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547A -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547A
KR20140129547A KR20130047963A KR20130047963A KR20140129547A KR 20140129547 A KR20140129547 A KR 20140129547A KR 20130047963 A KR20130047963 A KR 20130047963A KR 20130047963 A KR20130047963 A KR 20130047963A KR 20140129547 A KR20140129547 A KR 20140129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xt
service
sma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4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9547A/ko
Publication of KR201401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selection based settop-box using user contex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고 디지털 TV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사용자가 선택 할 수 있는 채널의 수와 프로그램의 수는 기존의 TV환경과 비교하여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로 사용자들은 보다 더 다양하고 풍부해진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단순한 TV 시청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 TV 서비스 개인화 기술은 단순한 과거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 테이블에 30분 후의 일정이 존재한다면 해당 일정에 따른 알림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이 아닌 평균적인 사용자 시청 패턴에 따른 채널 추천을 진행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서비스의 선택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정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일정에 대한 보조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서비스의 선택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정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일정에 대한 보조 역할의 수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 스마트 TV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 스마트 TV 셋톱박스 중심의 다중 디바이스 네트워크 구성 기술
스마트 TV 셋톱박스는 항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비해 컴퓨팅 자원이 풍부하여, 안정적인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특징을 가진다. 이런 특징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혹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셋톱박스를 중심으로 연결을 설정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구성된 네트워크 상의 각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TV를 벗어나 연결된 디바이스를 활용한 다양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 사용자 상황 인지 기술
스마트 TV에 연결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서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사용자 위치 및 이동 상황 등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수집되는 정보와 통합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분석 및 인식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상황은 사용자가 처한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및 학습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정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집 안의 온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물인터넷을 통한 현재 사용자의 행위 등이 물리적인 환경 정보에 속하며, 사용자의 일정 및 선호 채널 정보, 과거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생활 패턴 등이 소프트웨어적인 정보이다. 이런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및 미래 행위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 사용자 상황 기반 자율적 서비스 선택 기술
분석된 사용자 상황을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은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용한 서비스 목록을 도출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서비스의 확률적 추천을 수행한다. 본 기술의 서비스 선택에 대한 정확도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한 자율 학습 절차에 따라 점진적으로 향상되며, 비슷한 유형의 다른 사용자의 패턴을 적용하여 보다 최적화된 선택 결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 스마트 TV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스마트 TV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셋탑박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서비스 선택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에서, 서비스 선택 장치는 스마트 TV의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집안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내 위치와 이동 방향 및 속도와 같은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는 당해 서비스 선택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는 스마트 TV내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셋탑 박스내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셋탑 박스의 내부 메모리 중 컨텍스트 저장소에 별도로 저장/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선택 장치는 이와 같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클러스터링하여 사용자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서비스 선택 장치는 수집된 컨텍스트의 정보에 따라 서비스의 자율 선택이 요구될 때, 사용자 선호도 저장소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는 서비스 선택에 대한 기준으로 적용된다.
단계 ③에서, 서비스 선택 장치는 단계 1과 단계2에서 수집된 사용자 컨텍스트와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자율 선택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서비스 자율 선택 알고리즘은 사용자 컨텍스트와 선호도에 대한 각각의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가중치는 서비스 자율 선택 절차의 수행 결과에 따라 업데이트 된다.
서비스가 선택되면, 단계 ④에서, 서비스 선택 장치는 선택된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추천정보를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⑤에서 서비스 선택 장치는 상기 단계 ④의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 결과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선호도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KR20130047963A 2013-04-30 2013-04-30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29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963A KR20140129547A (ko) 2013-04-30 2013-04-30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963A KR20140129547A (ko) 2013-04-30 2013-04-30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47A true KR20140129547A (ko) 2014-11-07

Family

ID=5245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7963A KR20140129547A (ko) 2013-04-30 2013-04-30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95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0320B2 (en) 2016-08-31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CN115134665A (zh) * 2021-03-22 2022-09-3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机顶盒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0320B2 (en) 2016-08-31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CN115134665A (zh) * 2021-03-22 2022-09-3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机顶盒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5134665B (zh) * 2021-03-22 2024-03-0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机顶盒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9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collection and analysis
KR101834675B1 (ko) 정보를 푸시하는 방법, 장치, 설비 및 시스템
US201400861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screen sharing service
US10212194B2 (en) Server controlled throttling of client to server requests
EP3356942B1 (en) Automatically selecting and distributing recordings of applications executing on computer devices over networked environments
CN105898410A (zh) 视频推荐方法以及服务器
CN110278515B (zh) 带有云均衡器的智能扬声器
US9668029B2 (en) Identifying and selecting available audio programs for live broadcasted content
KR101202029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24803B2 (en) Identifying viewing characteristics of an audience of a content channel
CN114189885B (zh) 网元信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50111552A (ko)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70264923A1 (en) Dynamic manifest for content programming
US10484395B2 (en)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WO2015073754A1 (en) Applying crowdsourced sequenced instructions to automatically interact with captive portals of wi-fi networks
KR20140129547A (ko)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셋탑박스 기반 서비스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9023B1 (ko) 진동 네트워크의 대역폭 추정 시스템 및 방법
US108737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CN109600647A (zh) 一种电视遥控方法、移动终端、电视和系统
CN103685491A (zh) 一种应用服务提供方法、系统及相关设备
CN103491454A (zh) 一种音视频资源的共享方法、系统及装置
CN107547437A (zh) 应用识别方法及装置
US20150302059A1 (en)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CN111479123B (zh) 一种媒体流资源的获取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2166211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의 메신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