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205A - 차량 램프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차량 램프용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205A
KR20160086205A KR1020150003638A KR20150003638A KR20160086205A KR 20160086205 A KR20160086205 A KR 20160086205A KR 1020150003638 A KR1020150003638 A KR 1020150003638A KR 20150003638 A KR20150003638 A KR 20150003638A KR 20160086205 A KR20160086205 A KR 20160086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
bulb
housing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990B1 (ko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00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Q3/02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램프 유닛을 구성하며, 전구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터미널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전도성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회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로의 단말에 전구 결합용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회로를 인서트 사출하거나, 사출물에 조립하거나, 수지사출물과 용착하여 하우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을 제시힌다.

Description

차량 램프용 터미널{Terminal for lamp}
본 발명은 차량 램프 유닛을 구성하며, 전구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터미널과 관련된다.
차량용 램프 유닛은 렌즈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전기선, 전구가 결합되는 단자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들은 미리 조립되었다가 자동차 내장재 설치 작업 시에 다른 부재들과 함께 설치된다.
하우징에 전기선이나 단자를 실장하는 방식은 전기선의 배선과 납땜 등의 작업분이 많으므로 비효율적이다. 이보다 개선된 방식으로 전구 장착용 단자가 실장된 전기회로를 구비하고, 이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방식이 있다. 직접적인 전기선의 배선 작업 보다 편의성이 있지만, 하우징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겹쳐지는 회로기판의 두께에 의한 램프 유닛의 두께 증가의 단점과, 대부분 평탄하고 널게 제작되는 회로기판의 특성상 램프 유닛에 평탄한 결합자리를 형성하여 두어야 하여, 이로 인한 램프 유닛의 형성 변경의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60765호 (2000.10.16)
본 발명은 벌브 결합용 단자의 별도 결합에 따른 램프 유닛 조립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전도성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회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로의 단말에 전구 결합용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회로를 인서트 사출하거나, 사출물에 조립하거나, 수지사출물과 용착하여 하우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에는 상기 금속판의 평면 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세워지며, 탄성을 가지며 벌어짐이 가능한 한 쌍의 탄성편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는 인서트 사출 또는 조립 또는 용착 전에 절곡되어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서 노출된 상기 단자를 전구의 결합방향에 따라 접어 세울 수 있다.
한편 금속판을 프레스로 부분 절개하여 형성한 회로, 상기 회로와 일체로 성형되는 전구 결합용 단자 및 상기 단자가 노출되도록 상기 회로가 결합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구 결합을 위한 단자가 회로 패턴의 성형시 함께 생성됨으로서, 종래의 기술에서 차량 램프 제작 시에 별도의 작업으로 요구되던 소켓 장착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회로와 단자가 일체화 되므로 차량의 진동이나 외력에 의하더라도 단자와 회로의 전기적 연결에 문제가 없게 된다.
한 쌍의 마주보는 탄성편을 가진 단자는 금속판을 절개한 후 굴곡을 부여한 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몇 단계의 프레스 공정으로 단자가 완성된다. 따라서 단자의 성형에 따른 추가적인 노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전구가 결합되는 방향에 맞추어 단자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램프의 설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입체적으로 굴곡시킨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수지층을 형성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자를 세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램프용 터미널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과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용 터미널은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전기 회로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구 결합용 단자를 형성한 것을 이용한다.
금속판은 도시를 생략한 프레스 장치에 의해 회로 패턴을 갖추도록 절단 가공된다. 이때 형성된 회로(10)의 단말에는 리드(30)로 이어지는 단자(20)가 펼쳐진 상태로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후 굽힘 프레스 가공 중에 단자(20)는 적절히 굴곡되고 접혀져 입체적인 형상을 갖추게 된다.
도 2에는 입체적 형상이 갖추어진 단자(20)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단자(20)는 평탄한 회로(10)와 같은 평면상에서 리드에 이어지는 바닥편(21)과, 바닥편(21)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편(22)을 포함한다.
탄성편(22)은 일단부가 바닥편(21)과 이어져 있으면서, 타단부는 바닥편(21)과 절개선에 의해 분리됨에 따라 일단부가 탄성 변형 할 수 있게 구성된다. 탄성편(22)의 일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볼록하게 굴절되어 있어 양 탄성편(22) 사이로 진입하는 전구(50)를 탄성 있게 파지할 수 있다(도 5 참고).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전구를 고정하기 위한 단자(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구가 진입하는 입구만이 개방된 상자형태로 구성되거나, 결합된 전구를 물어 고정하는 다양한 형태의 탄성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단자의 형상은 금속판을 적절히 절개한 후 접어서 입체 구조물로 형성하는 것이라면,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커넥터용 핀의 결합방향이나 전자소자를 실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에 따라, 회로 중 핀부재나 소자 실장 부분은 프레스 가공 중에 적정히 굴곡될 수 있다.
도 3은 차량의 램프 외형에 따라 프레스 성형한 회로(10)를 적절히 굴곡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차량에는 룸램프, 도어램프, 헤드라이트, 방향지시등 등 다양한 조명이 요구되는데, 설치 장소의 구조물 형태나 그 주변에 구비되는 다른 부품들과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차량 램프의 하우징을 설계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램프 하우징은 정형적인 육면체나 원통체에서 벗어나,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다양한 굴곡을 가진 형상으로 설계된다.
정형적인 형상에서 벗어난 램프 하우징의 설계에 따라, 프레스로 제작된 회로를 적정히 굴곡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는 중앙부분(A)에서 단차지게 굴곡진 형태로 회로(10)를 절곡 가공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굴곡의 형태는 요구되는 하우징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램프의 하우징에 대한 설계에 근거하여 회로 설계 시에 입체적인 굴곡이 될 부분을 미리 반영할 수 있다.
생략 가능한 추가적인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단계에서 회로에는 전도성을 증대시키거나, 전자소자의 납땜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부분 또는 전체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필요한 경우, 각 종 전자소자가 회로에 실장된다.
도 4는 회로에 인서트 사출로 수지층을 형성한 하우징(40)과 관련된다. 수지층(41)은 회로(10)를 덮어 전후로 절연층을 형성하는데,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는 부분인 단자나 커넥터 핀과 같은 몇몇 부분은 제외된다.
인서트 사출로 형성된 수지층(41)과 회로(10)는 전구가 결합되는 하우징(40)으로 사용되며, 도시를 생략한 렌즈커버가 더 결합되어 차량 램프를 구성하게 된다.
하우징(40)에는 렌즈와 결합되는 결합구조물, 차량의 프레임 등에 나사체결을 위한 결합홀, 하우징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핀이 노출되는 커넥터 등 램프의 외형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된다.
인서트 사출 시에 회로선들을 이어 주던 리드를 절단하여, 원래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하여야 할 회로선들을 단선시킨다.
한편 도 5는 인서트 사출 시에 노출시켜 두었던 단자(20)를 전구(50)의 결합 방향에 따라 절곡시켜 세운 하우징(40)과 관련된다.
전구(50)의 결합 방향은 하우징(40)의 형상에 따른 회로(10)의 배치 구조와, 램프의 설계에 따라 달라진다. 도 5에서는 단차진 2단의 평탄면에서 각기 수직하는 방향으로 전구(50)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경우로, 전구(50)의 결합 방향에 따라 단자(20)가 수직되게 세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회로(10)와 연결된 리드(30)가 휘어지면서 단자(20)는 세워지며, 세워진 단자(20)의 하단부(탄성편의 하단부)는 인서트 사출된 수지층(41) 위에 놓인다.
따라서 위에서 내려와 탄성편을 벌리며 전구(50)가 결합할 때 단자에 가해지는 작동하중은 수지층 위에 놓이는 탄성편의 하단부와 회로와 단자의 연결부분인 단자(20)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양 단부가 단자에 탄성적으로 물려 고정되는 원통형 전구의 경우, 원통형 전구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단자를 나란히 세워둠으로써 원통형 전구의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10)를 수지사출물(42)에 용착 방식으로 고정하여 하우징(40)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프레스 가공에 의한 회로(10)를 입체적 구조를 가지도록 적절히 굴곡시킨 후에 하우징(40)의 외형을 따라 별도로 제작된 수지사출물(42)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수지사출물(42) 절연성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렌즈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수지사출물(42)에는 회로(10)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도시 생략)에 각기 대응하는 돌기(421)가 솟아 있다. 각 돌기(421)가 회로(10)의 관통홀을 통과한 이후 솟은 돌기(421)의 선단부를 가열하여 연성을 가지게 한 후 회로(10)에 압착하여, 마치 리벳과 같이 수지사출물(42)에 회로(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돌기의 선단부를 가열하여 연성을 가지게 한 후 회로에 압착하는 방법으로서 열용착, 진동용착, 초음파용착 등의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돌기(421)를 소성 변형시키면서 또는 소성 변형시킨 후에 회로선들을 이어주던 리드를 끊어줌으로써 회로선들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게 된다.
또한 수지사출물(42)의 돌기를 회로에 형성되는 관통홀(도시 생략)과 대체로 같은 크기로 하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회로(10)를 수지사출물(42)에 조립하거나 볼트 조립 등의 형태로 수지사출물(42)에 회로(10)를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 방식으로 회로를 형성하면서 전구 결합용 단자를 함께 형성하여 둠에 따라 별도의 전구 장착용 소켓을 제작하고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나아가 차량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된 소켓의 결합력 약화 등이 문제점이 없게 되어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10 : 회로 A : 중앙부분
20 : 단자 21 : 바닥편 22 : 탄성편
30 : 리드
40 : 하우징 41 : 수지층 42 : 수지사출물 421 : 돌기
50 : 전구

Claims (5)

  1. 전도성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회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로의 단말에 전구 결합용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회로를 인서트 사출하거나, 사출물에 조립하거나, 수지사출물과 용착하여 하우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
  2. 제1항에서,
    상기 단자에는
    상기 금속판의 평면 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세워지며, 탄성을 가지며 벌어짐이 가능한 한 쌍의 탄성편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
  3. 제1항에서,
    상기 회로는 인서트 사출 또는 조립 또는 용착 전에 절곡되어 입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우징에서 노출된 상기 단자를 전구의 결합방향에 따라 접어 세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
  5. 금속판을 프레스로 부분 절개하여 형성한 회로;
    상기 회로와 일체로 성형되는 전구 결합용 단자; 및
    상기 단자가 노출되도록 상기 회로가 결합되는 수지층;
    을 포함하는 차량 램프용 터미널.
KR1020150003638A 2015-01-09 2015-01-09 차량 램프용 터미널 KR101672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638A KR101672990B1 (ko) 2015-01-09 2015-01-09 차량 램프용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638A KR101672990B1 (ko) 2015-01-09 2015-01-09 차량 램프용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205A true KR20160086205A (ko) 2016-07-19
KR101672990B1 KR101672990B1 (ko) 2016-11-04

Family

ID=5661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638A KR101672990B1 (ko) 2015-01-09 2015-01-09 차량 램프용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03A (ko) * 2018-10-02 2020-04-10 (주)듀링 유압제어유닛용 누유 방지 밸브 하우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074A (ja) * 1995-03-16 1996-10-01 Koito Mfg Co Ltd 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及び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の製造方法
CN1252365A (zh) * 1998-10-26 2000-05-10 住友电装株式会社 多灯照明设备的连接结构
KR20000060765A (ko) 1999-03-19 2000-10-16 정몽규 자동차 룸 램프의 터미널 구조
JP2001191844A (ja) * 1999-11-02 2001-07-17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室内灯
KR100644446B1 (ko) * 2004-11-08 2006-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버헤드콘솔램프의 베이스 인설트 회로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074A (ja) * 1995-03-16 1996-10-01 Koito Mfg Co Ltd 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及び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の製造方法
CN1252365A (zh) * 1998-10-26 2000-05-10 住友电装株式会社 多灯照明设备的连接结构
KR20000060765A (ko) 1999-03-19 2000-10-16 정몽규 자동차 룸 램프의 터미널 구조
JP2001191844A (ja) * 1999-11-02 2001-07-17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室内灯
KR100644446B1 (ko) * 2004-11-08 2006-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버헤드콘솔램프의 베이스 인설트 회로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03A (ko) * 2018-10-02 2020-04-10 (주)듀링 유압제어유닛용 누유 방지 밸브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990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2401B2 (ja) 半導体装置
US9179560B2 (en) Board block for vehicles
WO2014069340A1 (ja) 電子制御装置
US8383940B2 (en) Bus bar attaching member and room lamp for vehicle having bus bar attaching member
JP2001110297A (ja) 大電流ヒューズ
JP2002058133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
JPWO2006126441A1 (ja) 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このパッケージを使用した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5535605B2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コネクタ及び照明装置
US7891987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1672990B1 (ko) 차량 램프용 터미널
JP2002044831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06304568A (ja) 電気接続箱
JP2667369B2 (ja) Icカードの製造方法及びicカード
CN104319522A (zh) 电连接器及其成型方法
US9924598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0973137B2 (en) Circuit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it device and connector
JP4851170B2 (ja) コネクタ付基板
EP2802812B1 (en) Illumin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058137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
JP5370731B2 (ja) 回路ユニット、回路構成体、電気接続箱および回路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545975B1 (ko) 양면 암형 커넥터
KR20160112708A (ko) 차량 램프용 터미널
KR101909246B1 (ko) 퓨즈제조장치
US20150318649A1 (en) Bus bar attach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us bar attachment structure
CN107255263B (zh) 车灯中的线路板、插片和组合后盖的连接结构及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