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498A - 샤워기 헤드 - Google Patents

샤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498A
KR20160087498A KR1020150006506A KR20150006506A KR20160087498A KR 20160087498 A KR20160087498 A KR 20160087498A KR 1020150006506 A KR1020150006506 A KR 1020150006506A KR 20150006506 A KR20150006506 A KR 20150006506A KR 20160087498 A KR20160087498 A KR 2016008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head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웰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웰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웰비스
Priority to KR10201500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498A/ko
Publication of KR2016008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중공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이 중앙부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제1 또는 제3 안내부가 형성되는 수압상승판과, 상기 수압상승판의 전방에 간격유지구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압상승판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분사하는 미세 출수공이 다수 형성되는 살수판과, 상기 살수판과 간격유지구 및 수압상승판이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헤드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체결구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헤드부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는 상기 헤드부 전면 개구부에 중공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수압상승판을 통과하도록 하여 수압을 상승시킨 후 살수판을 통해 배출하므로 미세한 크기로 분사되는 원수의 수압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샤워기 헤드{ A SHOWERHEAD }
본 발명은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분사 수압을 높여줌은 물론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시 정수 효율을 높여주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 헤드는 수도관의 밸브와 연결되어 수도를 통해 진행되는 물을 여러갈래로 분사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샤워기 헤드는 밸브와 연결되는 호스가 일끝단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샤워기 헤드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으며 하단에 호스가 결합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상단에 형성되어 원수를 분사하는 헤드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호스를 통해 진행되는 원수을 헤드부로 안내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샤워기 헤드는 주로 수돗물을 원수로 분사시키도록 하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최근에는 단순 기능을 탈피한 기능성 샤워기 헤드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샤워기 헤드의 일 예가 참고문헌 1(등록특허 제10-1219601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샤워기 헤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헤드부와, 0.1 ~ 1.0㎜ 직경의 미세 출수공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미세 출수공을 통해 원수를 분사하는 살수판과, 상기 헤드부와 샤워 호스를 연결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샤워기 헤드 조립체에 있어서, 원수가 충돌하여 음이온을 형성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중공부 내부 상단에서 하향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의 연결부 내측에 상기 돌기를 향해 원수를 분사하는 2개의 분사공이 폭 방향 중심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2개의 분사공을 통해 각각 분사된 원수가 충돌하도록 폭방향으로는 서로 대칭되도록 일정 정도 이격되게 형성되는 2개의 전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전방 돌기에 비해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후방쪽의 폭 방향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돌기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원수가 충돌하는 후방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에 제안된 샤워기는 상기 헤드와 손잡이의 연결부 내측에 2개의 분사공이 폭 방향 중심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돌기를 향해 원수를 분사하는 구조로서 분사공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원수가 돌기와 충돌하며 수압이 감소하게 되어 살수판의 출수공을 통해 분사되는 원수의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참고문헌 1의 손잡이 내부에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원수 내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참고문헌 2(등록실용신안 제20-0460745호)에 제안된 바 있다. 참고문헌 2의 손잡이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는 이물질이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손잡이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하부캡에 의해 필터바디의 하단이 막혀 있으므로 상기 필터바디의 내부로 직접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하부캡에 구비된 돌기부에 의해 필터바디의 외측으로 유동하여 필터바디를 통과하는 구조이지만, 필터바디의 상부캡이 상측이 손잡이 상단에 단순 밀착되어 있는 구조여서 원수가 필터바디는 물론 상부캡과 손잡이 사이로 누수되며 헤드 부분으로 유입되므로 원수의 정수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샤워기 헤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샤워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분사 수압을 높여줄 수 있는 수압상승판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분사 수압을 낮출 수 있도록 수압상승판을 헤드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샤워기 헤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 하단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를 통한 정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샤워기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중공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이 중앙부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제1 또는 제3 안내부가 형성되는 수압상승판과, 상기 수압상승판의 전방에 간격유지구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압상승판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분사하는 미세 출수공이 다수 형성되는 살수판과, 상기 살수판과 간격유지구 및 수압상승판이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헤드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체결구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헤드부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는 체결구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체결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구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ㄴ'형상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압상승판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후면 중앙에 돌출되는 분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분산돌기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동심원상에 복수의 배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배출공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살수판의 미세 출수공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상단이 상기 헤드부의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구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유로에는 원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는 중앙에 통로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필터몸체와, 상기 필터몸체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통로의 하단을 마감하고 저면에 호스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몸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하부캡과, 상기 필터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통로로 유입되는 정수된 원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상부와 헤드부의 유입구 사이에 지지되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의 상부 내주면과 상기 헤드부 유입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 누수방지용 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압상승판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후면 중앙에 돌출되는 분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는 동심원상에 복수의 배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심에서 배출공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3안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는 헤드부 전면 개구부에 중공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수압상승판을 통과하도록 하여 수압을 상승시킨 후 살수판을 통해 배출하므로 미세한 크기로 분사되는 원수의 수압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본원발명은 사용자가 수압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압상승판을 필요에 따라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이 같은 설치 및 분리는 체결구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 내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상부캡의 외주면에 손잡이의 상부 내주면과 상기 헤드부 유입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 누수방지용 오링을 구비하여 호스를 통해 손잡이로 유입되는 원수가 누수됨이 없이 필터몸체의 외측에서 내측의 통로로 안내되어 헤드부로 안내되므로 원수에 섞여있는 이물질 포집 효율을 높여주어 살수판의 미세 출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상승판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원수 분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상승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압상승판이 적용된 샤워기 헤드의 원수 분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샤워기 헤드(100)는 내부에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중공부(112)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중공부(112)로 유입되는 원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122)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중공부(112)로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공(122)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24)가 형성되는 수압상승판(120)과, 상기 수압상승판(120)의 전방에 간격유지구(13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압상승판(120)의 배출공(122)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분사하는 미세 출수공(142)이 다수 형성되는 살수판(140)과, 상기 살수판(140)과 간격유지구(130) 및 수압상승판(120)이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헤드부(110)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체결구(150)와, 상기 헤드부(110)와 연결되어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헤드부(110)로 안내하는 유로(162)가 형성되는 손잡이(16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헤드부(110)는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중공부(112)가 형성되는 몸체(111)의 하측에 손잡이가 조립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1)의 전면에는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10)의 몸체(111)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유입구(113)가 연장 형성되어 원수가 유입된다.
특히 상기 유입구(113)의 외주면에는 손잡이(160)와의 나사조립을 위한 수나사산(113a)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4)의 외주면에는 체결구(15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체결면(114a)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4)의 체결면(114a)에는 걸림돌기(115)가 돌출형성되어, 체결구(150) 내주면에 형성되는 'ㄴ'형상의 지지홈(152)에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구(150)의 지지홈(152) 입구를 걸림돌기(115)에 일치시킨 후 체결구(150)를 밀어 넣은 후 체결구(15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15)가 'ㄴ'형상의 지지홈(152)의 내측에 안착되어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압상승판(1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21)의 후면 중앙에 돌출되는 분산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분산돌기(126)를 중심으로 예를 들어 3 ~ 10㎜의 이격 거리를 두고 동심원상에 복수의 배출공(12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몸체(121)의 가장자리에서 배출공(122)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124)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21)의 전면에는 상기 배출공(122)의 출구에서 상기 몸체(1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125)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안내부(124,125)는 나선 형상의 홈 또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압상승판(120)의 후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원수는 분산돌기(126)를 중심으로 퍼지면서 배출공(122)으로 안내되며, 수압상승판(120)의 후면 가장자리로 유입되는 원수는 제1안내부(124)를 따라 배출공(122)으로 안내되며 수압이 상승되어 배출공(122)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살수판(140)은 원판 형상의 몸체(141) 표면에 미세 출수공(142)이 직경이 0.1 ~ 0.3㎜,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0.1 ~ 1.0 ㎜가 되도록 형성하며, 금속판재를 이용해 가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세 출수공(142)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하여 수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미세 출수공(142)은 원판 형상의 몸체(141)의 중심에서 일정간격(예를 들어 3 ~ 10㎜)으로 동심원상에 복수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출수공(142)의 직경을 상기와 같이 미세하게 하면, 원수가 상기 출수공(142)을 통과할 때 원수의 물 입자의 분산이 원활하게 되므로, '레너드 효과'에 의한 음이온 발생량이 증가함은 공지의 사실이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구(13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살수판(140)과 수압상승판(120)이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살수판(140)과 수압상승판(120) 사이의 거리가 1 ~ 5㎜ 이내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살수판(140)과 간격유지구(130) 및 수압상승판(120)은 체결구(150)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110)에 장착된다. 이 경우 체결구(150)를 헤드부(110)에 조립하는 경우 수압상승판(120)의 후면 가장자리는 헤드부(110)의 개구부(114) 선단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헤드부(110)의 유입구(113)에 조립되는 구조로서, 유로(162)가 형성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61)의 하단에 연결되는 호스(미도시됨)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헤드부(110)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손잡이(160)의 상단에는 상기 헤드부(110)의 유입구(1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13a)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63)이 형성된다.
이 경우 손잡이(160)의 상단과 상기 헤드부(110)의 유입구(113) 사이에는 누수방지링(184)가 더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160)의 유로(162)에는 원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170)가 설치되어, 원수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살수판(140)의 미세 출수공(14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70)는 0.3㎜ 이내의 부직포를 원통형상으로 여러겹 말아서 제작하거나 공지(公知)의 세디먼트로 이루어져 중앙에 통로(171a)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필터몸체(171)와, 상기 필터몸체(171)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통로의 하단을 마감하고 저면에 호스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몸체(171)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공(172a)이 형성되는 하부캡(172)과, 상기 필터몸체(171)의 상단에 결합되어 통로(171a)로 유입되는 정수된 원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73a)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60)의 상부와 헤드부(110)의 유입구(113) 사이에 지지되는 상부캡(173)과, 상기 상부캡(173)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160)의 상부 내주면과 상기 헤드부(110) 유입구(113)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 누수방지용 오링(180,18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호스를 통해 손잡이(160)로 유입되는 원수가 누수됨이 없이 필터몸체(171)의 외측에서 내측의 통로로 안내되어 헤드부(110)로 안내되므로 원수에 섞여있는 이물질 포집 효율을 높여주어 살수판(140)의 미세 출수공(14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60)의 하단 외주면에는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수나사산(169)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160)의 하단 내주면에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암나사산을 형성함도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우선 호스를 통해 손잡이(160) 하단으로 유입되는 원수는 하부캡(172)의 안내공(172a)을 따라 필터몸체(171)의 외측으로 안내되어 필터몸체(171) 외부면에서 내측 통로(171a)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원수는 상부캡(173)의 토출구(173a)를 통해 헤드부(110)의 중공부(112)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중공부(112)로 유입된 원수는 수압상승판(12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중공부(112) 중앙의 원수는 분산돌기(126)를 중심으로 퍼지면서 배출공(122)으로 안내되며, 중공부(112) 가장자리의 원수는 수압상승판(120)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제1안내부(124)를 따라 배출공(122)으로 안내되며 수압이 상승되어 배출공(122)으로 배출된다.
이후 살수판(140)에 형성되는 미세 출수공(142)을 통해 수압이 증가된 상태로 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수압상승판(120)을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체결구(150)를 헤드부(110)에서 분리한 후 수압상승판(120)을 분리해낸 후 살수판(140)과 간격유지구(130)만 체결구(150)의 내주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헤드부(11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수압상승판(120)을 필요에 따라 설치하거나 분리함으로서 간단히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샤워기 헤드(100)의 수압상승판(1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21)의 후면 중앙에 돌출되는 분산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1)의 가장자리에는 동심원상에 복수의 배출공(127)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몸체(121)의 중심에서 배출공(127)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3안내부(128)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21)의 전면에는 상기 배출공(127)의 출구에서 상기 몸체(121)의 중앙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4안내부(129)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안내부(128,129)는 나선 형상의 홈 또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압상승판(120)의 후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원수는 분산돌기(126)를 중심으로 퍼지면서 몸체(121) 가장자리의 배출공(127)으로 안내되며, 수압상승판(120)의 후면 중심부로 유입되는 원수는 제3안내부(128)를 따라 배출공(127)으로 안내되며 수압이 상승되어 배출공(127)으로 배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샤워기 헤드 110: 헤드부
120: 수압상승판 130: 간격유지구
140: 살수판 150: 체결구
160: 손잡이 170: 필터부재

Claims (7)

  1. 내부에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중공부(112)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중공부(112)로 유입되는 원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122) 또는 배출공(127)이 중앙부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중공부(112)로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공(122) 또는 배출공(127)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124) 또는 제3안내부(128)가 형성되는 수압상승판(120)과, 상기 수압상승판(120)의 전방에 간격유지구(13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압상승판(120)의 배출공(122) 또는 배출공(127)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분사하는 미세 출수공(142)이 다수 형성되는 살수판(140)과, 상기 살수판(140)과 간격유지구(130) 및 수압상승판(120)이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헤드부(110)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체결구(150)와, 상기 헤드부(110)와 연결되어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헤드부(110)로 안내하는 유로(162)가 형성되는 손잡이(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4)의 외주면에는 체결구(15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체결면(114a)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면(114a)에는 걸림돌기(115)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구(150)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15)가 체결되는 'ㄴ'형상의 지지홈(1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상승판(1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21)의 후면 중앙에 돌출되는 분산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분산돌기(126)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동심원상에 복수의 배출공(12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몸체(121)의 가장자리에서 배출공(122)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124)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판(140)의 미세 출수공(142)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60)는 유로(162)가 형성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61)의 상단이 상기 헤드부(110)의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13)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160)의 유로(162)에는 원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1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170)는 중앙에 통로(171a)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필터몸체(171)와, 상기 필터몸체(171)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통로의 하단을 마감하고 저면에 호스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몸체(171)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공(172a)이 형성되는 하부캡(172)과, 상기 필터몸체(171)의 상단에 결합되어 통로(171a)로 유입되는 정수된 원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73a)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60)의 상부와 헤드부(110)의 유입구(113) 사이에 지지되는 상부캡(173)과, 상기 상부캡(173)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160)의 상부 내주면과 상기 헤드부(110) 유입구(113)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 누수방지용 오링(180,18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상승판(1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21)의 후면 중앙에 돌출되는 분산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1)의 가장자리에는 동심원상에 복수의 배출공(127)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몸체(121)의 중심에서 배출공(127) 방향으로 원수를 나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3안내부(128)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KR1020150006506A 2015-01-14 2015-01-14 샤워기 헤드 KR20160087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506A KR20160087498A (ko) 2015-01-14 2015-01-14 샤워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506A KR20160087498A (ko) 2015-01-14 2015-01-14 샤워기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498A true KR20160087498A (ko) 2016-07-22

Family

ID=5668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506A KR20160087498A (ko) 2015-01-14 2015-01-14 샤워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49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230A (zh) * 2017-11-28 2018-03-3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化工、医药液体喷雾装置
WO2018236075A1 (ko) * 2017-06-19 2018-12-27 이만호 임팩트 샤워기
KR102243221B1 (ko) * 2019-11-12 2021-04-22 (주)피엘엠 교체형 기능 모듈을 갖는 멀티 기능성 샤워기
KR102308136B1 (ko) 2021-01-22 2021-09-30 박학수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KR102349574B1 (ko) 2020-07-31 2022-01-10 박학수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KR20220081487A (ko) * 2020-12-09 2022-06-16 홍기 토수각도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샤워헤드
KR102664907B1 (ko) 2024-02-07 2024-05-08 박학수 버튼식 착탈 구조를 갖춘 샤워기 헤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075A1 (ko) * 2017-06-19 2018-12-27 이만호 임팩트 샤워기
CN107855230A (zh) * 2017-11-28 2018-03-3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化工、医药液体喷雾装置
KR102243221B1 (ko) * 2019-11-12 2021-04-22 (주)피엘엠 교체형 기능 모듈을 갖는 멀티 기능성 샤워기
KR102349574B1 (ko) 2020-07-31 2022-01-10 박학수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KR20220081487A (ko) * 2020-12-09 2022-06-16 홍기 토수각도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샤워헤드
KR102308136B1 (ko) 2021-01-22 2021-09-30 박학수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US11759815B2 (en) 2021-01-22 2023-09-19 Haksu PARK Shower head with one-touch detachable structure
KR102664907B1 (ko) 2024-02-07 2024-05-08 박학수 버튼식 착탈 구조를 갖춘 샤워기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7498A (ko) 샤워기 헤드
US7507331B2 (en) Dispensing system
US7143897B1 (en) Water filter
US4933080A (en) Housing with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for use with shower head
US11396742B2 (en) Jet regulator that can be pivoted into a cleaning position
US4998555A (en) Accessory faucet
CN106988383B (zh) 具有起泡器套管的龙头组件及安装所述组件的方法
US20050242016A1 (en) Combination inline dispenser and non-fitted cartridge
US20200270146A1 (en) Side-loading transverse shower filter
CA2882762A1 (en) Faucet waterway
US7200879B2 (en) Waterfall waterjet with debris removing outlet
US8695898B2 (en)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US20150298143A1 (en) Offset filtered showerhead
JP2012152470A (ja) シャワー吐水装置
EP0081529B1 (en) Pressure-regulated drip feed device
EP0132262A1 (en) Pressure-regulated drip feed device
WO2006003353A1 (en) Liquid treatment filter
US10022734B2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US3143299A (en) Aerating device
JP2008285863A (ja) 吐水分散弁及び該吐水分散弁を具備する吐水分散装置
EP0302668A2 (en) Sprinkling device
US6224000B1 (en) Sprinkler nozzle
US4757841A (en) Spout with readily serviceable flow control
KR20210046417A (ko) 직수 및 분수 전환형 샤워 헤드
KR101661317B1 (ko) 샤워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