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780A -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780A
KR20160087780A KR1020160024264A KR20160024264A KR20160087780A KR 20160087780 A KR20160087780 A KR 20160087780A KR 1020160024264 A KR1020160024264 A KR 1020160024264A KR 20160024264 A KR20160024264 A KR 20160024264A KR 20160087780 A KR20160087780 A KR 2016008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input
touch
displayed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8298B1 (en
Inventor
김붕회
Original Assignee
김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붕회 filed Critical 김붕회
Priority to KR102016002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298B1/en
Publication of KR2016008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7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character through the touch screen, capable of realizing at least one basic area having a consonant area at the center thereof with respect to each of different consonants, as a touch is inputted into one of consonant areas included in a plurality of basic areas, a drag input is received into an input area divided by a plurality of vowels surrounding a selected consonant, and the touched consonant and the dragged vowel, which corresponds to final coordinat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one Korean character is input. Accordingly, there is a screen image and contents changed and displayed as soon as the touch occurs, the contents of a screen image to be displayed before the touch are dragged into a window of a screen image newly displayed together with the touch, so that the contents displayed before the touch and the contents of the newly displayed screen image are combined to input the character. Accordingly, the continuity of character input can be ensured without the disconnection of the input of a character unit.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다양한 터치패널에 사용될 수 있는 문자를 입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 및 드래그만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touch pane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putting a touch screen character so that characters can be promptly input using only touch and drag.

일반적으로 I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현재 다양한 한글의 입력방법이 개발되고 이들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처음의 버튼 형태의 입력방식은 자판에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표시하고 하나의 버튼에 클릭이나 더블클릭이라는 사용방식의 변형을 통해서 서로 다른 자음과 모음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곤 했다. 이러한 방식은 터치패널의 발달에 의해서 입력의 방식이 많이 변경되고 있는데, 요즘 이러한 문자 입력의 방식은 서로 질 좋은 편의성을 목표로 새로운 대안을 찾고 있는 추세이다.General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input methods of Hangul are developed and they ar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input method of the first button type was to input Hangul in a way that it displayed one or more consonants and vowels on the keyboard and changed the consonants and vowels to different voices through the use of a click or a double click. In this way, the input method is changed by the development of the touch panel. Nowadays, th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s seeking a new alternative aiming at high quality convenience.

그런데 이러한 현재의 개발과정에서도 완벽하게 독립적이고 독보적인 편의성을 확보한 문자의 입력방식이 창안되지 못하였다. However, in the present development process, a character input method which has a completely independent and unique convenience has not been created.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종래 발명 의 문제점을 해결한 독특한 발명 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que invention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터치 입력 방식의 단말기에서 독립입력 감지방법 및 터치패널(METHOD OF DETECTING INDEPENDENT INPUT SIGNAL I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PANEL)(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47065호)1. A method for detecting an independent input in a touch input terminal and a touch panel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47065)

2. 터치입력 방식의 단말 및 터치입력 처리 방법(A TERMINAL OF TOUCH INPUT TYPE AND METHOD FOR TREATING A TOUCH INPUT)(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52814호)2. A touch input terminal and a touch input processing method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52814)

본 발명은 다양한 터치패널에 사용될 수 있는 문자를 입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한글의 자모 규칙과 그동안 한글을 입력시키는 버튼, 키보드, 터치패널 등의 입력 방식과 습성을 이용하여 더욱 빠른 입력 속도와 정확도로 한글을 입력하되, 그 입력의 방식도 자음터치, 모음 입력을 위한 드래그(이하, '자음드래그'), 받침자음 입력을 위한 드래그(이하, '모음드래그')를 유기적으로 신속하게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터치, 더블터치, 트리플터치, 롱터치 및 드래그만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touch panel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into a Korean alphabet with faster typing speed and accuracy using the typing rules of Hangul and the input method and habits such as a button, a keyboard, and a touch panel for inputting Hangu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sonant drag") for inputting a vowel, and dragg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vowel dragging") for inputting a consonant sound are organically and rapidly input.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inputting characters using only a touch, a double touch, a triple touch, a long touch, and a drag.

또한, 본 발명은 터치하는 순간 바뀌어 표시되는 화면과 내용이 있으며, 터치하기 전에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의 내용을 터치와 동시에 새롭게 표시된 화면의 창으로 드래그하여 터치하기 전의 표시된 내용과, 새롭게 표시된 화면의 내용을 결합하여 함께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creen and contents that are displayed in a state of being changed as soon as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he content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before the touch is dragged to the window of the newly displayed screen simultaneously with the touch, And inputting a character togethe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은, 각기 다른 자음이 중앙에 자음영역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영역이 구현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다수의 기본영역에 포함된 자음영역 중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자음을 중심으로 둘러싸서 형성된 다수의 모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터치된 자음과 드래그된 최종 좌표에 해당하는 모음을 합하여 하나의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inputting a touch screen charac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at least one basic region in which different consonants are consonant regions are implemented, The touch input of one of the consonant regions included in the selected consonant region is received and the drag input to the input reg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owels formed by surrounding the selected consonant is received and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and the dragged final coordinate And one Korean character is input.

이때, 기본영역은, 9개의 구분 구획을 갖되, 3행 3열으로 형성되며, 1행(A)이 (ㅅ, ㅈ, ㄱ); 2행(B)이 (ㄷ, ㅇ, ㄹ); 3행(C)이 (ㄴ, ㅂ, ㅁ)의 자음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asic area has nine divisional sections, and is formed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one row (A) is (x, y, a); Line 2 (B) is (c, o, d); And the third line (C) has a consonant region of (b, f, k).

이때, 다수의 모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자음드래그영역은, 3행 3열로 이루어지며, 1행(D)이 (ㅕ, ㅗ, ㅛ), 2행(E)이 (ㅓ, 터치자음, ㅏ), 3행(F)이 (ㅠ, ㅜ, ㅑ)의 모음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sonant drag region receiving the drag input into the input reg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owels is composed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one row (D) is composed of (ㅕ, ㅗ, ㅛ) And the third row (F) has a vowel region of (ㅠ, ㅜ, ㅑ).

또한, 다수의 모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으로의 드래그 이후, 받침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다수의 자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인 모음드래그영역을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dragging to the input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owels, a vowel drag area, which is an input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sonant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order to input a consonant.

또한, 모음드래그영역은, 받침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자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이후, 롱터치나 또는 더블터치를 통해서 확장자음을 표시하며, 확장자음을 기본자음 외의 자음인 "ㅊ, ㅋ, ㅌ, ㅍ, ㅎ" 및 쌍자음 중 하나를 각 기존자음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wel drag region displays an extension tone through a long touch or a double touch after touching an input region divided by at least one basic consonant for inputting a consonant, and the extension tone is a consonant other than the basic consonant Quot ;, ",,,,,,,,,,, ", and one of the pair consonants is assigned to each existing consonant and displayed.

또한, 모음드래그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은, 3행 3열의 배열 중 중심부의 이전에 터치된 터치모음과, 터치모음을 둘러싸는 기본자음을 기본적으로 표시되며, 확장자음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consonants displayed in the vowel drag region are basically displayed with touch tiles previously touched at the center of the arrangement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basic consonants surrounding the touch vowels, and the extension tones are selectively displayed do.

또한, 상기 자음영역 중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위해 한글의 모음 키는 존재하지 않고 자음키만 있는 자음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 consonant input window having only a consonant key is displayed without a vowel key for Hangul for touch input to one of the consonant regions.

또한, 자음입력창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중 하나에 대한 터치와 동시에 모음을 드래그할 수 있는 별도의 드래그팝업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separate drag pop-up window is displayed in which a vowel can be dragged simultaneously with a touch of one or more consonants displayed on the consonant input window.

또한, 드래그팝업창은, 한글의 이중모음을 포함하는 모든 모음을 새롭게 구획된 틀 안에 배치하며, 선택된 자음, 그리고 선택된 자음의 상부로 8개, 양측으로 2개, 하부로 8개의 모음 버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ag pop-up window arranges all the vowels including a double vowel of Hangul in a newly compartmented frame, and displays the selected vowel and eight vowel buttons at the top of the selected consonant, two at both sides, and eight at the bottom .

또한, 드래그팝업창의 모음의 위치는 선택된 자음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ㅏ"와 "ㅑ" 의 인접한 차례로, 좌측으로 "ㅓ"와 "ㅕ"의 인접한 차례로, 상부로 "ㅗ" 와 "ㅛ"의 인접한 차례로, 하부로 "ㅜ" 와 "ㅠ"의 인접한 차례로, 좌측 상부에 "ㅡ" 우측 하부에 "ㅣ" 좌측 하부에 "ㅝ" 우측 상부에 "ㅘ" 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s of the vowels in the drag popup window are arranged in the adjacent order of "a" and "ㅑ" to the right, "ㅗ" and "ㅛ" In the adjacent order, in the adjacent order of "ㅜ" and "┌" in the adjacent order, "ㅘ" is arranged at the upper left side of "ㅡ"

또한, 드래그팝업창의 최외곽 중, 좌측·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ㅔ, ㅚ", 우측·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ㅙ", "ㅐ", 좌측·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ㅖ", "ㅞ", 우측·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ㅟ", "ㅐ"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ㅔ", "ㅔ", "ㅙ", "ㅐ" in the right and upper corner areas, "ㅖ", "ㅞ" in the left and bottom corner areas, and right and left corner areas of the outermost of the drag pop- And "ㅟ" and "ㅐ" are arranged in the lower corner area.

본 발명에 따라 아주 간단하게 모든 한글 문자를 터치패널로 입력할 수 있기에 문자를 보내기 쉽고 보다 빨리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input all the Korean characters into the touch panel very simply, it is easy to send a character and can communicate a doctor more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종래 사용되던 터치, 드래그, 더블클릭을 통해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에 사용자에게 별도의 사용방법을 알려줄 필요가 없고,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도 간단하기에 배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put characters through touch, drag, and double-click,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form the user of a separate usage method, and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s also simple and easy to learn.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한글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아주 간단하고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여 아이는 물론 고령의 노인의 경우도 문자 보내기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t is very simple and easy to use, so that it is easy to send texts to elderly people as well as children.

즉, 본 발명은 터치하는 순간 바뀌어 표시되는 화면과 내용이 있으며, 터치하기 전에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의 내용을 터치와 동시에 새롭게 표시된 화면의 창으로 드래그하여 터치하기 전의 표시된 내용과, 새롭게 표시된 화면의 내용을 결합하여 함께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문자 단위 입력의 단절 없이 입력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creen and contents which are changed and displayed at the moment of touching. When the contents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are touched and dragged to the window of the newly displayed screen before touching, So that the continuity of the input can be ensured without interruption of the character unit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ㄱ"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ㄴ"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ㄷ"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ㄹ"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ㅁ"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ㅂ"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ㅅ"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ㅇ"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ㅈ"의 자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자음영역의 기본영역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자음드래그영역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따른 별도의 받침자음이 표시되는 모음드래그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자음 기본영역에서 확장자음이 추가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조도면.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a"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b"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c"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d "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e"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g"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o"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consonant region of a basic consonant "i"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general view showing a basic region of a consonant region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vowel drag region in which a separate supporting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drag input to a consonant drag region is displayed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n extension note is added in the consonant base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6 are diagrams showing a user interface screen (UI screen)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기본자음 "ㄱ" 내지 "ㅈ"의 각 자음영역(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자음영역(10)의 기본영역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자음드래그영역(20)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따른 별도의 받침자음이 표시되는 모음드래그영역(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음 기본영역에서 확장자음이 추가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Figs. 1 to 9 are diagrams showing consonant regions 10 of the basic consonants "a" to "i" in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the basic region of the consonant region 10 in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vowel drag region 30 in which a separate consonant sound corresponding to a drag input to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is displayed in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n extension note is added in the consonant base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터치패널 및 다양한 입력도구를 통해서 문자를 입력하는 특히 한글 문자의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touch panel and various input tools.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8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시된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자음영역(10)에 표시되는 자음을 터치하고, 자음의 사방으로 표시되는 자음드래그영역(20)으로 드래그함으로 모음을 표시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of a touch screen, wherein a consonant displayed in a certain consonant region 10 is touched and dragged to a consonant drag region 20, To input a Korean character.

요즘 사용하고 있는 대다수의 스마트기기나 터치패널을 이용한 입력도구들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일정한 영역을 갖는다. 문자가 직접적으로 기재되어 표시되는 문자표시부와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자판부가 그것이다. 자판부는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 사용자가 그 자판을 익히고 습성화된 방법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데, 바로 이 자판부를 얼마나 편리하게 시작적으로 다가오게 하는가, 또는 편리한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하는가가 문자입력방법의 관건이다.
Most of the input devices using smart devices or touch panels currently used have a certain area for inputting characters. A character display portion in which characters are directly described and displayed and a keyboard portion for inputting characters. The keyboard unit has a certain format so that the user can learn the keyboard and input the characters using the habituation method. How easily the keyboard unit is approached at the start or how to input characters in a convenient way It is the key to the method.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서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한글은 모두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형태로 기재된다는 점을 이용하였다. 또한 확장된 형태로 자음, 모음 그리고 또 다른 자음이나 모음을 취한다는 점을 이용하였다. 먼저 자음을 클릭하고, 모음으로 드래그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취한 것이다. 모든 한글은 문자로서 인식되기 위해서는 자음이 필요하고, 이에 모음을 추가하는 것으로 문자로서 완성된다. 본 발명은 자음을 클릭하고 모음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완성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all the conventional problems in this respect.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Korean characters are written in a form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It also takes advantage of the fact that it takes consonants, vowels, and other consonants or vowels in an expanded form. The first step is to click on the consonant and drag it to the vowel to enter the Hangul character. All Korean characters need consonants to be recognized as characters, and they are completed as letters by adding a vowel.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s a character in such a way that a consonant is clicked and dragged to a vowel.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자음영역(10)이 있다. 대다수 터치패널의 경우 전술된 것처럼 독자적인 자판부를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도 자음이 표시되는 자판부가 있다. 그 자판부에 형성되는 다수 자음영역(10)의 내부에는 선택된 자음이 표시되는데, 그 외부로 일정한 영역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자음영역(10) 내에는 자음이 표시된 자음표시부 외측으로 자음드래그영역(20)이 있는 것이다. 자음영역(10)과 자음드래그영역(20)은 본 발명에서 구분이 필요한데, 자음영역(10)의 중심부에 자음이 표시된다. 물론 이도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자음영역(10)을 가득차게 자음이 기재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점은 이렇게 자음영역(10)에 자음을 클릭하는 작용으로 자음이 표시되고, 종래의 문자입력과 달리 다른 모음을 찾아 손가락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모음을 찾아 드래그 이동하는 것이다.
There is a unique consonant region 10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Most of the touch panels have their own keyboard part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keyboard parts for displaying consonants. A selected consonant is displayed inside the multiple consonant region 10 formed in the keyboard, and a certain region is formed outside the consonant region. In the consonant reg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is located outside the consonant display portion where consonants are displayed. The consonant region 10 and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need to be distinguish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s are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consonant region 10. Of course, the consonant region 10 may be filled with consonants only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key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consonant is displayed by the action of clicking a consonant in the consonant region 10, and the finger is not moved to find another vowel, unlike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but is dragged and moved to find the vowel.

일정한 지점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은 도시된 도 1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이 있고, 이를 일정한 각도로 세분한다면 1시 30분 방향, 4시 30분 방향, 7시 30분 방향, 10시 30분 방향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클릭하여 자음을 찍고 사방으로 이동하여 모음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사방이란 바로 자음을 클릭한 지점에서 전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도를 더욱 세분하여 방향을 설정한다면, 8방향이 아니라 16 방향도 나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문자입력방법의 중요한 특징은 자음은 터치를 통해서 그 후 모음의 완성은 모음을 향하여 드래그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한글 문자를 완성한다는 점이다.
The method of moving at a certain point is vertic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ased on the illustrated FIG. 1, and if it is subdivided into a certain angle, the direction of 1:30, 4:30, 7:30, 10:30 Can be added. The present invention thus clicks to take a consonant and moves to all directions to complete a vowel. The four direc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directions at the point where the consonant is click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f the angle is further subdivided to set the direction, not the eight directions but also sixteen directions can be obtained. As a result, an important featur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sonant is completed by touching and then the completion of the vowel is dragged toward the vowel to complete the Hangul character.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9개의 구분 구획을 갖되, 3행 3열으로 형성되며, 1행(A)이 (ㅅ, ㅈ, ㄱ); 2행(B)이 (ㄷ, ㅇ, ㄹ); 3행(C)이 (ㄴ, ㅂ, ㅁ)의 자음 터치 영역을 갖는 기본영역(K)이 터치스크린에 존재하도록 실시한다.
Hereinafter, a more detail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0, the present invention has nine division sections, each of which is formed by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one row (A) represents (X, Y, A); Line 2 (B) is (c, o, d); The third line (C) is implemented so that the basic region (K) having consonant touch regions of (b, f, k) is present on the touch screen.

자음을 터치하고, 모음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드래그하는 방향은 전술된 설명에서 전방향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8개의 방향으로 설정하는게 편의성은 물론 입력되는 문자의 정확성을 위해서 효과적이다. 나아가 그 표시되는 자음의 형태도 기본적인 자음은 확정하여 익숙한 형태로 자음 자판부를 배열하는 것이 좋다. 도시된 도 10에 기본적인 자음인 "ㅅ, ㅈ, ㄱ, ㄷ, ㅇ, ㄹ, ㄴ, ㅂ, ㅁ"이 기재된다. 순서의 경우도 도 10에 도시된 자음영역을 기준으로 1행씩을 구분하였을 때, 1행(A)이 "ㅅ, ㅈ, ㄱ"이고 2행(B)이 "ㄷ, ㅇ, ㄹ" 3행(C)이 "ㄴ, ㅂ, ㅁ"으로 구분된다. In the case of inputting a character by touching a consonant and dragging it to a vowel, the direction of dragging may be omnidirectional in the above description.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setting in eight directions is effective not only for convenience but also for accuracy of input characters.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consonant keyboard in a familiar form by confirming the basic consonants of the displayed consonants. In Fig. 10, the basic consonants "g, i, a, c, o, d, b, f, and k" are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sequence shown in FIG. 10, when one row is discriminated on the basis of the consonant region shown in FIG. 10, one row (A) is "X, X, (C) is divided into "b, f, ㅁ".

물론 한글 자음은 이렇게 6개의 자음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외의 확장자음이 있고, 영문이나 특수기호 등 요즘의 터치패널에는 다양한 터치영역도 별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의 자음만을 규정한 것이다. 이와 동일 내지 유사한 방식으로 영문모드를 표기하고 영문을 기재할 수도 있고, 특수 기호도 역시 동일 내지 유사한 방식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Of course, Korean consonants do not have only six consonants. There are other extension sounds, and various touch areas exist separately in today's touch panel such as English and special symbols.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nsonants of Hangul are defined. The English mode may be written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nd English characters may be written, and the special symbols may also be display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실례로 도시된 도 1에 나타난 문자 "가"와 "규"이다. "가"는 먼저 자음 터치의 기본영역에서 "ㄱ"라를 터치하고 모음을 향하여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표시한다. 도시된 도면에서 ①에서 처럼 "ㄱ"자를 클릭하고, ②의 "ㅏ" 모음을 향해 드래그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것이다. 문자 "규"도 ③과 ④의 경우도 같다.
The letters "a" and "rule" shown in Fig. "A" first touches the letter "a" in the basic area of the consonant touch, and displays the letter in such a way that it is dragged toward the vowel. In the drawing, click on the letter "a" as in ① and drag it toward the letter "a" in ② to complete the letter. The letter "rule" is the same for ③ and ④.

거듭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기본영역(K)에 표시되는 9개의 자음은 모두 한글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자음이다. 이외의 자음은 확장자음을 칭하는데, 별도의 방식으로 표시이 가능하다. 후술하겠지만 별도의 자음영역(10)을 갖추고 있어도 무방하고, 별도로 선택 입력하는 방식에 차별을 두어 확장자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자음터치 영역을 갖는 기본영역(K)이 터치스크린에 존재하는데, 3행 3열의 9개의 자음이 기본이고, 이 영역은 터치스크린 내의 어디에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In other words, all nine consonants displayed in the basic region 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 consonants used in Korean. Other consonants are called extension notes, but they can be displayed in a different way.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separate consonant region 10 may be provided, and the extension sound may be displayed by differentiating it from the method of selecting and inputting separately. Importantly, a basic area (K) having a consonant-touch area exists in the touch screen, and nine consonants in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re basic, and this area may be present anywhere in the touch screen.

다른 특수부호의 영역과 일측이 근접된 영역에 존재하여도 무방하고, 중심부에 둘러 쌓여 있어도 무방하다.
The area of another special code may be present in the area close to one side, and it may be surrounded by the center part.

도 11은 본 발명에서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받침자음이 필요한 한글 문자의 경우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받침자음이 필요한 한글 문자의 경우는 더욱 편리하고 용이한 입력의 방식을 갖추고 있다. 즉, 각각의 자음터치 후 자음드래그영역(20)으로 드래그한 후, 드래그의 끝인 모음의 외곽부분에는 사방으로 별도의 자음이 표시되는 모음드래그영역(30)을 갖는 것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putting a touch screen character in the case of Hangul characters requiring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characters having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are more convenient and easy to input. In other words, the vowel drag region 30 has a consonant dragged region 20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touched, and a separate consonant is display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dragged vowel in all directions.

보다 구체적으로, 자음을 터치하고, 모음을 향해 드래그할 때, 드래그가 가능한 자음영역의 공간부가 자음드래그영역(20)이다. 그리고, 자음드래그영역(20)으로 진입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모음이 드래그되면, 일정한 위치나 시간을 조건으로 하여 그 모음에서 전개되는 또 하나의 모음드래그영역(30)이 표시되는 것이다. 모음드래그영역(30)에는 다시 받침을 기재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드래그 또는 터치를 유도하여 받침자음을 표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받침 있는 모든 한글 문자를 기재할 수 있다. 이 모음드래그영역(30) 자체에서도 사방 즉, 전방향을 세부 선택 드래그영역으로 배열하고 구현함으로써, 다수의 받침문자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선택받을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a consonant is touched and dragged toward a vowel, the space portion of the draggable consonant region is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Then, when the user enters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and dragged the selected vowel, another vowel drag region 30 developed on the vowel is displayed on the condition of a certain position and time. The drag dragging area 30 displays a dragging or touching area to the area to which the gesture is to be written, thereby displaying the gesture consonant.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describe all the Hangul characters supported. In the vowel drag region 30 itself, by arranging all directions in the detail selection drag region, the user can select a drag input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backing characters.

또한 모음드래그영역(30)은, 자음간을 구분시키는 구분선(11)이나 자음드래그영역(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구현하나, 일반적으로 구분선(11) 또는 자음드래그영역(20)의 외측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언급한 것처럼 자음은 그 주변에 일정한 영역인 자음드래그영역(20)을 갖추고 있기에 자음을 터치하고 모음을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이 자음영역(10)의 외곽선을 이루는 것이 도시된 구분선(11)이다. 그런데 이 구분선(11)으로 구획된 자음드래그영역(20)의 모서리부분으로 드래그된 상태에서는 언급한 것처럼 선택한 모음이 표시된 상태에서 모음드래그영역(30)을 다시 표시하는 방식이다. The vowel drag region 30 may be implemented as a dividing line 11 for dividing consonants or inside or outside of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but is generally provided outside the dividing line 11 or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 . That is,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consonant has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which is a constant region around the consonant, the consonant can touch the consonant and drag the vowel. At this time, the dividing line 11 is an outline of the consonant region 10. However, in the dragged state at the edge portion of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divided by the dividing line 11, the collection drag region 30 is displayed again in a state where the selected collection is displayed as mentioned above.

모음드래그영역(30)은 모음의 받침이 될 자음을 구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구현된다. 즉, 드래그해서 표시된 모음의 주변으로 또 다른 모음드래그영역(30)이 나타나 받침 자음을 표시한다. 표시된 받침 자음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각 모음 및 자음을 구별하는 생성라인(51)으로만 구분되고, 생성라인(51)으로 테두리까지 구성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The vowel drag region 30 is implemented as a preset region for implementing a consonant to be a vowel's vowel. In other words, another drag region 30 appears around the displayed vowel by dragging to display the consonant. The displayed consonant sounds are divided into only the generation line 51 that distinguishes each vowel and consonants shown in Figs. 1 to 9, and is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generation line 51 is constituted up to the borders.

한편, 요즘의 경우 터치패널의 크기가 커지고 있기에 하나의 자음영역(10) 내부에 모음드래그영역(30)과 자음드래그영역(20)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터치패널을 실시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터치패널에서 문자의 입력 수순에 따라 구분선(11)이나 생성라인(51)이 표시되고 사라지는 방식으로 그 일정한 구역을 물리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는 것이다.
Meanwhile, since the size of the touch panel is increased in recent years, a touch panel capable of including both the vowel drag region 30 and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within one consonant region 10 can be implemented.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ividing line 11 or the generation line 51 may be displayed and disappear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procedure in the touch panel, so that the predetermined area may be physically represented.

그럼 본 발명에서 실시한 전술된 자음드래그영역(20)의 자판 배열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자음드래그영역(20)에 표시되는 모음은, 도 1 내지 도 10과 같이 3행 3열로 이루어지되 1행(D)이 (ㅕ, ㅗ, ㅛ), 2행(E)이 (ㅓ, 터치자음, ㅏ), 3행(F)이 (ㅠ, ㅜ, ㅑ)의 모음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bodiment of the keyboard layout of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at is, the vowel displayed in the consonantal drag reg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s shown in Figs. 1 to 10, in which one row (D) is (ㅕ, ㅗ, (ㅓ, touch consonant, a), and the third line (F) has a vowel region of (ㅠ, ㅜ, ㅑ).

이는 가장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도 1을 통해 설명하자면, 문자 "고"는 "ㄱ" 자음을 터치하고, "ㅗ"를 표시하고자 한다면, 터치된 자음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올려 드래그하면 되고, "ㅑ"의 경우는 4시 30분 방향으로 내려가면 된다. 사실상 사용자의 그간 습성에 따라 자판을 배열하여 보다 용이하게 자판을 통해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다.
This represents the most convenient approach. Referring to FIG. 1, the character "high" touches the "A" consonant, and if it is desired to display "ㅗ", it is dragged up and dragg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touched consonant. You can go down toward 30 minutes. In fact, I found a way to display letters through the keyboard more easily by arranging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habit of the us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형 이외의 자음 이외의 자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또 독특한 방법으로 제시한다. 즉, 일정한 영역에 표시된 자음터치 후, 롱터치나 또는 더블터치를 통해서 확장자음을 표시하되, 확장자음은 기본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외의 자음인 "ㅊ, ㅋ, ㅌ, ㅍ, ㅎ" 및 쌍자음이 각각 하나의 자음영역(10)에 할당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isplaying consonants other than the basic type other than the basic type is also presented in a unique method. That is, after touching a consonant displayed in a certain area, the extension sound is displayed through a long touch or a double touch, and the extension sound is displayed in a state other than the basic consonants "a, b, c, d, k, Consonants such as ",,,,,,,,,,, ", and a pair of consonants are assigned to one consonant region (10).

즉, 본 발명에서는 기본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자음은 9가지로 제안하며, 한글의 경우 자음은 쌍자음을 제외하고 14개로, 기본영역에 기재된 기본자음 외에 5개를 더 구현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쌍자음도 구현하고자 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nine consonants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basic area. In case of Hangul, there are 14 consonants except for the consonant,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lement five consonants in addition to the basic consonants described in the basic area. Furthermore, we want to implement a pair of consonants.

바로 이러한 자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본 고안에서는 도시된 도 10에서처럼 기본자음의 하부 영역에 기존자음보다 글자체의 크기를 작게 하여 하나씩 더 부가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method of displaying the consonants, as shown in FIG. 10, the sizes of the fonts may be smaller than the existing consonants in the lower region of the basic consonants.

즉, 기본자음 "ㄴ"을 살펴보면 그 외곽으로 흐리게 글자체가 기본자음 "ㄴ" 보다 작게 도시한 "ㅌ"이 배열된다. 한글은 이 "ㅌ"자도 반드시 필요하다. 별도의 자판을 만들어도 무방하지만, 터치패널의 크기가 문제가 된다면 본 발명에서는 "ㄴ"자와 함께 두고 롱터치 방식으로 "ㄴ"에서 "ㅌ"으로 변환하게 실시할 수 있다. 사람의 습성에 맞추어 일정한 시간이상 계속해서 "ㄴ"자를 클릭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다음의 자음인 "ㅌ"이 표시되고 "ㅌ"에 따른 자음드래그영역(20)이 표시된다. 그리고 자음드래그영역을 따라 드래그하는 작용을 하면 자음과 모음이 완성된 한글 문자가 된다. That is, when looking at the basic consonant "b ", the letter " i " Hangul is also required to have this "ㅌ" character. However, if the size of the touch panel is a problem, it is possible to carry out conver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rom "b" to " b " The consonant dragging area 20 corresponding to "I " is displayed, and the next consonant" I " is displayed when the state of "b" Then, when dragging along the consonant drag region, consonants and vowels become complete Hangul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미리 설정된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ㄴ"자 자음을 두번 클릭(더블터치 입력 방식)하게 되면 다음의 자음인 "ㅌ"으로 변환하여 다음의 드래그 작용은 동일하게 행하는 것으로 동일한 문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양자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 Consonant is double-clicked (double-touch input metho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next consonant is converted into " The same character may be formed.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be programmed to accommodate both of them.

한편, 도 10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ㅋ"을 입력하기 위해 기본자음 "ㄱ"을 입력후 롱터치 입력시 도시된 "ㄲ"에 대한 입력으로 더블터치 입력시 "ㅋ"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반대로 롱터치 입력시 "ㅋ"에 대한 입력, 더블터치 입력시 "ㄲ"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an input for "ㄲ" shown at the time of long touch input after inputting the basic consonant "a" for inputting "ㅋ" can be recognized as an input for " On the contrary, it can be recognized as an input for "ㅋ" when inputting long touch, and as an input for "ㄲ" when inputting double touch.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기본영역(K)은 어디까지나 기본형을 표시한 것이다. 이는 표시패널이 작은 경우에만 한정된다. 다소 큰 형태의 표시패널일 경우에는 상기 자음 기본영역(K)을 확대시킬 수 있다. 자음을 위해서 배당되는 표시자판을 9개가 아닌 10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를 도 12에 도시하고 있는데, 이 외의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활용이 가능하다. 이는 표시패널의 사정에 따라 달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The basic area K shown in Fig. 10 represents the basic type only. This is limited only when the display panel is small. In the case of a display panel of a somewhat larger shape, the consonance basic region K can be enlarged. It is possible to form not more than nine but more than ten display boards to be allocated for consonants.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12 in the figure shown, but it can be utilized in any other way. It may be manufact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display panel.

즉, 기본영역(K)의 외곽으로 또 다른 자판 배열을 가지고 확장자음의 모두를 형성할수도 있으며, 일부는 이미 전술된 실시예에서처럼 하나의 자판에 비하여 2개 이상의 표시 자음을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그래도 다 채우지 못한 확장자음의 경우는 별도로 구현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ll of the extension tones may be formed with another keyboard layout on the outskirts of the basic area K. In some cas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method of displaying two or more display consonants However, the extension sound that can not be completely filled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그리고, 본 발명에서 모음드래그영역(30)에 표시되는 자음은, 3행 3열으로 형성하되, 도 11과 같이 중심부의 터치모음과, 터치모음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기본자음을 기본적으로 구현하고, 확장자음은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s displayed in the vowel drag region 30 are formed in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basic consonants are basically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ouch bar and the touch bar are surrounded as shown in FIG. 11, Extension sound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즉, 모음드래그영역(30)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자음은 8개의 공간에 기본자음은 물론 확장자음이 표시되야 한다. 이들을 모두 8개의 영역에 표시하기는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모음드래그영역(30)에 표시되는 자음도 하나의 자판에 다수의 자음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sonants to be displayed in the vowel dragging region 30 should be displayed in eight spaces as well as the basic consonant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s displayed in the vowel dragging region 30 can also receive a touch input in a manner of implementing a plurality of consonants in one keyboard have.

나아가 모음드래그영역(30)에 표시되는 자음 중 2개 또는 3개로 표시되는 자음간의 터치 구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후 롱터치나 또는 드래그 후 더블 및 트리플 클릭으로 선택할 수 있다. Furthermore, touch distinction between two or three consonants displayed in the vowel drag region 30 can be selected by double-clicking and triple-clicking after long-touching or dragging after dragging, as described above.

이미 전술된 기본자음이나 확장자음에서 자음의 변경방식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드래그 후 롱터치, 드래그 후 더블클릭 및 드래그 후 트리플 클릭으로 받침자음의 변경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nsonant sound by the long touch after dragging, the double click after dragging, and the triple click after dragging, similar to or similar to the method of changing the consonant in the above-described basic consonant or extension sound.

하나의 실시예로, "같"이란 한글 문자를 기재하는 방식을 실례로 들자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ㄱ'을 클릭하고 우측 3시 방향의 자음드래그영역(20)으로 드래그하면 '가'가 기재되고, '가'의 드래그가 끝난 후 도 11에서와 같이 모음드래그영역(30)에서 자음이 다시 표시될 때 'ㄴ'자 방향인 7시 30분 방향으로 더 드래그가 연속되면 "간"이 기재된다. 실시자는 이 간이 기재된 상태에서 드래그를 끝내고 좌판에서 손가락의 터치를 떼지 않고 일정한 시간 유지를 하면 'ㅌ'으로 받침자음이 변경되어 "같"이란 한글 문자가 표시된다. As an example, a method of describing a Hangul character as "same" is exemplified. First, as shown in FIG. 1, when 'A' is clicked and dragged to the consonant drag region 20 at the right 3 o'clock direction, When the consonant is again displayed in the vowel drag region 30 as shown in FIG. 11 after the dragging of the 'a' is finished, if the drag is continued in the direction of 7:30, which is the ' . When the operator completes the dragging in this state and holds the fing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releasing the touch of the finger on the seat, the consonant sound is changed to '' ', and the Hangul characters such as "same" are displayed.

다른 실시예로, 전술된 '간'자에서 즉시 손가락의 터치를 떼고, 다시 한 번 자음을 클릭(드래그를 떼고 다시 클릭한 것을 본 발명에서는 "더블클릭=더블터치"으로 간주)하게 되면 롱터치와 동일하게 "같"이 표시된다. 이것이 확장되어 도시된 도 11에서처럼 3개의 자음이 표시된 모음드래그영역(30)의 경우, "ㄱ, ㅋ, ㄲ"이 선택된 자판에서 "ㄲ"을 기재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이 3가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touch of the finger is immediately released from the above-mentioned 'liver' character and the consonant is again clicked (the double click is regarded as double touch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gon is released and clicked again) Quot; same "is displayed. In the case of the vowel dragging region 30 in which three consonants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11 in which this is expanded as shown in Fig. 11, in the case of describing "ㄲ" in the keyboard selected with "a, b, c" have.

하나는 모음드래그영역(30)을 드래그하여 받침자음 "ㄱ"이 표시된 후 롱터치를 계속하여 "ㅋ"으로, 그리고 롱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ㅋ"에서 "ㄲ"으로 문자가 변경되는 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하는 방식이다.One is that while dragging the vowel dragging region 30, the consonant consonant "a" is displayed, the long touch is continued to "ke", and while the long touch is maintained, the character is changed from "ke" to " It is a way to maintain touch.

둘은 "ㄱ"이 표시된 후 롱터치를 하여 "ㅋ"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떼고 다시 클릭하는 더블클릭을 하여 "ㄲ"으로 변환시키는 방식이다.The two are displayed with a "A", followed by a long touch, and in the state of being converted to "ㅋ", the finger is released and then double-clicked again to convert it to "ㄲ".

셋은 모음드래그영역(30)을 드래그를 통해서 받침자음인 "ㄱ"을 표시하고 한 후, 바로 손가락을 떼고 연속된 트리플클릭을 통해서 "ㅋ"으로 변환시키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든 받침자음표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et is a method of displaying the "a" as a supporting consonant through dragging the vowel drag region 30, then immediately turning off the finger and converting it into "ke" through successive triple-click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se supporting consonant display methods can be used.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3 to 16 are diagrams showing a user interface screen (UI screen)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경우, 도 13a와 같이 입력 장치가 되는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키보드 상에서 한글의 모음 키는 존재하지 않고 자음키만 있는 자음입력창(40)이 표시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3A, a consonant input window 40 having only a consonant key is displayed without a Korean vowel key on a keyboard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as an input device.

자음입력창(40)에 구현된 모든 자음에는 터치와 동시에 도 13b와 같이 드래그를 할 수 있는 별도의 드래그팝업창(50)이 구현된다.A separate drag pop-up window 50 for dragging as shown in FIG. 13B is implemented on all the consonants in the consonant input window 40.

여기서, 드래그팝업창(50)에는 한글의 이중모음을 포함하는 모든 모음을 새롭게 구획된 틀 안에 배치한다. 즉, 드래그팝업창(50)에는 선택된 자음, 그리고 선택된 자음의 상부로 8개, 양측으로 2개, 하부로 8개의 모음 버튼을 표시한다.Here, in the drag pop-up window 50, all the vowels including the double vowel of Hangul are arranged in the newly partitioned frame. That is, the drag pop-up window 50 displays the selected consonant, and eight vowel buttons at the top of the selected consonant, two at both sides, and eight at the bottom.

이에 따라, 자음입력창(40)에서의 자음을 터치 선택하면, 터치된 자음을 중심으로 드래그팝업창(50)이 도 14와 같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자음을 중심으로 구현된 드래그팝업창(50) 상에 배치된 모음쪽으로 드래그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최종 드래그 선택 입력된 영역에 해당하는 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한글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Accordingly, when a consonant in the consonant input window 40 is selected by touching, a drag pop-up window 50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 14 around the touched consonant. Accordingly, when a drag selection input is received toward the vowel arranged on the drag pop-up window 50 implemented around the selected consonant, a single Hangul character is input by combining with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nal drag selection input area.

보다 구체적으로, 드래그팝업창(50)의 모음의 위치는 모음의 위치는 선택된 자음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ㅏ"와"ㅑ" 의 인접한 차례로, 좌측으로 "ㅓ"와 "ㅕ"의 인접한 차례로, 상부로 "ㅗ" 와 "ㅛ"의 인접한 차례로, 하부로 "ㅜ" 와 "ㅠ"의 인접한 차례로, 좌측 상부에 "ㅡ" 우측 하부에 "ㅣ" 좌측 하부에 "ㅝ" 우측 상부에 "ㅘ" 를 배치한다.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vowel of the drag pop-up window 50 is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vowel is in the adjacent order of "a" and "ㅑ" to the right of the selected consonant, in the adjacent order of "ㅓ" In the adjacent order of "ㅗ" and "ㅛ", in the adjacent order of "ㅜ" and "ㅠ" in the adjacent order, "ㅡ" in the upper left, "ㅣ" in the lower right, "ㅘ" .

추가로, 드래그팝업창(50)의 최외곽에서, 좌측·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ㅔ, ㅚ", 우측·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ㅙ", "ㅐ", 좌측·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ㅖ", "ㅞ", 우측·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ㅟ", "ㅐ"를 배치한다.In addition, in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drag pop-up window 50, "ㅔ", "ㅔ", "ㅙ", "ㅐ" in the right and upper corner areas, "ㅖ" ㅞ "," ㅟ "and" ㅐ "are arranged in the right and lower corner areas.

가량 "외"를 입력시 자음입력창(40)에서 "ㅇ" 를 터치 입력하고, "ㅚ" 를 입력하기 위해 "ㅗ" , "ㅡ", 또는 "ㅗ" , "ㅡ"의 사이 영역을 지나가면 "ㅚ"를 최종 드래그 좌표로 입력하면 되는 방식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요", "아"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을 도 15에 도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입력된 한글 문자는 도 15와 같이 별도의 문자표시창(60)을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확인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ㅗ", "ㅡ", or "ㅗ", "ㅡ" in order to input "ㅚ" in the consonant input window (40) You can enter the mask "ㅚ" as the final drag coordinate. FIG. 15 shows a concept of a process of inputting "Yo" and "Ah" in the same manner. The finally inputted Korean character is displayed through a separate character display window 60 as shown in FIG. 15,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it.

즉, 도 13 내지 도 16과 같은 터치입력방식을 통해 현재 터치 키보드에 익숙해 져 있으나 매번 모음을 찾아 터치를 해주어야 하는 수고를 없애고 외우지 않고도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여러 번 터치 해주어야 하는 한글 입력에서 벗어나 한 번의 드래그로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other words, although the user is familiar with the touch keyboard at present through the touch input method as shown in FIGS. 13 to 16, it is possible to input a vowel without having to memorize and memorize every time by searching for a vowel, It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ter all vowels with a single drag.

또한, 드래그팝업창(50) 상에서 모음의 배치 방향은 한글의 기본 원칙에 따라 방향이 설정되어 있어 외우지 않고도 누구나 전방향으로 터치와 동시에 드래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어렵지않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vowels on the drag pop-up window 50 is set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 of Hangul, so that anyone can drag in all directions without touching and touching them at the same time. It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ter.

그리고, 도 1 내지 도 15에서 한글의 문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각 나라 언어에 맞는 키보드를 만들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장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언어를 영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전체 키보드에 영어를 배치해야만 한다. 그러면 키보드의 칸이 작아져서 오타가 심하며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많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15에 따른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을 적용시 한글의 자음에 해당하는 중국어의 성모는 자판에 배치하고 그 성모 주위에 운모를 배치하여 키보드의 칸도 크게 할 수 있고, 편하고 빠르게 중국어를 입력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도 16은 한글이 아닌 영어를 기준으로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이 구현된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1 to 15, the method of inputting a touch screen charact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keyboard suitable for each country language implemented by a smart phone can be created and mounted on a smart phone or a computer. For example, to express the Chinese language in English, you have to place the English on the entire keyboard of the smartphone. Then, the space of the keyboard becomes smaller, and there are a lot of typos and inconvenience to use. Accordingly, when applying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FIGS. 1 to 15, it is possible to place the mothers of Chinese corresponding to Korean consonants in the keyboard and arrange mica around the mothers, Provides the advantage of entering Chinese. Meanwhile, FIG. 1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keyboard layout in which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is implemented based on English rather than Hangul.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자음영역
11: 구분선
20: 자음드래그영역
30: 모음드래그영역
40: 자음입력창
50: 드래그팝업창
51: 생성라인
60: 문자표시창
K: 기본영역
10: Consonant area
11: divider
20: consonant drag area
30: Vowel drag area
40: Consonant input window
50: Drag pop-up window
51: Creation line
60: Character display window
K: Basic area

Claims (11)

각기 다른 자음이 중앙에 자음영역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영역이 구현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에서,
다수의 기본영역에 포함된 자음영역 중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자음을 중심으로 둘러싸서 형성된 다수의 모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터치된 자음과 드래그된 최종 좌표에 해당하는 모음을 합하여 하나의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In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at least one basic area in which different consonants are centered in a consonant area is implemented,
A touch input for one of the consonant region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basic regions, a drag input to an input reg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owels formed by surrounding the selected consonant is received, and the touch consonant and the final dragged coordinate And inputting one Korean character by adding the corresponding vowels.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본영역은,
9개의 구분 구획을 갖되, 3행 3열으로 형성되며, 1행(A)이 (ㅅ, ㅈ, ㄱ); 2행(B)이 (ㄷ, ㅇ, ㄹ); 3행(C)이 (ㄴ, ㅂ, ㅁ)의 자음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1,
It has nine divisional sections, and is formed by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one row (A) is (x, y, a); Line 2 (B) is (c, o, d); And the third line (C) has a consonant region of (b, f, k).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모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자음드래그영역은, 3행 3열로 이루어지며, 1행(D)이 (ㅕ, ㅗ, ㅛ), 2행(E)이 (ㅓ, 터치자음, ㅏ), 3행(F)이 (ㅠ, ㅜ, ㅑ)의 모음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sonant drag area for receiving a drag input to an input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owels is composed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one row (D) corresponds to (ㅕ, ㅗ, ㅛ) A touch consonant, a), and a third line (F) having a vowel region of (t, t, t).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모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으로의 드래그 이후, 받침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다수의 자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인 모음드래그영역을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for inputting a touch screen character,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collection drag region, which is an input reg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sonants, for inputting consonant consonants after dragging into a plurality of vowel-separated input regions, on a touch screen.
청구항 4에 있어서, 모음드래그영역은,
받침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자음으로 구분된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이후, 롱터치나 또는 더블터치를 통해서 확장자음을 표시하며, 확장자음을 기본자음 외의 자음인 "ㅊ, ㅋ, ㅌ, ㅍ, ㅎ" 및 쌍자음 중 하나를 각 기존자음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5. The image pickup device according to claim 4,
After touching an input area divided by at least one basic consonant for inputting a consonant, an extension sound is displayed through a long touch or a double touch, and the extended consonant is displayed as "consonant", "Quot;,",",",",", and "
청구항 5에 있어서, 모음드래그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은,
3행 3열의 배열 중 중심부의 이전에 터치된 터치모음과, 터치모음을 둘러싸는 기본자음을 기본적으로 표시되며, 확장자음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sonants displayed in the vowel dragging region
Wherein a touch bar touching a center portion of the arrangement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a basic consonant surrounding the touch bar are basically displayed and the extension sound is selectively display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음영역 중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위해 한글의 모음 키는 존재하지 않고 자음키만 있는 자음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sonant input window having only a consonant key is displayed without a vowel key for Hangul for touch input to one of the consonant regions.
청구항 7에 있어서,
자음입력창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중 하나에 대한 터치와 동시에 모음을 드래그할 수 있는 별도의 드래그팝업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eparate drag pop-up window is displayed for simultaneously dragging one of at least one consonant displayed on the consonant input window and simultaneously dragging the vowel.
청구항 8에 있어서, 드래그팝업창은,
한글의 이중모음을 포함하는 모든 모음을 새롭게 구획된 틀 안에 배치하며, 선택된 자음, 그리고 선택된 자음의 상부로 8개, 양측으로 2개, 하부로 8개의 모음 버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drag-and-pop-up window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ll the vowels including the double vowel of Hangul are arranged in a newly compartmented frame and eight vowel buttons are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lected consonant and the selected consonant, Character input method.
청구항 8에 있어서,
드래그팝업창의 모음의 위치는 선택된 자음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ㅏ"와"ㅑ" 의 인접한 차례로, 좌측으로 "ㅓ"와 "ㅕ"의 인접한 차례로, 상부로 "ㅗ" 와 "ㅛ"의 인접한 차례로, 하부로 "ㅜ" 와 "ㅠ"의 인접한 차례로, 좌측 상부에 "ㅡ" 우측 하부에 "ㅣ" 좌측 하부에 "ㅝ" 우측 상부에 "ㅘ" 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positions of the vowels in the drag pop-up window are in the order of adjacent "a" and "ㅑ" to the right of the selected consonant, in the adjacent order of "ㅓ" and "ㅕ" to the left and in the adjacent order of "ㅗ" and "ㅛ"Quot;, and " ㅘ "is arranged at the upper right side of """ .
청구항 9에 있어서,
드래그팝업창의 최외곽 중, 좌측·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ㅔ, ㅚ", 우측·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ㅙ", "ㅐ", 좌측·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ㅖ", "ㅞ", 우측·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ㅟ", "ㅐ"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outermost part of the drag pop-up window, "ㅔ, ㅚ" is displayed in the left and upper corner areas, "ㅙ" and "ㅐ" are displayed in the right and upper corner areas, "ㅖ"Quot;, and ""are arranged in corner areas.
KR1020160024264A 2016-02-29 2016-02-29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 KR101738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64A KR101738298B1 (en) 2016-02-29 2016-02-29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64A KR101738298B1 (en) 2016-02-29 2016-02-29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324 Division 2015-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80A true KR20160087780A (en) 2016-07-22
KR101738298B1 KR101738298B1 (en) 2017-05-19

Family

ID=5668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264A KR101738298B1 (en) 2016-02-29 2016-02-29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2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009A (en) * 2022-06-16 2023-12-26 이춘형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42B1 (en) 2012-07-13 2013-05-30 김붕회 Input method of letter in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298B1 (en)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7110A (en) Features of data entry system
KR20130113622A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CN103218146B (en) The method and its mancarried device of the different keypads configuration for data input is presented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CN104808807A (en) Method and device for Chinese phonetic input
KR101189112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Touch Screen
KR101039284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738298B1 (en)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touch screen
JP5977764B2 (e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
KR20100044772A (en) On the touch-screen,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multi-touch and drag
KR101269842B1 (en) Input method of letter in touch screen
KR100647827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device
TWI579760B (en) A method of braille input based on orbits recorded by a touch panel
JP6602129B2 (en) Character input assist device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JP2022094941A (en)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haracter input device
US9563355B2 (en) Method and system of data entry on a virtual interface
KR20120097921A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KR20150131662A (en) Enlarging the condition of combination of characters when inputting text
JP20121088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device operation method
KR101282760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egi keyboard layout
JP2005275635A (en) Method and program for japanese kana character input
KR100762944B1 (en) Editor for screen keyboard on display device and editing method therefor
KR101195625B1 (en) The method to input character in touch screen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