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769A -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769A
KR20160084769A KR1020150001442A KR20150001442A KR20160084769A KR 20160084769 A KR20160084769 A KR 20160084769A KR 1020150001442 A KR1020150001442 A KR 1020150001442A KR 20150001442 A KR20150001442 A KR 20150001442A KR 20160084769 A KR20160084769 A KR 20160084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remote control
independent
independent spa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620B1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00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owing or scu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63B2071/0683Input by handheld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30Maintenance
    • A63B2225/305Remote servi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독립 공간에 설치되되 무선 통신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작동신호로 작동되는 운동기구; 상기 운동기구에 이웃하게 상기 독립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운동기구로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독립 공간에 이웃하게 별도의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와 동일한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운동기구에 작동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작동되는 상기 운동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REMOTE CONTROL AVAILABLE EXERCISE SYSTEM}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방법을 안내하는 트레이너가 운동기구를 원격으로 조작이 가능하므로, 회원이 직접이 운동기구를 조작하지 않고 운동에만 전념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동기구의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인들의 사회적 활동 영역이 주로 협소한 공간에서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신들의 건강 도모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정 또는 가까운 헬스장 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헬스장에는 여러 종류의 운동기구가 있는바, 대표적으로 런닝머신은 앞으로 전진하는 워킹벨트 위에서 운동자가 걷거나 혹은 가볍게 달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운동할 수 있어 다른 여러 종류의 헬스기구보다 운동의 효과가 매우 큰 관계로 그 이용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같은 추세에 부응하여 각종 고기능이 추가된 제품이 선보이고 있는바, 예컨데 접는식으로 운반과 보관이 편리한 런닝머신,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런닝머신, 속도, 거리, 시간에 따른 칼로리 표시가 되는 런닝머신 등이 그 일 예이다.
그런데, 통상 양질의 운동량을 얻기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상태 등을 먼저 인식하는 것이 기본이나 기존 런닝머신에는 단순히 운동하는 사람의 기분이나 그날의 컨디션의 상태에 따라 스스로 운동량을 조절하므로 효과적인 운동량을 얻지못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현 건강상태를 스스로 체크할 수 없어 급작스러운 호흡곤란, 현기증, 무릎 관절 등의 건강에 무리를 주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9177호(발명의 명칭 : 런닝머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공개일자: 2005년 03월 03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782912호(발명의 명칭 : 원격 제어가 가능한 트레드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등록일자: 2007년 11월 30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운동방법을 안내하는 트레이너가 운동기구를 원격으로 조작이 가능하므로, 회원이 직접이 운동기구를 조작하지 않고 운동에만 전념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동기구의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은, 독립 공간에 설치되되 무선 통신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작동신호로 작동되는 운동기구; 상기 운동기구에 이웃하게 상기 독립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운동기구로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독립 공간에 이웃하게 별도의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와 동일한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운동기구에 작동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작동되는 상기 운동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독립 공간의 상기 운동기구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독립 공간의 상기 회원 수용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회원의 수용여부를 상기 원격제어부로 송신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독립 공간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운동기구를 동기화시켜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운동기구를 동기화해제시켜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운동기구가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을 동기화시켜 상기 운동기구의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운동기구가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을 동기화해제시켜 상기 운동기구의 프로그램을 다르게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러닝머신, 로잉머신, 싸이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 또는 상기 원격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독립 공간의 일면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독립 공간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 하 또는 좌, 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운동방법을 안내하는 전문 트레이너가 운동기구를 원격으로 조작이 가능하므로, 회원이 직접이 운동기구를 조작하지 않고 운동에만 전념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동기구의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한 명의 트레이너가 제시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원격 제어로 복수의 회원을 일괄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너가 운동기구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회원마다 체형에 맞게 관리를 시키는 퍼스널트레이닝(PT)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회원은 퍼스널트레이닝(PT)을 직접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운동기구, 카메라, 재생부 및 감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운동기구, 카메라, 재생부 및 감지부가 설치된 독립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운동기구, 카메라, 재생부 및 감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운동기구, 카메라, 재생부 및 감지부가 설치된 독립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110), 카메라(120), 재생부(130), 원격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운동기구(110)는 독립 공간(200)에 설치되되, 무선 통신채널이 형성되고, 무선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작동신호로 작동된다.
독립 공간(200)은 독립된 공간으로 러닝(running) 및 워킹(walking)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하려는 사람에게 장소를 제공한다. 독립 공간(200)은 셀(Cell)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방음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독립된 공간(200)내에서 사용자 즉, 운동하는 사람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에 있는 사람이나 이웃하게 형성되는 다른 독립 공간내에서 운동하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독립 공간(200)은 방음처리뿐만 아니라 유리부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리부스의 독립 공간(200)은 한명의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적)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투명하게 이루어져 외부 또는 독립 공간(200)에 이웃하게 형성된 다른 독립 공간내에 있는 사용자가 독립 공간(200)내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사용자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립 공간(200)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부스를 예시하고 있으나, 독립 공간(200)내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위해서 유리부스를 불투명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독립 공간(200)내에서 운동을 하는 사용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 공간(200)내에 설치되는 운동기구(110) 중 하나인 러닝머신(running machine)을 이용하여 운동한다.
운동기구(110)인 러닝머신이 설치된 독립 공간(200)은 복수개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운동기구(110)는 무선 통신채널(wireless communications-channel)을 통해 수신된 작동신호로 작동된다.
무선 통신채널은 전파를 이용해 선에 의한 연결없이 원격지인 운동기구(110)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기술을 말한다.
무선통신(無線通信, wireless communications)이란 전파를 이용해 선에 의한 연결 없이 원격지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기술을 말한다. 이에 포함되는 기술로는 마이크로웨이브 전송기술, 안테나 설계기술, 레이더 기술, 이동통신기술, 위성통신기술, 근거리 무선통신기술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동통신(移動通信, mobile telecommunication)과 위성통신(衛星通信, satellite communication)의 고유한 기술내용은 별도의 주제로 다루는 것이 좋고, 근거리 무선통신도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의 주제 하에 기술할 수 있어서 무선통신의 제하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전송기술, 안테나 설계기술 그리고 레이더 기술 등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한다. 또한 무선기술이라는 개념을 확장하여 생각하면 음파나 적외선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무선통신기술의 범주에 들어가게 되나 여기에서의 무선통신은 전파를 이용하는 경우만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전파는 일반적으로 3000GHz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로 규정한다. 주파수가 3000GHz를 넘어서면 원적외선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전파의 범주를 벗어나게 된다. 전파란 본질적으로 교류전원을 두 개의 마주보는 도체에 연결했을 때, 이 도체들 사이를 흐르는 변위전류를 말한다. 이때 이 도체들을 안테나와 같이 배치하면 전파로서 공중을 진행하여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는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등의 데이터인데, 이들을 신호로 표시하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렇게 원래의 정보신호가 존재하는 낮은 주파수 대역을 기저대역(baseband)이라고 한다. 기저대역의 정보를 무선을 통해 전송하려고 하면 전파의 형태로 전송이 가능한 높은 주파수의 신호에 정보신호가 운반되도록 해야 한다. 이 과정을 변조(modulation)라 하고 운반에 이용되는 높은 주파수의 전파를 반송파(carrier)라고 한다. 변조를 기술적으로 표현하면 반송파의 진폭(amplitude), 주파수(frequency) 또는 위상(phase)을 보내고자 하는 정보신호에 따라서 변하게 하여 전송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선전송 시스템에서의 송신기의 기본 구성요소는 발진기(oscillator), 변조기(modulator), 필터(filter),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그리고 안테나(antenna)이다. 발진기로는 반송파로 사용할 신호를 만들어내고 변조기에서는 정보신호와 발진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를 한다. 그리고 이를 원격지까지 전송할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해 주기 위해 전력증폭을 하여 송출한다. 효과적인 송출을 위해 전파는 안테나를 통해서 공중으로 방출된다.
운동기구(110)는 러닝머신, 로잉머신, 싸이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다. 운동기구(110) 중 하나인 러닝머신(running machine)은 본체, 조작판 및 벨트로 구성되며, 본체와 결합된 조작판의 속도 조절버튼과 시간 조절버튼을 이용하여 벨트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고, 운동시간을 조절한다. 러닝머신은 걷기운동과 뛰기운동에 이용되며, 걷기운동은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심폐기능을 향상시켜 심장질환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체지방을 감소시켜 비만을 개선시키고,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나 우울증, 불안감 해소에 도움을 주며, 뼈를 자극시켜 골밀도 유지 및 증진시키는데 효과를 볼 수 있다. 뛰기운동은 신진대사를 자극시켜 대사율을 높이고 에너지 소모율을 높여 체중을 조절하는데 효과를 볼 수 있고, 근력과 심폐 지구력을 향상시켜 심장기능이 좋아져서 혈액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하고, 몸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준다.
로잉머신(rowing machine)은 노를 젓는 운동을 모방하여 만든 운동기구(110)로 본체, 미끄럼 좌석, 노, 발판, 저항기 및 조작판으로 구성되고, 조작판의 버튼으로 운동의 강도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로잉머신은 팔과 허리를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운동으로 유산소와 근력운동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싸이클(cycle)은 본체, 좌석, 페달 및 조작판으로 구성되며, 조작판의 버튼으로 운동의 강도와 시간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조절할 수 있다. 싸이클은 하체를 주로 사용하는 운동으로 관절에는 큰 부담을 주지않아 관절이나 하체근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운동이며, 하체근력과 근지구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폐활량이 증가되면서 심폐기능 향상의 효과를 높인다.
운동기구(110)는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다. 이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동기구(110)를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카메라(120)는 운동기구(110)에 이웃하게 독립 공간(200)에 형성되고, 운동기구(110)로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카메라(120)는 운동기구(110)에서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독립 공간(200)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장시간 동안의 소요로 인해 카메라(120)의 촬영을 더이상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 새로운 카메라로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카메라(120)는 독립 공간(200)의 일면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즉, 카메라(120)는 촬영의 범위 조절이 가능하여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광범위하게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독립 공간(200)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 하 또는 좌, 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의 조절이 가능하여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광범위하게 촬영할 수 있다.
재생부(130)는 독립 공간(200)에 이웃하게 별도의 공간에 구비되고, 카메라(120)에서 촬영한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기록하고, 재생한다.
재생부(130)는 일반적으로 모니터를 말하는 것으로, TV나 컴퓨터 등에서 영상 정보를 재생할 때 사용되는 장치로, 운동하는 회원이 없는 별도의 공간에서 트레이너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재생된다.
재생부(130)는 재생부(130)에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1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카드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카드는 카메라(120)의 촬영한 영상을 영구저장한다.
원격제어부(140)는 재생부(130)와 동일한 공간에 구비되고, 운동기구(110)에 작동신호를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작동되는 운동기구(110)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원격제어부(140)는 독립 공간(200)에서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가 재생되는 재생부(130)를 통해 트레이너가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확인하여 회원별 신체에 맞게 운동 프로그램을 작동한다.
원격으로 러닝머신을 제어하는 트레이너는 각 회원의 기초대사량, 지방율, 비만도, 체중, 근육량 등의 전체적인 신체균형을 인바디 등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트레이너는 각 회원의 최적의 조건에 따른 운동량을 원격으로 러닝머신 등의 운동기구(110)를 조절할 수 있다.
운동기구(110)가 설치되는 독립 공간(200)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원격제어부(140)는 복수개의 독립 공간(200)에 설치된 각각의 운동기구(110)를 동기화시켜 제어하거나 복수개의 독립 공간(200)에 설치된 각각의 운동기구(110)를 동기화해제시켜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원격제어부(140)는 운동기구(110)가 설치된 복수개의 독립 공간(200)을 동기화시켜 운동기구(110)의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작동시킨다. 이는 인바디 등의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회원의 신체균형이 동일할 경우이다.
원격제어부(140)는 운동기구(110)가 설치된 복수개의 독립 공간(200)을 동기화해제시켜 운동기구(110)의 프로그램을 다르게 작동시킨다. 이는 인바디 등의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회원의 신체균형이 다를 경우이다.
원격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다.
감지부(150)는 독립 공간(200)의 운동기구(110) 또는 카메라(120)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독립 공간(200)의 회원 수용여부를 감지하고, 회원의 수용여부를 원격제어부(140)로 송신한다.
감지부(150)는 설치된 독립 공간(200)의 일면 즉, 바닥면, 벽면 또는 천장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독립 공간(200)에서 운동을 하는 회원의 수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감지부(150)는 설치된 독립 공간(200)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 하 또는 좌, 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독립 공간(200)에서 운동을 하는 회원의 수용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함이다.
감지부(150)는 엑셀러로미터 센서로 이루어진다. 엑셀러로미터 센서(Accelerometer Sensor)는 좌, 우/상, 하방향으로 움직임이나 회전 등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감지부(150)는 독립 공간(200)의 바닥면,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독립 공간(200)에 설치되는 운동기구(1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은 원격제어를 통해 복수의 회원을 일괄적으로 운동시켜 효율적인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회원을 일괄적으로 운동시켜 효율적인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독립 공간에 설치되는 화면을 통해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110 : 운동기구 120 : 카메라
130 : 재생부 140 : 원격제어부
150 : 감지부
200 : 독립 공간

Claims (9)

  1. 독립 공간에 설치되되 무선 통신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작동신호로 작동되는 운동기구;
    상기 운동기구에 이웃하게 상기 독립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운동기구로 운동을 하는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독립 공간에 이웃하게 별도의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회원의 동적인 상태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와 동일한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운동기구에 작동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작동되는 상기 운동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공간의 상기 운동기구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독립 공간의 상기 회원 수용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회원의 수용여부를 상기 원격제어부로 송신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독립 공간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운동기구를 동기화시켜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운동기구를 동기화해제시켜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운동기구가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을 동기화시켜 상기 운동기구의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운동기구가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독립 공간을 동기화해제시켜 상기 운동기구의 프로그램을 다르게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러닝머신, 로잉머신, 싸이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 또는 상기 원격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독립 공간의 일면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독립 공간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 하 또는 좌, 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을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KR1020150001442A 2015-01-06 2015-01-06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KR10164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42A KR101647620B1 (ko) 2015-01-06 2015-01-06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42A KR101647620B1 (ko) 2015-01-06 2015-01-06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69A true KR20160084769A (ko) 2016-07-14
KR101647620B1 KR101647620B1 (ko) 2016-08-11

Family

ID=5649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442A KR101647620B1 (ko) 2015-01-06 2015-01-06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780A (ko) *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개인용 피트니스 관리 장치
KR20240047566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론픽 서킷 트레이닝 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433276B2 (en) 2019-05-10 2022-09-0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071597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069436B2 (en) 2019-10-03 2021-07-2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11101028B2 (en) 2019-10-03 2021-08-24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075000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876B2 (ko) * 1983-05-04 1990-07-17 Kyoraku Co Ltd
KR20070111825A (ko) * 2006-05-19 2007-11-22 장한원 런닝머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1876B2 (ja) 2006-05-18 2009-03-04 株式会社コナミスポーツ&ライフ 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操作端末、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876B2 (ko) * 1983-05-04 1990-07-17 Kyoraku Co Ltd
KR20070111825A (ko) * 2006-05-19 2007-11-22 장한원 런닝머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780A (ko) *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개인용 피트니스 관리 장치
KR20240047566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론픽 서킷 트레이닝 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20B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620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시스템
US11217341B2 (en) Fitness monitoring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and applications thereof
US5702323A (en) Electronic exercise enhancer
US9372534B2 (en) Interactive wearable videogame through the use of wireless electronic sensors and physical objects
US20180021629A1 (en) Interactive and Dynamic Fitness System
KR101461202B1 (ko)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US6572511B1 (en) Heart rate sensor for controlling entertainment devices
US20090023553A1 (en) Exercise systems in local or global network
US201102510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trength training
CN107530573A (zh) 倾斜表面应用控制器
KR101777672B1 (ko) 스마트 기기를 제어패널로 이용하는 트레드밀
JP2009112336A (ja) 運動システム
US20120184823A1 (en) Integrated health and entertainment management system for smart handheld device
KR20220024170A (ko) 피트니스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미디어 콘텐츠와 동기화
CN105169619A (zh) 一种步态调整式跑步训练装置
CN109045571A (zh) 一种虚拟现实技术在模拟划船器的应用方法
CN204767193U (zh) 一种智能弹簧平衡板
KR20170009376A (ko) 실제 환경 구현 운동 관리 시스템
KR20210153505A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120755A (ko) 초광대역 무선통신을 이용한 3d 가상현실 시스템
JP2009082428A (ja) 運動処方提案装置
US9098615B1 (en) Methods for providing authenticated, interactive feedback-driven exercise
KR102088345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작동형 기기에 대한 테마제어장치
EP3327597A1 (en) Physical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vating a user to interact with an exercise facility
KR102476730B1 (ko)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