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579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579A
KR20160085579A KR1020150002768A KR20150002768A KR20160085579A KR 20160085579 A KR20160085579 A KR 20160085579A KR 1020150002768 A KR1020150002768 A KR 1020150002768A KR 20150002768 A KR20150002768 A KR 20150002768A KR 20160085579 A KR20160085579 A KR 2016008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water tank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735B1 (ko
Inventor
조수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735B1/ko
Priority to CN201510846553.3A priority patent/CN105776685B/zh
Publication of KR2016008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 상기 정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조; 상기 정수조 및 상기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관; 상기 정수조에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 유동관; 상기 온수조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조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 유동관; 상기 정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 상기 온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 상기 정수조의 정수를 상기 온수조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상기 온수조의 물을 배수하며,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연결되는 드레인 관; 상기 온수조에 구비되며,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조의 정수 및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온수 밸브는 온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오프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의 수압에 의해서 정수를 배출시키는 정수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정수를 배출시키는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335813호(등록일 2013.11.26.)에는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정수기의 세척장치의 경우, 정수기를 세척하기 위하여 정수기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킨다.
상기 정수기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살균유닛을 정수기에 연결시킨다. 그러면, 정수조에 저장된 정수와 온수조의 온수는 배수 커넥터를 통하여 살균유닛으로 배출된다. 냉수조의 냉수는 취출구로 유동하고, 취출구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하여 살균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배수 과정에서 온수조의 온수가 온수조의 바닥에 연결된 연결관 및 배수 커넥터를 통하여 살균유닛으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온수조의 내부에는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는 온수조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선행문헌과 같이 온수조의 온수가 온수조의 하측으로 바로 배출되는 경우, 배수 과정에서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서 상기 히터의 전원이 차단된다. 이러한 경우, 배수 및 세척 완료 후에 히터로 전원 공급이 되지 않아 온수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 과정에서 온수조에 구비되는 히터의 전원이 차단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 상기 정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조; 상기 정수조 및 상기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관; 상기 정수조에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 유동관; 상기 온수조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조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 유동관; 상기 정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 상기 온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 상기 정수조의 정수를 상기 온수조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상기 온수조의 물을 배수하며,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연결되는 드레인 관; 상기 온수조에 구비되며,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조의 정수 및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온수 밸브는 온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오프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관; 상기 온수조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조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 유동관; 상기 온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 상기 저수조의 물을 상기 온수조로 공급하며,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연결되는 공급관;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서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관; 상기 온수조에 구비되며,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의 물 및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온수 밸브는 온된다.
또한, 상기 온수 밸브가 온되면,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물이 상기 온수조로 공급되고, 상기 온수조 내의 온수의 일부는 상기 온수 유동관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의 내의 온수의 다른 일부는 상기 드레인 관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밸브가 온되면, 상기 온수조 내에서 상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온수조 내에서 하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드레인 관으로 배출되는 정수기.
또한, 상기 온수조의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과 상기 드레인 관으로 나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 내에서 상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온수조 내에서 하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드레인 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과 상기 드레인 관은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통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의 온수의 배수 초기, 상기 공급관을 유동하는 물이 상기 온수조로 공급되고, 배수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온수조의 온수가 상기 드레인 관으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관이 연결되는 밸브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의 온수 배수 과정에서 상기 밸브기구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의 온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온수 밸브는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의 온수의 배수가 완료 전에 상기 온수 밸브는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조의 정수를 공급받는 냉수조와, 상기 냉수조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냉수가 유동하는 냉수 유동관; 및 상기 냉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수조의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수 밸브는 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유동관, 상기 냉수 유동관 및 상기 온수 유동관이 연결되는 공통 유동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취출관은 상기 공통 유동관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 유동관을 유동한 온수 및 상기 냉수 유동관을 유동한 냉수는 상기 공통 유동관에서 합쳐진 후에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 살균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살균 유닛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과정에서 물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살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는, 상기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 버튼, 정수 버튼 및 냉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면, 온수, 정수 또는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두 개의 밸브(27, 28)가 상기 배관(41)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27, 28)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에는 상기 정수조(31)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공통 정수관(4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정수관(44)은 상기 온수조(33)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정수 공급관(45)과 상기 냉수조(32)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정수 공급관(46)으로 분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공통 정수관(44)이 상기 냉수조(32) 또는 상기 온수조(33)에 연결되고, 상기 공통 정수관(44)에서 정수 공급관이 분기되어 상기 온수조(33) 또는 상기 냉수조(32)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에서 배출되어 사용자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취출관(62)으로 유동할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 유동관(51)과, 상기 냉수조(32)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62)으로 유동할 냉수가 유동하는 냉수 유동관(52)과, 상기 온수조(33)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62)으로 유동할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 유동관(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유동관(51)은 상기 공통 정수관(44)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 유동관(52)은 상기 냉수조(32)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 유동관(53)은 상기 온수조(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정수 공급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온수 유동관(53)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 유동관(51)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54)와, 상기 냉수 유동관(52)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55)와, 상기 온수 유동관(53)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유동관(51), 상기 냉수 유동관(52) 및 상기 온수 유동관(53)은 공통 유동관(6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유동관(60)에 취출관(62)이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관(62)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냉수 또는 정수는 각각의 유동관(51, 52, 53)을 유동한 후에 상기 공통 유동관(60)을 지나 상기 취출관(62)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에는 제1공기 유동관(63)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냉수조(32)에는 제2공기 유동관(6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공기 유동관(63, 64)의 공기는 일 예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에는 제1드레인 관(81)이 연결되고, 상기 냉수조(32)에는 제2드레인 관(8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레인 관(81)은 일 예로 상기 온수조(33)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드레인 관(82)은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의 배수 과정에서, 상기 각 드레인 관(81, 82)으로 온수 및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레인 관(81)에는 제1배수 커넥터(83)가 연결되고, 상기 제2드레인 관(82)에는 제2배수 커넥터(8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 커넥터(83) 및 상기 제2배수 커넥터(84)는 각각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체크밸브 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밸브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밸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 커넥터(83, 84)를 밸브기구라 이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밸브기구는 배수 과정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는 상기 온수조(33) 내부로 공급된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34)와, 상기 히터(3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35)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바이메탈일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35)는 상기 온수조(33) 내에서 상기 안전장치(35)와 접촉하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히터(3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35)는 일 예로 상기 온수조(33)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에 연결되는 제3정수 공급관(72)을 통하여 정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70)와, 상기 제빙부(70)에서 제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 저장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정수 공급관(72)에는 정수 유동을 조절하는 제빙 밸브(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71)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71)에서 녹은 물이 배출되는 해빙수 배출관(7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해빙수 배출관(74)관에는 펌프(75)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빙부(70), 얼음 저장부(71), 펌프(75), 해빙수 배출관(74)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헤드(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활용수관(53)에 상기 해빙수 배출관(74)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 살균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살균 유닛의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에는 살균 유닛(1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100)은, 제1연결관(201), 제2연결관(202), 제1배수관(205) 및 제2배수관(206)에 의해서 상기 정수기(1)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1)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201)은 상기 제2필터 헤드(25)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관(202)은 상기 제3필터 헤드(2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필터 헤드(25)에서 상기 제2필터(22)를 분리시킨 후에 상기 제1연결관(201)을 상기 제2필터 헤드(25)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필터 헤드(26)에서 상기 제3필터(23)를 분리시킨 후에 상기 제2연결관(202)을 상기 제3필터 헤드(26)에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205)은 상기 제1배수 커넥터(83)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배수관(206)은 상기 제2배수 커넥터(84)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배수관(205) 및 상기 제2배수관(206)은 공통 배수관(203)에 연결되고, 상기 공통 배수관(203)이 상기 살균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100)은, 상기 정수기(1)로부터 또는 수도배관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원수유입포트(110)와, 유입된 원수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120)와, 유입된 원수의 유동속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펌프(130)와, 원수가 제1유로(141) 및 제2유로(142) 중 어느 한 유로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분기밸브(140)와, 상기 제1유로(141)에 구비되는 살균수 생성모듈(150)과, 상기 제1유로(141) 및 상기 제2유로(142)와 연통되는 배출포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141)에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로 유동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밸브(14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142)에는 제2밸브(14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정수기(1)에서 배수된 물이 유입되는 배수유입포트(170)와, 상기 배수유입포트(17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살균유닛(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 포트(17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유입포트(170)는 상기 유량센서(120)와 상기 펌프(130) 사이 배관(131)에 연결관(171)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유입포트(17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펌프(13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펌프(130)와 상기 분기밸브(400) 사이 배관(132)에는 상기 배수유입포트(170)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배수되기 위한 드레인 관(172)이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 관(172)에는 배수밸브(17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포트(174)는 상기 드레인 관(172)의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포트(274)에는 드레인 호스(20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수유입포트(110)에는 상기 제1연결관(201)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출포트(160)에는 상기 제2연결관(20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입포트(170)에는 상기 공통 배수관(20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은 상기 제1유로(241)를 유동하는 원수를 처리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은 원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는 전해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조에서는 염소 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세척액인 살균수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 살균수는 차아염소산(HClO) 등이 포함되어 물속에 있는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농도는 0.2~0.3ppm 정도로 미미하기 때문에 인체에 영향은 없이 살균만 하게 된다.
상기 살균유닛(100)은 정수기의 살균을 위한 살균모드와 상기 살균모드 후에 정수기를 헹구기 위한 헹굼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드에서는 상기 분기밸브(140)에 의해서 원수가 제1유로(141)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헹굼모드에서는 기 분기밸브(140)에 의해서 원수가 제2유로(142)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과정에서 물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를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정수기의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에 상기 살균유닛(100)이 상기 제1연결관(201), 제2연결관(202), 제1배수관(205) 및 제2배수관(206)에 의해서 연결된 상태에서, 배수 시작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1). 이 때, 상기 배수 시작 명령은 상기 정수기(1)의 조작부(110) 또는 상기 살균유닛(100)의 조작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살균유닛(100)과 상기 정수기(1)는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유닛(100)의 조작부를 통하여 배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수 시작 명령이 상기 정수기(1)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수 시작 명령을 별도로 입력받지 않고, 살균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배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 시작 명령은 배수 시작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정수기(1)의 온수 밸브(56) 및 냉수 밸브(55)는 온되고, 상기 정수 밸브(54)는 오프된다(정수 밸브(54)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함)(S2). 또한, 상기 살균유닛(100)의 배수밸브(173)가 온된다(S3). 이 때, 상기 배수밸브(173)는 상기 온수 밸브(56) 및 상기 냉수 밸브(55)와 동시에 온되거나 상기 온수 밸브(56)와 냉수 밸브(55)가 온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온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밸브(56), 상기 냉수 밸브(56) 및 상기 배수밸브(173)가 온되면,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상기 제1드레인 관(81)을 통하여 배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상기 제2드레인 관(82)을 통하여 배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정수 밸브(54)는 오프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정수 공급관(45)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정수 공급관(46)을 통하여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온수조(33) 및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온수조(33) 및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되는 정수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의 온수 일부는 상기 온수 유동관(53)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냉수조(32)의 냉수 일부는 상기 냉수 유동관(5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33)의 온수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드레인 관(81)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냉수조(32)의 냉수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드레인 관(8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수조(33) 내에서 상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53)으로 배출되고, 하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제1드레인 관(81)으로 배출될 것이다.
물론, 배수 과정에서 상기 정수조(31)에 저장된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온수조(33)의 물 및 상기 냉수조(32)의 물은 각각 상기 제1드레인 관(81) 및 상기 제2드레인 관(82)을 통해서만 배출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조(33)로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공급됨에 따라서 상기 제1드레인 관(81)의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는, 배수 시작 전에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 보다 낮다.
그 이유는 상기 온수조(33)의 온수의 온도 보다 상기 정수조(31)의 정수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되면,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된 정수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의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온수조(33)로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공급되는 중에, 상기 온수조(33)에서 상기 제1드레인 관(81)으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는 상기 온수 유동관(53)으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 보다 낮다.
그 이유는 상기 온수 유동관(53)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정수 공급관(45) 및 상기 제1드레인 관(81)은 상기 온수조(33)의 하측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즉, 배수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되는데, 상기 온수 유동관(53)이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되기 때문에, 정수와 섞이지 않은 즉, 온도가 낮아지지 않은 온수가 상기 온수 유동관(53)으로 배출된다. 반면, 상기 제1드레인 관(81) 및 상기 제1정수 공급관(45)이 상기 온수조(33)의 하측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된 정수와 섞인 온수가 상기 제1드레인 관(81)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상기 제1드레인 관(81)으로 온수가 배출됨에 따라, 배수 과정에서 상기 안전장치(35)가 작동하여 상기 히터(34)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배수 및 살균 완료 후에 상기 온수조(33) 및 히터(34)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밸브(56)와 함께 냉수 밸브(55)를 온시키는 이유는 상기 취출관(62)을 통하여 배출되는 온수에 의한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상기 냉수 밸브(55)가 온된 경우 상기 온수조(33)에서 배출된 온수가 상기 공통 유동관(60)에서 상기 냉수조(32)에서 배출된 냉수와 섞이므로, 상기 취출관(62)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온수의 온도 보다 낮게 되어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레인관(81) 및 상기 제2드레인 관(82)으로 배출된 냉수 및 온수는 상기 살균유닛(100)로 유동한 후에 상기 드레인 호스(204)를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수가 진행되는 중에 상기 정수기(1)의 제어부 또는 상기 살균유닛(100)의 제어부는 배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
배수 완료 판단은 상기 정수조(31)의 수위를 기초로 판단하거나 상기 정수조(31), 냉수조(32) 및 온수조(33) 각각의 수위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수 완료 판단은 상기 정수조(31)의 수위가 최저 수위가 된 후 일정 시간의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수 시작 후 일정 시간의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수 완료 판단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단계 S4에서 판단 결과, 배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냉수 밸브(55), 온수 밸브(56)가 오프된다(S5). 또한, 상기 살균유닛(100)의 배수 밸브(173)가 오프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배수 과정에서 상기 온수 밸브(56)가 온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 즉, 온수 밸브(56)는 배수가 완료되면 오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온수조(33) 내의 온수의 온도가 낮아져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수 밸브(56)가 오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일정 온도는 상기 안전장치(35)가 작동하지 않는 온도일 수 있다. 즉, 상기 온수 밸브(56)는 배수 완료 전에 오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온수 밸브(56)는, 배수가 시작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오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살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정수기의 물의 배수가 완료된 후에, 상기 살균유닛(100)에서 상기 정수기(1)로 살균수가 공급된다(S11). 즉, 상기 살균유닛(100)에서 살균모드가 수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 모드는, 살균모드, 살균수 배수모드, 헹굼모드 및 헹굼수 배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필터(2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연결관(201)을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10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살균유닛(100)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펌프(130)를 지나 상기 분기밸브(140)에 의해서 제1유로(141)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유로(141)를 유동하는 원수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에서 상기 정수기(1) 내부 유로 세척을 위한 살균수가 생성된다. 이 때, 상기 제1밸브(144)에 의해서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밸브(146)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상기 배출포트(16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2연결관(202)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정수관(42)을 통하여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냉수조(32) 및 상기 온수조(33)로 유입된다. 상기 살균유닛(100)에서 상기 정수기(1)로 살균수가 공급되는 중에는 상기 정수기(1)의 밸브(54, 55, 56)와, 상기 살균유닛(100)의 배수밸브(173) 및 상기 제2밸브(146)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상기 살균수가 상기 정수기(1)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정수조(31)에서 상기 정수조(31)의 만수위가 감지된다. 상기 정수조(31)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상기 살균유닛(10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 다음, 만수위가 감지된 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2). 만약, 상기 만수위가 일정시간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수기(1) 내부의 살균수가 배수된다(S13). 즉, 살균수 배수모드가 수행된다.
상기 정수기(1)에서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살균유닛(100)에서 헹굼모드가 수행된다. 즉, 상기 살균유닛(100)에서 상기 정수기(1)로 헹굼수가 공급된다(S14).
상세히,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필터(2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살균유닛(10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살균유닛(100)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펌프(130)를 지나 상기 분기밸브(140)에 의해서 제2유로(142)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유로(142)를 유동하는 원수(헹굼수)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50)를 미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포트(160)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기(1)로 헹굼수가 유입되는 중에는 상기 정수조(31)에서 상기 정수조(31)의 만수위가 감지된다. 상기 정수조(31)가 만수위가 되면, 상기 살균유닛(10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 다음, 만수위가 감지된 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5). 만약, 상기 만수위가 일정시간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수기(1) 내부의 헹굼수가 상기 살균유닛(100)으로 배수된다(S16). 즉, 헹굼수 배수모드가 수행된다. 그러면, 상기 살균유닛(100)으로 배수된 헹굼수는 상기 드레인 관(172)을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100)에서 배수되어, 상기 정수기(1)의 살균이 완료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정수기의 세척 및 살균을 위하여 정수기의 배수 과정에서 밸브의 제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정수기의 세척 및 살균과 무관하게 정수기에서 물을 배수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살균유닛을 상기 정수기에 연결시킬 수 있다.
물론, 정수기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서는 살균유닛이 아닌 배수관을 각각 배수 커넥터에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정수기가 정수조와 냉수조 및 온수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냉수조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의 정수기는 정수조와 온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수기가 냉수조와 온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은 정수기가 온수조와 함께 정수나 냉수가 저장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정수 공급관이 온수조에 연결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온수조(33)의 하측에 공통관(45a)이 연결되고, 정수 공급관(45) 및 제1드레인 관(81)이 공통관(45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밸브기구가 개방되지 않는 한 상기 정수 공급관(45)의 정수 및 상기 온수조(33)의 온수는 상기 제1드레인 관(8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정수 공급관(45)의 정수는 상기 공통관(45a)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정수 및 상기 온수조(33)의 온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온수 밸브(56)가 온될 수 있고, 제1배수 커넥터(83)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정수 공급관(85)을 유동한 물의 일부는 상기 제1드레인 관(81)을 통하여 배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공통관(45a)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33)의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53)으로 배출된다.
온수 배수 초기 시에는, 상기 정수조(33)에 저장된 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상기 정수조(33)에서 배출되어 상기 정수 공급관(45)을 유동하는 물의 수압이 상기 온수조(33) 내의 온수의 수압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정수 공급관(45)의 정수가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되고, 상기 온수조(33)의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53)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조(31)에 저장된 정수의 양이 줄어드는 경우(또는 배수 시작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정수 유동관(45)의 수압이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상기 공통관(45a)을 통하여 배출된 후에 상기 제1드레인 관(81)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31: 정수조
32: 냉수조 33: 온수조
45: 제1정수 공급관 46: 제2정수 공급관
51: 정수 유동관 52: 냉수 유동관
53: 온수 유동관 54: 정수 밸브
55: 냉수 밸브 56: 온수 밸브
81: 제1드레인 관 82: 제2드레인 관

Claims (13)

  1.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
    상기 정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조;
    상기 정수조 및 상기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관;
    상기 정수조에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 유동관;
    상기 온수조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조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 유동관;
    상기 정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
    상기 온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
    상기 정수조의 정수를 상기 온수조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상기 온수조의 물을 배수하며,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연결되는 드레인 관;
    상기 온수조에 구비되며,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조의 정수 및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온수 밸브는 온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오프되는 정수기.
  2.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관;
    상기 온수조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조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 유동관;
    상기 온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
    상기 저수조의 물을 상기 온수조로 공급하며,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연결되는 공급관;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서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관;
    상기 온수조에 구비되며,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의 물 및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온수 밸브는 온되는 정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밸브가 온되면,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물이 상기 온수조로 공급되고, 상기 온수조 내의 온수의 일부는 상기 온수 유동관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의 내의 온수의 다른 일부는 상기 드레인 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의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과 상기 드레인 관으로 나뉘어 배출되는 정수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 내에서 상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온수 유동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온수조 내에서 하측에 위치한 온수는 상기 드레인 관으로 배출될 수 있는 정수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과 상기 드레인 관은 상기 온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통관에 연결되는 정수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의 온수의 배수 초기, 상기 공급관을 유동하는 물이 상기 온수조로 공급되고, 배수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온수조의 온수가 상기 드레인 관으로 배수되는 정수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관이 연결되는 밸브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의 온수 배수 과정에서 상기 밸브기구는 개방되는 정수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의 온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온수 밸브는 오프되는 정수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의 온수의 배수가 완료 전에 상기 온수 밸브는 오프되는 정수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조의 정수를 공급받는 냉수조와,
    상기 냉수조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관으로 유동할 냉수가 유동하는 냉수 유동관; 및
    상기 냉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수조의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수 밸브는 온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유동관, 상기 냉수 유동관 및 상기 온수 유동관이 연결되는 공통 유동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취출관은 상기 공통 유동관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 유동관을 유동한 온수 및 상기 냉수 유동관을 유동한 냉수는 상기 공통 유동관에서 합쳐진 후에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정수기.
KR1020150002768A 2015-01-08 2015-01-08 정수기 KR101702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68A KR101702735B1 (ko) 2015-01-08 2015-01-08 정수기
CN201510846553.3A CN105776685B (zh) 2015-01-08 2015-11-27 净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68A KR101702735B1 (ko) 2015-01-08 2015-01-0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579A true KR20160085579A (ko) 2016-07-18
KR101702735B1 KR101702735B1 (ko) 2017-02-03

Family

ID=5639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768A KR101702735B1 (ko) 2015-01-08 2015-01-08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2735B1 (ko)
CN (1) CN1057766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612A1 (en) 2020-12-28 2022-07-06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83B1 (ko)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41688A (ko) * 2021-04-13 2022-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65B1 (ko) * 2007-07-31 2008-10-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가열제어장치
KR101335813B1 (ko) * 2011-07-08 201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362B1 (ko) * 2004-11-08 2006-06-30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순환식 식수생성장치
CN2861142Y (zh) * 2005-12-02 2007-01-24 浙江沁园水处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直饮式净水装置
KR101185308B1 (ko) * 2009-02-09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JP2011025114A (ja) * 2009-07-22 2011-02-10 Duskin Co Ltd 切替型ro浄水器
CN202279750U (zh) * 2011-09-09 2012-06-20 王锦林 紫外线杀菌冷热水两用净水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65B1 (ko) * 2007-07-31 2008-10-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가열제어장치
KR101335813B1 (ko) * 2011-07-08 201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612A1 (en) 2020-12-28 2022-07-06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76685B (zh) 2019-03-15
CN105776685A (zh) 2016-07-20
KR101702735B1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123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1702735B1 (ko) 정수기
EP2393572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285425B1 (ko) 수처리 장치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335747B1 (ko) 정수기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JP2006223940A (ja) 電解処理装置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350005B1 (ko) 살균 장치
JP2006198500A (ja) 電解処理装置
KR20120106223A (ko) 세정수단이 결합된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세정방법
KR101304818B1 (ko) 정수기 살균장치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20110135910A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30080111A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20130096521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20120078137A (ko) 살균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온수기 및 그의 살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