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317B1 - 샤워기 장치 - Google Patents

샤워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317B1
KR101661317B1 KR1020150024405A KR20150024405A KR101661317B1 KR 101661317 B1 KR101661317 B1 KR 101661317B1 KR 1020150024405 A KR1020150024405 A KR 1020150024405A KR 20150024405 A KR20150024405 A KR 20150024405A KR 101661317 B1 KR101661317 B1 KR 10166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head
supply
support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566A (ko
Inventor
강유광
Original Assignee
강유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유광 filed Critical 강유광
Priority to KR102015002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31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호스와 접속되며 공급호스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급수를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 헤드와, 샤워기 헤드의 분사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수를 유입받을 수 있게 샤워기 헤드를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 유입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거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회수 탱크 유니트를 구비하고, 회수탱크 유니트는 거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정수하여 급수레버의 조작에 의해 하부에 마련된 노즐을 통해 배출 또는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샤워기 장치에 의하면, 샤워기 헤드가 거치되는 거치 유입부를 통해 메인바디에 낭비되는 물을 회수하고, 회수된 물을 급수레버조작에 의해 노즐을 통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샤워기 장치{shower apparatus}
본 발명은 샤워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샤워기 헤드에서 분출되는 샤워수를 비사용시 회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를 미세하게 형성된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샤워기는 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비사용시의 물의 낭비를 억제하기 위해 샤워기에 물의 공급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가 국내 등록특허 제10-0433184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통상의 샤워기는 대부분 온수와 냉수를 원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는 급수관과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원하는 물의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샤워기로 물이 공급되게 온수와 냉수를 공급 및 조절할 수 있는 레버를 조작하면서 샤워기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여 판단한다.
따라서, 물온도 조정과정에서 원하는 온도로 물이 조절되기 전까지 샤워기를 통해 물이 배출됨으로써 낭비요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경우 물의 온도를 판단하기 위해 샤워기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샤워기 헤드로부터 분출되는 물을 회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샤워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장치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호스와 접속되며 상기 공급호스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급수를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 헤드와;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기 분사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수를 유입받을 수 있게 상기 샤워기 헤드를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 유입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회수 탱크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탱크 유니트는 상기 거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정수하여 급수레버의 조작에 의해 하부에 마련된 노즐을 통해 배출 또는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 유입부는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기 분사공이 형성된 영역을 에워싸면서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워기 헤드와 상기 거치 유입부는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수탱크 유니트는 상기 거치 유입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공급수가 저장되며 하부에 배수관로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배수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물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 또는 차단하는 상기 급수레버가 마련된 보조바디체;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 바디체는 상기 메인바디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배수관로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판 및 상기 수직지지판에서 상기 상부 지지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지지판을 갖는 안착 가이드부재와; 상기 안착 가이드부재의 상기 수직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배수관로와 대향되는 영역에 상기 정수필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물을 배출하는 노즐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상기 노즐로 이어지는 토출경로를 개폐하는 상기 급수레버가 장착된 필터 조립체;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워기 헤드에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체감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열감지용 접촉패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열감지용 접촉패드의 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색이 가변되는 시온안료가 코팅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가이드부재의 상기 하부지지판의 하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봉;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판 또는 벽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장치에 의하면, 샤워기 헤드가 거치되는 거치 유입부를 통해 메인바디에 낭비되는 물을 회수하고, 회수된 물을 급수레버조작에 의해 노즐을 통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수탱크 유니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샤워기 헤드와 거치 유입부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샤워기 헤드에 마련된 열감지용 접촉패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수탱크 유니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샤워기 헤드와 거치 유입부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장치(100)는 샤워기 헤드(110), 회수탱크 유니트(150)를 구비한다.
샤워기 헤드(110)는 일단이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호스(10)와 접속되며 공급호스(10)로부터 유입된 공급수를 내부의 메인 유로(미도시)를 거쳐 다수의 분사공(112)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샤워기 헤드(110)의 공급호스(10)와 결합되는 일단은 공급호스(10)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게 외주면에 나사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샤워기 헤드(110)와 공급호스(10)와의 결합방식은 나사결합과는 다른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샤워기 헤드(110)를 구분하면 일단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수직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분(110a)과, 파지부분(110a)으로부터 파지부분(110a)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 헤드부분(110b)으로 되어 있다.
샤워기 헤드(110)의 헤드부분(110b)의 종단에는 중앙에서 가장자리(111)로부터 이격되는 위치까지 다수의 분사공(112)이 형성되어 유입된 공급수를 토출하는 토출영역(113)과, 토출영역(113)으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접촉링부분(115)과, 제1접촉링부분(115)의 외측에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며 제1접촉링부분(115)에 대해 상부부분은 제1접촉링부분(115)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게 연장되고 하부는 제1접촉링부분(115)이 노출되게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제1매칭갓부분(117)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샤워기 헤드(110)의 파지부분(110a)에는 공급되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체감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열감지용 접촉패드(118)가 형성되어 있다.
열감지용 접촉패드(118)는 접촉되는 공급수의 외부로의 온도 전달효율이 높은 실리콘 소재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시각적으로도 공급수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열감지용 접촉패드(118)의 표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색이 가변되는 시온안료가 코팅처리된 온도표시층(119)이 마련되어 있다.
회수탱크 유니트(150)는 샤워기 헤드(110)의 분사공(11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수를 유입받을 수 있게 샤워기 헤드(110)를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 유입부(16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거치 유입부(16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수 탱크 유니트(150)는 거치 유입부(160)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정수하여 급수레버(185)의 조작에 의해 하부에 마련된 노즐(187)을 통해 배출 또는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회수탱크 유니트(150)를 구분하면, 메인바디(151), 보조바디체(170)를 구비한다.
메인바디(151)는 거치 유입부(16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거치 유입부(160)를 통해 공급된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수공간(152)을 갖으며, 하부에는 저수공간(152)에 저수된 공급수를 배출하는 배수관로(153)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54는 메인바디(151)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저장공간(152)을 차폐하는 상부캡이다.
메인바디(151)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 유입부(160)는 샤워기 헤드(110)의 분사공(112)이 형성된 영역을 에워싸면서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거치 유입부(160)를 구분하면, 제1접촉링부분(115)과 대응되게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63)가 형성된 제2접촉링부분(162)과, 제2접촉링부분(162)에 대해 상부부분은 제2접촉링부분(162)의 측면이 노출되게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고 하부부분은 제2접촉링부분(162)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게 연장되어 제1매칭갓부분(117)과 밀착결합되는 제2매칭갓부분(165)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매칭갓부분(117)과 제2매칭갓부분(165)은 샤워기 헤드(110)의 제1접촉링부분(115)과 거치 유입부(160)의 제2접촉링부분(162)이 상호 대향되게 밀착 접속되는 것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밀착상태를 지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여기서, 거치 유입부(160)의 제2접촉링부분(162) 또는 제2매칭갓부분(165)은 샤워기 헤드(11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자석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거나,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이 내장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서, 샤워기 헤드(110)의 제1접촉링부분(115) 또는 제1매칭갓부분(117)이 자력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거치 유입부(160)의 제2접촉링부분(162) 또는 제2매칭갓부분(165)이 영구자석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샤워기 헤드(110)의 제1접촉링부분(115) 또는 제1매칭갓부분(117)이 영구자석소재로 형성되고, 거치 유입부(160)의 제2접촉링부분(162) 또는 제2매칭갓부분(165)이 영구자석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거치 유입부(160)는 별도로 제작되어 메인바디(151)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리브(167)를 통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리브(167)는 유입구(163)에 대응되는 유입홀(164)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바디(151)는 거치 유입부(160)의 유입구(163) 및 유입홀(164)을 통해 유입되어 저수공간(152)에 저수된 공급수를 하부를 배출할 수 있게 배수관로(153)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바디체(170)는 메인바디(151)의 하부에서 결합되며 메인바디(151)의 배수관로(15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173)와, 정수필터(173)를 거친 물을 노즐(187)을 통해 외부로 배출 또는 차단하는 급수레버(185)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 바디체(170)를 구분하면, 안착가이드부재(171)와, 필터 조립체(180)를 구비한다.
안착 가이드부재(171)는 메인바디(151)를 안착지지할 수 있게, 메인바디(151)의 저면에서 결합되되 배수관로(153)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홀(171d)이 형성된 상부지지판(171a)과, 상부지지판(171a)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판(171b) 및 수직지지판(171b)에서 상부 지지판(171a)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지지판(171c)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 지지판(171c)은 노즐(187)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기 위한 컵(50) 등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판의 기능도 한다.
안착 가이드부재(171)의 하부 지지판(171c)의 저면에는 지지봉(19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봉(191)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판(196)에 결합되어 메인바디(151)를 지지하고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지지봉(191)은 벽체에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지지봉(191)은 생략되고 안착가이드 부재(171) 또는 메인바디(151)가 벽체에 직접 결합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필터 조립체(180)는 안착 가이드부재(171)의 수직지지판(171b)과 상부지지판(171a)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게 'ㄱ'자 형태로 형성된 수납바디(181)의 배수관로(153)와 대향되는 상부영역에 정수필터(173)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정수필터(173)를 통과하는 물을 배출하는 노즐(187)이 장착되어 있으며, 정수필터(173)로부터 노즐(187)로 이어지는 내부의 토출경로를 개폐하는 급수레버(185)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급수레버(185)는 버튼방식으로 내부의 토출경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예시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른 형상의 토출경로를 개폐하는 조작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샤워기 장치(100)는 샤워기 헤드(110)가 거치 유입부(160)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시 먼저,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 공급되도록 수도꼭지(미도시)의 레버(미도시)를 조작한 다음, 샤워기 헤드(110)의 열감지용 접촉패드(118)를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게 하여 공급수의 온도를 체감에 의해 판단하면서,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레버를 조작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샤워기헤드(110)를 거치 유입부(160)로부터 분리하여 샤워를 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샤워기 헤드(110)가 거치 유입부(160)로부터 분리되기 이전에 샤워기 헤드(110)로부터 거치 유입부(16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는 메인바디(151)로 회수된다.
또한, 메인 바디(151)로 회수된 물은 이를 닦거나, 그 밖의 용도로 물이 필요할 경우 조작레버(185)를 조작하여 배출되는 물을 곧 바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메인 바디(151)로 회수되는 물을 정수필터(173)를 통해 정수처리한 다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샤워기헤드(11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가 음용에는 부적절하면서 샤워용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음용이 가능하게 정수 처리된 물로 회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110: 샤워기 헤드 151: 메인바디
160: 거치 유입부

Claims (5)

  1.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호스와 접속되며 상기 공급호스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급수를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 헤드와;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기 분사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수를 유입받을 수 있게 상기 샤워기 헤드를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 유입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회수 탱크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탱크 유니트는
    상기 거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정수하여 급수레버의 조작에 의해 하부에 마련된 노즐을 통해 배출 또는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수탱크 유니트는
    상기 거치 유입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공급수가 저장되며 하부에 배수관로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배수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물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 또는 차단하는 상기 급수레버가 마련된 보조바디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바디체는
    상기 메인바디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배수관로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판 및 상기 수직지지판에서 상기 상부 지지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지지판을 갖는 안착 가이드부재와;
    상기 안착 가이드부재의 상기 수직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배수관로와 대향되는 영역에 상기 정수필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물을 배출하는 노즐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상기 노즐로 이어지는 토출경로를 개폐하는 상기 급수레버가 장착된 필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유입부는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기 분사공이 형성된 영역을 에워싸면서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워기 헤드와 상기 거치 유입부는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헤드에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체감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열감지용 접촉패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열감지용 접촉패드의 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색이 가변되는 시온안료가 코팅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가이드부재의 상기 하부지지판의 하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봉;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판 또는 벽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장치.
KR1020150024405A 2015-02-17 2015-02-17 샤워기 장치 KR10166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05A KR101661317B1 (ko) 2015-02-17 2015-02-17 샤워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05A KR101661317B1 (ko) 2015-02-17 2015-02-17 샤워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66A KR20160101566A (ko) 2016-08-25
KR101661317B1 true KR101661317B1 (ko) 2016-09-29

Family

ID=5688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405A KR101661317B1 (ko) 2015-02-17 2015-02-17 샤워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48B1 (ko) 2022-07-07 2023-02-06 김영천 전자동 사출성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758B2 (ja) * 1998-07-23 2001-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0509236B1 (ko) * 2003-01-14 2005-08-22 채병태 정수공급장치
US20130048104A1 (en) * 2011-08-22 2013-02-28 I-Fan Li Water saving tan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688B2 (ja) * 1989-10-11 1994-10-05 日本ヒューム管株式会社 Pcウエルにおいて注入グラウトの逆流防止方法
JPH08280570A (ja) * 1995-04-12 1996-10-29 Masahide Fujimatsu 可動型掛具一体型磁石式シャワーノズル 可動型磁石式シャワー掛具 可動型磁石式シャワーノズル接合器具 可動型磁石式シャワーアタッチメ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758B2 (ja) * 1998-07-23 2001-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0509236B1 (ko) * 2003-01-14 2005-08-22 채병태 정수공급장치
US20130048104A1 (en) * 2011-08-22 2013-02-28 I-Fan Li Water saving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66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060B1 (ko) 온도와 필터 및 물 사용량 확인 가능한 IoT 자가 수력발전 필터 샤워기
US9441831B2 (en) Laminar water fountain
AU2018297218B2 (en) Integrated mixed tap water and conditioned water faucet assembly with pull out sprayer head
EP2767347A1 (en) A self-cleaning shower
US11000864B2 (en) Water-saving nozzle mountable on a faucet
US20040108261A1 (en) Dispensing system
KR20160087498A (ko) 샤워기 헤드
US9504940B2 (en) Offset filtered showerhead
US8695898B2 (en)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KR101661317B1 (ko) 샤워기 장치
US10518201B2 (en) Multi-mode filtered showerhead having multiple nozzle assemblies
KR100710423B1 (ko)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JP2010084348A (ja) 水栓装置
JP4030828B2 (ja) シャワヘッド
KR20050088971A (ko)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
US11458487B2 (en) Filtered showerhead with multiple nozzle assemblies
KR102290122B1 (ko) 정수 필터 기능을 갖춘 수전금구
KR20220114203A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일체형 싱크대 수전
KR20170001911U (ko) 세면대용 샤워 헤드
KR200408181Y1 (ko)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KR101633437B1 (ko) 샤워기 장치
KR102414746B1 (ko) 필터를 구비한 수전금구
JP4705730B2 (ja) 複合シャワー水栓
JP2015175167A (ja) 取付構造及び取付構造を備える吐水装置
KR102277727B1 (ko) 필터 삽입형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