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712A -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al products - Google Patents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al produc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7712A KR20160087712A KR1020150007021A KR20150007021A KR20160087712A KR 20160087712 A KR20160087712 A KR 20160087712A KR 1020150007021 A KR1020150007021 A KR 1020150007021A KR 20150007021 A KR20150007021 A KR 20150007021A KR 20160087712 A KR20160087712 A KR 201600877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drying
- agricultural products
- space
- distribu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abstract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766 Cornus m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63 Cornus m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8—Thin layer-, drum- or roller-drying or by contact with a hot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나 대추 등의 농산물을 각 채반에 전개된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채반들을 건조로 내에 적층되게 수납시켜 열풍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하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고추, 대추 등의 농산물은 썩거나 변질 우려가 있는 관계로, 당 분야에서는 상기 농산물을 열풍 건조장치에 투입시켜 열풍을 통해 농산물에 잔류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풍 건조방식으로 건조하고 있다.Since the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red pepper and jujube may be rotten or deteriorated,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put into a hot air drying apparatus and dried by a hot air drying method in which moisture remaining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is removed through hot air.
상기 열풍 건조장치를 통한 농산물의 건조과정은, 농산물을 다단식 채반에 올려놓은 후, 고온의 열풍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송풍시켜 농산물의 잔류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형태이다.The drying proces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is a drying method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are placed on a multi-stage tray and then hot air is blown from the upper or lower side to remove residual moisture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그런데, 이러한 건조형태는 다단식으로 적층된 채반에 올려놓은 농산물에 고온의 열풍을 골고루 균일하게 송풍하기 어려운 관계로, 농산물의 건조효율이 각 채반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문제점이 야기된다.However, since the drying type is difficult to uniformly blow hot hot air evenly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placed on the trays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causes different problems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harvesters.
즉,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채반에는 열풍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지만, 건조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채반에는 하부에 위치된 채반을 순환한 열풍이 순환된다.That is, hot air can be stably supplied to the tray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ying space, but hot air circulated in the trays located in the lower part is circulated in the trays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space.
따라서, 상부에 위치된 채반에는 하부에 위치된 채반보다 낮은 온도의 열풍이 순환되므로 상부에 위치된 채반과 하부에 위치된 채반 사이의 온도 편차가 발생되어서, 각 채반 간 농산물의 균일한 건조가 어렵다.Therefore, since the hot win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pot placed at the upper portion is circulated, a temperature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pot plac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pot plac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dry the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the pots .
이에, 당 분야에서는 농산물의 건조과정에 주기적으로 다단식 채반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바꿔 모든 농산물에 균일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다단식 채반의 위치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바꿔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또 건조공간의 잦은 개방이 요구되므로 건조공간의 개방에 따른 열손실의 발생과 농산물의 건조에 따른 지연이 야기된다.Therefore, in this field, the position of the multi-stage tray is periodically changed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so that the uniform hot air is supplied to all the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is inconveniences that the position of the multi- In addition, frequent opening of the drying space is required, resulting in heat loss due to the opening of the drying space and delay in drying the agricultural product.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10-1137774호에서는 회전드럼 내에 농산물을 투입시켜 회전드럼이 회전하면서 농산물을 건조하도록 한 회전드럼형 농산물 건조기를 제안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37774 proposes a rotary drum-type agricultural product dryer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are put into a rotary drum and the rotary drum is rotated to dry agricultural products.
이러한 농산물 건조기는, 농산물에 열풍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은 갖지만, 상기 회전드럼은 부피가 크고 또 회전드럼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구동원이 요구된다.The agricultural product dryer has the advantage of uniformly supplying hot air to the agricultural products, but the rotary drum is bulky and requires a separate driving source for rotating the rotary drum.
따라서, 종래 채반을 통해 농산물을 건조공간 내에 수납하는 형태에 대비하여 건조공간 내에 투입할 수 있는 농산물의 량이 현저히 감소되고, 또 구동원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전력의 공급이 요구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농산물들을 건조하는 용도로 적용하기 것은 적합하지 아니하고, 특히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회전드럼 내에 수용된 농산물들의 손상이 야기될 수도 있다.Therefor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stored in the drying space through the conventional harvesting, the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input into the drying spac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for installing and driving the driving source is required. Is not suitable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may cause damage to agricultural products housed in the rotary drum, particularly by rotation of the rotary drum.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산물들이 수납된 채반들을 건조로 내에 적층되게 수납시켜 열풍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함에 있어, 각 채반에 개별적으로 적량의 열풍이 공급 및 순환하도록 구성하여 각 채반에 수납된 농산물들의 건조속도의 편차 없이 균일하고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a drying furnace by stacking them in a drying furnace and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by hot wi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which can uniformly and rapidly dry without fluctuating the drying speed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stored in each tray.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stitutio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는, In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건조공간 내에 레일들이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 건조실과; 상기 레일을 통해 건조실의 건조공간 내에 상하 적층하여 거치되는 채반 및; 상기 건조실 내에 열풍을 공급하여 각 채반에 수납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열풍 공급부를 포함하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A drying chamber in which the rails are vertically spaced in the drying space; A trays stacked vertically in the drying space of the drying chamber through the rails; And a hot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drying chamber and dry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stored in each tray,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comprising:
상기 각 채반은, 바닥에 복수의 토출구들이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형성되어 주입구를 통해 열풍 공급부에서 주입된 열풍을 토출구를 통해 상향 분배시켜 토출하는 분배공간을 갖는 복층 구조체로 구성하고, Each of the trays includes: an upper body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on the bottom; A lower body dispos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a distribu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distribute the hot air inject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through the injection port up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o discharge the hot air,
상기 열풍 공급부는, 분배관을 통해 각 채반에 형성된 분배공간에 열풍 공급부에서 생성된 열풍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t ai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individually supply hot air generated in the hot air supply unit to the distribution space formed in each sorter through the distribution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풍 공급부는 열풍을 생성하는 열원유닛과; 상기 열원유닛에서 생성된 열풍을 충진하는 분배챔퍼; 및 상기 분배챔퍼와 채반의 분배공간을 병렬구조로 연결하는 분배관을 포함하여, 각 채반의 분배공간에 열풍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구성한다.Preferably, the hot air supply unit includes a heat source unit for generating hot air; A distribution chamber for filling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unit; And a distribution pipe connecting the distribution chamber and the distribution space of the sorter to each other in a parallel structure, so that hot air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space of each sorter.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체는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어, 분배공간 내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풍과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세라믹 재질의 하부체는 열풍을 상부와 하부로 복사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lower body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lower body of the ceramic material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hot air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space is configured to radiate the hot air 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그리고, 상기 열풍 공급부는 열풍을 생성하는 열원유닛과; 상기 열원유닛에서 생성된 열풍을 충진하는 분배챔퍼; 및 상기 분배챔퍼와 채반의 분배공간을 병렬구조로 연결하는 분배관을 포함하여, 각 채반의 분배공간에 열풍유닛에서 생성된 열풍이 균일되게 분배하여 공급되도록 한다.The hot air supply unit includes a heat source unit for generating hot air; A distribution chamber for filling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unit; And a distribution pipe connecting the distribution chambers and the dispensing space of the sorter to each other in a parallel structure so that hot air generated from the hot air unit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supplied to the dispensing space of each sort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량의 농산물들을 각 채반에 전개시켜 건조하는 형태의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건조실의 건조공간 내에 열풍을 일괄하여 공급하지 아니하고 열풍 공급부가 각 채반에 개별적으로 열풍을 분배시켜 공급하고, 각 채반은 분배공간을 통해 각 토출구로 공급된 열풍을 균일하게 분배시켜 농산물에 공급하므로, 수납공간에 전개된 농작물에 균일한 열풍이 공급 및 순환하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implementing a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which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developed and dried in respective trays, hot air is not collectively supplied into the drying space of the drying chamber, And each hot pot is supplied to the agricultural products by uniformly distributing the hot air supplied to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through the distribution space so that uniform hot air is supplied and circulated to the crops deployed in the storage spac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상하 적층된 채반의 위상 편차에 의한 각 채반에 발생되는 열풍의 온도 편차에 의해서, 농산물이 균일한 속도로 건조되지 못하는 한계성이 극복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limitation that the agricultural products can not be dried at a uniform speed due to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hot air generated in each tray due to the phase deviation of the vertically stacked trays.
따라서,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농산물들을 건조할 수 있는 채반을 이용한 건조형태를 취하면서도 농산물의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채반의 위치를 변경하는 번거로운 부가 공정이 불필요하고, 또 주기적으로 건조공간을 개방함에 따른 열손실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ry agricultural products uniformly while taking a dry form using a trays capable of drying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at low cost, and as a result, a cumbersome additional process in which the operator periodically changes the position of the trays is unnecessary And the generation of heat loss due to the periodic opening of the drying space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 채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 분배관에 형성된 혼입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를 통한 농산물의 열풍 건조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FIG.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show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a wet-type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horn inlet formed in a distribution pipe in a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pos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hot air drying state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a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 채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 분배관에 형성된 혼입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를 통한 농산물의 열풍 건조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FIG.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show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horn inlet formed in a distribution pipe in a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Which shows the state of hot air drying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posed in US Pat.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공간(11)이 형성된 건조실(10)과; 농산물을 전개된 상태로 수납하여 건조실(10)의 건조공간(11) 내에 상하 적층하여 거치되는 복수의 채반(20); 및 상기 건조실(10) 내에 열풍을 공급하여 각 채반(20)에 수납된 농산물을 열풍 건조하는 열풍 공급부(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ot
상기 건조실(10)은, 외측에 투입구(13)가 형성되어 농산물을 수납한 채반(20)을 건조공간(11)에서 진출입하고 상기 건조공간(11)의 내벽에는 복수의 레일(12)들이 등간격으로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레일(12)을 통해 농산물을 수납한 채반(20)들을 건조공간(11) 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한다.The
상기 열풍 공급부(30)는, 기름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풍 내지 열기를 생성하는 버너형의 열원유닛과, 전열에 의해 생성된 열풍 내지 열기를 생성하는 전열형의 열원유닛을 포함한다. The hot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전열형 열원유닛(31)을 포함하는 열풍 공급부(30)를 채택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그리고, 상기 각 채반(20)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21a)이 형성되어 각 채반(20)의 수납공간(21a)에 고추나 대추 등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들을 전개하여 수납하고, 상기 수납공간(21a)에 농산물을 수납한 채반(20)은 건조실(10)의 내벽에 형성된 레일(12)들을 통해 건조공간(11) 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each of th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채반(20)과 열풍 공급부(30)를 개량하여 채반들이 배치된 건조공간(11) 내에 열풍을 일괄하여 공급하지 아니하고, 건조실(10) 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 각 채반(20)에 개별적으로 적량의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위상 편차에 의해 채반(20) 간의 온도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소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implementing the hot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채반(20)을 바닥에 복수의 토출구(21b)들이 형성된 수납공간(21a)을 갖는 상부체(21)와; 상기 상부체(21)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하부체(22); 및 상기 상부체(21)와 하부체(22) 사이에 형성되어 주입구(23a)를 통해 열풍 공급부(30)에서 주입된 열풍을 토출구(21b)를 통해 상향 분배시켜 토출하는 분배공간(23)을 갖는 복층 구조체로 구성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그리고, 상기 열풍 공급부(30)는 분배관(33)을 통해 각 채반(20)에 형성된 분배공간(23)에 열풍을 개별적으로 주입하도록 구성한다.The hot
이때, 상기 열풍 공급부(30)의 각 분배관(33)은 건조공간(11)의 내측에 배치되어, 도 3과 같이 작업자가 채반(20)을 레일(12)을 따라 건조공간(11)의 내측으로 진입시키면 채반(20)에 형성된 주입구(23a)와 열풍 공급부(30)의 분배관(33)은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한다.Each of the
그리고, 상기 분배관(33)이 삽입되는 주입구(23a)의 내벽에는 'O'링(23b)을 설치하여, 상기 주입구(23a)는 'O'링(23b)들을 통해 분배관(33)의 외경에 밀착되어 분배관(33)과 기밀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An O'-
또한, 상기 열풍 공급부(30)는 전열히터, 또는 버너에서 생성된 열풍을 생성하는 열원유닛(31)과; 상기 열원유닛(31)에서 생성된 열풍을 충진하는 분배챔퍼(32); 및 상기 분배챔퍼(32)와 채반(20)의 분배공간(23)을 병렬구조로 연결하는 분배관(33)을 포함하여, 각 채반(20)의 분배공간(23)에 열풍이 균일되게 분배하여 공급되도록 한다.Also, the hot
즉, 상기 열풍 공급부(30)에서 생성된 열풍은 분배챔퍼(32)를 통해 균일한 압력으로 분배된 다음, 각 분배관(33)을 통해 각 채반(20)의 분배공간(23)으로 주입되고, 상기 분배공간(23)에 주입된 열풍은 수납공간(21a)의 바닥면에 형성된 토출구(21b)들을 통해 상향 분배하여 토출되어서 수납공간(21a)에 수납된 농산물들을 건조한다.That is,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ot
그리하여, 본 발명은 위상 편차에 따른 각 채반(20)의 온도의 편차 발생 없이 건조공간(11) 내에 적층되게 배치된 각 채반(20)들은 균일한 온도의 열풍을 제공받아 수납공간(21a)에 전개하여 수납된 농작물들을 건조하므로, 각 채반(20)에 수납된 농작물들의 균일하고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채반(20)을 구성하는 상부체(21)와 하부체(22)는 단일체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이들 상부체(21)와 하부체(22)는 분리 구성되어 간편한 조립을 통해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21)의 저면에 조립레일(21c)을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하부체(22)에는 조립 가이드(22a)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체(22)는 조립 가이드(22a)를 상부체(21)의 조립레일(21c)에 삽입시켜 상부체(21)의 저면에 이격되게 조립되도록 한다.2, an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체(21)와 하부체(22)를 분리 구성하면, 작업자는 채반(20)을 구성하는 상부체(21)에서 하부체(22)를 분리시켜 농산물에 의해 오염된 분배공간(23)의 세척이 가능하고, 또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부체(22)의 재질을 개선하여 하부체(22)를 통해 농작물에 복사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즉, 상기 하부체(22)는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체(21)와 이형 재질인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어, 도 3과 같이 분배공간(23) 내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풍과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세라믹 재질의 하부체(22)는 전도된 열기를 열복사하여, 하부체(22)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된 농작물의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That is, the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각 채반(20)에 전개된 상태로 수납된 농작물들은 토출구(21b)를 통해 토출되어 농산물 사이를 순환하는 열풍과, 상기 열풍에 의해 가열된 하부체(22)에서 지속적으로 복사되는 열기에 의해 농산물의 보다 균일하고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crops stored in the state of being spread on each of the
한편,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분배관(33)에는 분배공간 내로 주입되는 열풍을 건조공간(11) 내에 잔류된 공기와 혼입시켜 채반(20)의 분배공간(23)으로 공급하는 혼입구(40)가 형성되어, 혼입구(40)에 의해 채반(20)의 분배공간(23) 내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한다.4 to 5, the
상기 혼입구(40)는, 혼입로(42)가 형성된 혼입실(41)과; 상기 혼입로(4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43)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부재(43)에 의한 혼입로(42)의 개폐량에 따라 분배챔퍼(32)에서 배출되는 열풍과 건조공간에 잔류된 공기의 혼입량이 조절되도록 구성한다.The horn inlet (40) includes a mixing chamber (41) in which a mixing path (42) is formed; And a
따라서, 작업자는 혼입구를 통해 열풍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과 건조공간 내에 잔류하는 공기를 혼입시켜서, 각 채반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건조공간(11) 내에 잔류된 공기의 재 순환을 통해서 열풍 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열풍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the operator can mix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and the air remaining in the drying space through the inlet of the hor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supplied to each sorte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hot air supplied from the hot
1.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
10. 건조실 11. 건조공간
12. 레일 13. 투입구
20. 채반 21. 상부체
21a. 수납공간 21b. 토출구
21c. 조립레일 22. 하부체
22a. 조립 가이드 23. 분배공간
23a. 주입구 23b. 'O'링
30. 열풍 공급부 31. 열원유닛
32. 분배챔퍼 33. 분배관
40. 혼입구 41. 혼입실
42. 혼입로 43. 밸브부재1. Hot air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10.
12. Rail 13. Inlet
20.
21a.
21c.
22a.
23a.
30. Hot
32. Dispensing
40.
42.
Claims (4)
상기 각 채반은, 바닥에 복수의 토출구들이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형성되어 주입구를 통해 열풍 공급부에서 주입된 열풍을 임시 수용하여 토출구를 통해 분배하는 분배공간을 갖는 복층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열풍 공급부는, 분배관을 통해 각 채반에 형성된 분배공간에 열풍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A drying chamber in which the rails are vertically spaced in the drying space; A trays stacked vertically in the drying space of the drying chamber through the rails; And a hot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drying chamber and dry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stored in each tray,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comprising:
Each of the trays includes: an upper body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on the bottom; A lower body dispos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a distribu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temporarily receive the hot air inject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through the injection port and distribute the hot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hot ai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individually supply hot air to a distribution space formed in each tray through a distribution pipe.
The ceramic body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lower body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lower body of the ceramic material heated by the heat exchange with the hot air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space is made to copy the hot air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Wherein the hot air drying device is for drying the hot air for agricultural produc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021A KR101728093B1 (en) | 2015-01-14 | 2015-01-14 |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al produc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021A KR101728093B1 (en) | 2015-01-14 | 2015-01-14 |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al produc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7712A true KR20160087712A (en) | 2016-07-22 |
KR101728093B1 KR101728093B1 (en) | 2017-04-18 |
Family
ID=5668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7021A KR101728093B1 (en) | 2015-01-14 | 2015-01-14 |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al produc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809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90363A (en) * | 2018-12-29 | 2019-03-19 | 河南工业大学 | Parallel peanut bed of material water transport and variation ventilation testing device |
KR101962919B1 (en) * | 2018-11-22 | 2019-03-28 | 주식회사 대성마리프 | Drying bogie device and drying system including thereof |
KR102624413B1 (en) * | 2023-07-17 | 2024-01-12 | 주식회사 어심원 | Apparatus for drying of fish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0255Y1 (en) | 2002-01-03 | 2002-03-29 | 신군식 | Dryer for agricultural products |
KR200414880Y1 (en) * | 2006-02-09 | 2006-04-25 | 최규탁 | A dryer device using far infrared ray |
-
2015
- 2015-01-14 KR KR1020150007021A patent/KR101728093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2919B1 (en) * | 2018-11-22 | 2019-03-28 | 주식회사 대성마리프 | Drying bogie device and drying system including thereof |
CN109490363A (en) * | 2018-12-29 | 2019-03-19 | 河南工业大学 | Parallel peanut bed of material water transport and variation ventilation testing device |
KR102624413B1 (en) * | 2023-07-17 | 2024-01-12 | 주식회사 어심원 | Apparatus for drying of fis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8093B1 (en) | 2017-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07112B2 (en) | Pellet smoker | |
CN101378786B (en) | Heating, sterilizing and drying appliance using superheated steam generator | |
RU2401960C2 (en) | Heating oven | |
KR101728093B1 (en) | Hot air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al products | |
CN107550250A (en) | Scorch integrated device | |
KR101834823B1 (en)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recycling wasted heat and fresh air supplying and multi zone | |
US10782067B2 (en) | 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 apparatus | |
CN101597850A (en) | The treating apparatus of tailoring cloth and processing method | |
JP2019505754A (en) |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a workpiece | |
KR101982705B1 (en) | coffee roaster | |
CN104582493B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the kiln for the material dried for kiln is dried | |
CN208551168U (en) | Scorch integrated device | |
KR101834822B1 (en)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multi zone | |
KR101364978B1 (en) | A separable apparatus for supplying source gas | |
JP2018121529A (en) | Tencha tea production line | |
WO202004187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 agricultural product | |
JP6815763B2 (en) | Carbonization equipment | |
KR100569149B1 (en) | Multipurpose farm produce sterilization dry machine | |
US2008008690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niform drying of board materials | |
KR101541963B1 (en) | Energy-saving Dryer capsicum | |
CA2986607C (en) | Modular air drier | |
KR101418260B1 (en) | Agricultural products dryer | |
CN109282590A (en) | Integral type drying equipment | |
US10132564B1 (en) | Plant dryer with improved convection flow | |
RU2534829C1 (en) | Method by v.g.vokhmyanin for drying moisture-containing products and device by v.g.vokhmyanin for such method implemen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