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213A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213A
KR20160089213A KR1020150008889A KR20150008889A KR20160089213A KR 20160089213 A KR20160089213 A KR 20160089213A KR 1020150008889 A KR1020150008889 A KR 1020150008889A KR 20150008889 A KR20150008889 A KR 20150008889A KR 20160089213 A KR20160089213 A KR 20160089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eedback
output
n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창
이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이트
Priority to KR102015000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213A/ko
Publication of KR2016008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vice)는 교류 입력 전압을 정류하여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입력부; 및 기준 전압, 상기 제 1 전압, 트랜스포머 전류, 스위칭 트랜지스터 전류 및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제어 전압 및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보상하여 생성하고, SMPS 장치의 역률을 보정하는 PFC 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vice: 이하, SMPS)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률을 개선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하는 SMPS에 관한 것이다.
SMPS는 입력 교류 전압을 입력 직류 전압(DC-Link 전압)으로 정류하고, 입력 직류 전압을 다른 레벨을 갖는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때, 직류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보다 크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SMPS는 조명 장치, TV,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SMPS 장치(10)이다.
일반적인 SMPS 장치(10)는 정류 회로 및 평활 회로를 포함한다.
정류 회로는 네 개의 다이오드(diode, D1, D2, D3, D4)를 브리지(bridge) 모양으로 접속한 회로이다. 정류 회로는 교류 전원(Vin)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한다. 정류된 전압은 큰 맥동분을 포함하게 되어 곧바로 직류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 이 맥동분을 감소시켜서 매끄러운 직류로 하기 위해, 정류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콘덴서를 이용한 평활 회로를 거쳐 직류 전원(Vout)으로 출력된다.
도 1과 같은 SMPS 장치는 입력 전류가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역률(Power Factor)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SMPS 장치는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역률 보정(Power Factor Correction: 이하, PFC) 회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PFC 회로는 부스터 컨버터(booster converter) 회로를 응용한 방식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PFC 회로를 포함하는 SMPS 장치는 역률 개선을 위해서, 높은 내전압과 정전용량을 가지는 콘덴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내전압과 정전용량을 가지는 콘덴서는 전해 콘덴서(electrolytic condenser)가 있는데, 전해 콘덴서는 고온에서 내부 전해액이 증발하여 SMPS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SMPS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기기들 역시 기대수명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SMPS 장치는 역률 보상에 필요한 PFC 회로를 전해 컨덴서를 대체할 수 있는 콘덴서를 이용하여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SMPS 장치는 피드백 보상부를 포함함으로써, 일반적인 전해 컨덴서에 비해 작은 정전용량을 가지는 콘덴서를 이용하더라도 개선된 역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vice)는 교류 입력 전압을 정류하여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입력부; 및 기준 전압, 상기 제 1 전압, 트랜스포머 전류, 스위칭 트랜지스터 전류 및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제어 전압 및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보상하여 생성하고, SMPS 장치의 역률을 보정하는 PFC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SMPS 장치는 출력 전압을 피드백하는 경우 출력 전압의 리플에 따른 보상된 피드백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기존의 SMPS 장치보다 정전 용량이 낮은 출력 콘덴서를 이용하더라도 PFC 회로가 정상 동작함으로 개선된 역률로 안정적인 전원을 전자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SMPS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SMPS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보상부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SMPS 장치(100)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SMPS 장치(100)는 입력부(101) 및 PFC부(102)를 포함한다. PFC부(102)는 전압 분배부(111), PFC 제어부(112) 및 부스터부(113) 및 피드백부(114)를 포함한다.
입력부(101)는 AC 입력단과 AC 정류부를 포함하고 있다. AC 입력단을 통하여 AC 전원이 입력되면 AC 정류부에서 AC 전원을 맥동분을 갖는 DC 전원으로 정류하게 된다. 여기서, AC 정류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5, D6, D7, D8)를 포함하는 정류회로를 통하여 AC 전원을 맥동분을 갖는 DC 전원으로 정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류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5, D6, D7, D8)를 브리지 모양으로 접속한 회로일 수 있다.
입력부(101)는 AC 전원(Vin)을 입력받아 정류하여 맥동분을 갖는 DC 전원인 제 1 전압(V1)을 출력한다.
PFC 부(102)는 피드백 전압(Vfb), 제 2 전압(V2), 트랜스포머(T1)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류인 제 2 감지 전류(Isense2)를 입력받아 제어 전압(Vctrl)을 출력한다. PFC 부(102)는 제어 전압(Vctrl)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Qsw)를 반복적으로 턴 온, 턴 오프 시킨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가 반복적으로 턴-온, 턴-오프하게 되면, PFC 부(102)는 트랜스포머(T1)로 입력된 제 1 전압(V1)을 부스트(boost)한다. PFC 부(102)는 제 1 전압(V1)이 부스트된 전압을 제 9 다이오드(D9)를 거쳐 출력 전압(Vout)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Qsw)는 FET로 구현될 수 있다.
전압 분배부(111)는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가 직렬로 접속하여 제 1 전압(V1)을 분배하여 제 2 전압(V2)을 출력한다. 이때, 제 2 전압(V1)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PFC 제어부(112)는 제 2 전압(V2), 제 1 감지 전압(Vsense1) 및 피드백부(114)로부터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기 위한 피드백 전압(Vfb)을 공급받아 제어 전압(Vctrl)을 출력한다.
PFC 제어부(112)는 비교부(131), 배율부(reference multiplier, 132), 전류 영점 감지부(zero current sense, 133) 및 스위치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비교부(131)는 기준 전압(Vref)과 피드백 전압(Vfb)을 비교하여 제 3 전압(V3)을 출력한다. 직렬 접속된 제 5 저항(R5) 및 제 1 캐패시터(C1)는 제 3 전압(V3)과 접지 전압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 3 전압(V3)을 댐핑(damping)시켜 제 3 전압(V3)을 완만하게 만든다.
비교부(131)는 기준 전압(Vref)과 피드백 전압(Vfb)의 차이를 제 3 전압(V3)으로 출력한다. 이때, 비교부(131)에서 출력되는 제 3 전압(V3)은 전압 진폭(amplitude) 변화가 심할 수 있어, 제 3 전압(V3)의 진폭을 완화하기 위해 제 5 저항(R5) 및 제 1 캐패시터(C1)가 필요하다.
배율부(132)는 제 2 전압(V2)과 제 3 전압(V3)을 입력 받는다. 배율부(132)는 제 3 전압(V3)을 게인(gain factor)으로 제 2 전압(V2)을 스케일링하여 제 4전압(V4)을 출력한다.
스위치 제어부(134)는 제 4 전압(V4), 제 1 감지 전압(Vsense1) 및 트랜스포머(T1)에 흐르는 전류가 없음을 알리는 전압(VT2)을 이용하여 제어 전압(Vctrl)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부스터부(113)를 참조하면, 제 1 감지 전류(Isense1)는 제 6 저항(R6)에 흐르는 전류이다. 제어 전압(Vctrl)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Qsw)가 턴-온되면, 제 1 감지 전류(Isense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w) 및 제 6 저항(R6)을 거쳐 접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제 6 저항(R6)에서 감지되는 전류가 제 1 감지 전류(Isense1)이다. 제 1 감지 전류(Isense1)는 트랜스포머(T1)에 흐르는 전류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Qsw) 전류와 동일하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Qsw)가 턴-온되면, 트랜스포머(T1)에 전기 에너지가 충전된다.
스위치 제어부(134)는 제 1 감지 전압(Vsense1)과 제 4 전압(V4)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Qsw)를 턴-오프할 수 있는 전압을 제어 전압(Vctrl)으로 출력한다. 제 1 감지 전압(Vsense1)은 제 1 감지 전류(Isense1)와 제 6 저항(R6)을 이용하여 전압으로 변환한 것이다. 제 1 감지 전류(Isense1)가 상승 구간에 있는 경우, 제 1 감지 전압(Vsense1)과 제 4 전압(V4)이 일치하면, 스위치 제어부(134)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w)를 턴-오프할 수 있는 전압을 제어 전압(Vctrl)으로 출력한다.
부스터부(113)를 참조하면, 트랜스포머(T1)에 흐르는 전류는 2차 권선에 유도된 전류로서 제 2 감지 전류(Isense2)이다. 제 2 감지 전류(Isense2)는 트랜스포머(T1)에서 전류 영점 감지부(133)로 전달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가 턴-오프되면, 트랜스포머(T1)에 흐르는 전류는 피크 이후 감소된다. 이때, 전류 영점 감지부(133)는 제 2 감지 전류(Isense2)가 영점에 도달하면, 트랜스포머(T1)에 흐르는 전류가 없음을 알리는 전압(VT2)을 스위치 제어부(134)로 전달한다. 스위치 제어부(134)는 트랜스포머(T1)에 흐르는 전류가 없음을 알리는 전압(VT2)을 입력 받으면, 스위칭 트랜지스터(Qsw)를 턴-온시킬 수 있는 전압 레벨을 가진 제어 전압(Vctrl)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Qsw)의 게이트로 전달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가 턴-오프되면, PFC 부(102)는 트랜스포머(T1)에 충전된 에너지가 제 1 전압(V1)과 더해져 부스트된 제 1 변환 전압(VT1)을 생성하고 제 9 다이오드(D9)를 거쳐 출력 전압(Vout)으로 출력한다.
부스터부(113)는 트랜스포머(T1), 제 9 다이오드(D9), 스위치부(115) 및 출력 콘덴서(Cout)를 포함한다.
스위치 트랜지스터(Qsw)가 턴-온 되면, 트랜스포머(T1)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한다. 스위치 트랜지스터(Qsw)가 턴-오프 되면, 충전된 전기 에너지와 트랜스포머(T1) 입력 전압인 제 1 전압(V1)를 더해 부스트된 제 1 변환 전압(VT1)을 생성한다. 제 9 다이오드(D9)는 제 1 변환 전압(VT1)이 출력 전압(Vout) 보다 높을 때만 도통하여 역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스위치부(115)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w)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는 제어 전압(Vctrl)에 따라 온/오프 구동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의 게이트는 제어 전압(Vctrl)이 입력되고, 드레인은 제 1 변환 전압(VT1)이 접속되고, 소스는 제 6 저항(R6)을 통해 접지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가 N형 FET이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Qsw)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스위치부(115)는 제어 전압(Vctrl)이 문턱 전압보다 '하이(H)'로 입력되면, 턴-온되어 제 1 변환 전압(VT1)을 제 6 저항(R6)를 통해 접지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의 소스와 제 6 저항(R6) 사이의 전압은 제 1 감지 전압(Vsense1)이다.
스위치부(115)는 제어 전압(Vctrl)이 문턱 전압보다 '로우(L)'로 입력되면, 턴-오프되어 제 1 변환 전압(VT1)이 제 9 다이오드(D9)를 통해 출력 전압(Vout)이 될 수 있게 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w)가 N형 FET이 경우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콘덴서(Cout)는 출력 전압(Vout)과 접지 전압 사이에 위치하여 출력전압(Vout)의 리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출력 콘덴서(Cout)는 필름 콘덴서로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백부(114)는 직렬 접속된 제 3 저항(R3), 피드백 보상부(153) 및 제 4 저항(R4)를 포함한다.
직렬 접속된 제 3 저항(R3), 피드백 보상부(153) 및 제 4 저항(R4)는 출력 전압(Vout)과 접지 전압 사이에 위치한다.
피드백 보상부(153)는 출력 콘덴서(Cout)를 설계된 용량보다 현격히 낮추었을 때 커진 출력 전압(Vout)의 리플(Vout)에 의해 역률이 매우 나빠지거나 PFC 제어부(112)의 과전압, 과전류 방지 기능에 의해 PFC 제어부(112)의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력 전압 피드백을 보상하는 회로로 PFC 제어부(112)에 대한 입력 전압인 제 2 전압(V2)의 하강 구간에서 피드백 전압(Vfb)이 적정선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PFC 회로뿐만 아니라 CCM (continuous conduction mode)또는 DCM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방식의 PFC회로에도 피드백 보상부(153)의 추가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보상부(153)의 회로도이다.
제 3 저항(R3)은 출력 전압(Vout)과 제 1 노드(n1) 사이에 위치하고, 제 4 저항(R4)는 제 2 노드(n2)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다.
피드백 보상부(153)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노드(n2)를 통해 피드백 전압(Vfb)가 출력된다.
피드백 보상부(153)는 제 10 다이오드(D10), 제 7 저항(R7), 제 2 캐패시터(C2) 및 제 3 캐패시터(C3)를 포함한다.
제 10 다이오드(D10)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제 7 저항(R7)은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캐패시터(C2)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제 3 캐패시터(C3)는 제 2 노드(n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피드백 보상부(153)에 포함된 제 10 다이오드(D10), 제 7 저항(R7), 제 2 캐패시터(C2) 및 제 3 캐패시터(C3)는 설계 조건에 따라 저항이나 정전용량 등이 변경될 수 있다.
피드백 보상부(153)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출력 전압(Vout)에 리플이 발생하여 하강 구간에 있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 10 다이오드(D10)는 출력 전압(Vout)에 리플이 발생하여 하강 구간에 있는 경우 턴-오프된다. 이때, 피드백 전압(Vfb)은 제 3 저항(R3), 제 7 저항(R7), 제 4 저항(R4) 및 제 3 캐패시터(C3)를 통해 제 2 노드(n2)로 전달된다.
즉, 피드백 보상부(153)는 출력 전압(Vout) 하강 구간에서 피드백 전압(Vfb)의 전압을 높여 피드백 전압(Vfb)이 설계 조건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출력 전압(Vout)에 리플이 발생하여 상승 구간에 있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 10 다이오드(D10)는 출력 전압(Vout)에 리플이 발생하여 상승 구간에 있는 경우 턴-온된다. 이때, 출력 전압(Vout)은 제 7 저항(R7), 제 2 캐패시터(C2) 및 제 3 캐패시터(C3)을 무시하고, 제 10 다이오드(D10)을 통해서 제 2 노드(n2)로 전달된다. 이때, 제 10 다이오드(D10)로 인한 전압강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쇼트키 다이오드가 제 10 다이오드(D10)로 이용될 수 있다.
PFC 제어부(112)의 초기 전원 투입 시, 제 7 저항(R7)에 의해 제 3 캐패시터(C3)의 충전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전압(Vfb)이 PFC 제어부(112)에 낮게 공급되고, 과전류를 발생시켜 출력 전압(Vout)이 설계 조건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제 2 캐패시터(C2)는 피드백 보상부(153)에 순간 전류를 공급하여 제 3 캐패시터(C3)에 의한 충전속도의 지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일반적인 SMPS 장치
100: SMPS 장치
101: 입력부 102: PFC부

Claims (12)

  1.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vice)에 있어서,
    교류 입력 전압을 정류하여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입력부; 및
    기준 전압, 상기 제 1 전압, 트랜스포머 전류, 스위칭 트랜지스터 전류 및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제어 전압 및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보상하여 생성하고, SMPS 장치의 역률을 보정하는 PFC 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FC 부는
    상기 제 1 전압을 스케일링하여 제 2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트랜스포머를 반복적으로 턴 온, 턴 오프하여 상기 제 1 전압을 부스트하여 변환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감지 전압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상기 변환 전압을 상기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부스터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이 스케일링된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감지 전압 및 상기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가 없음을 알리는 전압에 따라 상기 스케일링된 전압을 트래킹(tracking)하여 상기 제어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PFC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전압의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보상하여 생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부는
    상기 출력 전압 및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 전압의 리플을 줄여주는 출력 콘덴서;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상기 변환 전압을 상기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FC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여 제 3 전압을 생성하는 비교부;
    상기 제 3 전압은 완만하게 하는 댐핑(damping) 회로;
    상기 제 3 전압의 게인(gain factor)으로 제 2 전압을 스케일링(scaling)한 제 4 전압을 출력하는 배율부;
    상기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의 영점을 감지하고, 상기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가 영점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 영점 감지부; 및
    상기 제 4 전압, 상기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가 영점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전압 및 상기 감지 전압에 따라 상기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4 전압과 상기 감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 4 전압과 상기 감지 전압이 일치하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가 영점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출력 전압이 접지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출력 전압을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피드백 보상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보상부는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 사이에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 및 저항, 상기 제 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 1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전압의 상승 구간에서 순방향으로 연결된 상기 다이오드를 턴-온시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하강 구간에서 상기 다이오드를 턴-오프시키고, 병렬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제 1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보상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보상부는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초기 전원 투입 시에 순간 전류를 상기 피드백 보상부에 공급하는 제 2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제 1 노드 사이 및 상기 제 2 노드 및 접지 전압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저항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쇼트키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콘덴서는
    필름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KR1020150008889A 2015-01-19 2015-01-19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KR20160089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89A KR20160089213A (ko) 2015-01-19 2015-01-19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89A KR20160089213A (ko) 2015-01-19 2015-01-19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213A true KR20160089213A (ko) 2016-07-27

Family

ID=5661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889A KR20160089213A (ko) 2015-01-19 2015-01-19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2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602B2 (en) 2018-05-04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o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602B2 (en) 2018-05-04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o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0748B2 (en) Soft-start circuit and buck converter comprising the same
US9847708B2 (en) PFC circuit
US10135336B2 (en) Control architecture with improved transient response
US971642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8587221B2 (en)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US9608516B2 (en) Battery discharge circuit and discharge method with over discharge protection
US9543839B2 (en) Voltage stabilizing circuit
US9203307B2 (en) Power converter with bias voltage regulation circuit
US10110124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regulator and switching regulator with the same
US10050517B1 (en) Power supply apparatus converting input voltage to predetermined output voltage and controlling output voltage based on feedback signal corresponding to output voltage
US9706615B2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20110002147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for switching power supply regulation
US10924004B2 (en) AC-DC converter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spective AC-DC converter circuit arrangement
US20190149046A1 (en) Frequency control circuit, control method and switching converter
US9680379B2 (en) DC-DC converter using a power driving signal with fixed on-time
US11095217B2 (en) Ripple inj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is circuit
KR20160089213A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 장치
US20140092644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ircuit design of the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JP6747766B2 (ja) 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640917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電子機器及び双方向dcdcコンバータ
US905459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202218233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2218225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201933023A (zh) 點燈裝置
JP2015139334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