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897A -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897A
KR20160088897A KR1020167015868A KR20167015868A KR20160088897A KR 20160088897 A KR20160088897 A KR 20160088897A KR 1020167015868 A KR1020167015868 A KR 1020167015868A KR 20167015868 A KR20167015868 A KR 20167015868A KR 20160088897 A KR20160088897 A KR 2016008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pichlorohydrin
dichloropropanol
reaction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992B1 (ko
Inventor
필립 크라프트
파트릭 길보
Original Assignee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6008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2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reparation process or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25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urification method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08G59/06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 C08G59/063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with epihalohydr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08G59/06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 C08G59/08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from phenol-aldehyde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solvents, plasticisers or unreac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poxy Compounds (AREA)

Abstract

에폭시 수지와 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디클로로프로판올을,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및 염기성 제제와 반응시켜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 때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반응 동안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Y RESIN}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특히 출발 재료로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폭시 수지는 "코팅" 적용 분야 또는 "구조" 적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코팅" 적용 분야는 두 서너 가지 예만 들어보자면 해양 산업 분야(예를 들어, 선박에 있어서 부식 방지 코팅), 금속 용기 분야(예를 들어, 식료품용으로서 사용되는 캔), 코일 코팅 분야, 및 자동차용 코팅 분야에서 발견될 수 있다.
"구조" 적용 분야는 두 서너 가지 예만 들어보자면 복합재(예를 들어, 유리, 붕소 또는 흑연을 기반으로 한 강화 섬유), 토목 공학 분야, 바닥 피복재 분야, 건설 분야, 전기 적층판(인쇄 회로) 분야, 전기 및 전자 적용 분야(예를 들어, 변압기 및 절연체), 접착제 분야, 그리고 툴링(tooling) 분야(예를 들어, 원형 및 금형)에서 발견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출발 재료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하여 산업상 얻어지고,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디클로로프로판올의 탈염화수소화 작용에 의해 별도의 선행 단계에서 산업상 얻어진다.
SOLVAY
Figure pct00001
Anonyme의 이름으로 출원된 국제 출원 WO 2005/054167은 하나의 단일 단계에서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출발 재료로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간단하긴 하지만, 상기 방법의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의 기회는 아직 남아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와 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디클로로프로판올을,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및 염기성 제제와 반응시켜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반응 동안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들 중 하나는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반응 동안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동일계 내에서 형성하는 것에 있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동일계 내 형성이 무엇보다도 얻어진 에폭시 수지의 분자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얻어진 에폭시 수지의 점도를 낮출 수 있고/있거나, 상기 에폭시 수지에서 발견된 유기 염소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회수될 수 있다.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회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한 분획은 반응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한 분획은 바람직하게 반응으로 재순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회수되고,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한 분획은 반응으로 재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재순환은, 외부 용매 없이도 염에서 덜 농축된 반응 매질의 사용으로, 방법의 복잡성이 줄어든다(예를 들어, 침전물이 덜 생성된다든지, 아니면 교반에 의해 균질화가 더 용이해짐)는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별도 산업상 생산에 있어서의 투자를 회피하고, 연관 투자 비용도 절약되면서, 전통적 방법과 경쟁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에폭시 수지"란 표현은 자체의 화학식이 1 개 이상의 2,3-에폭시프로필옥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에폭시 수지는 바람직하게 중합체이다.
단량체의 예들은, 예를 들어 모노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이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DGEBA) 또는 이소소르비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1,4:3,6-디안하이드로-D-소르비톨의 디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디글리시딜 에테르일 수 있다.
"중합체"라는 용어는 공유 결합들에 의해 종종 반복적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여러 개의 단위들(이러한 단위들은 반복 단위라 지칭됨)을 포함하는 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복 단위들의 수는 0보다 크다. 중합체는 1 개 이상 유형의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가 오로지 하나의 유형의 반복 단위만을 포함할 때, 해당 중합체는 동종 중합체라고 알려져 있다. 중합체가 하나 초과 유형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때, 해당 중합체는 공중합체라고 알려져있다. 공중합체는 문헌[“Polymer Science Dictionary, M.S.M.,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and New York, 1989, page 86]에 기술된 바와 같이 통계학적, 교번적 또는 블록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에폭시 수지의 화학식의 예들은 도 1에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에폭시 수지는 바람직하게 ASTM D 1763-00(2005) 표준(제목 "Standard Specifications for Epoxy Resins")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I형 1등급 A군에서 H군 수지들, 제II형 1등급 A군에서 F군 수지들, 제VI형 1등급 A군 수지들, 및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에폭시 수지는 더 바람직하게 액체 에폭시 수지이다. "액체 에폭시 수지"라는 표현은 ASTM D 1763-00(2005) 표준(제목 "Standard Specifications for Epoxy Resins")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I형 1등급 A군 및 B군 수지들, 제II형 1등급 A군, B군 및 C군 수지들, 제IV형 1등급 A군 내지 D군 수지들, 제V형 1등급 A군 및 B군 수지들, 및 제VI형 1등급 A군 수지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이란 1,3-디클로로프로판-2-올, 2,3-디클로로프로판-1-올 및 이것들의 혼합물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질적으로 1,3-디클로로프로판-2-올과 2,3-디클로로프로판-1-올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1,3-디클로로프로판-2-올 및 2,3-디클로로프로판-1-올의 혼합물에서, 2 개의 디클로로프로판올 이성체의 총 함량에 대한 1,3-디클로로-2-프로판올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100 g/㎏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300 g/㎏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400 g/㎏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750 g/㎏ 이상이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800 g/㎏ 이상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900 g/㎏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20 g/㎏ 이상이다. 혼합물 중 1,3-디클로로-2-프로판올의 이러한 함량은 일반적으로 990 g/㎏ 이하이고, 보통은 960 g/㎏ 이하이다. 함량 925 g/㎏, 930 g/㎏, 935 g/㎏, 940 g/㎏, 945 g/㎏, 950 g/㎏ 또는 955 g/㎏이 특히 편리하다. 또한 본질적으로 1,3-디클로로-2-프로판올로 구성된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은 몇몇 방법들, 예를 들어 염화알릴 하이포염소화(hypochlorination) 방법, 알릴 알코올 염소화 방법, 글리세롤 하이포염소화 방법, 글리세롤 모노클로로히드린 하이포염소화 방법, 에피클로로히드린 하이포염소화 방법, 문헌들 WO 1997/48667, US 6,350,922 및 US 5,744,655에 기술된 바와 같은 2,3-디클로로프로피온알데히드 수소화 방법, 문헌 WO 2005/116004에 기술된 바와 같은 1,2-디클로르에틸렌 하이드로포르밀화 방법, 문헌들 WO 2005/097722 및 WO 2003/064357에 기술된 바와 같은 1,3-디클로로아세톤 수소화 방법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2,3-디클로로프로피온알데히드 자체는 문헌 US 2,860,146 및 WO 2005/11600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아크롤레인의 염소화 및/또는 1,2-디클로로에틸렌의 하이드로포르밀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1,3-디클로로아세톤 자체는 출원 WO 2005/097722 및 WO 2005/115954에 기술된 바와 같이 1,3-디브로모아세톤으로부터 출발하는 브롬/염소 교환 및/또는 아세톤의 염소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아크롤레인은 프로필렌의 선택적 산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1,2-디클로로에틸렌은 에탄으로부터 출발하는 염화비닐의 합성의 부산물일 수 있고/있거나 아세틸렌의 염소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아세틸렌은, 예를 들어 문헌[Industrial Organic Chemistry, Third, Completely Revised Edition, VCH, 1997, pp. 93-98]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 예를 들어 탄화칼슘의 가수분해 및/또는 탄화수소, 미정제 오일, 심지어 석탄의 열분해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1,3-디브로모아세톤은 문헌 WO 2005/115954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세톤의 브롬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아세톤 자체는 종래의 방법들, 예를 들어 문헌[Industrial Organic Chemistry, Third, Completely Revised Edition, VCH, 1997, pp. 276-277 and 347-355]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이드로과산화큐멘의 분해, 이소프로판올의 탈수소화 및/또는 프로필렌의 산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적어도 일부분은 바람직하게 글리세롤과 염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 및/또는 염화알릴과 하이포염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 및/또는 알릴 알코올과 염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 및/또는 2,3-디클로로프로피온알데히드와 수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 및/또는 1,2-디클로로에틸렌과 하이드로포르밀화 제제 사이의 반응 및/또는 1,3-디클로로아세톤과 수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은 더 바람직하게 글리세롤과 염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 및/또는 염화알릴과 하이포염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SOLVAY의 이름으로 출원된 특허 출원 WO 2005/054167, WO2006/100311, WO2006/100312, WO2006/100313, WO2006/100314, WO2006/100315, WO2006/100316, WO2006/100317, WO2006/106153, WO2007/054505, WO2006/100318, WO2006/100319, WO2006/100320, WO2006/106154, WO2006/106155, WO2007/144335, WO2008/107468, WO2008/101866, WO2008/145729, WO2008/110588, WO2009/000773, WO2009/043796호, WO2009/121853, WO2009/077528, WO2010/066660, WO2010/029039 및 WO 2010/029153(이와 같은 특허 출원들의 내용들은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서 포함되어 있음)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글리세롤과 염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적어도 일부분이 글리세롤과 염소화 제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얻어질 때, 상기 염소화 제제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2005/054167(SOLVAY SA)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염화수소를 함유한다. 염화수소는 염화수소 기체의 형태, 또는 염화수소 수용액의 형태, 또는 이것들 2 개의 혼합물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화수소 기체의 형태, 또는 염화수소 기체와 수용액의 혼합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글리세롤은 화석 또는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재생 가능한 재료로부터 얻어진 글리세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적당한 글리세롤은 식물이나 동물 기원의 지방 또는 오일의 전환, 예를 들어 비누화, 에스테르 결합 전이 반응 또는 가수분해 반응 동안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적당한 글리세롤은 동물성 지방의 전환 동안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적당한 또다른 글리세롤은 바이오디젤 제조 동안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적당한 또다른 글리세롤은 지방산 제조 동안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적당한 또다른 글리세롤은 지방 알코올 제조 동안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은 바람직하게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부터 얻어진 글리세롤의 염화수소첨가(hydrochlorination)에 의해 얻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은 보통 90 중량%보다 높은 순도,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의 순도, 더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상의 순도,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9.9 중량% 이상의 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은 임의의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재생 가능한 원재료, 화석 원재료 및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었다. 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부터 얻어진다.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폴리올,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아민, 아미노 알코올,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노아미드, 폴리이민, 산 모노페놀 또는 폴리페놀, 그리고 이 화합물들 중 2 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은 더 바람직하게 비스페놀 A(4,4'-디하이드록시-2,2-디페닐프로판,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4,4'-이소프로필리덴비스(2,6-디브로모페놀)), 비스페놀 AF(4,4'-[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헥사플루오로비스페놀 A(4,4'-디하이드록시-2,2-디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1,1,2,2-테트라(p-하이드록시페닐)에탄, 테트라메틸비스페놀(4,4'-디하이드록시-3,3',5,5'-테트라메틸비스페놀), 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1,1',7,7'-테트라하이드록시디나프틸메탄, 4,4'-디하이드록시-α-메틸스틸벤, 비스페놀 A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비스페놀 A 노볼락), 페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F(디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의 o,o', o,p' 및 p,p' 이성체들의 혼합물), 크레솔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메틸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의 o,o', o,p' 및 p,p' 이성체들의 혼합물), 페놀 그리고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알킬화 생성물(2,5-비스[하이드록시페닐]옥타하이드로-4,7-메타노-5H-인덴), 페놀 그리고 글리옥살의 축합 생성물(테트라키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페놀 그리고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1,1,3-트리스(p-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그리고 이것들 중 2 개 이상의 혼합물들, 또는 p-아미노페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3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 당, 당으로부터 유래하는 폴리올, 산 폴리페놀, 이의 임의의 유도체, 그리고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이다. 폴리올은 SOLVAY S.A.의 이름으로 출원된 국제 출원 EP2011/066689(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서 포함되어 있음), 더 구체적으로는 12 페이지 5 행에서 16 페이지 13 행의 내용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폴리올이 당으로부터 유래하는 생성물일 때, 당으로부터 유래하는 생성물은 바람직하게 당 무수물, 당의 환원 생성물,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환원 생성물, 푸르푸랄의 디푸란 유도체, 그리고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당으로부터 유래한 생성물이 당 무수물일 때, 이는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요오다이드 및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 무수물은 더 바람직하게 이소소르비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염기성 화합물은 유기 또는 무기 염기성 화합물일 수 있다. 유기 염기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아민, 포스핀 및 암모늄, 포스포늄 또는 아르소늄 수산화물들이다. 무기 염기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무기 화합물"이란 표현은 탄소-수소 결합을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무기 염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탄산수소염, 인산염, 인산수소염 및 붕산염, 그리고 이것들 중 2 개 이상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염기성 제제는 바람직하게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탄산수소염 및 이것들 중 2 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염은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염화물들과, 이것들 중 2 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산화물과 수산화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염기성 화합물은 액체, 본질적으로 무수인 고체, 수화 고체, 수용액 및/또는 유기 용액 또는 수성 현탁액 및/또는 유기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본질적으로 무수인 고체, 수화 고체, 수용액 또는 수성 현탁액의 형태이다.
"본질적으로 무수인 고체"라는 표현은 물 함량이 20 g/kg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g/kg 이하,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 g/kg 이하인 고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수화 고체"라는 표현은 물 함량이 20 g/kg 이상 및 700 g/kg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g/kg 이상 및 650 g/kg 이하, 그리고 특히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 g/kg 이상 및 630 g/kg 이하인 고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물 분자와 물질들의 고체 조합을 의미하는 수화물은 수화 고체의 예이다.
염기성 화합물이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될 때, 이 화합물의 수용액 중 함량은 일반적으로 20 g/㎏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g/㎏ 이상,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이다. 이러한 함량은 일반적으로 반응 온도에서 수 중 염기성 고체의 용해도보다 낮거나 동일하다.
염기성 화합물이 수성 현탁액 형태로 사용될 때, 이 화합물의 수성 현탁액 중 함량은 일반적으로 반응 온도에서 수 중 염기성 고체의 용해도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20 g/kg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 g/kg 이상이다. 이러한 함량은 일반적으로 400 g/k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0 g/kg 미만이다.
바람직한 염기성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슘의 농축된 수용액 또는 수성 현탁액의 형태이거나 정제된 가성 염수의 형태이다.
수산화나트륨 현탁액 또는 용액 중 수산화나트륨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30 g/㎏ 이상, 보통은 40 g/㎏ 이상, 특히 60 g/㎏ 이상이고, 다수의 경우에서는 100 g/㎏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g/㎏ 이상이다. 이 수산화나트륨 함량은 일반적으로 300 g/㎏ 이하, 통상적으로는 250 g/㎏ 이하, 종종 200 g/㎏ 이하, 그리고 유리하게는 160 g/㎏ 이하이다. 함량 125 g/㎏, 130 g/㎏, 135 g/㎏, 140 g/㎏, 145 g/㎏, 150 g/㎏ 및 155 g/㎏이 특히 편리하다.
본 명세서에서 "정제된 가성 염수"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격막 전해 공정에서 생성된 것과 같은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산화나트륨을 의미한다. 정제된 가성 염수의 수산화나트륨 함량은 일반적으로 30 g/k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 g/kg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60 g/kg 이상이다. 이 수산화나트륨 함량은 일반적으로 300 g/k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50 g/kg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00 g/kg 이하이다. 정제된 가성 염수의 염화나트륨 함량은 일반적으로 30 g/k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g/kg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 g/kg 이상이다. 이 염화나트륨 함량은 일반적으로 250 g/k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g/kg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80 g/kg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확립되는 산업 현장의 이용가능성 및 경제적 최적화에 따라 수 개의 염기성 제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들 혼합물을 생성하기에 바람직한 염기성 제제는 석회수 및 수산화나트륨의 용액 및 정제된 가성 염수의 용액, 예를 들어 석회수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혼합물, 석회수 및 정제된 가성 염수의 혼합물이다. 이들 혼합물은 이들 염기성 제제 중 둘 이상의 임의의 상대 비율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염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 금속 할로겐화물, 황산염, 황산수소, 수산화물, 탄산염, 탄산수소, 인산염, 인산수소, 붕산염 및 이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할로겐화물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염화물이 더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이 훨씬 더 바람직하고, 염화나트륨이 특히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이란, 반응 동안 형성되어 반응 매질 중에 축적되기에 충분히 안정적인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반응 매질 중에서 검출될 수 있고, 가능하게는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검출은, 예를 들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분석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분리는, 예를 들어 증발과 같은 임의의 분리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형성되자마자 소모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에 대한 이전의 요구 조건들에 따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에, 다른 방법에서 얻어진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반응 단계에, 더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프로판올과 함께 첨가된다.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은, 예를 들어 염기성 화합물을 통하여 디클로로프로판올의 탈염화수소화 방법으로부터 기원할 수 있거나, 염화알릴 에폭시화 방법으로부터 기원할 수 있거나, 또는 2 가지의 방법의 조합으로부터 기원할 수 있다. 염화알릴 에폭시화 방법들 가운데, 과산화수소를 통한 에폭시화 방법이 바람직하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디클로로프로판올의 탈염화수소화,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화합물과 디클로로프로판올의 탈염화수소화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다른 방법으로 얻어진 에피클로로피드린이 존재할 때, 이것의 적어도 일부분은, 바람직하게 디클로로프로판올과 1 개 이상의 염기성 화합물 사이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다른 방법으로 얻어진 에피클로로피드린이 디클로로프로판올의 탈염화수소화에 의하여 얻어질 때,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바람직하게 주요 생성물로서 임의의 방법에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회수될 수 있다.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한 분획은 반응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회수되고,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한 분획은 반응으로 재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상이 회수된다. 이 백분율은 바람직하게 99.9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상이 반응으로 재순환된다. 이 백분율은 바람직하게 99.9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회수되어 반응으로 재순환되는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다른 방법으로 얻어져서 반응에 첨가되는 에피클로로히드린 사이의 비율은 보통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상이다. 이 비율은 보통 99.9 중량%보다 낮다. 다른 방법으로 얻어진 에피클로로히드린이 실질적으로 반응에 첨가되지 않는 방법이 특히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은 임의의 적절한 분리 방법 또는 분리 방법들의 조합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특히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액체 상분리 단계를 1 개 이상 포함하는 방법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은 용매로서 간주되지 않는다. 용매는 알코올, 케톤, 지방족 니트릴, 에틸렌글리콜에테르 및 이것들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 1 개 이상,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1 개 이상, 기타 다른 방법으로 얻어진 에피클로로히드린 1 개 이상, 염기성 제제 1 개 이상, 및 용매 1 개 이상은 바람직하게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디클로로프로판올 1 개 이상,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1 개 이상, 염기성 제제 1 개 이상, 사용 가능한 용매 1 개 이상, 그리고 기타 다른 방법으로 얻어진 에피클로로히드린 1 개 이상은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은 보통 반응 대역에서 수행된다. "반응 대역"이란 표현은 적어도 디클로로프로판올, 활성 수소 원자 1 개 이상을 함유하는 화합물과, 염기성 화합물이 존재하는 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응 용매는 선택적으로 반응 대역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불연속적 또는 연속적 또는 반연속적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속적 방식이란,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염기성 제제가 반응 대역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에폭시 수지는 공정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회수되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불연속적 방식이란, 임의의 기타 다른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반연속적 방식은 불연속적 방식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라는 용어는 실질적으로 중단이 없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중단은 실질적으로 공급 또는 회수 흐름의 중단 지속기간이 총 공급 또는 회수 지속기간의 5%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초과,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5% 초과에 이르는 때로서 간주된다. 불연속적 작동 방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 대역에 공급된, "디클로로프로판올 mol"로 표현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양과, "활성 수소 원자 mol"로 표현되는, 활성 수소 원자 1 개 이상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양 사이의 비율은 보통 0.1 이상, 빈번하게는 0.3 이상, 종종 0.6 이상, 특히 0.9 이상, 그리고 보다 특히 0.95 초과이다. 이 비율은 보통 10 이하, 빈번하게는 8 이하, 종종 5 이하, 특히 3 이하, 보다 특히 2 이하, 그리고 훨씬 더 특히 1.5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 변형예에서, 반응 대역에 공급된, "디클로로프로판올 mol"로 표현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양과, "활성 수소 원자 mol"로 표현되는, 활성 수소 원자 1 개 이상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양 사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1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그리고 보다 특히 10 초과이다. 이 비율은 바람직하게 10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 50 이하이며, 훨씬 더 바람직하게 40 이하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 30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반응 동안 동일계 내에서 형성되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염을 생성하기 위하여 디클로로프로판올을,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및 염기성 제제의 반응에 의해 에폭시 수지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 대역에 공급된, "에피클로로히드린 mol"로 표현되는 재순환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양과, "디클로로프로판올 mol"로 표현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양 사이의 비율은 보통 0.01 이상, 일반적으로는 0.1 이상, 빈번하게는 0.3 이상, 종종 0.5 이상이고, 다수의 경우에는 0.7 이상이며, 특히 0.9 이상이다. 이 비율은 바람직하게 0.999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995이하이며, 특히 0.99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이 반응 대역에서 수행될 때 상기 반응 대역에는 디클로로프로판올,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염기성 제제 및 재순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이 공급되고,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
·반응 대역에 공급된, "디클로로프로판올 mol"로 표현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양과, "활성 수소 원자 mol"로 표현되는, 활성 수소 원자 적어도 1 개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양 사이의 비율은 0.1 이상 및 10 이하임,
·반응 대역에 공급된, "재순환된 에피클로로히드린 mol"로 표현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양과, "디클로로프로판올 mol"로 표현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양 사이의 비율은 0.01 이상 및 0.999 이하임
과 같은 특성들 중 1 개 이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은 보통 0℃ 이상, 종종 10℃ 이상, 빈번하게는 20℃ 이상, 그리고 특히 3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온도는 일반적으로 140℃ 이하이고, 종종 120℃ 이하이며, 빈번하게는 110℃ 이하이고, 특히 1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은 보통 0.01 bar 절대값 이상, 종종 0.02 bar 절대값 이상, 빈번하게는 0.04 bar 절대값 이상, 그리고 특히 0.1 bar 절대값 이상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상기 압력은 일반적으로 5 bar 절대값 이하, 종종 3 bar 절대값 이하, 빈번하게는 2 bar 절대값 이하, 그리고 특히 1.1 bar 절대값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연속적 방식으로 수행될 때, 반응 대역에 공급된,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가능하게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체적 유량율들의 총합으로 나누어진 반응 대역의 체적에 의해 정의되는 체류 시간은 0.5 시간 이상, 종종 1 시간 이상, 빈번하게는 2 시간 이상, 그리고 특히 3 시간 이상이다. 상기 체류 시간은 일반적으로 24 시간 이하, 종종 15 시간 이하, 빈번하게 10 시간 이하, 특히 7 시간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불연속적 방식으로 수행될 때,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 시간 이상, 종종 2 시간 이상, 빈번하게는 3 시간 이상, 그리고 특히 4 시간 이상이다. 상기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24 시간 이하, 종종 20 시간 이하, 빈번하게는 15 시간 이하, 특히 12 시간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염기성 제제가 수산화나트륨이고 염이 염수로서 얻어진 염화나트륨일 때, 방법은 바람직하게 염수를 처리하여 자체의 전 유기 탄소량을 줄이는 단계, 처리된 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 염소 및 가성 소다를 생성하는 단계, 수소와 염소를 반응시켜 염화수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염화수소와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염화수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수소와 염소를, 수소와 염소간 몰비 1 이하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방법에서 소모된 염화수소와 본 방법에서 생성된 염화나트륨(염소 원소(Cl)로서 표현됨) 사이의 몰비가 0.9 이상인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염화수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수소와 염소를, 수소와 염소간 몰비 1 이하로 반응시켜 얻어지고, 본 방법에서 소모된 염화수소와, 본 방법에서 생성된 염화나트륨(염소 원소(Cl)로서 표현됨) 사이의 몰비는 0.9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비제한적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부터 얻어진 글리세롤인 제1 흐름은 제1 라인(1)을 통하여 제1 용기(4)로 공급된다. 염화수소인 제2 흐름(기체)은 제2 라인(2)을 통하여 제1 용기(4)에 수용액 또는 기체와 수용액의 혼합물로서 공급된다. 촉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인 제3 흐름은 제3 라인(3)을 통하여 제1 용기(4)에 공급된다. 제1 용기(4)는 반응기 및 분리 장치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클로로프로판올인 제4 흐름은 제4 라인(5)을 통하여 제1 용기(4)로부터 회수되어, 제2 용기(6)로 공급된다. 또한 제2 용기(6)에는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인 제5 흐름이 제5 라인(7)을 통하여 도입되고, 수산화나트륨인 제6 흐름이 제6 라인(8)을 통하여 도입된다. 에폭시 수지인 제7 흐름은 제7 라인(9)을 통하여 제2 용기(6)로부터 회수되며, 이 흐름은 저장소로 보내어져 정제와 같은 추가의 공정을 거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반응을 위한 기타 다른 장치로 보내어질 수 있다.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제2 용기(6) 내 에피클로로히드린인 제8 흐름은 제2 용기(6)로부터 회수되어, 제8 라인(10)을 통하여 제2 용기(6)로 재순환된다. 제2 용기(6) 내에서 형성되지 않은 에피클로로히드린인 제9 흐름은 또한 제9 라인(11)을 통하여 제2 용기(6)로 공급될 수 있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인 제8 흐름의 일부는 제10 라인(12)을 통하여 에피클로로히드린인 제9 흐름에 제10 흐름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재순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인 제8 흐름의 일부는 제11 라인(13)을 통하여 제11 흐름으로서 회수될 수 있으며, 저장소로 보내어져 정제와 같은 추가의 공정을 거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반응을 위한 기타 다른 장치로 보내어질 수 있다. 염수인 제12 흐름은 제12 라인(14)을 통하여 제2 용기(6)로부터 회수되어, 제3 용기(15)로 공급된다. 제3 용기(15)에는 또한 산화제, 바람직하게는 "활성 염소"를 함유하는 제13 흐름이 제13 라인(16)을 통하여 공급된다. "활성 염소"라는 표현은 분자 염소, 그리고 이 분자 염소와 물, 염화물 이온 또는 염기성 제제,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 삼염화물 이온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반응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염수인 제14 흐름은 제14 라인(17)을 통하여 제3 용기(16)로부터 회수되어, 제4 용기(18)로 공급된다. 염수인 제15 흐름은 제15 라인(19)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기인 제16 흐름은 제16 라인(20)을 통하여 제4 용기(18)에 공급된다. 수산화나트륨인 제17 흐름은 제17 라인(21)을 통하여 제4 용기(18)로부터 회수되어, 제2 용기(6)에 공급된다. 수산화나트륨인 제17 흐름의 일부는 제18 라인(22)을 통하여 수산화나트륨인 제6 흐름에 제18 흐름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인 제17 흐름의 일부는 제19 라인(23)을 통하여 제19 흐름으로서 회수될 수 있다. 수소인 제20 흐름은 제20 라인(24)을 통하여 제4 용기(18)로부터 회수되어, 제5 용기(25)로 공급된다. 또한 염소인 제21 흐름은 제21 라인(26)을 통하여 제4 용기(18)로부터 회수되어 제5 용기(25)로 공급된다. 염화수소인 제22 흐름은 제5 용기(25)로부터 회수되어, 제22 라인(27)을 통하여 제1 용기(4)로 공급된다. 염화수소인 제22 흐름의 일부는 제23 라인(28)을 통하여 제23 흐름으로서 염화수소인 제2 흐름에 첨가될 수 있다.
용기들(4, 6, 15, 18 및 25)은, 1 개 이상의 불연속적 또는 연속적 반응기들을 포함한 임의의 널리 알려진 적당한 유형의 반응 용기들, 및 예를 들어 1 개 이상의 증류 컬럼, 증발장치, 스트리퍼(stripper), 침강장치, 흡착장치, 흡수장치, 이온 교환 장치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 임의의 널리 알려진 적당한 유형의 분리 용기들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용기(18)는, 수은 전지, 격막 전지 및 막 염소-알칼리 전기분해 전지를 포함한, 전기 분해에 적당한 임의의 널리 알려진 유형의 전지를 포함한다.

Claims (15)

  1. 에폭시 수지와 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디클로로프로판올을,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및 염기성 제제와 반응시켜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이 때 에피클로로히드린이 반응 동안 동일계 내에서 형성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ASTM D 1763-00(2005) 표준(제목 "Standard Specifications for Epoxy Resins")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I형 1등급 A군에서 H군 수지들, 제II형 1등급 A군에서 F군 수지들, 제VI형 1등급 A군 수지들, 및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에폭시 수지는 바람직하게 ASTM D 1763-00(2005) 표준(제목 "Standard Specifications for Epoxy Resins")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I형 1등급 A군 및 B군 수지들, 제II형 1등급 A군, B군 및 C군 수지들, 제VI형 1등급 A군 수지들, 및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에폭시 수지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은 비스페놀 A(4,4'-디하이드록시-2,2-디페닐프로판,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4,4'-이소프로필리덴비스(2,6-디브로모페놀)), 비스페놀 AF(4,4'-[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헥사플루오로비스페놀 A(4,4'-디하이드록시-2,2-디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1,1,2,2-테트라(p-하이드록시페닐)에탄, 테트라메틸비스페놀(4,4'-디하이드록시-3,3',5,5'-테트라메틸비스페놀), 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1,1',7,7'-테트라하이드록시디나프틸메탄, 4,4'-디하이드록시-α-메틸스틸벤, 비스페놀 A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비스페놀 A 노볼락), 페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F(디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의 o,o', o,p' 및 p,p' 이성체들의 혼합물), 크레솔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메틸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의 o,o', o,p' 및 p,p' 이성체들의 혼합물), 페놀 그리고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알킬화 생성물(2,5-비스[하이드록시페닐]옥타하이드로-4,7-메타노-5H-인덴), 페놀 그리고 글리옥살의 축합 생성물(테트라키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페놀 그리고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1,1,3-트리스(p-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그리고 이것들 중 2 개 이상의 혼합물들, 또는 p-아미노페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이거나, 또는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은 폴리페놀, 당, 바람직하게는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요오다이드 및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당, 당 유래 폴리올, 산 폴리페놀, 이의 임의의 유도체, 그리고 이것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제제는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탄산수소, 그리고 이것들 중 2 개 이상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염은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염화물, 그리고 이것들 중 2 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회수되고,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한 분획은 반응으로 재순환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계 내에서 형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액체 상분리 단계를 1 개 이상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된 에피클로로히드린 중 50% 이상은 반응으로 재순환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다른 방법으로 얻어진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디클로로프로판올,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다른 방법으로 얻어진 에피클로로히드린, 염기성 제제 및 용매 중 하나 이상은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부터 얻어지는 방법.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반응 대역에서 수행되고, 상기 반응 대역에는 디클로로프로판올,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염기성 제제, 및 재순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이 공급되고,
    ·반응 대역에 공급된, "디클로로프로판올 mol"로 표현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양과, "활성 수소 원자 mol"로 표현되는, 활성 수소 원자를 1 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의 양 사이의 비율은 0.1 이상 및 10 이하임,
    ·반응 대역에 공급된, "에피클로로히드린 mol"로 표현되는 재순환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양과, "디클로로프로판올 mol"로 표현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양 사이의 비율은 0.01 이상 및 0.999 이하임
    과 같은 특성들 중 1 개 이상을 나타내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연속적 방식으로 수행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제제는 가성 소다이고, 상기 염은 전 유기 탄소량을 나타내는 염수로서 얻어진 염화나트륨이며, 염수를 처리하여 자체의 전 유기 탄소량을 줄이는 단계, 처리된 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 염소 및 가성 소다를 생성하는 단계, 수소와 염소를 반응시켜 염화수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염화수소와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소 적어도 일부분은 수소와 염소를, 수소와 염소간 몰비 1 이하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소모된 염화수소와 상기 방법에서 생성된 염화나트륨(염소 원소(Cl)로 표현됨) 사이의 몰비가 0.9 이상인 방법.
KR1020167015868A 2013-11-20 2013-11-20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90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74247 WO2015074684A1 (en) 2013-11-20 2013-11-20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y res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897A true KR20160088897A (ko) 2016-07-26
KR102090992B1 KR102090992B1 (ko) 2020-03-20

Family

ID=4967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868A KR102090992B1 (ko) 2013-11-20 2013-11-20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0992B1 (ko)
WO (1) WO2015074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7067B (zh) * 2020-06-02 2023-01-06 江苏扬农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环氧氯丙烷精馏釜残合成环氧树脂的方法
CN112898534B (zh) * 2021-01-21 2023-01-13 江苏扬农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和其在环氧地坪中的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614A (ko) * 2007-06-12 2010-03-23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함유하는 생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다양한 응용분야에서의 용도
KR20100139058A (ko) * 2008-03-25 2010-12-3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액체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10059757A (ko) * 2008-09-10 2011-06-03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클로로히드린, 에폭시드, 디올, 디올 유도체 또는 에폭시 유도체의 제조 방법
CN102675251A (zh) * 2012-05-07 2012-09-19 西安汉术化学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二氯丙醇生产环氧氯丙烷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0146A (en) 1955-04-14 1958-11-11 Shell Dev Manufacture of epihalohydrins
BE576372A (ko) * 1958-03-07
NL110669C (ko) * 1959-03-17
US4412056A (en) * 1981-12-22 1983-10-25 Shell Oil Company Polyglycidyl eth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curable compositions
US5744655A (en) 1996-06-19 1998-04-28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to make 2,3-dihalopropanols
EP1140751B1 (en) 1998-12-18 2004-03-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making 2,3-dihalopropanols
US20040030199A1 (en) 2002-01-29 2004-02-12 Maughon Robert R. Process for reducing alpha-haloketones to secondary alpha-haloalcohols
KR101009858B1 (ko) 2003-11-20 2011-01-19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DE602005021209D1 (de) 2004-03-31 2010-06-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3-dichloraceton
WO2005115954A2 (en) 2004-05-21 2005-12-0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prepariing 1,3-dibromoacetone, 1-3-dichloroacetone and epichlorohydrin
ATE401318T1 (de) 2004-05-21 2008-08-1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pichlorohydrin aus ethan
TWI321129B (en) 2005-05-20 2010-03-01 Solvay Process for preparing a chlorohydrin
EP1948583A2 (en) 2005-11-08 2008-07-30 Solvay S.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dichloropropanol by chlorination of glycerol
EA200970011A1 (ru) 2006-06-14 2009-06-30 Солвей (Сосьете Аноним) Неочищенный продукт на основе глицерина, способ его очистки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производстве дихлорпропанола
US20100032617A1 (en) 2007-02-20 2010-02-11 Solvay (Societe Anonyme) Process for manufacturing epichlorohydrin
FR2913421B1 (fr) 2007-03-07 2009-05-15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FR2913684B1 (fr) 2007-03-14 2012-09-14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TW200911740A (en) 2007-06-01 2009-03-16 Solvay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hlorohydrin
FR2918058A1 (fr) 2007-06-28 2009-01-02 Solvay Produit a base de glycerol, procede pour sa purif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JP2011502032A (ja) 2007-10-02 2011-01-20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容器の耐腐食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ケイ素を含有する組成物の使用
FR2925045B1 (fr) 2007-12-17 2012-02-24 Solvay Produit a base de glycerol, procede pour son 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EA201071157A1 (ru) 2008-04-03 2011-04-29 Солвей (Сосьете Аноним)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глицерин,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в производстве дихлорпропанола
FR2935968B1 (fr) 2008-09-12 2010-09-10 Solvay Procede pour la purification de chlorure d'hydrogene
FR2939434B1 (fr) 2008-12-08 2012-05-18 Solvay Procede de traitement de glycerol.
WO2011054770A1 (en) * 2009-11-04 2011-05-12 Solvay Sa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y res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614A (ko) * 2007-06-12 2010-03-23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함유하는 생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다양한 응용분야에서의 용도
KR20100139058A (ko) * 2008-03-25 2010-12-3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액체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10059757A (ko) * 2008-09-10 2011-06-03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클로로히드린, 에폭시드, 디올, 디올 유도체 또는 에폭시 유도체의 제조 방법
CN102675251A (zh) * 2012-05-07 2012-09-19 西安汉术化学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二氯丙醇生产环氧氯丙烷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4684A1 (en) 2015-05-28
KR102090992B1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764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glycerol, process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in the manufacture of dichloropropanol
EP1760060B1 (en) Process for producing dichloropropanol from glycerol
CA2598667C (en) Process for producing a chlorinated organic compound
EP2669305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y resin
JP2010519237A5 (ko)
EP2496626A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roduct derived from epichlorohydrin
US20100032617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epichlorohydrin
ZA200704051B (en) Process for producing epoxy resins
WO2011054770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y resin
EP2373603A1 (en) Glycerol treatment process
TWI644904B (zh) 用於製造環氧單體及環氧化物之方法
KR102090992B1 (ko)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EP2669306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y resin
EP2669307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ide
EP2669308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poxy resin
EP2669247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ichloropropanol
EP2788338B1 (en) Process for recovering divinylarene dioxides
BRPI0909389B1 (pt) Composição, processos para preparar a composição, para fabricar dicloropropanol, epicloridrina e produtos, usos de uma composição e da epicloridrina, e, epicloridrina
PL212803B1 (pl) Sposób wytwarzania żywic epoksydowych
WO2011093695A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chlorohydr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