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170A - 수치제어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수치제어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170A
KR20160089170A KR1020150008776A KR20150008776A KR20160089170A KR 20160089170 A KR20160089170 A KR 20160089170A KR 1020150008776 A KR1020150008776 A KR 1020150008776A KR 20150008776 A KR20150008776 A KR 20150008776A KR 20160089170 A KR20160089170 A KR 2016008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member
horizontal
post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062B1 (ko
Inventor
민병덕
Original Assignee
민병덕
(주)케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덕, (주)케이엠씨 filed Critical 민병덕
Priority to KR102015000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7Arrangements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the machine
    • B23Q2701/0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for milling machines, their drive, control or gu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재의 정밀한 위치제어를 통해 정밀가공이 가능한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본체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물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포스트부재; 본체 또는 다른 구성에 구비되어 포스트부재의 일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며, 세 개의 가이드레일이 포스트부재를 둘러싸면서 삼각형 배치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본체 또는 다른 구성물에 장착되어 포스트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치제어 공작기계{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본 발명은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재의 정밀한 위치제어를 통해 정밀가공이 가능한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수치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운전하는 공작기계로서 NC 공작기계라고도 한다. 수치제어장치는 기계에 동작을 지령하는 계산기 지령기구, 기계가 지령에 따라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기구, 및 목표값과 검출값을 비교하여 다를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서 정정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공작도면으로부터 공작물의 모양치수, 가공조건으로서의 가공순서절삭속도 및 절삭공구 등의 종류나 크기 등을 특수한 숫자로 된 기호로 번역하고, 이 기호를 제어장치에 입력하면 공작기계에 지령이 내려져서 절삭공구는 그 지령대로 작동하여 자동으로 절삭한다.
다중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밀링머신에 의한 캠절삭이나, 보링머신에서 구멍을 뚫을 위치의 자동위치결정 등에 응용된다. 현재는 선반 등에도 수치제어식이 채택되어 일반화되었다. 반도체 기술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NC공작기계 내에 컴퓨터를 내장한 NC 공작기계를 CNC 공작기계라 한다.
종래의 CNC 공작기계의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6-0013171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2675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21271호(이하, 선행문헌3이라 한다)에 게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의 CNC 선반에 따르면, 피가공재의 가공을 위한 주축스핀들 뭉치가 상하좌우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피가공재를 가공해주는 척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된다. 이 때, 주축스핀들 뭉치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데, 두 가이드는 위 아래로 이격 설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에는 주축스핀들 뭉치의 배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선행문헌1의 CNC 선반에 따르면, 주축스핀들 뭉치의 배면부만이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고 전면부는 지지되지 못하므로, 주축스핀들 뭉치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하중이 앞쪽으로 쏠려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척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어렵다.
선행문헌2의 CNC 공작기계에 따르면, 세 개의 구동부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공작물을 가공해주는 커터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된다. 이 때, 세 구동부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가 포스트 부재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두 가이드는 좌우로 이격 설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에 세 개의 구동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딩부재의 배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선행문헌2의 CNC 공작기계에 따르면, 선행문헌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딩부재의 배면부만이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고 전면부는 지지되지 못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하중이 앞쪽으로 쏠려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커터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어렵다.
선행문헌3의 공작기계에 따르면, 구동수단으로 2개의 리니어 모터와 가이드레일로서 4개의 레일을 구비하여 주축부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되되, 주축부의 양쪽으로 리니터 모터 1개와 레일 2개씩을 각각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선행문헌3의 공작기계에 따르면, 구동수단 및 가이드레일이 좌우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되는바, 좌우 구동수단(더블 구동축)의 동작이 조금만 어긋나더라도 주축부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제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6-00131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267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212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공부재의 정밀한 위치 제어를 통해 피가공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본체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물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포스트부재; 본체 또는 다른 구성에 구비되어 포스트부재의 일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며, 세 개의 가이드레일이 포스트부재를 둘러싸면서 삼각형 배치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본체 또는 다른 구성물에 장착되어 포스트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포스트부재는, 본체 또는 다른 구성물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포스트부재; 및 제1 포스트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제2 포스트부재;를 포함하며, 세 개의 가이드레일이 포스트부재를 둘러싸면서 이루는 삼각형 배치구조는 제1,2 포스트부재 모두에 적용되거나, 어느 하나에만 적용된다.
구동수단은 제1,2 포스트부재를 각각 슬라이딩시키도록 각각 구비되며, 각 구동수단은 제1,2 포스트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하나씩만 구비되는 단일 구동축 타입이다.
가이드부재는, 제1 포스트부재의 수평 방향 가이드를 위해 구비되는 수평 가이드부재; 및 제2 포스트부재의 수직 방향 가이드를 위해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체에는 수평 가이드부재 및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제1 지지블록 및 제2 지지블록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며, 제1 포스트부재는 제1 지지블록과 제2 지지블록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평 가이드부재는, 제1 지지블록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수평 설치되는 제1 수평레일; 제1 지지블록에서 제1 수평레일 하방에 제1 수평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수평레일; 제2 지지블록에 제1,2 수평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수평레일; 및 제1 포스트부재의 배면부 및 전면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평레일들에 각각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블록;을 포함한다.
수평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은 상기 제1 지지블록에서 제1,2 수평레일 사이에 배치되되, 구동축은 제1,2 수평레일의 구동 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심에 위치되며, 제3 수평레일의 구동 중심은 제1,2 수평레일의 구동 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심에서 수직인 선상에 위치된다.
제1 포스트부재에는 제2 포스트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공간이 마련되며, 수직 가이드부재는, 제2 포스트부재의 전면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수직 설치되는 제1 수직레일; 제2 포스트부재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게 세로 방향으로 길게 수직 설치되는 제2,3 수평레일; 및 이동공간의 내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수직레일들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수직 가이드블록;을 포함한다.
제1 수직레일은 제2 포스트부재의 전면 중심에 위치되고, 제2 포스트부재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은 제2 포스트부재의 후면 중심에 위치되어 구동축과 제1 수직레일의 구동중심을 잇는 선분은 제2,3 수직레일의 구동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심과 수직으로 만난다.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제1,2 지지블록를 연결하여 두 지지블록을 견고히 잡아주며, 지지블록에 영향을 주는 온도변화로 인해 두 지지블록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격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블록 지지부; 및 수평가이드블록, 그리고 제1 포스트부재에 구비되어 수평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어, 온도변화로 인해 수평레일쪽과 제1 포스트부재 쪽에서 다른 열변위가 발생하더라도 그 열변위편차를 보상하여 제1 포스트부재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스페이서는, 수평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블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제1,2 결합부는 수평레일쪽과 제1 포스트부재 쪽에서 서로 다른 열변위가 발생할 때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가공부재는 고속 하강하다가 안전 위치에서 감속되어 저속 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포스트부재 쪽에는 피가공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안전 위치를 자동 설정하도록 도와주고 그에 따라 설정되는 안전 위치에 가공부재가 도달함을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설치되고, 가공부재를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설치되는 공구 공급부에는 가공부재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가공부재 주변에는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가공부재의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X축 및 Z축의 가이드구조로 포스트부재를 둘러싼 3군데에서 삼각형 배치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3 가이드부재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슬라이딩시 에러요인을 효과적으로 배제하여 가공부재의 정밀한 위치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구동축을 통해 포스트부재가 X축 또는 Z축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더블 구동축이 적용되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포스트부재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운용중 발생할 수 있는 제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블록 지지부와 스페이서를 통해 구동수단의 구동과 슬라이드 부분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구조적 열 변형을 억제하거나 열 변형시 슬라이드 부분에서의 편차를 보완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지속적인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주변의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가공부재가 항상 일정한 높이에서 하강하도록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설정이 잘못되거나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가공부재가 안전위치에 도달할 때 하강속도가 자동으로 감속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가공부재, 스핀들 및 피가공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우측면도.
도 6은 제1 포스트부재가 제1,2 지지블럭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7은 제1 포스트부재, 수평 가이드부재 및 제2 구동수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수평레일과 제2 구동축과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2 포스트부재가 제1 포스트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10은 제2 포스트부재, 수직가이드부재 및 제3 구동수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가이드블록과 포스트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 및 도 16은 센서로 가공부재의 하강위치를 감지하여 안전위치에 도달할 경우 지정속도로 감속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가공부재 주변의 온도변화와 관계없이 가공부재가 일정한 높이에서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위치센서, 공구 길이센서 또는 온도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인 결선도.
도 19는 제1지지블록과 제2지지블록의 외부에 커버를 설치하고 순환팬을 통해 냉각/발열된 공기를 커버에 의해 밀폐된 내부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기계 본체에 순환팬을 설치하여 밀폐 공간의 공기를 본체 하부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기계 본체의 하부에서 공기의 순환 흐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는 방향을 달리하여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공작기계 전체를 덮어주는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본체(10), 가공부재의 수평 위치 이동(X축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제1 포스트부재(20), 및 가공부재의 수직 위치 이동(Z축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제2 포스트부재(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상부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며 사이로 제1 포스트부재(20)의 X축 이루어지는 제1,2 지지블록(12)(13)을 포함한다.
베이스(11)의 상면에는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테이블(40)이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해 테이블 가이드부재가 구비된다. 테이블 가이드부재는, 베이스(11)의 상면으로부터 전후로 길게 돌출되며 서로 좌우 평행하게 이격되고 상면에 테이블(40)이 좌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테이블 수평레일(51)을 포함한다. 테이블 가이드부재의 양쪽에는 후방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a)이 각각 형성되어 세척시 칩이 포함된 세척액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테이블 가이드부재를 구성하는 두 테이블 수평레일(51) 사이에는 테이블(40)을 전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60)이 장착된다. 제1 구동수단(60)은, 제1 구동모터(61), 및 제1 구동모터(61)에 축 결합되며 외측에 테이블(40)의 저면 중심에 마련된 제1 결합부(미도시)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형태의 제1 구동축(62)을 포함한다. 제1 구동모터(61)의 정역 구동을 통해 테이블(40)의 Y축 이동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제1 지지블록(12)은 베이스(11)의 상면에서 입설되어 제1 포스트부재(20)의 뒷부분을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해준다. 제2 지지블록(13)은 베이스(11)의 상면에서 제1 지지블록(12)의 앞쪽에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제1 포스트부재(20)의 앞부분을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해준다. 제1 지지블록(12)은 제1 포스트부재(20)를 지지하는 메인 지지블록으로서 제2 지지블록(13)과 비교하여 높이가 높고 전후폭이 넓게 형성되며, 온도변화에 따른 열변형에 있어서도 제2 지지블록(13)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변형이 적다.
제1 지지블록(12)의 상면과 전면, 그리고 제2 지지블록(13)의 상면에는 제1 포스트부재(20)의 X축 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수평 가이드부재가 각각 설치된다. 수평 가이드부재는, 제1 지지블록(12)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수평 설치되는 제1 수평레일(71), 제1 지지블록(12)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수평 설치되며 제1 수평레일과 평행한 제2 수평레일(72), 제2 지지블록(13)의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수평 설치되며 제1,2 수평레일(71)(72)과 평행한 제3 수평레일(73), 및 수평레일(71)(72)(73)에 각각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블록(7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블록(12)의 전면 중 제1,2 수평레일(71)(72) 사이에는 제1 포스트부재(20)를 좌우 수평 이동시키는 제2 구동수단(80)이 장착된다. 제2 구동수단(80)은, 제2 구동모터(81), 및 제2 구동모터(81)에 축 결합되며 외측에 제2 포스트부재(30)의 후단에 마련된 제2 결합부(미도시)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형태의 제2 구동축(82)을 포함한다. 제2 구동모터(81)의 정역 구동을 통해 제1 포스트부재(20)의 X축 방향 이동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제1 포스트부재(20)는 제1,2 지지블록(12)(13) 사이에서 수평 가이드부재를 이용해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함으로써, 가공부재의 X축 위치를 잡아준다. 제1 포스트부재(20)의 배면 상부측에는 제1 수평레일(7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블록(74)에 안착 결합되는 제1 블록 결합부(21)가 구비되고, 제1 포스트부재(20)의 배면 하부측에는 제2 수평레일(7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블록(74)에 안착 결합되는 제2 블록 결합부(22)가 구비되고, 제1 포스트부재(20)의 전면부에는 제3 수평레일(7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블록(74)에 안착 결합되는 제3 블록 결합부(23)가 구비된다. 한편, 제1 포스트부재(20)에는 제2 포스트부재(30)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24)이 마련된다.
제2 포스트부재(30)는 제1 포스트부재(20)의 이동공간(24) 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부재가 장착되는 스핀들이 하부에 장착되어 가공부재의 Z축 위치를 잡아준다. 제2 포스트부재(3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 홀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전면과 양측면에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부재를 이용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위치 이동하게 된다.
수직 가이드부재는, 제2 포스트부재(30)의 전면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 설치되는 제1 수직레일(91), 제2 포스트부재(30)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 설치되는 제2,3 수직레일(92)(93), 및 제1 포스트부재(20)의 이동공간(24) 내벽에 설치되어 제1,2,3 수직레일(91)(92)(93)에 각각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수직가이드블록(94)를 포함한다.
제1 포스트부재(20)의 후단부에는 제2 포스트부재(30)를 상하 수직 이동시키는 제3 구동수단(100)이 장착된다. 제3 구동수단(100)은, 제3 구동모터(101), 및 제3 구동모터(101)에 축 결합되며 외측에 제2 포스트부재(30)의 후단에 마련된 제3 결합부(미도시)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형태의 후술할 제3 구동축(102)을 포함한다. 제3 구동모터(101)의 정역 구동을 통해 제2 포스트부재(30)의 Z축 이동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10은 피가공물의 가공에 필요한 복수 개의 가공부재가 지지한 상태로 베이스(1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부재를 공급해주는 공구 공급부이다. 제2 포스트부재(30)의 하부에 장착되는 스핀들이 공구 공급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면 자동으로 공구가 스핀들로 공급되어 스핀들에 장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우측면도이다.
제2,3 구동수단(80)(100)의 작동시 그리고 제1,2 포스트부재(20)(30) 슬라이딩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 열에 의해 공작기계에 구조적 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장시간 가동시 슬라이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에 기인한 변형으로 슬라이드 부분의 유격에 의한 제1,2 지지블록(12)(13)의 변형(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두 지지블록(12)(13)에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제1,2 포스트부재(20)(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가공부재의 정밀한 위치제어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 쌍의 블록 지지부(14)로 제1,2 지지블록(12)(13)의 양측부를 견고히 연결하도록 하였다. 블록 지지부(14)가 제1,2 지지블록(12)(13)의 양측부를 견고히 잡아줌으로써 제1,2 지지블록(12)(13)의 설치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 변형에 의한 두 지지블록(12)(13) 사이의 간격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록 지지부(14)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자체 열변형이 발생하는데, 열 변형시 자체의 길이가 변하게 되면 두 지지블록(12)(13)의 간격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억제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자체 길이 변화 억제를 위해 열변형 보상홀(14a)들을 구비한다. 열변형 보상홀(14a)로 인해 블록 지지부(14) 자체의 열변형시 열변형 보상홀(14a) 부분에서만 변형이 일어나고 블록 지지부(14)의 길이변화는 억제될 수 있다.
도 6은 제1 포스트부재가 제1,2 지지블럭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제1 포스트부재, 수평 가이드부재 및 제2 구동수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수평레일과 제2 구동축과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구성하는 제1,2 지지블록(12)(13)에 제1 포스트부재(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1,2,3 수평레일(71)(72)(73)이 X축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제1 지지블록(12)의 높이는 제2 지지블록(1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1 수평레일(71)은 제1 지지블록(12)의 상면에 설치되며 그 가이드면이 위로 향한다. 제2 수평레일(72)은 제1 지지블록(12)의 전면에 제1 수평레일(71) 하방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그 가이드면이 전방을 향한다. 제2 수평레일(72)은 제1 수평레일(71)에 비해 앞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3 수평레일(73)은 제2 지지블록(13)의 상면에 설치되며 그 가이드면이 위로 향한다.
제1 포스트부재(20)의 배면부 두 지점과 전면부 한 지점에 각각 구비되는 블록 결합부(21)(22)(23)는 각 수평레일(71)(72)(73)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수평가이드블록(74)에 안착 결합된다.
제1,2 수평레일(71)(72)과 이에 맞물리는 제1,2 수평가이드블록(74)은 제1 포스트부재(20)의 후면부 하중을 지지해주며, 제3 수평레일(73)과 이에 맞물리는 제3 수평가이드블록(74)은 제1 포스트부재(20)의 전면부로 쏠리는 하중을 지지해줌으로써, 제1 포스트부재(2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구동축(82)의 설치위치는 제1 수평레일(71)의 구동 중심부와 제2 수평레일(72)의 구동 중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1) 중심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3 수평레일(73)의 위치는 제1,2 수평레일(71)(72)의 높이 사이에 위치되되 제1,2 수평레일(71)(72)을 연결하는 선분(L1)의 중심과 수직을 이루는 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3 수평레일(71)(73)의 구동 중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2)과 제2,3 수평레일(72)(73)의 구동 중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3)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평레일들(71)(72)(73)의 구동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들(L1)(L2)(L3)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제2 구동축(82)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모멘트로 인해 제1,2 수평레일(71)(72)에 전달되는 힘의 불균형을 제3 수평레일(73)이 상쇄시키므로 제1 포스트부재(2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재의 정밀한 위치제어 특히, X축 상에서의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제2 구동축(82)은 제2 구동모터(81)에 축결합되며 그 외측에 제1 포스트부재(20)의 배면부에 마련된 제2 구동축 결합부(25)가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제2 구동모터(81)를 구동시키면 제2 구동축(82)이 회전할 때 제1 포스트부재(20)는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스트부재(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2,3 수평레일(71)(72)(73)은 제1 포스트부재(20)를 둘러싼 세 지점에 삼각형 배치구조를 가지면서 구비되어 힘의 불균형 없이 제1 포스트부재(20)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이루어지며, 단일 구동축을 이용해 제1 포스트부재(20)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더블 구동축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슬라이딩시 발생할 수 있는 제어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포스트부재(20)의 X축 슬라이딩시 높은 가감속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제2 포스트부재가 제1 포스트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도 10은 제2 포스트부재, 수직가이드부재 및 제3 구동수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스트부재(20)에는 제2 포스트부재(30)가 상하로 관통 설치되어 수직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24)이 마련된다.
제2 포스트부재(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공이며 외측면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2 포스트부재(30)의 외측 전면부 중심에는 제1 수직레일(91)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제2 포스트부재(30)의 외측 양측면에서 뒷쪽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제2,3 수직레일(92)(93)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동공간(24)의 내측에는 제1,2,3 수직레일(91)(92)(93)과 맞물리는 복수 개의 수직가이드 블록(94)이 설치된다.
제2,3 수직레일(92)(93)은 제2 포스트부재(30)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는 제1 포스트부재(20)의 X축 방향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2 포스트부재(30)의 수직 높이 변화에 따른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수직레일(91)은 제2 포스트부재(30)의 전면부 중심에 설치된다. 이는 제2 포스트부재(30)의 수직방향 슬라이딩시 발생되는 제2 포스트부재(30)의 무게중심 변화로 인한 앞뒤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3 구동수단(100)은 제2 포스트부재(30)의 후방 중심에 설치된다. 제3 구동축(102)은 제2 포스트부재(30)의 후방 중심에 위치되고 제1 수직레일(91)은 제2 포스트부재(30)의 전면부 중앙에 위치되어, 제1 수직레일(91)과 제3 구동축(102)은 제2 포스트부재(30)를 중심으로 맞은편에 나란히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수직레일(91)이 제3 구동축(102)과 맞은편에 나란히 배치되면, 제3 구동축(102)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모멘트로 인해 제2,3 수직레일(92)(93)에 전달되는 힘의 불균형을 제1 수직레일(91)이 상쇄시키므로 제2 포스트부재(30)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재의 정밀한 위치제어 특히, Z축에서의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Z축 슬라이딩 구조(즉, 제2 포스트부재(30)를 둘러싼 세 개의 수직레일(91)(92)(93)이 삼각형 배치구조로 구비되는 구조)에 의하면, 제1 포스트부재(20)가 높은 가속도를 가지면서 X축 방향으로 이송할지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가공부재가 최저 위치로 위치된 상태에서 가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흔들림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견고한 Z축 이송구조를 가짐으로써, 제2 포스트부재(30)의 높은 가감속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구동축을 이용해 제1 포스트부재(20)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더블 구동축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슬라이딩시 발생할 수 있는 제어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1은 가이드블록과 포스트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2 포스트부재(20)(30)의 슬라이딩시 발생되는 열뿐만 아니라 주위 온도 변화(예컨대, 아침/점식/저녁에 따른 온도변화,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등)에 따른 열변형에 의해 제1,2 지지블록(12)(13)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열변형시 제1,2 지지블록(12)(13)의 변위와 제1 포스트부재(20)의 변위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1,2 포스트부재(20)(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평가이드블록(74)과 제1 포스트부재(20)의 블록 결합부(21)(22)(23) 사이에는 열에 의해 슬라이드 부분의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편차를 보완하여 제1 포스트부재(2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페이서(120)가 각각 구비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20)는 수평가이드블록(74)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121), 및 제1 포스트부재(20)의 블록 결합부(21)(22)(23)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122)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21)와 제2 결합부(122) 사이 중 일정구간에는 두 결합부(121)(122)를 상호 간격을 두고 분리시키는 분리부(123)가 형성된다.
분리부(123)로 인해 제1,2 결합부(121)(122)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다른 경우 상대적으로 탄성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2 지지블록(12)(13)의 열변형과 제1 포스트부재(20)의 열변형이 달라 슬라이드 부분에서 유격이 변화더라도 제1,2 결합부(121)(122)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통해 유격편차를 보완할 수 있으며, 제1 포스트부재(20)의 슬라이딩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결합부(121)의 양쪽으로 제2 결합부(122)가 각각 형성되며, 제1,2 결합부(121)(122) 사이에 분리부(123)가 형성된다. 제1,2 결합부(121)(122)는 중심부쪽에서만 일부 연결되고 나머지는 서로 분리된다. 제2 결합부(122) 중 제1,2 결합부(121)(122)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됨으로써, 제1,2 결합부(121)(122)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경우 상호간 미치는 힘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스페이서(120)는 주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스페이서(120)의 다른 실시형태의 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a) 내지 도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20)는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2)가 일부 영역에서만 결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 이를 쉽게 해소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스페이서를 말한다. 일부 영역의 두께나 크기는 힘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센서로 가공부재의 하강위치를 감지하여 안전위치에 도달할 경우 지정속도로 감속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2 포스트부재(30)의 하부에는 가공부재(t)가 장착되는 스핀들이 구비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재(t)는 가공속도를 높이기 위해 고속으로 하강하다가 피가공물(1)에 가까워지면서 가공부재(t)의 파손, 스핀들의 파손 및 피가공물(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으로 하강하도록 설정된다.
작업자의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실수로 작업자의 설정이 잘못된 경우나 가공부재(t)가 잘못 공급된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오류로 인해 가공부재(t)가 안전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저속으로 변환되는 경우 저속으로 변환되는 시점이 늦기 때문에 가공부재, 스핀들 및 피가공물의 파손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센서(130)를 통해 피가공물(1)의 높이를 감지하여 피가공물(1)의 높이에 따라 가공부재(t)의 안전위치가 자동 설정되도록 하고, 위치센서(130)로 가공부재(t)의 단부가 안전위치(s)까지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하강속도가 자동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가공부재(t)가 피가공물(1)에 안전 속도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위치센서(130) 및 길이 감지센서로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7은 가공부재 주변의 온도변화와 관계없이 가공부재가 일정한 높이에서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가공부재 주변의 온도가 변하게 되면 가공부재 뿐만 아니라 스핀들, 포스트부재 등에서 열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가공부재의 하강 위치에 변화를 주게 된다. 가공부재의 하강 위치에 변화가 있게 되면 피가공물의 정확한 가공지점에서 가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다른 부분의 가공이 이루어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공부재 주변 여러 곳(예컨대, 스핀들, 포스트부재 등)에 온도센서(140)를 구비하여 가공부재 주변의 온도변화를 감지한 후, 제어부(150)를 통해 온도변화에 맞게 가공부재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가공부재가 항상 일정한 높이에서 하강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정밀가공을 실현할 수 있고 가공부재, 스핀들 및 피가공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변화와 가공부재의 위치관계는 사전에 데이터화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18은 위치센서, 공구 길이센서 또는 온도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인 결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160)(161)를 2개 구비하고, 센서와 I/O모듈(170) 사이에 릴레이(18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정상상황에서는 제1 파워(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센서 및 릴레이(180)를 경유하여 I/O모듈(170)로 공급된다. 만일, 센서에서의 비정상작동에 의해 과전류나 단락이 발생되는 경우 릴레이(180)에서는 제1 파워(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제2 파워(161)로부터 I/O모듈(170)로 전원이 자동 공급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고가의 부품인 I/O모듈(1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제1지지블록과 제2지지블록의 외부에 커버를 설치하고 순환팬을 통해 냉각/발열된 공기를 커버에 의해 밀폐된 내부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제1지지블록(12)과 제2지지블록(13)의 외부에 커버(15)를 설치하여 밀폐된 공간 내부에는 냉각/발열장치(미도시)를 설치하고, 순환팬(191,192,193,194)을 통하여 냉각 또는 발열된 공기를 커버(15)에 의해 밀폐된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냉각/발열장치는 제1포스트 부재(20)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의 온도에 따라 냉각/발열장치의 가동을 자동으로 온/오프하여 제1 포스트 부재(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주변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온도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0은 기계 본체에 순환팬을 설치하여 밀폐 공간의 공기를 본체 하부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기계 본체의 하부에서 공기의 순환 흐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본체(10)에 순환팬 (195,196,197,198)을 설치하여 제1 포스트 부재(20)의 온도에 의해 제어된 밀폐 공간의 공기를 본체(10)의 하부로 순환(공기의 흐름은 화살표로 표시함)시키는 장치로 이를 통하여 제1 포스트 부재(20)와 본체(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베이스
12 : 제1 지지블록 13 : 제2 지지블록
15 : 커버 20 : 제1 포스트부재
21 : 제1 블록 결합부 22 : 제2 블록 결합부
23 : 제3 블록 결합부 24 : 이동공간
25 : 제2 구동축 결합부 30 : 제2 포스트부재
40 : 테이블 51 : 테이블 수평레일
60 : 제1 구동수단 61 : 제1 구동모터
62 : 제1 구동축 71 : 제1 수평레일
72 : 제2 수평레일 73 : 제3 수평레일
74 : 수평가이드블록 80 : 제2 구동수단
81 : 제2 구동모터 82 : 제2 구동축
91 : 제1 수직레일 92 : 제2 수직레일
93 : 제3 수직레일 94 : 수직가이드블록
100 : 제3 구동수단 101 : 제3 구동모터
102 : 제3 구동축 110 : 공구 공급부
120 : 스페이서 121 : 제1 결합부
122 : 제2 결합부 123 : 분리부
130 : 위치센서 140 : 온도센서
150 : 제어부 160,161 : 파워
170 : I/O모듈 180 : 릴레이
191,192,193,194,195,196,197,198 : 순환팬

Claims (15)

  1. 본체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물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포스트부재;
    본체 또는 다른 구성에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부재의 일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며, 세 개의 가이드레일이 상기 포스트부재를 둘러싸면서 삼각형 배치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본체 또는 다른 구성물에 장착되어 상기 포스트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는,
    상기 본체 또는 다른 구성물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포스트부재; 및
    상기 제1 포스트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제2 포스트부재;를 포함하며,
    세 개의 가이드레일이 포스트부재를 둘러싸면서 이루는 상기 삼각형 배치구조는 제1,2 포스트부재 모두에 적용되거나, 어느 하나에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2 포스트부재를 각각 슬라이딩시키도록 각각 구비되며, 각 구동수단은 제1,2 포스트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하나씩만 구비되는 단일 구동축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포스트부재의 수평 방향 가이드를 위해 구비되는 수평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 포스트부재의 수직 방향 가이드를 위해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 및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제1 지지블록 및 제2 지지블록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포스트부재는 상기 제1 지지블록과 제2 지지블록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지지블록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수평 설치되는 제1 수평레일;
    상기 제1 지지블록에서 제1 수평레일 하방에 제1 수평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수평레일;
    상기 제2 지지블록에 제1,2 수평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수평레일; 및
    상기 제1 포스트부재의 배면부 및 전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평레일들에 각각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은 상기 제1 지지블록에서 제1,2 수평레일 사이에 배치되되, 구동축은 제1,2 수평레일의 구동 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심에 위치되며, 제3 수평레일의 구동 중심은 제1,2 수평레일의 구동 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심에서 수직인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스트부재에는 상기 제2 포스트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 포스트부재의 전면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수직 설치되는 제1 수직레일;
    상기 제2 포스트부재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게 세로 방향으로 길게 수직 설치되는 제2,3 수평레일; 및
    상기 이동공간의 내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직레일들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수직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레일은 상기 제2 포스트부재의 전면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포스트부재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은 상기 제2 포스트부재의 후면 중심에 위치되어 구동축과 제1 수직레일의 구동중심을 잇는 선분은 상기 제2,3 수직레일의 구동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심과 수직으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지블록를 연결하여 두 지지블록을 견고히 잡아주며, 지지블록에 영향을 주는 온도변화로 인해 두 지지블록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격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수평가이드블록,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부재에 구비되어 수평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어, 온도변화로 인해 수평레일쪽과 제1 포스트부재 쪽에서 다른 열변위가 발생하더라도 그 열변위편차를 보상하여 제1 포스트부재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수평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블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결합부는 수평레일쪽과 제1 포스트부재 쪽에서 서로 다른 열변위가 발생할 때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재는 고속 하강하다가 안전 위치에서 감속되어 저속 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포스트부재 쪽에는 피가공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안전 위치를 자동 설정하도록 도와주고 그에 따라 설정되는 안전 위치에 가공부재가 도달함을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설치되고, 가공부재를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설치되는 공구 공급부에는 가공부재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가공부재 주변에는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가공부재의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블록과 상기 제2지지블록의 외부에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 의해 밀폐된 공간 내부에는 냉각/발열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냉각/발열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발열된 공기를 상기 커버에 의해 밀폐된 공간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발열장치는 상기 제1포스트부재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온도에 따라 가동이 온/오프되어 상기 제1포스트부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주변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 변위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순환팬이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순환팬을 통해 상기 제1포스트부재의 온도에 의해 제어된 밀폐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로 순환시켜 상기 본체와 상기 제1포스트부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KR1020150008776A 2015-01-19 2015-01-19 수치제어 공작기계 KR101668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76A KR101668062B1 (ko) 2015-01-19 2015-01-19 수치제어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76A KR101668062B1 (ko) 2015-01-19 2015-01-19 수치제어 공작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170A true KR20160089170A (ko) 2016-07-27
KR101668062B1 KR101668062B1 (ko) 2016-10-20

Family

ID=5661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76A KR101668062B1 (ko) 2015-01-19 2015-01-19 수치제어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0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1036A (zh) * 2017-09-27 2018-01-12 上海明索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数控机床的动梁锁紧机构
WO2019107663A1 (ko) * 2017-11-30 2019-06-06 현대위아(주) 공작기계
CN110449609A (zh) * 2019-08-15 2019-11-15 南京领锐科技有限公司 一种箱式三轴联动主轴箱架及其数控加工设备
KR20200060800A (ko) * 2018-11-23 2020-06-02 (주)케이엠씨 수치제어 공작기계
CN111633438A (zh) * 2020-07-02 2020-09-08 意特利(滁州)智能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滑枕框架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590A (ja) * 1993-01-28 1994-08-16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の熱変位補正装置
JPH0885045A (ja) * 1995-01-31 1996-04-02 Isao Murakami エアカット時間を短縮する旋削加工方法
KR960013171A (ko) 1994-10-19 1996-05-22 원형진 암반사면 녹화공법
JP2002200539A (ja) * 2000-10-04 2002-07-16 Makino Milling Mach Co Ltd 加工機械設備
JP2006021271A (ja) 2004-07-08 2006-01-26 Okuma Corp 工作機械
KR20090032675A (ko) 2007-09-28 2009-04-01 펭-티엔 첸 고속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cnc 공작 기계
KR20140131105A (ko) * 2013-05-03 2014-11-12 민병덕 수치제어 공작기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590A (ja) * 1993-01-28 1994-08-16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の熱変位補正装置
KR960013171A (ko) 1994-10-19 1996-05-22 원형진 암반사면 녹화공법
JPH0885045A (ja) * 1995-01-31 1996-04-02 Isao Murakami エアカット時間を短縮する旋削加工方法
JP2002200539A (ja) * 2000-10-04 2002-07-16 Makino Milling Mach Co Ltd 加工機械設備
JP2006021271A (ja) 2004-07-08 2006-01-26 Okuma Corp 工作機械
KR20090032675A (ko) 2007-09-28 2009-04-01 펭-티엔 첸 고속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cnc 공작 기계
KR20140131105A (ko) * 2013-05-03 2014-11-12 민병덕 수치제어 공작기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1036A (zh) * 2017-09-27 2018-01-12 上海明索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数控机床的动梁锁紧机构
WO2019107663A1 (ko) * 2017-11-30 2019-06-06 현대위아(주) 공작기계
US11426829B2 (en) 2017-11-30 2022-08-30 Hyundai Wia Corporation Machine tool
KR20200060800A (ko) * 2018-11-23 2020-06-02 (주)케이엠씨 수치제어 공작기계
CN110449609A (zh) * 2019-08-15 2019-11-15 南京领锐科技有限公司 一种箱式三轴联动主轴箱架及其数控加工设备
CN110449609B (zh) * 2019-08-15 2024-05-07 南京领锐科技有限公司 一种箱式三轴联动主轴箱架及其数控加工设备
CN111633438A (zh) * 2020-07-02 2020-09-08 意特利(滁州)智能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滑枕框架结构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062B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062B1 (ko) 수치제어 공작기계
KR101497075B1 (ko) 수치제어 공작기계
EP2745968B1 (en) Milling method for machining metallic member
US6634838B2 (en) NC machine tool
US10112274B2 (en) Machine tool
KR101724057B1 (ko) W축 이송부를 구비한 멀티 스핀들 머시닝 센터
US10513000B2 (en) Machine tool
KR20160090636A (ko) 더블 스핀들헤드 머시닝센터
CN108274248A (zh) 多面一体加工中心
KR20090111489A (ko) 이중 스핀들 구조를 가지는 수직형 머시닝센터
KR101713439B1 (ko) 멀티스핀들용 머시닝센터
KR102131240B1 (ko) 독립적인 위치제어가 가능한 더블 스핀들 구조를 갖는 머시닝센터
KR20150101207A (ko) 공작기계의 x축 이송장치
KR101801202B1 (ko) 다축 머시닝 센터
JP5597520B2 (ja) 工作機械
KR20180032869A (ko) 무급유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공작 기계의 새들 처짐 방지장치
KR102530360B1 (ko) 듀얼 헤드부와 미세조정부를 갖는 머시닝 센터
JP2018001308A (ja) マシニングセンター
KR100441223B1 (ko) 수직 머시닝 센터
KR100738390B1 (ko) 에이티씨 컬럼 내장형 극협 수직 머시닝 센터
JP6721805B1 (ja) 工作機械
RU2727133C1 (ru) Токарный обрабатывающий центр
JP2009279681A (ja) 加工機におけるマルチ加工ユニット
JP7189260B2 (ja) 工作機械
KR102058154B1 (ko) 헤드 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머시닝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