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024A -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024A
KR20160088024A KR1020150007166A KR20150007166A KR20160088024A KR 20160088024 A KR20160088024 A KR 20160088024A KR 1020150007166 A KR1020150007166 A KR 1020150007166A KR 20150007166 A KR20150007166 A KR 20150007166A KR 20160088024 A KR20160088024 A KR 20160088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s
maleimide
functional group
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연
현택환
김현범
신광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024A/ko
Publication of KR2016008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02General or multifunctional contrast agents, e.g. chelated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molecule carrying the fluorescent agent
    • A61K49/0054Macromolecular compounds, i.e. oligomers, polymers, dendr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5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 A61K49/0067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quantum dots, fluorescent nano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89Particulate, powder, adsorbate, bead, sphere
    • A61K49/0091Microparticle, microcapsule, microbubble, microsphere, micr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higher or equal to 1 micrometer
    • A61K49/0093Nanoparticle, nanocapsule, nanobubble, nanosphere, nan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smaller than 1 micrometer, e.g. polymeric nanop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06Modification of the membrane of cells, e.g. cell deco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면 개질된 세포는, 세포, 상기 세포의 표면에 배치된 결합 작용기, 및 상기 결합 작용기와 결합된 표면 개질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고분자 물질, 나노 입자, 및 킬레이트 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은, 세포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세포의 표면에 결합 작용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작용기에 표면 개질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SURFACE MODIFIED CELL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 등의 발달로 인해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인체 내에 세포를 주입하여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인체 내에 주입된 세포는 인체 내에서 원하는 곳까지 이동하기 전에 소멸될 뿐만 아니라 인체 내에서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포를 캡슐화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세포 단위의 캡슐화가 용이하지 않으며 캡슐화하여도 상기 문제점이 해소되지 못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 개질된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체 내에서 생존율이 향상된 표면 개질된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체 내에서 위치 추적이 가능한 표면 개질된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세포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는, 세포, 상기 세포의 표면에 배치된 결합 작용기, 및 상기 결합 작용기와 결합된 표면 개질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고분자 물질, 나노 입자, 및 킬레이트 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결합 작용기는 -S-일 수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1차 아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양자점, 플루오레세인, 금속산화물, 산화철, 금,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 분자는 Gd-DTP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은, 세포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세포의 표면에 결합 작용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작용기에 표면 개질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포는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고, 상기 결합 작용기는 티올기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고분자 물질, 나노 입자, 및 킬레이트 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상기 말레이드계 화합물과 상기 결합 작용기의 반응에 의해 상기 세포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1차 아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양자점, 플루오레세인, 금속산화물, 산화철, 금,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 분자는 Gd-DTP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는 그 표면이 고분자 물질, 나노 입자, 또는 킬레이트 분자 등으로 개질되어 생체 내 투입된 후 생체 내 물질로부터 세포가 보호될 수 있고, 생체 내에서 생존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생체 내 원하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 상기 표면 개질된 세포는 위치 및 이동 경로가 추적되거나 모니터링될 수 있다. 또, 상기 표면 개질된 세포는 상기 위치에서 치료, 조직 재생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된 세포는 간단한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를 나타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 물질의 형성 방법을 나타내고, 도 3b는 형성된 표면 개질 물질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들의 형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세포에 대한 TCEP(tris(2-carboxyethyl)phosphine) 처리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TCEP 처리가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8은 표면 개질된 세포의 생체 투입 후 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9는 표면 개질된 세포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면 개질된 세포(100)는 세포(110), 표면 개질 물질(120), 및 결합 작용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포(100)는 줄기 세포 등 생체 내에 투입되어 병을 치료하거나 생체 내 조직을 재생하는 등 생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세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100)는 파킨스병 등의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줄기세포일 수 있다.
표면 개질 물질(120)은 세포(110)의 표면에 결합되어 세포의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다. 표면 개질 물질(120)은 말레이미드계 화합물(maleimide-based compound)(121)과 고분자 물질(1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은 1차 아민을 포함하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N-(2-aminoethyl)male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물질(122)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CS)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개질 물질(120)은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된 물질(이하 Mal-CS라 함) 또는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결합되어 형성된 물질(이하 Mal-PEG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개질 물질(120)은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과 결합 작용기(130)의 결합에 의해 세포(110)에 결합될 수 있고,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에 결합된 고분자 물질(122)은 서로 연결되어 세포(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쌀 수 있다. 고분자 물질(122)은 세포(110)의 표면을 둘러쌈으로써 생체 내에 투입된 세포(1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 표면 개질 물질(120)은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세포(11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세포(110)는 생체 내 원하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 치료, 조직 재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분자 물질(122)은 세포(110)가 상기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소멸되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위치에서의 생체 물질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 작용기(130)는 세포(110)와 표면 개질 물질(1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작용기(130)는, 예를 들어, -S-일 수 있다. 결합 작용기(130)는 세포(110)의 표면을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tris(2-carboxyethyl)phosphine, 이하 TCEP이라 함) 등의 물질로 처리하는 것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면 개질 물질(120)은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과 나노 입자 또는 킬레이트 분자(1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은 1차 아민을 포함하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N-(2-aminoethyl)male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생체 적합성 분자 물질, 예를 들어, 양자점(Quantum dot, Qdot),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금속산화물, 산화철, 금, 실리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킬레이트 분자는 Gd-DTP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개질 물질(120)은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와 양자점이 결합되어 형성된 물질(이하 Mal-Qdot라 함) 또는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와 플루오레세인이 결합되어 형성된 물질(이하 Mal-Fluor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예를 들어, ZnS 양자점, CdSe 양자점, CdSe/ZnS 코어-쉘 양자점, 망간(Mn)이 도핑된 ZnS:Mn/ZnS 코어-쉘 양자점 등 다양한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개질 물질(120)은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과 결합 작용기(130)의 결합에 의해 세포(110)에 결합될 수 있고,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에 결합된 나노 입자 또는 킬레이트 분자(123)는 세포(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쌀 수 있다. 나노 입자 또는 킬레이트 분자(123)는 세포(110)의 표면을 둘러쌈으로써 생체 내에 투입된 세포(1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 나노 입자 또는 킬레이트 분자(123)는 형광 물질이거나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세포(11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세포(110)는 생체 내 원하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 치료, 조직 재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노 입자 또는 킬레이트 분자(123)는 세포(110)가 상기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소멸되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위치에서의 생체 물질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세포(110)는 그 표면에 이황화 결합(disulfide bond, 131)를 포함할 수 있다. 세포(110)를 TCEP으로 표면 처리하는 것에 의해 이황화 결합(131)이 끊어지고, 세포(110) 표면에 티올기(thiol group, 13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티올기(132)에 표면 개질 물질(120)을 반응시켜 표면 개질된 세포(100)가 형성될 수 있다. 표면 개질된 세포(100)는 티올기(132)가 형성된 세포(110)에 표면 개질 물질(120)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여 표면 개질 물질(120)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을 티올기(132)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표면 개질 물질(120)은 말레이미드계 화합물(maleimide-based compound)(121)과 고분자 물질(122)이나, 나노 입자 또는 킬레이트 분자(1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말레이미드계 화합물(121)은 1차 아민을 포함하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물질(122)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S)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개질 물질(120)은 Mal-CS 또는 Mal-PE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생체 적합성 분자 물질, 예를 들어, 양자점(Qdot), 플루오레세인, 금속산화물, 산화철, 금, 실리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킬레이트 분자는 Gd-DTP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개질 물질(120)은 Mal-Qdot 또는 Mal-Flu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예를 들어, ZnS 양자점, CdSe 양자점, CdSe/ZnS 코어-쉘 양자점, 망간(Mn)이 도핑된 ZnS:Mn/ZnS 코어-쉘 양자점 등 다양한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개질 물질의 형성 방법을 나타내고, 도 3b는 형성된 표면 개질 물질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S)를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EDC)와 Sulfo-NHS를 혼합한 후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면 Mal-CS가 형성될 수 있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S)와 Mal-CS의 분석 그래프를 비교하면 CS를 나타내는 피크가 중복되어 나타내고, Mal-CS에서는 Mal을 나타내는 피크가 추가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S)와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의 반응에 의해 Mal-CS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면 개질된 세포들의 형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포를 TCEP으로 표면 처리하여 그 표면에 티올기(-SH)를 형성한 후 상기 티올기에 Mal-CS, Mal-Fluor, Mal-Qdot, Mal-PEG 등의 표면 개질 물질을 반응시켜 다양한 표면 개질된 세포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세포배양 플라스크에서 세포들을 키운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으로 만들었다. 상기 세포 펠렛은 상기 플라스크의 70 ~ 80% 정도 찼을때 상기 플라스크에 붙어서 자라는 A 세포들과 세포 양이 충분히 증식했을 때 상기 플라스크에서 떠서 자라는 B 세포들을 이용하여 형성되었다. 상기 A 세포들은 0.25% 트립신 용액을 사용해 상기 플라스크에서 떼어낸 후 사용하였다. 세포 개수에 따라 처리하는 시료의 양이 달라지므로 세포들의 개수를 측정한 후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 펠렛을 1mL의 P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다시 원심분리를 수행하였고, 이 작업을 다시 한번 더 수행하였다. 상기 세포 펠렛에 1mM TCEP 용액을 1mL 넣어 세포들을 풀어주고, 1시간 동안 배양기(37℃, 5% CO2)에 배양하고 상기 세포들이 침전되지 않게 15분마다 가볍게 두드려주었다. 1시간 후 상기 세포들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으로 만들고 1mL의 P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다시 원심분리를 수행하였고, 이 작업을 다시 한번 더 수행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세포 펠렛에 10mM Mal-CS 용액을 1mL 넣어 세포들을 풀어주고, 2시간 동안 배양기(37℃, 5% CO2)에 배양하고 상기 세포들이 침전되지 않게 15분마다 가볍게 두드려주었다. 2시간 후 상기 세포들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으로 만들고 1mL의 P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다시 원심분리를 수행하였고, 이 작업을 다시 한번 더 수행하였다. 이에 의해 Mal-CS로 코팅되어 표면 개질된 세포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2
표면 개질 물질로 100㎕의 30μM Mal-Fluor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세포 표면을 개질하였다. 이에 의해 Mal-Fluor로 코팅되어 표면 개질된 세포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3
표면 개질 물질로 1mL의 10% Mal-PEG(w/v)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세포 표면을 개질하였다. 이에 의해 Mal-PEG로 코팅되어 표면 개질된 세포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4
표면 개질 물질로 1mL의 50μM Mal-Qdot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세포 표면을 개질하였다. 양자점(Qdot)은 망간(Mn)이 0.1% 도핑된 ZnS:Mn/ZnS 코어-쉘 양자점을 사용하였다. 이에 의해 Mal-Qdot로 코팅되어 표면 개질된 세포가 형성되었다.
도 5는 세포에 대한 TCEP 처리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세포에 대하여 TCEP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Control)와 TCEP 농도를 0.5mM, 1mM, 2mM, 4mM로 변화시키면서 세포 증식을 관찰한 결과, TCEP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증식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TCEP 처리를 하여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가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CEP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Control)와 비교하여 세포 증식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6 및 도 7은 TCEP 처리가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6에서 적색 영역은 표면 개질되지 않은 세포들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녹색 영역은 Mal-Fluor로 표면 개질된 세포들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7에서 A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세포를 나타내고, B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세포를 Mal-Fluor와 반응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C는 TCEP으로 표면 처리된 세포를 Mal-Fluor와 반응시킨 경우를 나타내며, D는 TCEP으로 표면 처리된 세포를 Mal-CS와 반응시킨 후 Mal-Fluor로 반응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TCEP으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세포들은 표면 개질 물질인 Mal-Fluor로 코팅되지 않아 주로 적색 영역에 위치하지만, TCEP으로 처리된 세포들은 Mal-Fluor로 코팅되어 녹색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TCEP의 농도가 커질수록 Mal-Fluor로 코팅되어 표면 개질된 세포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CEP으로 표면 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세포는 표면 개질 물질인 Mal-Fluor와 반응하게 되고, TCEP의 농도가 커질수록 이에 의해 표면 처리된 세포의 반응성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TCEP으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세포를 Mal-Fluor와 반응시킨 경우(B)에는 Mal-Fluor로 코팅된 세포의 수가 많지 않았으나 TCEP으로 표면 처리된 세포를 Mal-Fluor와 반응시킨 경우(C)에 Mal-Fluor로 코팅된 세포의 수가 현격하게 증가하였고, TCEP으로 표면 처리된 세포를 Mal-CS와 반응시킨 후 Mal-Fluor로 반응시킨 경우(D)에는 세포의 표면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S)가 먼저 반응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Mal-Fluor로 코팅된 세포의 수는 B의 경우보다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8은 표면 개질된 세포의 생체 투입 후 생존율을 나타낸다. Caspase3과 p53은 세포의 자가 소멸에 관여하는 물질로 이 물질의 양이 많을 수록 세포의 자가 소멸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Mal-CS로 코팅된 주르카트 세포(Jurkat-CS)가 코팅되지 않은 주크카트 세포(Jurkat-Ctrl)보다 Caspase3과 p53의 양이 현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Mal-CS로 코팅된 헬라 세포(HeLa-CS)가 코팅되지 않은 헬라 세포(HeLa-Ctrl)보다 Caspase3과 p53의 양이 현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세포들보다 Mal-CS로 코팅된 세포들이 코팅되지 않은 생체 내 투입 후에도 생존율이 훨씬 높다.
도 9는 표면 개질된 세포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녹색 형광 물질로 코팅된 세포를 아래에 배치하고, 청색 형광 물질로 코팅된 세포를 위에 배치하여 층별로 세포를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 개질된 세포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표면 개질된 세포 110 : 세포
120 : 표면 개질 물질 130 : 결합 작용기

Claims (10)

  1. 세포;
    상기 세포의 표면에 배치된 결합 작용기; 및
    상기 결합 작용기와 결합된 표면 개질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고분자 물질, 나노 입자, 및 킬레이트 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작용기는 -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1차 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양자점, 플루오레세인, 금속산화물, 산화철, 금, 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킬레이트 분자는 Gd-DTP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
  6. 세포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세포의 표면에 결합 작용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작용기에 표면 개질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으로 표면 처리되고,
    상기 결합 작용기는 티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고분자 물질, 나노 입자, 및 킬레이트 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표면 개질 물질은 상기 말레이드계 화합물과 상기 결합 작용기의 반응에 의해 상기 세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1차 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N-(2-아미노에틸)말레이미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양자점, 플루오레세인, 금속산화물, 산화철, 금, 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킬레이트 분자는 Gd-DTP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세포의 형성 방법.
KR1020150007166A 2015-01-15 2015-01-15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 KR20160088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66A KR20160088024A (ko) 2015-01-15 2015-01-15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66A KR20160088024A (ko) 2015-01-15 2015-01-15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024A true KR20160088024A (ko) 2016-07-25

Family

ID=5661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66A KR20160088024A (ko) 2015-01-15 2015-01-15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0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106B1 (ko) 2017-07-03 2018-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치올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tpa 킬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6258B1 (ko) * 2018-07-31 2020-01-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줄기세포 표면의 코팅방법
KR20200058005A (ko) * 2018-11-19 2020-05-27 한국과학기술원 개질된 표면을 갖는 세포의 세포 코팅 방법
KR20220152677A (ko) 2021-05-10 2022-11-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 표면 개질용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106B1 (ko) 2017-07-03 2018-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치올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tpa 킬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6258B1 (ko) * 2018-07-31 2020-01-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줄기세포 표면의 코팅방법
KR20200058005A (ko) * 2018-11-19 2020-05-27 한국과학기술원 개질된 표면을 갖는 세포의 세포 코팅 방법
KR20220152677A (ko) 2021-05-10 2022-11-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 표면 개질용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Magnetic reactive oxygen species nanoreactor for switchab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guided cancer therapy based on pH-sensitive Fe5C2@ Fe3O4 nanoparticles
KR20160088024A (ko) 표면 개질된 세포 및 그 형성 방법
Yahia-Ammar et al. Self-assembled gold nanoclusters for bright fluorescence imaging and enhanced drug delivery
Ling et al. Surface ligands in synthesis, modification, assembly and biomedical applications of nanoparticles
Wang et al. Engineering the Bio–Nano Interface Using a Multifunctional Coordinating Polymer Coating
Veiseh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magnetic nanoparticles for targeted drug delivery and imaging
Ma et al. Modular and orthogonal post-PEGylation surface modifications by insertion enabling penta-functional ultrasmall organic-silica hybrid nanoparticles
TWI788661B (zh) 用於血腦屏障穿透、腫瘤靶向和癌症轉移治療的表面修飾的介孔二氧化矽奈米粒子、其製造方法及用途
Rozhkova Nanoscale materials for tackling brain cancer: Recent progress and outlook
US2009001696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08553643B (zh) 碳酸钙包裹聚多巴胺载药磁性纳米颗粒的制备方法
ATE555133T1 (de) Igg fc fragment für einen arzneimittelträg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815030B1 (ko) 킬레이트 복합 미셀을 가지는 약물 전달체 및 그 응용
KR101592235B1 (ko) 단백질 케이지의 제조방법 및 소수성 첨가제를 담지한 코어-쉘 구조의 고분자-단백질 입자의 in-situ 제조방법
Jeong et al. Multiplexed In Vivo Imaging Using Size‐Controlled Quantum Dots in the Second Near‐Infrared Window
KR101868675B1 (ko) 민감화 물질을 포함하는 온열 치료용 조성물
Zhao et al. Construction of nanomaterials as contrast agents or probes for glioma imaging
Tian et al. Melanin-like nanoparticles: advances in surface modification and tumour photothermal therapy
US20160038609A1 (en) Multistage Nanoparticles
Ji et al. Protein‐mimicking nanoparticles in biosystems
ES2639499T3 (es) Síntesis de nanomateriales metal-semiconductores de tipo núcleo-corteza
Sang et al. Remodeling macrophages by an iron nanotrap for tumor growth suppression
Khoee et al. Preparation of dual-targeted redox-responsive nanogels based on pegylated sorbitan for targeted and antitumor drug delivery
Liu et al. Biodegradation of bi-labeled polymer-coated rare-earth nanoparticles in adherent cell cultures
AU2015238208A1 (en) Nanostructures and application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