는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고, 전원을 USB 포트(120)에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FET나 SSR 등과 같은 소자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SB 포트(120)는 이동단말기(3)의 충전 포트에 연결되는 충전잭(4), 충전선(5), 충전 커넥터(6)를 통해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는 포트이다. USB 포트(120)는 차단부(110)와 연결되어 전원 차단과 차단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USB 포트(120)가 배제되고 충전잭이 직접 구성되어 이동단말기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USB 커넥터부(130)는 PC의 USB 포트에 접속되어 PC와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PC의 메인보드 내에 임베디드되거나, PC의 메인보드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USB 커넥터부(130)가 배제되고, 메인보드 내에서 CPU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USB 커넥터부(130) 대신에 PC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차단 기능을 포함한 메인보드를 활용하는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00), 차단부(110)의 기능이 메인보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USB 포트(120)로 PC의 일반적인 USB 포트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USB 커넥터부(130)가 요구되지 않는다. PC의 외관에 이동단말기 충전장치가 드러나지 않으며, 사용자는 평소와 같이 PC의 USB 포트에 이동단말기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PC의 USB 포트에 임베드(Embed)되어 구현되는 제3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00) 및 차단부(110)가 PC의 USB 포트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USB 포트(120)로 PC의 일반적인 USB 포트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USB 커넥터부(130)가 요구되지 않는다. PC의 외관에 이동단말기 충전장치가 드러나지 않으며, 사용자는 평소와 같이 PC의 USB 포트에 이동단말기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 충전방법
이동단말기 충전방법과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은 이동단말기 접속정보 수신단계(S10), 광고 팝업 단계(S20), 특정 조건 수행 완료 정보 수신단계(S30), 차단 해제 요청 단계(S40), 전원공급 차단 해제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 접속정보 수신단계(S10)는 PC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고, 메인보드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은, 이동단말기가 접속되기 이전부터 USB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동단말기의 접속이 확인되면 비로소 USB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USB 전원의 차단은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에서 제공될 수 있고, 메인보드에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광고 팝업 단계(S20)는 PC에서 이동단말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PC의 디스플레이에 특정 광고주의 광고를 팝업하는 단계이다. PC 이용자는 PC에 연결된 충전잭에 이동단말기를 연결하는 순간, 해당 광고에 노출되게 된다.
특정 조건 수행완료 정보 생성단계(특정 피광고 행위 수행완료 정보 생성 단계, S30)는 PC 이용자의 해당 광고와 관련된 특정 조건의 수행완료(특정 피광고 행위 수행완료)에 대한 정보를 PC에서 생성하는 단계이다. 특정 조건은 단순한 광고 팝업, 특정 시간 이상 광고 노출, 광고 클릭에 의한 상세 광고 노출, 이용자 회원가입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PC방의 이용자가 기설정된 특정 조건의 수행을 완료하면, 특정 조건 수행 완료 정보를 PC에서 생성하게 된다.
차단 해제 요청 단계(S40)는 PC에서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의 제어부(100)에 USB 전원의 차단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전원공급 차단 해제단계(S50)는 차단부(110)에서 제어부(100)의 명령을 받아 USB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게 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C 또는 이동단말기 충전장치(10)에서 이용자의 해당 광고와 관련된 특정 조건 수행완료를 트리거로 USB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게 된다.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이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을 PC 상에서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CD, USB 등의 기록매체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효과
휴대폰 시장은 현재 절반 이상이 스마트폰으로 전이되었고, 기존의 피쳐폰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치명적 단점은 여전히 배터리 용량이다. 따라서 PC방과 같이 이용자가 장기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공간에서는 스마트폰의 충전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PC방에서는 PC의 전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더없이 좋은 환경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PC방 이용자들은 PC방을 이용하는 시간 동안, 자신이 대여한 PC에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까지 PC방 점주에 의해 무료로 제공되던 이러한 충전 서비스에 새로운 광고 플랫폼을 도입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광고 플랫폼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장치나 이동단말기 충전방법 등에 따르면, PC방 등에 새로운 광고 플랫폼을 제공하여 점주에게 광고 수익의 일정부분을 배분할 수 있으므로, PC방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C방의 이용자에게 일정한 피광고 액션(Action)에 대한 보상(Reward)으로 무료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PC방 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방법은 결국 일정한 피광고 액션을 한 이용자가 직접 광고 수수료를 받는 것이 비지니스 모델이 아닌, PC방 점주가 광고 수수료의 일부를 받고, 피광고자인 PC방 이용자는 PC방 무료 이용시간을 서비스 받는 새로운 형태의 비지니스 모델이다.
이상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PC방을 위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PC방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서관의 유/무료이용 PC, 휴대폰 충전소 등에 적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USB 충전을 위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USB 충전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무접점 충전방식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동단말기 충전 시스템
2: PC
3: 이동단말기
4: 충전잭
5: 충전선
6: 충전 커넥터
10: 이동단말기 충전장치
100: 제어부
110: 차단부
120: USB 포트
130: USB 커넥터부

Claims (8)

  1. 전원과 이동단말기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에서 이동단말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단부; 및
    광고부 및 상기 차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한 전원공급의 차단과 차단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부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광고부는 상기 제어부에 차단해제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부에서의 상기 차단해제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전원공급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피광고 행위는,
    상기 광고부의 디스플레이에 특정 광고가 노출되는 행위; 상기 광고부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이용자의 접속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및 상기 광고부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이용자의 가입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부는 PC이고,
    상기 PC는 상기 PC의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이용자에게 과금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에서 상기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무료 이용시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장치.
  4.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PC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단말기 접속단계;
    상기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지는 광고행위단계; 및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피광고 행위는,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특정 광고가 노출되는 행위;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PC 이용자의 접속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및 상기 PC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특정 광고의 링크에 PC 이용자의 가입요청이 수신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는 상기 PC의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PC 이용자에게 과금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고행위단계 이후에,
    상기 PC 이용자에게 무료 이용시간이 제공되는 무료시간 제공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7.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PC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단말기 접속단계;
    상기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지는 광고행위단계; 및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PC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단말기 접속단계;
    상기 PC에서 특정 피광고 행위가 이루어지는 광고행위단계; 및
    상기 PC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08977A 2015-01-19 2015-01-19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8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77A KR101682234B1 (ko) 2015-01-19 2015-01-19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77A KR101682234B1 (ko) 2015-01-19 2015-01-19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07A true KR20160089607A (ko) 2016-07-28
KR101682234B1 KR101682234B1 (ko) 2016-12-06

Family

ID=5668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977A KR101682234B1 (ko) 2015-01-19 2015-01-19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109A (ko) * 2016-09-19 2018-03-28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00090680A (ko) * 2016-09-19 2020-07-29 김시환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27A (ko) 2000-05-17 2000-08-05 최봉진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킹에 의한 pc방 네트워크 운영 방법
KR20020039200A (ko) 2000-11-20 2002-05-25 정영재 인터넷 초기화면의 실시간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통한광고주 사이트의 홍보방법
KR20050075210A (ko) * 2004-01-16 2005-07-20 (주)에스지커뮤니케이션 유무선 연동 광고 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53644A (ko) * 2007-11-23 2009-05-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피씨방 광고수익 정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40079696A (ko) * 2012-12-17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9741A (ko) * 2013-02-04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27A (ko) 2000-05-17 2000-08-05 최봉진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킹에 의한 pc방 네트워크 운영 방법
KR20020039200A (ko) 2000-11-20 2002-05-25 정영재 인터넷 초기화면의 실시간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통한광고주 사이트의 홍보방법
KR20050075210A (ko) * 2004-01-16 2005-07-20 (주)에스지커뮤니케이션 유무선 연동 광고 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53644A (ko) * 2007-11-23 2009-05-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피씨방 광고수익 정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40079696A (ko) * 2012-12-17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9741A (ko) * 2013-02-04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109A (ko) * 2016-09-19 2018-03-28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00090680A (ko) * 2016-09-19 2020-07-29 김시환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234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7961A1 (zh) 使用权限的请求方法和装置及获取方法和装置
WO2018177219A1 (zh) 贴片媒体文件的播放控制方法及装置
KR101682234B1 (ko)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3016214A1 (en) Optimizing usage and maximizing revenue generation of digital advertisement
WO2013184696A2 (en) Sponsored applications
CN110415008B (zh) 信用数据管理方法、装置、节点设备、存储介质以及系统
CN110543501A (zh) 基于区块链的广告数据存证方法及装置
EP3324357A1 (en) Providing apparatus, use apparatus, communication resources transaction system, providing method,use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CN113228446A (zh) 送受电管理装置和程序
KR102471959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453518A (zh) 计量网络的同步
US9047618B2 (en) Operating system based event verification
JP5581063B2 (ja) 電池管理システム及び電池管理方法
JP2008016040A5 (ko)
KR101413104B1 (ko) 멀티광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홍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97784B2 (ja) 単価管理システムおよび単価管理方法
KR102162443B1 (ko) 보상 광고 송출 시스템, 보상 광고 송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220897A1 (en) Intelligent device charging station
KR101508270B1 (ko) 광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N114493756A (zh) 一种资源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30128657A (ko) 광고 관리 시스템, 그의 광고 포인트 관리 방법 및 단말
JP2016086319A (ja) 携帯端末充電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広告システム
KR101418927B1 (ko) 충전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이벤트 응모 시스템
KR101532727B1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광고앱을 이용한 광고 효과 극대화 방법 및 광고 효과 극대화 시스템
JP2017077060A (ja) 電気機器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