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027A - 전등 스위치 구동기 - Google Patents

전등 스위치 구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027A
KR20160085027A KR1020150001863A KR20150001863A KR20160085027A KR 20160085027 A KR20160085027 A KR 20160085027A KR 1020150001863 A KR1020150001863 A KR 1020150001863A KR 20150001863 A KR20150001863 A KR 20150001863A KR 20160085027 A KR20160085027 A KR 20160085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imer
contact portion
contact
ligh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구
Original Assignee
남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구 filed Critical 남현구
Priority to KR102015000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027A/ko
Publication of KR2016008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22Bases; Housing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1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 H01H43/101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1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 H01H43/103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stopping automatically after one preselected time interval
    • H01H43/104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stopping automatically after one preselected time interval by mechanical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는, 전등 스위치와 일정간격을 둔 상태로 벽면에 구비되는 본체,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된 고정부, 시간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타이머, 상기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등 스위치를 온오프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등 스위치 구동기{ACTUATOR FOR LIGHTING SWITCH}
본 발명은 벽면 매립형 전등 스위치 주변에 장착되어 이를 구동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전등 스위치는 전등을 on, off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벽에 넣는 매입 스위치, 벽면 등에 부착하는 노출 스위치, 풀 스위치 등이 있으며, 주택, 사무실 등의 일반건물에서는 매립형 스위치가 일반적이다. 전등을 켤 때에는 전등 스위치의 on상태 쪽으로, 전등을 끌 때에는 전등 스위치의 off 상태 쪽으로 눌러서 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기본이나, 불을 켜고 끌 때마다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등 스위치에 고정부착된 타이머나 전자 회로식 원격 스위치가 있으나, 설치가 간편하지 않고 이후 제거도 어려운 바 작은 방들이나 기숙사, 원룸과 같은 곳에는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자 회로식 원격 스위치 같은 경우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설치가 어려운 곳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구동되는바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다른 조작 없이도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전등 스위치와 일정간격을 둔 상태로 벽면에 구비되는 본체,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된 고정부, 시간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타이머, 상기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등 스위치를 온오프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시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며, 일단이 상기 본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이 전등 스위치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일단이 전등 스위치와 비접촉하는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스위치 접촉부, 일측이 상기 타이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 접촉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타이머의 움직임에 의한 힘을 상기 스위치 접촉부에 전달하여 상기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걸림 돌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가 상기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 고정시키는 걸림위치와 상기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서 해제시키는 비걸림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림부재, 일단은 상기 스위치 접촉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가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제 1탄성부, 상기 타이머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비걸림 위치로 구동시키는 걸림해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해제장치는 상기 타이머에 결합되어 상기 타이머가 시간 설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를 구동시키지 않고 시간 설정의 반대방향으로 돌아갈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는 LATCH, 상기 LATCH의 힘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재에서 돌출된 LATCH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이머의 캡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홈, 상기 홈을 따라 상기 스위치 접촉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접촉부의 타단 끝에 형성된 홈 걸림부, 상기 홈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홈을 따라 돌아가는 상기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돌출부, 일단은 상기 스위치 접촉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가 비접촉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압축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스위치 접촉부를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압축되어지는 제 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도 제공한다.
위의 전등 스위치 구동기에 대해서 전등 스위치에 접촉하는 상기 스위치 접촉부의 일단의 높이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나사를 더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타이머는 회전에 의해 시간 설정이 가능한 태엽식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 시간 후에 전등 스위치가 off 상태로 구동됨으로써, 취침 전에 독서와 같은 일정한 활동 이후 취침 시 스위치를 꺼야하는 불편함이 없이 일정한 시간 후 스위치가 자동으로 꺼지기 때문에 전등 끄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불편함없이 잠들 수 있다.
상기 구동부가 시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전자 회로식보다 더 간단하며, 취침 시 리모콘으로 스위치를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생기지 않는다.
스위치 접촉부가 접촉 위치와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설정 시간 이전에는 비접촉 위치에 위치하여 스위치를 구동하지 않고, 설정 시간이 되면 접촉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다.
걸림부재가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함으로써, 설정 시간 이전에는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 고정시키고, 설정 시간이 되면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서 이탈하게 한다.
이 때, 제 1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비접촉 위치를 이탈한 스위치 접촉부가 탄성부의 복원력으로 인해 접촉 위치로 이동을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걸림해제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걸림부재를 걸림위치에서 비걸림 위치로 구동시킬 수 있다.
타이머에 결합된 LATCH에 의해,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시간 설정 방향으로 돌릴 때에는 걸림부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시간이 가면서 시간 설정의 반대 방향으로 돌아올 때에는 걸림부재를 회전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걸림부재에서 돌출된 LATCH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LATCH의 힘을 받아들여 걸림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타이머의 캡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홈과 홈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홈 걸림부에 의해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위치 접촉부가 설정 시간 이전에는 비접촉 위치를 유지하며 홈을 따라 이동하고, 설정 시간이 되면 돌출부가 스위치 접촉부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스위치 접촉부를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제 2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설정 시간 이전에는 탄성부가 압축되지 않으므로 스위치 접촉부가 비접촉 위치에서 유지되게 하며, 설정 시간이 되어 돌출부가 스위치 접촉부 아래에 위치하면 탄성부가 압축되어지면서 스위치 접촉부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돌출부가 지나가면 탄성부의 복원력으로 인해 스위치 접촉부가 다시 비접촉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스위치의 구동 후 손으로 다시 전등 스위치 구동기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불을 켤 수 있다.
스위치 접촉부의 접촉 일단에 높이조절나사를 구비함으로써, 전등 스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접촉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나사를 돌려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회전에 의해 시간 설정이 가능한 태엽식 타이머를 사용함으로써,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시간 설정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사용함으로써, 사용 후 제거가 쉽고, 설치가 힘든 원룸이나 기숙사 등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본체 커버를 개방하지 않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전등 스위치가 구동되기 전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Ⅲ부분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전등 스위치가 구동된 후의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Ⅴ부분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등 스위치 구동기가 전등 스위치를 구동시키기 전의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Ⅶ부분의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등 스위치 구동기가 전등 스위치를 구동시킨 후의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Ⅸ부분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본체 커버를 개방하지 않은 사시도, 도2는 도1의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전등 스위치가 구동되기 전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 도3은 도2의 Ⅲ부분의 측면도, 도4는 도1의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전등 스위치가 구동된 후의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 도5는 도4의 Ⅴ부분의 측면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는 전등 스위치(10)와 일정간격을 둔 상태로 벽면에 구비되는 본체(100),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고정부(200), 시간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한 타이머(300), 상기 타이머(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등 스위치(10)를 온오프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또는 원형 모양의 하우징으로, 본체(100)의 외부에는 고정부(200)가 위치하고, 전등 스위치 구동부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본체(100)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벽면에 구비된 전등 스위치와 일정간격을 두고 벽면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등 스위치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상기 본체(10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겠으나, 상기 고정부(2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예로는 빨판이나 접착 테이프가 될 수 있다.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사용함으로써, 사용 후 제거가 쉽고, 설치가 힘든 원룸이나 기숙사 등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타이머(300)는 전등 스위치가 off 상태로 구동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이머(300)는 회전에 의해 시간 설정이 가능한 태엽식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예로 상기 타이머(300)에는 선풍기에 사용되는 타이머가 이용될 수 있다. 회전에 의해 시간 설정이 가능한 태엽식 타이머를 사용함으로써,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시간 설정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200)에 의해 전등 스위치와 일정 간격을 둔 상태로 벽면에 구비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구동부에 의해 타이머(300)에 설정된 일정 시간 후에 전등 스위치가 off 상태로 구동됨으로써, 취침 전에 독서와 같은 일정한 활동 이후 취침 시 스위치를 꺼야하는 불편함이 없이 일정한 시간 후 스위치가 자동으로 꺼지기 때문에 전등 끄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불편함없이 잠들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시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타이머(300)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와 비접촉하는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스위치 접촉부(400), 일측이 상기 타이머(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타이머(300)의 움직임에 의한 힘을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전달하여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가 시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타이머(300)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전자 회로식보다 더 간단하며, 취침 시 리모콘으로 스위치를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생기지 않는다.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긴 막대의 형상을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는 일반적으로 힌지 등을 이용하여 본체(100)에 고정되며, 일단이 본체(100) 밖으로 돌출되어 전등 스위치(10)까지 닿을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와 비접촉하는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다.
스위치 접촉부(400)가 접촉 위치와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설정 시간 이전에는 비접촉 위치에 위치하여 스위치를 구동하지 않고, 설정 시간이 되면 접촉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는 전등 스위치(10)에 접촉하는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일단의 높이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나사(40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 접촉부(400)의 접촉 일단에 높이조절나사(401)를 구비함으로써, 전등 스위치(10)에 따라 적절하게 접촉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편리하게 나사를 돌려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는, 걸림 돌출부(41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411)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 고정시키는 걸림위치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서 해제시키는 비걸림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10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림부재(410), 일단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가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제 1탄성부(420), 상기 타이머(300)와 상기 걸림부재(4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부재(410)를 상기 비걸림 위치로 구동시키는 걸림해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410)는 본체(10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있으며, 걸림부재(410)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 돌출부(411)를 가지고 있다. 걸림부재(410)는 걸림 위치에서 걸림 돌출부(411)에 의해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서 고정시키며, 걸림해제장치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걸림부재(410)가 회전에 의해 비걸림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가 움직이다가 걸림 돌출부(411)를 벗어나면서 비접촉 위치에서 이탈이 가능하다.
걸림부재가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함으로써, 설정 시간 이전에는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 고정시키고, 설정 시간이 되면 스위치 접촉부를 비접촉 위치에서 이탈하게 한다.
제 1탄성부(420)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하부와 본체(100) 사이에 위치해있다.
제 1탄성부(420)를 구비함으로써 비접촉 위치를 이탈한 스위치 접촉부(400)가 제 1탄성부(420)의 복원력으로 인해 접촉 위치로 이동을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해제장치는 상기 타이머(300)에 결합되어 상기 타이머(300)가 시간 설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41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시간 설정의 반대방향으로 돌아갈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4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LATCH(430), 상기 LATCH(430)의 힘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재(410)에서 돌출된 LATCH 접촉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해제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걸림부재를 걸림위치에서 비걸림 위치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LATCH(430)는 타이머(300)에 연결되어, 타이머가 움직일 때 타이머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부재이다. LATCH(430)는 일방향(시간 설정방향,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타이머가 회동할 때는 자유롭게 타이머에 대해서 회동을 함에 반해, 반대방향으로 타이머가 회동할 때에는 LATCH(430)에 돌출된 스톱퍼에 의해 LATCH(430)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으며, LATCH 접촉부(440)에 걸리게 된다. 즉, LATCH(430)는 타이머가 시간 설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LATCH와 타이머가 이루는 각도는 작아지며, 타이머가 시간 설정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LATCH와 타이머가 이루는 각도는 커진다. 따라서, 타이머(300)에 결합된 LATCH(430)에 의해,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타이머(300)를 시간 설정 방향으로 돌릴 때에는 걸림부재(410)를 회전시키지 않고, 시간이 가면서 시간 설정의 반대 방향으로 돌아올 때에는 걸림부재(410)를 회전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LATCH 접촉부(440)는 걸림부재(410)에서 타이머(3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LATCH에 의해 힘을 받아 걸림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힘으로 전환하여준다. 따라서, 걸림부재(410)에서 돌출된 LATCH 접촉부(440)를 구비함으로써, LATCH(430)의 힘을 받아들여 걸림부재(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타이머(300)를 시간 설정 방향으로 돌려서 off 상태로 구동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 접촉부(400)는 걸림부재(410)에 의해 비접촉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타이머(300)가 시간 설정 방향으로 돌아갈 때에는 LATCH(430)와 타이머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져서 LATCH가 타이머 쪽으로 기울기 때문에, LATCH 접촉부(440)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 접촉부(400)는 그대로 비접촉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시간 설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이머(300)가 시간 설정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 LATCH(430)와 타이머(300)가 이루는 각도가 점점 커지면서 LATCH는 세워진다. 설정 시간이 되면, LATCH(430)가 LATCH 접촉부(440)에 접촉하여 일정 방향으로 힘을 주고, 이에 따라 걸림부재(410)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걸림부재(410)가 회전하면 스위치 접촉부(400)도 같은 방향으로 같이 움직이다가 걸림 돌출부(411)를 벗어나면서 비접촉 위치에서 이탈된다. 이 때, 비접촉 위치에서 압축되어있던 제 1탄성부(420)가 복원되면서 스위치 접촉부의 상부 방향으로 복원력을 주게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 접촉부(400)가 접촉 위치로 힘을 받아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스위치 접촉부의 접촉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에 힘을 주어 off 상태로 구동된다. 다시 불을 켤 때에는 스위치 접촉부(400)를 손으로 조작해서 다시 걸림부재(410)에 걸리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등 스위치 구동기가 전등 스위치를 구동시키기 전의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 도7은 도6의 Ⅶ부분의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등 스위치 구동기가 전등 스위치를 구동시킨 후의 본체 커버를 개방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9는 도8의 Ⅸ부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는 제 1실시예에 의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와 연결부가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기재하며 나머지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타이머(300)의 캡(3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홈(1410), 상기 홈(1410)을 따라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타단 끝에 형성된 홈 걸림부(1420), 상기 홈(1410)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홈(1410)을 따라 돌아가는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돌출부(1430), 일단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가 비접촉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압축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1430)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압축되어지는 제 2탄성부(1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를 포함한다.
홈(1410)과 홈 걸림부(1420)의 하나의 예로는, 홈은 타이머(300)의 캡(310)에 형성되며 홈의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더 넓을 수 있으며, 홈 걸림부는 상부보다 하부의 지름이 더 큰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이머(300)의 캡(3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홈(1410)과 홈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430)를 구비함으로써, 홈 걸림부(1420)에 의해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위치 접촉부(400)가 설정 시간 이전에는 비접촉 위치를 유지하며 홈을 따라 이동하고, 설정 시간이 되면 돌출부(1430)가 스위치 접촉부(400)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스위치 접촉부(400)를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 2탄성부(1440)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상부와 본체(100) 사이에 위치해있다.
이 때, 제 2탄성부(1440)를 구비함으로써, 설정 시간 이전에는 탄성부(1440)가 압축되지 않으므로 스위치 접촉부(400)가 비접촉 위치에서 유지되게 하며, 설정 시간이 되어 돌출부(1430)가 스위치 접촉부(400) 아래에 위치하면 탄성부(1440)가 압축되어지면서 스위치 접촉부(400)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돌출부(1430)가 지나가면 탄성부(1440)의 복원력으로 인해 스위치 접촉부(400)가 다시 비접촉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스위치의 구동 후 손으로 다시 전등 스위치 구동기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불을 켤 수 있다.
도시된 바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전등 스위치 구동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타이머(300)를 시간 설정 방향으로 돌려서 off 상태로 구동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이머(300)가 시간 설정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스위치 접촉부(400)는 홈 걸림부(1420)에 의해 홈(1410)을 따라 이동한다. 설정 시간이 되면, 돌출부(1430)가 스위치 접촉부(400)의 타단 아래에 위치하여 스위치 접촉부의 상부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스위치 접촉부를 접촉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스위치 접촉부의 접촉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에 힘을 주어 off 상태로 구동되며, 제 2탄성부(1440)는 압축되어진다. 돌출부(1430)가 지나가면서 제 2탄성부(1440)는 다시 복원되고, 복원력에 의해 스위치 접촉부(400)는 다시 비접촉 위치로 빠르게 돌아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 전등 스위치 100 : 본체
200 : 고정부 300 : 타이머
310 : 타이머 캡 400 : 스위치 접촉부
401 : 높이조절나사 410 : 걸림부재
411 : 걸림 돌출부 420 : 제 1탄성부
430 : 래치(LATCH) 440 : 래치(LATCH) 접촉부
1410 : 홈 1420 : 홈 걸림부
1430 : 돌출부 1440 : 제 2탄성부

Claims (8)

  1. 전등 스위치(10)와 일정간격을 둔 상태로 벽면에 구비되는 본체(100);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고정부(200);
    시간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한 타이머(300);
    상기 타이머(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등 스위치(10)를 온오프할 수 있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2. 제1항에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시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타이머(300)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일단이 전등 스위치(10)와 비접촉하는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스위치 접촉부(400);
    일측이 상기 타이머(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타이머(300)의 움직임에 의한 힘을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전달하여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3. 제2항에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걸림 돌출부(41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411)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 고정시키는 걸림위치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서 해제시키는 비걸림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10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림부재(410);
    일단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가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제 1탄성부(420);
    상기 타이머(300)와 상기 걸림부재(4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부재(410)를 상기 비걸림 위치로 구동시키는 걸림해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4. 제3항에있어서,
    상기 걸림해제장치는 상기 타이머(300)에 결합되어, 상기 타이머(300)가 시간 설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41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시간 설정의 반대방향으로 돌아갈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4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LATCH(430);
    상기 LATCH(430)의 힘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재(410)에서 돌출된 LATCH 접촉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5. 제2항에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이머(300)의 캡(3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홈(1410);
    상기 홈(1410)을 따라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타단 끝에 형성된 홈 걸림부(1420);
    상기 홈(1410)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홈(1410)을 따라 돌아가는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비접촉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돌출부(1430);
    일단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가 비접촉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압축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1430)가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를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압축되어지는 제 2탄성부(1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등 스위치에 접촉하는 상기 스위치 접촉부(400)의 일단의 높이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나사(40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7. 제6항에있어서,
    상기 타이머(300)는 회전에 의해 시간 설정이 가능한 태엽식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8. 제6항에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스위치 구동기.
KR1020150001863A 2015-01-07 2015-01-07 전등 스위치 구동기 KR20160085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863A KR20160085027A (ko) 2015-01-07 2015-01-07 전등 스위치 구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863A KR20160085027A (ko) 2015-01-07 2015-01-07 전등 스위치 구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27A true KR20160085027A (ko) 2016-07-15

Family

ID=5650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863A KR20160085027A (ko) 2015-01-07 2015-01-07 전등 스위치 구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0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72U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캣츠인터내셔널 버튼 자동누름장치
KR20220032325A (ko) 2020-09-07 2022-03-15 이세훈 전기스위치의 온오프 자동 전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72U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캣츠인터내셔널 버튼 자동누름장치
KR20220032325A (ko) 2020-09-07 2022-03-15 이세훈 전기스위치의 온오프 자동 전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2299T3 (es) Dispositivo para la operación de un conmutador controlable en remoto
JP2016006779A (ja) 機械的に遮断できる手動スイッチ
KR20160085027A (ko) 전등 스위치 구동기
US20180081261A1 (en) Projector
JP2007315435A (ja) 高さ調整装置及び投射型画像表示装置
US10830423B2 (en) Angle adjustment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2007242566A (ja) 壁面スイッチリモコン装置
US20090284975A1 (en) Lighting Device With Magnetic Attraction System for Orienting the Light Beam
JP2009043664A (ja) スイッチアダプタ及びこのスイッチアダプタ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566635B1 (ko) 밸브 구동기
US7887343B2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devices
WO2019007238A1 (zh) 用于风叶的轴套组件、风道组件和空调器
ITMI20072264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interna per mobili"
KR100758340B1 (ko)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KR20170088593A (ko) 승강기용 버튼구조체
WO2021208891A1 (zh) 固定装置
KR20160035792A (ko) 푸쉬 스위치장치
JP4492141B2 (ja) リモコン装置
TWI512226B (zh) 電子裝置的鎖定機構
JP3705824B2 (ja) 配線器具
CN210958912U (zh) 一种凸轮式远程开关灯控制装置
JP6453813B2 (ja) 平面スイッチ
WO2021241106A1 (ja) 配線器具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装置
KR20120013768A (ko) 화상 투사 장치
KR20190000511U (ko) 가정용 가스밸브자동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