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045A -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045A
KR20160085045A KR1020150001909A KR20150001909A KR20160085045A KR 20160085045 A KR20160085045 A KR 20160085045A KR 1020150001909 A KR1020150001909 A KR 1020150001909A KR 20150001909 A KR20150001909 A KR 20150001909A KR 20160085045 A KR20160085045 A KR 20160085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ser
state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빈
심정현
최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045A/ko
Priority to US14/990,343 priority patent/US20160198296A1/en
Publication of KR2016008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는 제1 공간에 지정된 사용자가 제1 공간에 부재하면, 제1 공간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가 제1 공간에 진입하면, 부재 전의 제1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저장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공간 상태 재현부, 및 검색된 상태 정보에 근거해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가 제어되도록 검색된 상태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Device, Driving Method of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세분화된 공간 구분을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기기 제어를 지원하는 보다 심화된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사용자 위치 인식 서비스는 인식 범위 내의 '위치' 추정에만 한정되어 있어 실내외 구분 및 특정 위치 인근의 기기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실내외 구분 위치 인식 기술은 지오펜싱(Geo-fencing)이라 하여 GPS를 통해 가상의 지리학적 특정 영역을 설정하여 사용자 진입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과, 출입 공간 인근의 센서가 사용자 기기 인식 후 게이트웨이에 전송하여 재/부재를 판단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공간 기반의 기기 제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공간을 구분하여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실내 위치 서비스는 다수 사용자에 대한 고려 및 개인 공간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나아가, 특정 공간 내에 있는 여러 장치들을 연동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동일 기기가 없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컨대 세분화된 공간 구분을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기기 제어를 지원하는 보다 심화된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는 제1 공간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부재 전의 상기 제1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상기 저장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1 공간의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존 커넥터(Zone Connector)를 근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제2 공간의 공간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이동하여 진입하면,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재현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상기 제1 공간의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재현되도록 상기 저장한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한 제2 공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2 공간과 동일 속성의 사용자 장치가 없으면, 유사 속성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 및 제어하여 상기 제2 공간의 상태와 유사하게 재현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의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공간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하는 상기 제1 공간 또는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를 근거로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공간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부재 전의 상기 제1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상기 저장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1 공간의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존 커넥터(Zone Connector)를 근거로 상기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제2 공간의 공간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재현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상기 제1 공간의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재현되도록 상기 저장한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한 제2 공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2 공간과 동일 속성의 사용자 장치가 없으면, 유사 속성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 및 제어하여 상기 제2 공간의 상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의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공간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하는 상기 제1 공간 또는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사용자 기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 제어 방법은, 제1 공간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부재 전의 상기 제1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상기 저장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저장시키는 단계는, 제2 공간의 공간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저장시키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재현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상기 제1 공간의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재현되도록 상기 저장한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한 제2 공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2 공간과 동일 속성의 사용자 장치가 없으면, 유사 속성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 및 제어하여 상기 제2 공간의 상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사용자가 임의의 공간에 진입했을 때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사용자가 다른 공간에서 임의의 공간으로 이동했을 때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도 5의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공간 상태 재현부의 상태 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통한 정보의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기기별 상태(목표 설정) 값 기반으로 상태를 재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공간별 환경 상태값 기반으로 상태를 재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공간별 기기 자동 그룹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재현 상태의 확인 및 수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자동 그룹핑 오류시 재그룹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사용자가 임의의 공간에 진입했을 때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B는 사용자가 다른 공간에서 임의의 공간으로 이동했을 때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90)은 사용자 장치(100-1, 100-2), 존 커넥터(110-1, 110-2) 및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B 공간에서의 사용자 장치(100-2), 존 커넥터(110-2)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장치(100-1, 100-2)는 임의의 공간(A 공간, B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0-1, 100-2)는 전자기기로서 TV, 냉장고, 에어컨, 오디오 기기, 선풍기, 블라인드 장치, 조명 장치, 제습기, 소형 냉방기기(예. 쿨 프레소) 및 복수의 센서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조명 센서 및 습도 센서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1, 100-2)는 각 공간의 통신을 관할하는 존 커넥터(110-1, 110-2)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자신의 동작 상태 정보를 존 커넥터(110-1, 110-2)에 제공할 수 있다.
존 커넥터(110-1, 110-2)가 각 공간에 설치되면, 사용자 장치(100-1, 100-2)는 자신과 동일 공간에 설치된 존 커넥터(110-1, 110-2)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신의 장치 ID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된 장치 ID는 존 커넥터(110-1, 110-2)를 통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 전달되어 저장되며, 이를 통해 각 공간이 구분된다.
각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은 가령 방 주인이 자신의 공간을 나섰을 때, 더 나아가서는 해당 공간을 나선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방 주인의 진입이 없으면 현재의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를 존 커넥터(110-1, 110-2)에 전달하여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 저장되도록 한다. 물론 여기서 환경 상태는 그 공간의 조도나 습도 등을 의미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 또한 센서의 동작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으로 다시 진입하게 되면, 가령 존 커넥터(110-1, 110-2)는 사용자의 진입을 검출하여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 알리고,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 저장된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에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은 수신된 정보에 근거해 동작하게 된다.
도 2A를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면, 임의의 공간에 대한 방 주인 즉 대표 사용자가 설정되게 된다. 이때 설정은 사용자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단말장치의 장치 ID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이동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공간의 대표 사용자임을 지정하기 위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전화번호를 근거로 이동단말장치의 장치 ID가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대표 사용자로서 지정된 사용자의 진입이 있을 때에는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은 자동으로 제어되지만, 대표 사용자가 아닌 미등록 사용자의 진입이 있을 때에는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은 자동 제어되지 않는다.
또한 도 2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거실과 같은 A 공간에서 자신의 방인 B 공간으로 이동할 때, B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2)들은 A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게 된다. 여기서, 재현한다는 것은 B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2)들이 A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1)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란 B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2)가 A 공간에 동일 기기 또는 동일한 속성의 사용자 장치(100-1)가 존재할 때는 동일한 값으로 동작하지만, 동일한 속성의 사용자 장치(100-2)가 없는 경우에는 유사한 속성의 사용자 장치(100-2)가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B에서 볼 때, A 공간의 에어컨의 동작을 B 공간의 소형 냉방기기, 제습기 및 선풍기가 대신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각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은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를 통해 각 공간의 존 커넥터(110-1, 110-2)에 의해 전송된 정보에 의해 제어되므로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의 피제어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각 공간의 존 커넥터(110-1, 110-2)는 동일 공간에 존재하는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의 동작 제어를 각각 관할한다. 여기서 동작 제어를 관할한다는 것은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서 기저장된 상태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각 사용자 장치(100-1, 100-2)에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의 과정에서 존 커넥터(110-1, 110-2)는 수신된 정보를 파싱하여 각 사용자 장치(100-1, 100-2)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각 공간의 존 커넥터(110-1, 110-2)는 파싱된 정보를 전달하기에 앞서 각 사용자 장치(100-1, 100-2)와 통신을 수행하여 장치 ID를 획득하고, 이를 파싱된 정보의 장치 ID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사용자 장치(100-1, 100-2)로 파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시 말해, 존 커넥터(110-1, 110-2)는 수신된 정보를 각 공간의 모든 사용자 장치(100-1, 100-2)들로 동일한 형태로 전송하고, 각 사용자 장치(100-1, 100-2)는 수신된 정보에서 자신에 해당하는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된 자신의 정보를 근거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과정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공간의 존 커넥터(110-1, 110-2)는 물론 게이트웨이의 일종일 수 있다. 하지만, 통상적인 게이트웨이를 각 공간마다 설치한다는 것은 많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존 커넥터(110-1, 110-2)는 기존의 게이트웨이에 비해 통신 반경이 비교적 작고, 저렴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면 와이파이 모듈보다는 블루투스 모듈이 저렴할 수 있고, 블루투스 모듈보다는 적외선(IR) 모듈이 더 저렴할 수 있다. 따라서, 존 커넥터((110-1, 110-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통신 동작만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또한 존 커넥터(110-1, 110-2)는 자신의 공간에 진입하는 사용자를 검출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해당 공간의 대표 사용자로 지정된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장치 ID가 될 수 있다. 존 커넥터(110-1, 110-2)는 제공된 장치 ID를 근거로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100-1, 100-2)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외부 공간에서 해당 공간으로의 진입인지, 인접하는 공간으로부터의 이동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판단 동작은 가령 대표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의 장치 ID를 근거로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 공간과 이동 후 공간에서 동일한 장치 ID가 검색되는지를 비교해 보면 간단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각 가정마다 설치되는 홈 서버가 될 수 있지만,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공간의 진입 또는 이동은 개인 사무 공간에서 집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동이 될 수 있으며, 집의 거실에서 작은 방으로의 이동이 될 수 있다. 물론 클라우드 서버의 경우에는 통신사의 사설 통신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조금 차이가 있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서버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타 변형된 예는 이후에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가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100-1)들의 상태 정보와 B 공간의 존 커넥터(110-2)가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100-2)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로부터 사용자 장치(100-1)들의 상태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이 있으면 수신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로부터 상태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존 커넥터(110-1)의 장치 ID, MAC 정보 또는 주소 정보 등을 근거로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여기서, 저장 요청은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에서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나선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요청한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에서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존 커넥터(110-1, 110-2)로부터의 상태 정보 검색 요청에 따라 상태 정보를 제공할 때, 새로운 사용자의 진입에 의한 상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 또는 인접 공간에서의 이동에 의한 상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서와 같이 거실에서 작은 방으로의 위치 이동을 고려해 보자. 거실 공간은 가족 구성원들의 공용 공간이기 때문에 다수 사용자가 대표 사용자로서 등록될 수도 있다. 여하한, 거실 공간에 등록된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의 경우에는 거실 공간에서의 상태 정보를 그대로 자신의 공간에서 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거실 공간에 등록된 사용자 아닌 경우에는 자신의 개인 공간으로 새롭게 진입하는 것에 해당되므로, 해당 공간에서 나설 때의 상태 정보로 재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이동 전 공간의 대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어떻게 공간 상태를 재현할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때, 해당 진입 또는 이동 공간에 있는 A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1)에 대해서만 상태 정보를 필터링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공간에 모두 에어컨이 존재한다면 동일한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이의 과정에서 동일 속성의 사용자 장치(100-1, 100-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사한 속성을 갖는 사용자 장치(100-1, 100-2)를 판단하여 이러한 대체 기기를 조합하여 유사한 상태를 재현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A 공간에 있는 에어컨에 의한 환경 상태가 습도 30% 및 온도 22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데 B 공간으로 대표 사용자가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에어컨과 동일 또는 동일 속성 및 유사 속성의 기기가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동일 속성의 제습기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 및 선풍기가 있는 것으로 검색되면, 제습기는 A 공간의 습도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블라인드 장치와 선풍기를 이용해서는 온도 22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실험 또는 사용자 경험에 의해 결정된 바대로, 블라인드 장치를 제어하여 광원 40% 정도가 유입되도록 하고, 선풍기는 바람의 세기를 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제어와 관련한 실험 또는 사용자 경험에 의한 정보 즉 값들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사용자가 임의의 공간으로 진입 또는 이동했을 때, 해당 상태를 재현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100-1, 100-2)를 검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습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하여 습도계나 에어컨 등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온도의 경우에는 블라인드 장치, 에어컨, 선풍기 및 소형 냉방기기 등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조도의 경우에는 블라인드 장치, 조명 장치 등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오디오의 경우에는 오디오를 재현하기 위한 관련 장치가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유사 속성 기기의 정보를 정리해 보면,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DB와 같은 저장부에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은 유사 속성 기기에 대한 정보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유사 속성 기기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또한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유사 속성 기기가 선택되면, 해당 유사 속성 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태를 어떻게 재현할 수 있는지와 관련해서도 별도의 기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에어컨에 의한 온도 22도를 재현하기 위하여 유사 속성 기기로 블라인드 장치와 선풍기가 검색된 경우, 기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장치의 광원을 40%로 조정하고, 선풍기의 바람을 강으로 제어하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다만, 이러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계산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6은 도 5의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공간 상태 재현부의 상태 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통한 정보의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공간 상태 재현부(500) 및 저장부(5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공간 상태 재현부(50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각 공간의 존 커넥터(110-1, 110-2)와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공간에 구비되는 에어컨 및 오디오 기기와 같은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의 동작 상태 및 조도 센서나 습도 센서 등에 의한 조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부(51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각 공간의 대표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나서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사용자가 임의의 공간에 진입 또는 이동해 왔을 때, 존 커넥터(110-1, 1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공간의 상태를 재현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검출된 사용자가 해당 공간의 대표 사용자로 판단되면, 진입에 의한 상태를 재현할지 이동에 의한 상태를 재현할지를 결정한다. 가령, 인접 공간에 대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지정되어 있고, 그 공간으로부터 이동해 온 경우에는 이동 전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저장부(51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이동된 공간에서 재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동일 기기나 동일 속성의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상태로 재현 가능하다. 하지만, 동일 기기 또는 동일 속성의 기기가 없는 경우에는 대체 기기를 판단하여 대체 기기를 통해 이동 전 공간의 상태가 유사하게 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과정에서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저장부(510)에 기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대표 사용자가 A 공간에서 B 공간으로 이동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대표 사용자가 A 공간에서 B 공간으로 이동했을 때, A 공간의 기기 정보 또는 환경 정보가 B 공간에서 그대로 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재현 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대로, 동일 기기 또는 동일 속성의 기기가 없는 경우에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대체 기기를 이용하여 이전 상태를 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을 예로 들면, 이동한 공간에 동일 기기로서 다른 에어컨이 있는지, 에어컨이 없다면 동일 속성의 제습기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동일 속성의 기기가 없으며, 대체 기기를 판단하여 이전 상태를 재현하게 된다.
한편,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내부에 위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프로그램은 CPU의 제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공간 상태 재현부(500)는 기록매체의 형태로서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소프트웨어는 CPU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510)는 각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에 대한 동작 상태나 조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상태 정보는 존 커넥터(110-1, 110-2)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저장될 수 있다. 존 커넥터(110-1, 110-2)에서 대표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을 나선 후 일정 시간 이후에도 진입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존 커넥터(110-1, 110-2)에서 상태 정보의 저장을 요청하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해당 공간에 매칭시켜 저장부(510)에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으로 다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될 때, 존 커넥터(110-1, 110-2)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저장부(510)는 이러한 상태 정보를 <표 3> 및 <표 4>에서와 같이 가령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표 3> 및 <표 4>는 A 공간의 기기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저장한 것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물론 이러한 정보는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는 것이지만,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 즉 상호 작용을 통해서도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단말장치를 통해 각 공간의 기설정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이를 통해 수정도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이동단말장치의 화면에 UI 화면 즉 메뉴 화면이나 팝업 창의 형태로 제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오디오 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도 9B에서와 같이 조명 등에 대해서도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저장부(510)는 본 공간 기반 기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저장부(510)에 저장된 정보는 대표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초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대표 사용자가 A 공간에서 B 공간으로 이동할 때,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A 공간에 대한 상태 정보와 B 공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B 공간에서 A 공간의 상태가 재현되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없이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설계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보가 저장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0은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 제어부(1010), 공간 상태 생성부(1020) 및 저장부(10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공간 상태 생성부(10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저장부(10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10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도 1의 존 커넥터(110-1, 110-2)와 통신을 수행하여 존 커넥터(110-1, 110-2)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가령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10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 공간의 대표 사용자가 검출되는 경우 대표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장치 ID를 수신하여 제어부(1010)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대표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서 요청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기반 기기 제어 서비스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100-1, 100-2)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저장된 정보의 확인을 통해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 내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 공간 상태 생성부(1020), 저장부(1030)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별로 사용자 장치(100-1, 100-2)의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10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은 각 공간의 대표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으로 새롭게 진입하거나 인접 공간에서 이동해 왔을 때를 의미한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10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가령 동일 기기가 있는지의 판단 여부, 동일 기기가 없을 때 동일 속성 또는 대체 기기의 동작 여부 등 이와 관련한 동작은 공간 상태 생성부(102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010)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가 처음 동작할 때, 공간 상태 생성부(10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근거할 때, 제어부(1010)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CPU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기록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도 10의 제어부(1010)와 공간 상태 생성부(1020)는 도 5에서의 공간 상태 재현부(5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물리적으로 분리되느냐 않느냐의 차이가 있다. 또한 공간 상태 생성부(1020) 내의 프로그램은 특정 모듈에 대해서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으로만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타 저장부(1030)와 관련해서는 도 5의 저장부(51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제1 공간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제1 공간 정보를 저장한다(S1100). 이러한 제1 공간 정보의 저장은 사용자 장치(100-1, 100-2)의 동작 상태에 대한 변경이 있을 때, 환경 정보의 변경이 있을 때 주기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나선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마지막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해당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1, 100-2)들은 턴오프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1 공간에 진입하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저장한 제1 공간 정보를 근거로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1, 100-2)를 제어할 수 있다(S1110). 다시 말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대표 사용자가 진입했을 때, 해당 공간을 관할하는 존 커넥터(110-1, 110-2)의 장치 ID를 근거로 기저장된 제1 공간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하나의 프로그램 단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S1110 단계와 관련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대표 사용자가 새롭게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제2 공간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제2 공간의 상태와 동일 상태가 재현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기기별 상태(목표 설정) 값 기반으로 상태를 재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를 도 1 및 <표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사용자 즉 대표 사용자가 A 공간에서 B 공간으로 이동하면, A 공간과 B 공간의 구성 기기 대조를 시작한다(S1200).
이의 과정에서, 동일 기기가 있는지 검색하고(S1210), 검색되지 않는 경우 동일 속성의 기기가 있는지 검색한다(S1220). 또한 동일 속성의 기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저장된 유사 속성 기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유사 속성의 기기가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S1230).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A 공간의 에어컨과 다른 에어컨이 있는지 검색하여, 에어컨이 없으면 습도 조절을 위하여 동일 속성의 제습기를 검색하여 선택한다. 만약 온도 조절을 위한 동일 속성의 기기가 없다면 블라인드 장치와 선풍기를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각각의 검색 결과에 따라, 기기별 상태를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각 재현 결과는 저장되며, 다만 유사 속성 기기도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현 방법이 없음을 등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1240 ~ S127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든 기기 정보에 대하여 검색이 완료되면, A 공간의 상태를 B 공간에 재현하게 된다(S1290). 즉 B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2)들이 제어된다.
도 13은 공간별 환경 상태값 기반으로 상태를 재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3을 도 1 및 <표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A 공간과 B 공간의 구성 기기 대조 과정을 시작한다(S1300).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동일 환경 상태의 정보가 있는지 검색하고(S1310), 검색 결과 동일 환경 상태 정보가 검색되면 속성값을 비교할 수 있다(S1320). 비교 결과 속성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값을 일치시키기 위한 속성 변경 기기를 검색한다(S1330).
이후 각각의 검색 및 비교 결과에 따라, 환경별 상태를 재현할 수 있다. 각 재현 결과는 저장되며(S1340, S1350), 속성 변경 기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재현 불가함을 등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136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든 환경 정보에 대하여 검색 및 비교가 완료되면(S1370), A 공간의 환경 상태를 B 공간에 재현하게 된다(S1380). 다시 말해, B 공간의 사용자 장치(100-2)들이 제어된다.
도 14는 공간별 기기 자동 그룹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는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100-1)들을 자동 인식한다(S1400). 다시 말해, 최초 설치시 통신을 수행하여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된다.
그리고, 존 커넥터(110-1)는 자동 인식된 사용자 장치(100-1)들의 단말 정보를 수집한다(S1410), 여기서, 단말 정보는 종류, 위치, 상태 및 속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과정이 완료되면, 존 커넥터(110-1)는 가령 홈 서버(H)와 같은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로 단말 정보를 전송한다(S1420).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를 기준으로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1)를 A 공간에 자동으로 그룹핑하게 된다(S1430).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는 A 공간의 존 커넥터(110-1)를 A 공간의 대표 기기로 인식할 수 있다(S1440).
한편, B 공간의 경우에도 A 공간과 마찬가지로 자동 그룹핑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는 재현 상태의 확인 및 수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장치, 가령 B 공간의 대표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폰은 도 15의 (a)에서와 같이 현재 자신의 공간에서 재현되는 사용자 장치(100-2)들의 상태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15의 (a)에 나타낸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태 2를 선택하면, 관련 사용자 장치(100-2)들의 동작 상태나 환경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예컨대 상태 2가 습도와 관련된 상태라고 가정하면, B 공간상에 구비되는 소형 냉방기기와 제습기에 대한 상태를 화면에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도 15의 (b)에서와 같이 오프 제어함으로써 특정 기기에 대한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대표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이동단말장치를 통해서는 가령 내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자신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즉 사용자 기기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그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그 이외에도 앞서 언급한 그룹핑 정보를 보여주는 등 다양한 화면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계속해서 도 16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6은 자동 그룹핑 오류시 재그룹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간의 대표 사용자들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홈 내에서 그룹핑된 기기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배경 화면에 표시된 공간 기반 기기 제어 서비스를 위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6의 (a)에서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서, 자동 그룹핑 동작을 수행한 후 도 16의 (b)에서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는 공간 자동 인식을 통해 공간 A의 존 커넥터(110-1) 인근의 기기들을 자동으로 그룹핑하여 공간을 구분해 도 16의 (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해 줄 수 있다. 가령 이러한 동작은 존 커넥터(110-1)가 최초 설치되거나, 위치가 변경될 때 등 다양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의 (b)에서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사용자는 도 16의 (c)에서와 같이 각 공간에 대한 대표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도 16의 (d)에서와 같이 자동 그룹핑된 각 기기의 소속 공간이 잘못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드래그 동작 등을 통해 해당 기기의 소속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90')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1700-1, 1700-2), 게이트웨이(1710) 및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도 1과 비교해 보면, 도 1에서는 각 공간에 구비되는 존 커넥터(110-1, 110-2)를 통해 공간을 자동 분류하였다면, 도 17의 경우에는 가정 내에 게이트웨이가 하나 존재하는 경우, 신호의 세기를 근거로 공간을 구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의 경우, 게이트웨이(1710)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각 공간을 구분하고, 대표 ID를 자동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가 각 공간의 존 커넥터(110-1, 110-2)의 ID를 대표 기기로 하여 공간을 구분하였다면, 도 17의 경우에는 랜덤하게 생성된 ID를 근거로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1700-1) 중 하나를 대표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이 있으면, 게이트웨이(1710)는 이동단말장치의 장치 ID와 함께 제공되는 사용자 장치(1700-1)의 정보를 통해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공간 상태를 재현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자는 이동단말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제외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도 1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90'')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1800-1, 1800-2), 홈 서버(1810-1), 회사 서버(1810-2), 통신망(1820) 및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도 1과 비교해 보면, 도 1은 A 공간과 B 공간이 홈 내에서 인접하는 공간을 갖는 것이라면, 도 18의 경우에는 A 공간은 홈에서의 공간이고, B 공간은 개인 사무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830)는 사용자가 사무 공간에서 홈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공간 상태를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830)는 일종의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물론 통신망(1820)은 유무선 통신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댁내나 회사에 설치되는 와이파이와 같은 액세스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제외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도 1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1890)은 사용자 장치(1900), 존 커넥터(1910), 게이트웨이(1920) 및 이동단말장치(19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존 커넥터(1910), 게이트웨이(1920) 또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게이트웨이(19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17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의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1890)을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90)과 비교해 볼 때, 게이트웨이(1920)가 도 1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120)를 대신하거나, 그 사이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존 커넥터(1910)는 각 공간의 사용자 장치(1900)들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게이트웨이(1920)와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며, 이동단말장치(1930)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존 커넥터(1910)는 비접촉식 통신기술인 RFID 기술 중 하나인 NFC를 통해 이동단말장치(1930)를 대표 기기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공간 진입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에 근거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커넥터(1910)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모듈, NFC 통신모듈 및 와이파이 통신모듈 등을 포함하고, 생체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1890)은 이동단말장치(1930)를 사용하여 비접촉식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생체 인식 기술의 하나로서, 사용자의 지문을 이용한 지문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공간 진입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은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제외하면, 도 19의 사용자 장치(1900), 존 커넥터(1910), 게이트웨이(1920)는 도 1의 사용자 장치(100-1, 100-2), 존 커넥터(110-1, 110-2) 및 도 17의 게이트웨이(192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20은 도 19의 시스템을 이용한 공간별 기기 그룹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의 그룹핑 과정은 도 14의 그룹핑 과정과 비교해 볼 때, 도 19의 게이트웨이(1920)가 도 14의 홈 서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는 데에 그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점을 제외하면, 도 20의 그룹핑 과정은 도 14의 그룹핑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21은 도 19의 시스템을 이용한 공간별 대표 기기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1을 도 19와 함께 참조하면, 도 19의 존 커넥터(1910)는 NFC를 통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이동단말장치(1930)를 태깅(Tagging)한다(S2100).
그리고 존 커넥터(1910)는 이동단말장치(1930)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여, 페어링 정보를 게이트웨이(1920)에 전달한다(S2110, S2120).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1920)는 이동단말장치(1930)를 존 커넥터(1910)가 위치한 공간의 대표 기기로 설정한다(S2130).
이후 게이트웨이(1920)는 대표 기기로 설정된 이동단말장치(1930)가 존 커넥터(1910)를 통해 인식될 때, 사용자의 진입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된 대표 사용자의 진입 또는 이동이 감지될 때, 게이트웨이(1920)는 사용자 장치(1900)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존 커넥터(1910)를 통해 사용자 장치(19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9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임의의 공간 내의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일괄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2를 도 19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커넥터(1910)는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한 이동단말장치(1930)를 인식한다(S2200).
그리고 존 커넥터(1910)는 인식된 이동단말장치(1930)의 인식 정보, 가령 장치 정보를 게이트웨이(1920)에 제공할 수 있다(S2210).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1920)(또는 게이트웨이(1920)에 연결된 별도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미도시))에서 대표 사용자의 진입을 판단한다(S2220).
이어, 사용자는 이동단말장치(1930)를 통해 상태 정보의 저장을 명령할 수 있다(S2230).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외부 버튼 등을 누르거나, 음성(voice) 기능을 활성화한 후 '캡쳐(capture)' 명령을 발화하거나, 화면상에 해당 기능과 맵핑된 아이콘을 탭(tap)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앞서서는 이동단말장치(1930)가 해당 공간을 나간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재진입이 없을 때 자동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상태 정보를 저장할지가 판단되면, 존 커넥터(1910)는 상태 정보를 일괄 캡쳐하고, 다시 말해 일괄 수집하고, 수집된 캡쳐 정보를 게이트웨이(1920)에 전송한다(S2240, S2250). 이때, 상태 정보는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게이트웨이(1920)는 존 커넥터(1910)에서 전송한 Room 1에 대한 캡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S2260).
도 23은 도 19와 동일 시스템으로서, 기기 상태를 일괄 재현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24는 도 23의 시스템을 이용한 기기 상태의 일괄 재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4를 도 23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2290)을 구성하는 도 23의 존 커넥터(2310)는 Room 2에 이동단말장치(2330)가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S2400).
그리고, 가령 이동단말장치(2330)의 화면 상에 검색(retrieval) 서비스가 알려지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동단말장치(2330)는 검색 서비스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존 커넥터(23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명령과 구분하기 위하여 외부 버튼을 연속적으로 두 번 누르거나 음성 기능을 활성화한 후, '검색'이라 발화할 수 있으며, 화면에서 해당 기능에 맵핑된 아이콘을 탭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존 커넥터(2310)가 이동단말장치(2330)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상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가령 게이트웨이(2320)는 Room 1과 Room 2와 관련해 저장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동일한 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420).
판단 결과, 동일한 기기가 있다면 S2430 단계 및 S2440 단계와 같이,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정보는 존 커넥터(2310)를 통해 사용자 장치(2300)로 전송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동일한 기기가 없다면, S2450 단계 및 S2460 단계와 같이, 동일 속성의 기기나 대체 기기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혹은 기저장된) 상태 정보를 존 커넥터(2310)를 통해 사용자 장치(23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230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S2470).
도 25 내지 도 27은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 저장 및 사용자 장치의 상태 재현을 위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4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단말장치(1930, 2330)를 통해 도 25에서와 같이 버튼을 한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태 정보의 저장을 명령할 수 있고, 버튼을 연속해서 두 번 누르는 동작(double press)에 의해 상태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6에서와 같이, 특정 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특정 기능에 맵핑된 아이콘을 길게 누르는 경우, 일명 롱 탭을 통해 특정 기기의 상태 정보를 캡쳐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롱 탭을 통해 사용자 장치들의 리스트가 화면에 나타나면 특정 기기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태 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도 26에서의 롱 탭을 통해 기기들 즉 사용자 장치들을 선택하겠다는 트리거(trigger) 즉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각 사용자 장치들의 가령 IR 수신부를 향해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1930, 2330)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동작(single press)을 통해 해당 기기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는 도 27에서와 같이 시간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 장치나 컨텐츠의 상태 변화를 캡쳐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령 특정 시점에서의 사용자 장치 등에 대한 상태만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변화에 따른 사용자 장치들의 상태나 컨텐츠의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기기 상태 설정을 위한 롱 탭을 수행하고, 이와 똑같은 방식에 의해 종료하기 전까지 발생되는 사용자 장치의 순차적인 변화 상태를 저장하고, 이를 가령 Mode A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발생되는 사용자 장치의 상태 변화를 Mode A로 저장하였다면, 가령 도 23의 게이트웨이(232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Mode A를 실행시켜 동일한 동작을 재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UI 화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간 변화에 따라 동작하는 사용자 장치들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28은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9는 도 28의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함께 참조하면, 도 28의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2790)을 구성하는 게이트웨이(2820)는 이동단말장치 2(2830-2)가 Room 1에 진입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이동하여 올 때, 지정된 대표 사용자가 아니라 판단되면, 사용자 장치(280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2900 ~ S2905).
반면, 대표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으로 진입하거나 이동해 오면, 이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911, S2913). 예를 들어, 이동단말장치(2830-1)의 장치 정보를 근거로 캡쳐된 상태 정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캡쳐된 상태 정보가 없다면 게이트웨이(2820)는 S2915 단계에서 S2919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캡쳐된 상태 정보가 있다면, 다시 말해 다른 공간으로부터의 이동으로 판단된다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Room 2에서의 상태를 재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S2921 ~ S2925). 이와 관련해서도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제어 시스템(2990)은 집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3000-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용자 장치(300-2)가 자동차 공간에 존재할 때, 이를 재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30을 도 18과 비교해 보면, 도 18의 사무 공간이 도 30의 자동차로 변경되었다는 데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집 공간에 에어컨이나 오디오 기기 등이 구비되는 경우, 이의 상태는 자동차 공간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에어컨이 있다면 온도나 바람 세기 등을 재현시킬 수 있고, 오디오 기기 등의 음악이나 볼륨 등을 재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 사용자가 집 공간에서 자동차 공간으로 이동하였을 때, 위치 정보가 통신망(3010)을 통해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30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이동단말장치는 자동차의 장치 정보를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3020)로 전송하고, 정당 운전자라 판단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해서는 자동차만을 예시하였지만, 다양한 공간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노트북과 같은 특정 기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도 얼마든지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18의 통신망(1820)도 마찬가지지만, 통신망(3010)에 대하여만 간략하게 살펴보면, 통신망(30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30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30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30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장치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장치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사용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이외에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3020) 등과 관련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도 18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1, 100-2, 1700-1, 1700-2, 1800-1, 1800-2: 사용자 장치
110-1, 110-2: 존 커넥터 120, 1720, 1830: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500: 공간 상태 재현부 510, 1030: 저장부
1000: 통신 인터페이스부 1010: 제어부
1020: 공간 상태 생성부 1710: 게이트웨이
1810-1: 홈 서버 1810-2: 회사 서버
1820: 통신망

Claims (20)

  1. 제1 공간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부재 전의 상기 제1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상기 저장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1 공간의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존 커넥터(Zone Connector)를 근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2 공간의 공간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이동하여 진입하면,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재현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상기 제1 공간의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재현되도록 상기 저장한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한 제2 공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2 공간과 동일 속성의 사용자 장치가 없으면, 유사 속성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 및 제어하여 상기 제2 공간의 상태와 유사하게 재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의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공간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하는 상기 제1 공간 또는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를 근거로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9. 제1 공간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부재 전의 상기 제1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상기 저장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1 공간의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존 커넥터(Zone Connector)를 근거로 상기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제2 공간의 공간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재현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상기 제1 공간의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재현되도록 상기 저장한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한 제2 공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2 공간과 동일 속성의 사용자 장치가 없으면, 유사 속성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 및 제어하여 상기 제2 공간의 상태와 유사하게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의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공간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하는 상기 제1 공간 또는 상기 제2 공간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부재 및 상기 진입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17. 사용자 기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 제어 방법은,
    제1 공간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부재 전의 상기 제1 공간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상기 저장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시키는 단계는,
    제2 공간의 공간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저장시키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재현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공간의 상태가 상기 제1 공간의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재현되도록 상기 저장한 제1 공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한 제2 공간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공간의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2 공간과 동일 속성의 사용자 장치가 없으면, 유사 속성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 및 제어하여 상기 제2 공간의 상태와 유사하게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50001909A 2015-01-07 2015-01-07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60085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09A KR20160085045A (ko) 2015-01-07 2015-01-07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4/990,343 US20160198296A1 (en) 2015-01-07 2016-01-07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09A KR20160085045A (ko) 2015-01-07 2015-01-07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45A true KR20160085045A (ko) 2016-07-15

Family

ID=5628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09A KR20160085045A (ko) 2015-01-07 2015-01-07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98296A1 (ko)
KR (1) KR201600850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621B1 (en) 2016-09-13 2020-05-12 Iocurrents, Inc. Interfacing with a vehicular controller area network
US10469590B2 (en) 2018-01-02 2019-11-05 Scanaly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rt building control using directional occupancy sensors
US10317505B1 (en) * 2018-03-29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osite sound output for network connected devices
US11300128B2 (en) * 2018-05-11 2022-04-12 Hubbell Incorporated Bladeless ceiling fan
CN109945579B (zh) * 2019-03-29 2021-01-26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冰箱主机确定方法、装置及模块化冰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8211B1 (en) * 2001-04-13 2011-03-15 AT&T Intellecutual Property II, L.P. Environment customization based on location
GB0213479D0 (en) * 2002-06-12 2002-07-24 Nokia Corp Downloadable profiles for mobile terminals
US8977207B2 (en) * 2011-09-15 2015-03-10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utomatic maintenance of a geoposition system
CN103688517B (zh) * 2012-07-10 2017-05-24 西门子企业通讯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提供生存性网关服务的方法、设备以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98296A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4291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US10459606B2 (en) User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ntrol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ntrol system of controlled device
US11979639B2 (en) First-screen navigation with channel surfing, backdrop reviewing and content peeking
KR20160085045A (ko)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 사용자 기기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08911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nts back-up in home network system
US9824578B2 (e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KR102570423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사용자-정의 장면
CN105607499B (zh) 设备分组方法及装置
US9386230B1 (en) Day and night detection based on one or more of illuminant detection, lux level detection, and tiling
US84770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universal device controller us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
US9867260B2 (en) Lighting controller
CN107991897B (zh) 控制方法及装置
US20150160935A1 (en) Managing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US20110248877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remote user selection of a device
CN105162665B (zh) 服务器接入方法及装置
CN104796663A (zh) 设置摄像机配置的方法和获取图像的设备
KR102597031B1 (ko) 전자장치, 서버 및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517219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006869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0636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wireless signals sufficient for installation of wireless home automation devices
KR101748387B1 (ko) 포지셔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188043B1 (ko)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N112820094A (zh) 一种控制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20140129547A (ko)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842518B2 (en) Camera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amera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