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745A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4745A KR20160084745A KR1020150001393A KR20150001393A KR20160084745A KR 20160084745 A KR20160084745 A KR 20160084745A KR 1020150001393 A KR1020150001393 A KR 1020150001393A KR 20150001393 A KR20150001393 A KR 20150001393A KR 20160084745 A KR20160084745 A KR 201600847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ive member
- mobile terminal
- unit
- antenna
- antenna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EZNEXFPRSOYPL-UHFFFAOYSA-N (bis(trifluoroacetoxy)iodo)benzene Chemical compound FC(F)(F)C(=O)OI(OC(=O)C(F)(F)F)C1=CC=CC=C1 PEZNEXFPRSOY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5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6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71—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19—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s
- B65D2519/00124—Pa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32—Non-integral, e.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일 단부에 급전부가 연결되는 제1 도전 멤버와, 일 단부는 제1 스위치 또는 인덕터를 통하여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2 도전 멤버와, 일 단부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3 도전 멤버, 및 일 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제4 도전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 멤버의 선택적인 접지 연결에 의해 주파수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wer feeding part, one end grounded through a first switch or an inductor, A second conductive member connected to one point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 third conductive member selectively grounded at one end by a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oint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ductive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switching is performed by selective ground connection of the third conductive membe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n antenna device is discl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n antenn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최근 모바일 단말기는LTE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전된 이동통신 서비스는 현재 국가별, 통신사별로 사용 중인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주파수에서 특성을 만족하는 안테나의 설계가 필요하다. In addition to the above attempts, in recent year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LTE technology has been commercializ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services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the develop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needs to design the antenna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at each frequency because the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sed is different for each country and communication company.
그러므로, 단일 구조로 다중대역을 만족하는 광대역 안테나를 설계할 경우, 기기 제조사의 범용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안테나는 LTE뿐만 아니라 2세대 및 3세대 이동통신 대역을 포함하는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하며 이를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제한된 공간에서 Low-band의 모든 대역을 만족하는 안테나를 설계하는 것은 낮은 효율과 좁은 대역폭 등의 이유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Therefore, when a broadband antenna satisfying a multi-band with a single structure is designed, the versatility of a device manufacturer can be improved. Accordingly, the terminal antenna must provide multi-band services including not only LTE but also second- and third-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band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reof are requir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esign an antenna that satisfies all low-band bands in a limited space of a mobile terminal because of low efficiency and narrow bandwidth.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Tunable 안테나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Tunable 안테나는 단일 방사체로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므로 안테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주파수 조절 기능으로 인하여 넓은 유효 대역폭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유사한 방사특성과 안테나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개발되는 일반적인 Tunable Antenna는 Switch를 이용하여 두 밴드 정도를 Switching하여 사용하거나 Variable-cap을 이용하여 주파수 sweep 기능만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Tunable Range가 좁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Tunable 안테나는 제한적인 공간에서는 안테나의 충분한 공진길이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낮은 밴드(Low-band)에서 On/Off 기능만으로 동작하여 주파수의 이동에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researches on tunable antennas have been conducted. The tunable antenna is a single emitter that operates in several frequency bands, so it can reduce the size of the antenna and the frequency control function can achieve a wide effective bandwidth as well as gain similar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antenna gain in all frequency bands. However, the general Tunable Antenna that is currently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uses only two frequency bands using a switch, or uses a frequency sweep function using a variable-cap, and the tunable range as a whole is narrow. Such a tunable antenna has a limitation in satisfying a sufficient resonance length of the antenna in a limited space, and operates only with an On / Off function in a low band, which limits a frequency shif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성능이 향상된 안테나 장치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device with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넓은 대역의 주파수를 구현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wider frequency ban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단부에 급전부가 연결되는 제1 도전 멤버와, 일 단부는 제1 스위치 또는 인덕터를 통하여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2 도전 멤버와, 일 단부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3 도전 멤버, 및 일 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제4 도전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 멤버의 선택적인 접지 연결에 의해 주파수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member connected at one end to a power supply unit;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first switch or an inductor; A second conductive member connected to one point of the member, a third conductive member selectively grounded at one end by a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oint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 fourth conductive member grounded to grou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e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ductive member at a constant distance, wherein switching of the frequency is achieved by selective ground connection of the third conductive member An antenna devic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도전 멤버의 타 단부는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용량성 커플링 급전(Capacitive Coupling Feed)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member may be capacitive coupled to the third conductive memb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도전 멤버의 타 단부는 가변 캐피시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member may be connected by a variable capaci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인더터에 의해 주파수가 보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is operated, the frequency can be compensated by the indenter.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 내에 구비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일 단부에 급전부가 연결되는 제1 도전 멤버와, 일 단부는 제1 스위치 또는 인덕터를 통하여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2 도전 멤버와, 일 단부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3 도전 멤버와, 일 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제4 도전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 멤버의 선택적인 접지 연결에 의해 주파수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device including a terminal body and an antenna devic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wherein the antenna device has a first conductive member connected at one end to a power feed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point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one end is selectively grounded by a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 fourth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grounded at grou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ductive member, the third conductive member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conductive member, The switching of the frequency is performed by the selective ground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LTE를 포함하는 로우 밴드( low band)를 모두 커버할 수 있으며, 핸드 이펙트 보상 기능이 구비된 안테나 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that can cover all low bands including LTE and have a hand effect compens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신체 접촉으로 인한 특성 저하를 자동으로 인지함으로써 안테나의 특성 열화를 개선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 deterioration of the antenna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degradation due to user's physical contact.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파수 스위칭이 가능함과 동시에 임피던스 튜닝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edance tuning is possible while enabling frequency switching.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주파수에 따른 반사계수의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주파수에 따른 이득(gain) 그래프이다.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of reflec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frequency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equency dependent graph of a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A to 1C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B and 1C, the disclosed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ferring to the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also be mounted o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se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1B and 1C, a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eded, or placed on different planes. For example,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The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The rear input unit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a rear input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using the rear input unit can be realized. When the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nd 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d a second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ee FIG. 1A)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장치와 안테나 장치가 구현된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n antenna device and an antenna devic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를 구성하는 윈도우(210a) 및 디스플레이 모듈(210b)을 포함한다. 윈도우(210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210a) 및 디스플레이 모듈(210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 전기적 소자들이 지지되도록 프레임(260)이 형성된다. 프레임(260)은 단말기 내부의 지지구조로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210b), 카메라 모듈(221), 안테나 장치, 배터리(240) 또는 회로 기판(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A
프레임(260)은 그 일부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60)은 바 타입이 아닌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에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도 2에 도시한 것은 일 예로서, 프레임(260)과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 회로 기판(250)이 배치되고, 프레임(260)의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210b)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260)의 타면에는 회로 기판(250)과 배터리가 배치되고, 배터리를 덮도록 배터리 케이스(203)가 리어 케이스(202)에 결합될 수 있다.2 shows that the
상기 윈도우(210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윈도우(210a)의 일면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터치 감지 패턴(210c)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턴(210c)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진다. 터치 감지 패턴(210c)은 상기 윈도우(210a)의 전면에 장착되며, 윈도우(210a)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압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b)은 상기 윈도우(210a)의 후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b)의 예로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가 개시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10b)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회로 기판(25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레임(26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b)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 기판(250)의 하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들이 장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프레임(260)에는 상기 배터리(2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일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240)가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250)과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이동 단말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안테나 장치(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130)는 복수로 형성되어 단말기의 각 단부에 배치되고, 각 안테나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130)는 캐리어(135)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 멤버(131,132,133,134)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전 멤버가 형성된 캐리어(135)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케이스(2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스크류는 캐리어(135)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지나 케이스(201)에 형성된 홀(262)에 체결될 수 있다. 후술하는 프레임(260)의 리브(263)는 캐리어(135)가 장착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The
프레임(260)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프레임(260)은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회로 기판(250) 또는 안테나 장치가 프레임(260)에 접지 연결될 수 있으며, 프레임(260)은 회로 기판(250)이나 안테나 장치의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60)은 이동 단말기의 그라운드를 확장할 수 있다.The
회로 기판(250)은 안테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 장치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또는 무선 전자기파)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복수의 송수신 회로들이 회로 기판(250)에 형성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The
송수신기 회로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및 관련 전기적 소자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기 회로는 송신 집적 회로, 수신 집적회로, 스위칭 회로,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circuits may be formed including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s and associated electrical components. In one example, the transceiver circuitry may include a transmit integrated circuit, a receive integrated circuit, a switching circuit, an amplifier, and the like.
복수의 송수신기 회로들은 방사체인 도전 패턴으로 형성되는 도전 멤버들을 동시 급전함으로써, 복수의 안테나 장치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가 송신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수신할 수 있으며, 둘 다 송신하거나 둘 다 수신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ransceiver circuits are simultaneously powered by conductive members formed of a conductive pattern that is a radiator, so that a plurality of antenna devices can operate simultaneously. For example, while either one is transmitting, the other can receive, both transmit or both receive.
동축 케이블은 회로기판과 각 안테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동축 케이블은 안테나 장치들을 급전시키는 급전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장치들은 조작부(123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24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42)의 타면은 조작부(123a)의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신호 전달 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242)의 타면에 돔이 형성되고, 신호 전달 유닛에 액추에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axial cable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circuit board and each antenna device to each other. In one example, the coaxial cable may be connected to a feeder that feeds the antenna devices. The power supply device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캐리어(135)의 하부에는 연성회로기판(242)이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242)은 일단이 제어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2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242)은 단말기의 조작부(123a)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242)은 조작부(123a)에서 생성된 신호가 회로기판(250)의 제어부에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A
종래에 로우 밴드(Low-band)에서 200MHz의 튜닝 범위(Tuning Range) 확보가 어려웠던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안테나의 공간으로 주어지는 물리적인 공간이 800MHz정도(B5, B8)에서 사용가능하며, 단일 안테나로는 700~960MHz의 대역폭을 만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용량성 결합에 의한 튜너블 안테나(Capacitive-coupled Tunable Antenna)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Conventionally, it is difficult to secure a tuning range of 200 MHz in a low band because a physical space given as an antenna space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can be used at about 800 MHz (B5, B8) The bandwidth of 700 to 960 MHz can not be satisfied.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capacitive-coupled tunable antenna.
상기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 확보와 임피던스 매칭 보상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700~960MHz까지(B17, B13, B5, B8)를 커버하며 260MHz이상의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다. 또한, 협소한 이동 단말기의 공간에서 스위치(164)와 커플링 패턴(134)에 가변 캐패시터(165)를 부착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였다. The antenna has both a frequency band and impedance matching compensation function, covers 700 ~ 960MHz (B17, B13, B5, B8) and has a wide tuning range over 260MHz. In addition,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안테나 장치(130)는 주파수 이동 특성 및 임피던스 매칭이 모두 가능하며, 국가마다 제작했던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를 단일 안테나로 구현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인체 접촉으로 인한 특성 열화를 Closed Loop 기능 동작으로 자동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특성 열화를 극복 및 개선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테나 장치(130)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테나 장치(130)의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30)는 일 단부에 급전부(161)가 연결되는 제1 도전 멤버(131)와, 일 단부는 제1 스위치(162) 또는 인억터(163)에 를 통하여 접지부(G1 또는 G2)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13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도전 멤버(131)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 도전 멤버(132)와, 일 단부는 제2 스위치(164)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131)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도전 멤버(131)로부터 분기되는 제3 도전 멤버(133)와, 일 단부는 그라운드(G4)에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도전 멤버(133)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형성되는 제4 도전 멤버(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1 도전 멤버(131)는 급전부(161)에 의해 급전 장치에 급전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도전 멤버(132)는 접지부에 의해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급전부(161)는 상기 제1 도전 멤버(131)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EM(Electro-Magnetic)급전 방식으로 도전 멤버를 급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급전부(161)는 급전판, 급전용 클립 또는 급전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전판, 급전용 클립 또는 급전선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급전 장치를 통해 급전되는 전류(또는 전압)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도전 멤버들로 전달한다. 여기서, 급전선은 기판 상에 인쇄되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을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그라운드(G1,G2,G3,G4)는 도전 멤버(132,133,134)를 접지 연결시키고, 전기적으로 단락시켜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그라운드(G1,G2,G3,G4)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패스(path)를 구비하며, 각 패스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패스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통해 각 패스는 선택적으로 전기적 접지와 방사체들(일 예로, 도전 멤버)을 서로 다른 길이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패스는 접지와 방사체를 연결하는 전기적 통로로, 접지판, 접지용 클립, 또는 접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선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패스의 길이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nds G1, G2, G3, and G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ound and connect the
급전 장치는 급전부(feeding portion)와 정합부(match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부는 발룬, 이상기, 분배기, 감쇠기, 증폭기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정합부는 직렬 소자나 분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직렬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허수부인 리액턴스 값(reactance)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리액턴스를 높이고 커패시터는 리액턴스를 낮추므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분로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실수부인 저항값(resistance)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저항값을 높이고 커패시터는 저항값을 낮추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The feed device may include a feeding portion and a matching portion. The feed unit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a balun, a phase shifter, a divider, an attenuator, and an amplifier. The matching portion may be realized by a series element or shunt elements. When composed of series elements, the reactance, which is the imaginary part of the impedance, can be changed. For example, inductors increase reactance and capacitors lower reactance, so the impedance of a particular frequency band can change.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shunt element, the resistance, which is the real number of the impedance,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impedance of a particular frequency band can be changed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nductor and lowe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apacitor.
상기 안테나 장치(130)는 PIFA 안테나(Planar Inverted F-type Antenna)의 일종으로, 안테나의 길이는 λ/4에 해당하는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전 멤버(132)에는 제1 스위치(162) 및 인덕터(163)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162) 및 인덕터(163)는 각각 제1 그라운드(G1) 및 제2 그라운드(G2)에 접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도전 멤버(132)를 접지 연결하되, 제1 스위치(162)에 의해 전류가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스위치(162)가 작동(on)되면, 급전부(161)로부터 제1 도전 멤버(131)에 공급되는 전류는 대부분 제1 그라운드(G1)로 흐를 것이고, 제1 스위치(162)를 작동시키지 않으면(off) 제1 도전 멤버(131)를 따라 흐르는 전류의 일부는 제2 그라운드(G2)로 흐르고, 나머지 전류는 제1 도전 멤버(131)를 따라 이동하여 제3 도전 멤버(133)를 따라 흐르게 된다. 3, the
상기 제3 도전 멤버(133)를 따라 흐르는 전류도 제2 스위치(164)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3 그라운드(G3)로 흐르게 된다.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third
이때, 상기 제3 도전 멤버(133)의 적어도 일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4 도전 멤버(134)에 전류가 유기되어 제4 도전 멤버(134)에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4 도전 멤버(134)로의 전류의 공급은 용량성 커플링 급전(capacitive coupling feed, CCF)에 의한다. 이와 같이 용량성 커플링 급전에 의하면 에너지 소모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 current is induced in the fourth
이와 같이 용량성 커플링에 의해 급전되는 경우에는 용량성 커플링 급전으로 인해, 안테나의 용량성 리액턴스의 값이 증가될 수 있다. 용량성 리액턴스의 값을 증가시키면 커패시턴스에 의한 입력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반비례하므로 공진 주파수가 감소한다. 공진 주파수가 감소된다는 것은 안테나 장치(130)가 용량성 결합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짧은 길이로 보다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안테나 장치(130)가 용량성 결합되는 멤버들을 포함하게 되면, 보다 좁은 공간내에서 안테나 장치(130)가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fed by capacitive coupling, the value of the capacitive reactance of the antenna can be increased due to the feeding of the capacitive coupling. Increasing the value of the capacitive reactance reduces the resonant frequency because the input impedance due to the capacitan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The fact that the resonant frequency is reduced means that the
상기 제4 도전 멤버(134)의 타 단부는 가변 캐패시터(165)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가변 캐패시터(165)에 의해 주파수 대역을 보다 넓힐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 캐패시터(165)는 제4 그라운드(G4)에 접지 연결된다.The other end of the fourth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700~960MHz의 범위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260MHz 이상의 넓은 튜닝 범위(tunable range)를 가지는데, 이를 위하여 제3 도전 멤버(133)가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어 주파수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30)의 반사계수의 그래프인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164)의 스위칭 여부에 따라 밴드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가변 캐패시터(165)의 조절에 의해 주파수 대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operate in the range of 700 to 960 MHz. In other words, it has a wide tunable range of 260 MHz or more. To this end, the thi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스위칭이란 일정한 대역폭을 넘는 수준으로 주파수 변이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100MHz 정도 이상의 주파수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frequency switching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a frequency variation occurs at a level exceeding a certain bandwidth. For example, it means that a frequency change of about 100 MHz or more occurs.
이때, 상기 제2 스위치(164)에 의한 스위칭의 범위는 약 100~150MHz 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치(164)가 켜진 상태에서(on) 가변 캐패시터(165)를 끈 상태(0pF), 2.875pF으로 연결된 상태, 및 9.75pF으로 연결한 상태에 대한 공진주파수를 각각 F1, F2 및 F3라고 하고, 상기 제2 스위치(164)를 끈 상태(off)에서 상기 가변 캐패시터(165)를 끈 상태(0pF), 2.875pF으로 연결된 상태, 및 9.75pF으로 연결한 상태에 대한 공진주파수를 각각 F4, F5 및 F6이라고 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range of switching by the
이때, F1은 F4와 대응되고, F2는 F5와 대응되며, F3는 F6에 대응된다. 도 5에 따르면, F1은 대략 910MHz, F2는 865MHz, F3는 825MHz, F4는 775MHz, F5는 735MHz, F6는 710MHz이고, 제2 스위치(164)에 의한 스위칭 범위가 F1의 경우에는 135MHz(910-775), F2의 경우에는 130MHz(865-735), F3의 경우에는 115MHz(825-710)정도가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F1 corresponds to F4, F2 corresponds to F5, and F3 corresponds to F6. According to Fig. 5, F1 is about 910 MHz, F2 is about 865 MHz, F3 is about 825 MHz, F4 is about 775 MHz, F5 is about 735 MHz, and F6 is about 710 MHz. When the switching range by the
이때, 상기 제1 도전 멤버(131)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주파수는 약 700MHz정도이고, 상기 제1 도전 멤버(131)와 제3 도전 멤버(133)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주파수는 약 900MHz정도이다. 또한,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3:1 기준으로 700~960MHz의 대역폭을 가지며 로우 밴드를 모두 만족하였다.At this time, the resonant frequency formed by the fir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핸드 이펙트(hand effect)에 의한 주파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전 멤버(132)에는 제1 스위치(162) 및 인덕터(163)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162) 및 인덕터(163)는 접지 연결되도록 하였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162)를 작동시키면(on) 약 50MHz 정도의 주파수를 보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loss due to the hand effect, the
일반적으로 핸드 이펙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는 안테나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안테나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공진주파수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감소되는 공진주파수를 보상해주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급전부(161)에 의해 공급된 전류의 일부가 제2 도전 멤버(132)를 따라 흐른 다음, 일부는 제1 그라운드(G1)에 흐르고, 다른 일부는 인덕터(163)에 의해 제2 그라운드(G2)로 흐르게 됨으로써 안테나의 길이를 늘리는 주파수 보상 효과가 발생한다. Generally, in order to reduce the hand effect, the length of the antenna must be increased. When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increased, the resonance frequency is decreased. Thu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resonant frequenc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current supplied by the
인덕터(163)는 전류의 흐름을 저해하는 소자로서 전기적 길이를 늘리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핸드 이펙트에 따른 주파수를 보상해주기 위해 사용되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테나 장치(130)의 이득(gain) 그래프인데, 제2 스위치(164)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가변 캐패시터(165)의 캐패시턴스를 가변시킴에 따른 이득을 도시한 것이다.6 is a gain graph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그래프의 최대값이 -8~-2dB의 범위 내에 있으므로, 양호한 이득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안테나 장치(130)의 안테나 이득은 제2 스위치(164)와 가변 캐패시터(165)의 상태에 따라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aximum value of each graph is in the range of -8 to -2 dB, which indicates a good gain.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antenna gain of th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laims (6)
일 단부는 제1 스위치 또는 인덕터를 통하여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2 도전 멤버;
일 단부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3 도전 멤버; 및
일 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제4 도전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 멤버의 선택적인 접지 연결에 의해 주파수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A first conductive member to which a power supply part is connected at one e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grounded via a first switch or an induc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oint o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 third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selectively grounded by a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oint o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 fourth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grounded to grou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ductive member,
Wherein switching of the frequency is performed by selective ground connection of the third conductive member.
상기 제4 도전 멤버의 타 단부는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용량성 커플링 급전(Capacitive Coupling Fe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member is capacitive coupled to the third conductive member.
상기 제4 도전 멤버의 타 단부는 가변 캐피시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member is connected by a variable capacitor.
상기 제1 스위치가 켜진 경우, 상기 인덕터에 의해 주파수의 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requency is compensated by the inductor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상기 단말기 바디 내에 구비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일 단부에 급전부가 연결되는 제1 도전 멤버;
일 단부는 제1 스위치 또는 인덕터를 통해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2 도전 멤버;
일 단부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의 일 지점에 연결되는 제3 도전 멤버; 및
일 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되고, 타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제4 도전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 멤버의 선택적인 접지 연결에 의해 주파수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erminal body; And
And an antenna devic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to which a power supply part is connected at one e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grounded via a first switch or an induc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oint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 third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selectively grounded by a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oint o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nd a fourth conductive member having one end grounded to grou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ductive member,
Wherein switching of the frequency is achieved by selective ground connection of the third conductive member.
상기 제4 도전 멤버는 상기 제3 도전 멤버와 용량성 커플링 급전(Capacitive Coupling Fe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fourth conductive member is capacitive coupled to the third conductive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393A KR20160084745A (en) | 2015-01-06 | 2015-01-06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393A KR20160084745A (en) | 2015-01-06 | 2015-01-06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4745A true KR20160084745A (en) | 2016-07-14 |
Family
ID=5649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1393A KR20160084745A (en) | 2015-01-06 | 2015-01-06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474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47590A1 (en) * | 2017-02-08 | 2018-08-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ntenna system for communicating in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ystem |
KR20210022925A (en) * | 2019-08-21 | 2021-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US11258170B2 (en) | 2017-03-24 | 2022-02-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US12225149B2 (en) | 2019-08-21 | 2025-0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
2015
- 2015-01-06 KR KR1020150001393A patent/KR2016008474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47590A1 (en) * | 2017-02-08 | 2018-08-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ntenna system for communicating in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ystem |
US10623028B2 (en) | 2017-02-08 | 2020-04-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ntenna system for communicating in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ystem |
US11258170B2 (en) | 2017-03-24 | 2022-02-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KR20210022925A (en) * | 2019-08-21 | 2021-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US12225149B2 (en) | 2019-08-21 | 2025-0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88470B2 (en) |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10361743B2 (en) | Mobile terminal | |
US10177440B2 (en) | Mobile terminal | |
US9685694B2 (en) |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US10658733B2 (en) | Mobile terminal | |
US10665926B2 (en) | Mobile terminal | |
US9722300B2 (en) |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US20210021018A1 (en) |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same | |
KR20150118481A (en) | Antenna device of a mobile terminal | |
KR20170103315A (en) | Mobile terminal | |
KR10219282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84745A (en)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224366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67025A (en) |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 |
KR20170052014A (en) | Mobilr terminal | |
US20200091586A1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66396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21160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60034576A (en) | Mobile terminal | |
KR101818115B1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