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660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660B1
KR102243660B1 KR1020150093901A KR20150093901A KR102243660B1 KR 102243660 B1 KR102243660 B1 KR 102243660B1 KR 1020150093901 A KR1020150093901 A KR 1020150093901A KR 20150093901 A KR20150093901 A KR 20150093901A KR 102243660 B1 KR102243660 B1 KR 10224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mobile terminal
antenna
switch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4069A (en
Inventor
홍성준
정강재
노승정
권영배
이재우
최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60B1/en
Priority to US14/937,621 priority patent/US9866252B2/en
Priority to EP15194262.0A priority patent/EP3086403A1/en
Priority to CN201610034287.9A priority patent/CN106067826B/en
Publication of KR2017000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69A/en
Priority to US15/847,104 priority patent/US1036174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체; 상기 본체에 실장되는 판형의 메탈 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연결부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이격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피더; 보조 방사체; 및 상기 보조 방사체와 상기 제1피더 사이의 연결을 ON/OFF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는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의 열화 없이 광대역 매칭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진주파수를 변경하여 간단히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main body; A plate-shaped metal plate mounted on the main body; A first radiato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etal plate through a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etal plate from the connection part; A first feeder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to supply power; Auxiliary emitter; And a first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radiator and the first feeder. The mobile terminal has an advantage of enabling broadband matching without deterioration of antenna impedance matching. In addition, by changing the resonant frequency,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can be used simply.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송수신 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mobile/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depending on whether they can be moved. Again, mobile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handheld terminals and vehicle mounted terminal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m.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there are functions of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pictures and videos through a camera, recording voices, playing music files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images or videos to the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dd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perform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providing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functions are diversified, such a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for example, taking photo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and receiving games and broadcasts. It is being implemented.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일 안테나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그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안테나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전화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LTE통신, 2G, 3G통신 뿐만 아니라, 위성통신, WIFI, NFC,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DMB 등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을 위해 복수개의 안테나가 실장된다.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ingle antenna is mainly used, but as its function is diversified, the types of antennas have also been diversified. A plurality of antennas are mounted for various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satellite communica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NFC, and Bluetooth, and DMB, as well as LTE communication, 2G, and 3G communication for phone calls and data communication.

안테나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므로 서로 간섭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이동 단말기 내부 또는 외부에 금속재질의 부재가 위치하는 경우 신호의 영향을 받는 바, 주변 금속 또는 안테나로부터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안테나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Since antennas transmit and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there may b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when a metal member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mobile terminal, the signal is affected. Therefore, the design of an antenna that can minimize interference from surrounding metals or antennas is difficult. very importan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내부의 메탈 프레임 또는 외관 케이스에 있는 메탈 케이스와 같이 금속소재의 부품을 활용한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using metal parts such as a metal frame inside a mobile terminal or a metal case in an exterior case.

본체; 상기 본체에 실장되는 판형의 메탈 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연결부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이격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피더; 보조 방사체; 및 상기 보조 방사체와 상기 제1피더 사이의 연결을 ON/OFF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main body; A plate-shaped metal plate mounted on the main body; A first radiato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etal plate through a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etal plate from the connection part; A first feeder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to supply power; Auxiliary emitter; And a first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radiator and the first feeder.

상기 보조 방사체는 일단이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된 제1 브랜치 패턴(branch patern)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radiator may include a first branch pattern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브랜치 패턴과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The first switch may have a variable position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attern.

상기 제1 스위치가 OFF인 경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피더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1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와 공진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it may resonate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of 4 times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eeder.

상기 제1 스위치가 ON인 경우, 상기 연결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1 브랜치 패턴 및 상기 제1 피더가 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전류가 흐르고, 상기 루프의 길이의 2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2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와 공진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witch is ON, the connection part, the first feeder, the first branch pattern, and the first feeder form a loop so that a current flows along the loop, and a wavelength of twice the length of the loop It can resonate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having.

일단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브랜치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랜치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제2 브랜치 패턴의 타단과 마주보며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One end further includes a second branch patter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ranch pattern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the second branch pattern It can be arrang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제1 브랜치 패턴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3 주파수와 공진하거나, 상기 제2 브랜치 패턴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4 주파수와 공진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may resonate with a third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first branch pattern, or a fourth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second branch pattern. have.

상기 보조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와 다른 위치에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 효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3 방사체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ON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radiator includes a third radiator disposed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ator and spaced apart from the metal plate and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at one end, and when the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of a signal through the first radiator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the first switch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radiator.

상기 제1 피더와 상기 제1 방사체의 연결을 ON/OFF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OFF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ON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ON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OFF할 수 있다. The first feeder and a second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connection of the first radiator,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the second switch is ON, and when the first switch is ON The second switch may be turned off.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메탈 케이스이고,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메탈 케이스를 사용자가 접촉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ON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is a side metal cas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the third radiator is disposed on the front or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turns the first switch on when a user contacts the side metal case. It can be turned on.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방사체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피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second radiato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nnecting pa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adiator; And a second feede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radiator.

상기 제2 방사체의 길이는 상기 제1방사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econd radiator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radiator.

상기 제1 피더는 전원과 연결된 전원 라인; 상기 제1 방사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딜레이 라인(delay line); 및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된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eeder may include a power lin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delay lin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radiator; And a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딜레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switch may be connected to the delay line.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딜레이 라인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3 주파수와 공진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may resonate with a third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of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delay line.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방사체 사이를 채우는 사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n injection material filling between the metal plate and the first radiator.

상기 제1 방사체는 이동 단말기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일부는 이동 단말기 내측에 배치되고, 일부는 이동 단말기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A part of the first radi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and a part of the first radiator may be exposed outside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의 열화 없이 광대역 매칭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진주파수를 변경하여 간단히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broadband matching is possible without deterioration in antenna impedance matching. In addition, by changing the resonant frequency,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can be used simpl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슬롯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과 메인기판이 결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1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안테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안테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1 안테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안테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1 안테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저주파 대역에서의 신호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도 16의 안테나의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2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ot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middle frame and a main board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rst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antenna of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12 is a graph showing the antenna efficiency of FIG. 9.
1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st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15 is a graph showing the antenna efficiency of FIG. 13.
1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st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6.
18 is a graph showing signal strength in a low frequency band.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flow through the antenna of FIG. 16.
20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 16.
2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Mobile terminals described herein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systems, and slate PCs. ,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for example, smartwatch, smart glass, head mounted display (HMD), etc.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and digital signag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will be.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A to 1C, 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views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us,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mong the above componen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provid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etc.).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n surrounding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Sensor (G-sensor), gyroscope 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print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ultrasonic sensor) , Optical sensor (for example, camera (see 121)), microphone (microphone, see 122),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detection sens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hap tip module 153, and the light output unit 154.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between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n input/output (video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delivery for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Also,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1A. Further,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each other.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91, 도 1c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191)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191 (see FIG. 1C), and the battery 191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B and 1C,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 type, or a folder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 Although it will relate to a specific type of mobile terminal, the description of a specific type of mobile terminal can be generally applied to other types of mobile terminals.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referring to the mobile terminal 100 as at least one aggregate.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exterior. As show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to output information. As illustrated,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101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191),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s well. Electronic componen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include a detachable battery 191, an identification module, and a memory card. In this case, a rear cover 103 for covering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ccordingly, when the rear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 part of the side of the rear case 102 may be exposed. In some cases, when the rear case 102 is combined,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Meanwhile,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or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se cases 101, 102, 103 may be formed by injection of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provide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ner space. In this case, a unibody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from the side to the rear may be implemented.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aterproof unit (not shown) that prevents water from permeating into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waterproof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nd the combination thereof It may include a waterproof member that seals the inner space of the city.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 light output unit 154, and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Cameras 121a and 121b,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icrophone 122, interface unit 16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S. 1B and 1C, 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d a light output unit ( 154), a first camera 121a and a first operation unit 123a are disposed, a second operation unit 123b, a microphone 122 and an interface unit 160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body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the second camera 121b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cessary,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ides. For example,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rather than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is cas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By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is. The contents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uch sensor is formed in a film form having a touch patter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is a metal wire patterned direct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May be.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s such,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a touch sensor, and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see FIG. 1A).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that transmits a call sound to a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is a loud speaker that outputs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A sound hole for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formed i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between structures (eg,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In this case, the externally formed hole for sound output is not visible or hidden,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ore simple.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for notifying when an event occurs.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When the user's event confirmation is detect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terminate the output of light.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pictur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photographing mode or a video call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are an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have.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while receiving a tactile feeling, such as touch, push, and scroll.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also be employed in a mann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are manipulated without a user's tactile feeling through proximity touch, hovering touch, or the like.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drawing,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is illustrated as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may be a push key (mechanical key) or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ush key.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commands such as menu, home key, cancel, search,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is output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152b. Commands such as adjusting the volume of sound and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nput.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is rear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off, start, end, scroll, etc., control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You can receive commands such as convers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ting by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when the user holds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on the rear upper end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terminal body using the index fing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rear input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rear input unit. In addition, when the touch screen or the rear input unit described above replaces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with a larger screen.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and other sounds.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60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eg, earphone,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g,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first camera 121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at.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array'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an image may be photographed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n image of better quality may be obtained.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4 illuminat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photographing the subject with the second camera 121b.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formed in a case. For example, an antenna form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A) may be configur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03, or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refer to FIG. 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that is built into the terminal body 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In addition,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harging through a wireless charger.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drawing,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o cover the battery 191 to limit the separation of the battery 191 and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shocks and foreign substances. It is exemplifying. When the battery 19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rminal body, the rear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An accessory that protects the exterior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assists or expands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dded. An example of such an accessory may be a cover or a pouch that covers or accommodat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ver or pouch may b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display unit 151 to expand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other example of an accessory may be a touch pen for assisting or extending a touch input to a touch scree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디스플레이부(151)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151a)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151a)는 둘레부분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면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고정할 수 있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the display unit 151 and a window 151a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51. The window 151a may have a peripheral portion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one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to fix the display unit 151.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고, 전기적 소자들이 실장되며 이동 단말기(100)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미들 프레임(105)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프레임(105)은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고 전면 둘레에 카메라(121a), 음향출력부(152a) 사용자 입력부(131a) 등이 배치된다. The display unit 151 is support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electrical elements are mounted, and a middle frame 105 may be interposed to provide rigidity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middle frame 105, a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a camera 121a, an audio output unit 152a, a user input unit 131a, and the like are disposed around the front.

미들 프레임(105)의 배면에는 메인기판(185)과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 안착부가 구비되고,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USB포트(161)나, 이어잭(162)과 같은 인터페이스(160) 등이 배치된다. The rear of the middle frame 105 is provided with a battery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main substrate 185 and the battery are seated, and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USB port 161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or an ear jack 162. An interface 160 and the like are disposed.

미들 프레임(105)은 강성을 위해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105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프레임(1051)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둘레에 절연물질인 수지를 덮어 제2 프레임(1055)을 형성한다. 제1 프레임(1051)은 이동 단말기(100)에 강성을 제공하고 그라운드로서 기능을 하여 메인기판(185)이나 안테나와 같은 전자부품이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The middle frame 105 forms a first frame 1051 using a metal material such as magnesium for stiffness, and inserts the first frame 1051 to cover a resin, which is an insulating material, around the second frame ( 1055). The first frame 1051 provides rigidity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functions as a ground, so that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the main substrate 185 or an antenna may be connected and grounded.

제2 프레임(1055)은 사출성형 방식을 이용하므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1051)에 비해 형상의 자유도가 높다. 요철의 형성이 용이하며, 제1 프레임(105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아야 하는 부재의 경우 상기 제2 프레임(1055)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frame 1055 uses an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degree of freedom in shape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frame 1051 made of metal. In the case of a member that is easy to form unevenness and should not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1051, it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frame 1055.

미들 프레임(105)의 배면은 메인기판(185)과 배터리(191)가 배치된다. 배터리(191)는 다른 부재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바, 배터리(191)와 다른 부재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터리(191)가 실장되는 부분을 피해 메인기판(185), 인터페이스부, USIM카드나 메모리 카드가 실장되는 카드 슬롯, 후면의 카메라, 후면의 음향출력모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 main substrate 185 and a battery 191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05. The battery 191 is thicker than other members, and in order to minimize the overlapping of the battery 191 and other members, the main board 185, the interface unit, the USIM card or memory are avoided from the part where the battery 191 is mounted. A card slot on which a card is mounted, a camera at the rear, an audio output module at the rear,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배터리(191)를 기준으로 상단에 배치되는 부품과 하단에 배치되는 부품간에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부의 제1 메인기판(185a), 하부에 제2 메인기판(185b)으로 배치되며 제1 메인기판(185a)과 제2 메인기판(185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기판(185c)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기판(185c)은 두 기판사이의 신호 연결 통로이고 다른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목적이 없는 바, 지지력이 약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first main board 185a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main board 185b on the lower side are arrang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rts disposed at the top and the parts disposed at the bottom based on the battery 191, and the first main board ( It may be configured as a connection substrate 185c connecting between the 185a and the second main substrate 185b. Since the connection board 185c is a signal connection path between two boards and has no purpose for mounting other component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weak support may be used.

상부의 제1 메인기판(185a)은 이동 단말기(100)를 구동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칩을 비롯한 각종 구동을 위한 집적회로(IC)가 실장되고, 카메라, 후면 입력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단부에는 USB포트(161)나, 이어잭(162)과 같은 인터페이스와 스피커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main substrate 185a on the upper side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chip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 integrated circuit (IC) for driving various types of driving, and a camera, a rear input unit,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An interface such as a USB port 161 or an ear jack 162 and a speaker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또한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가 이용되고 있어 상단과 하단을 모두 이용하여 안테나를 실장할 수 있다. 각 안테나는 송수신하는 주파수 대역 및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작동하나, 전자기파를 방출하므로 상호간에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re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re diversified, various types of antennas are used, so that the antenna can be mounted using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Each antenna operates independently because the frequency bands and method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re different, but since they emit electromagnetic wav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interfere with each other.

상호 간섭을 일으키면 무선신호의 송수신율이 급감하게 되기 때문에 가능한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중에 손으로 많이 잡는 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의해 무선신호의 송수신율이 떨어질 수 있는 바, 상단과 하단에 분배할 수 있다. If mutual interference occurs, the transmission/reception rate of radio signals decreases sharply, so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apart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side is a part that the user holds by hand while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the transmission/reception rate of the wireless signal may be lowered by the user's hand, and can be distributed at the top and bottom.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안테나는 전화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동 단말기(100)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메인 안테나는 2G, 3G, 다양한 대역의 LTE와 같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해야한다. The antenna used for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mai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phone calls or data communication. It should be possible.

상기 메인 안테나를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두고 상기 메인안테나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타측에 서브 안테나를 둘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도 필요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위성과의 통신을 위한 GPS안테나도 실장된다. The main antenna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and a sub-antenna may be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supplement the function of the main antenna. In addition, an antenna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is required, and a GPS antenna for communication between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 satellite is also mounted.

각 안테나는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다르며, 특히 메인 안테나와 보조 안테나가 담당하는 통신회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은 통신사마다 또는 국가마다 상이한 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통신사에서도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지역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특정 주파수에서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주파수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대역 주파수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브로드밴드 안테나가 이용된다. Each antenna differs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 particula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in charge of the main antenna and the auxiliary antenna not on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for each telecommunication company or country, but also various frequency bands for one telecommunication company. I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Broadband antenna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t broadband frequencies are used in order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at other frequencies when not operating at a specific frequency depending on regions or circumstances.

다만,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가 작아지고 각 부품간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안테나 주변의 부품에 의한 영향이 커지게 된다. However, as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00 decreas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s becomes closer, the influence of the parts around the antenna increases.

이에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슬롯안테나를 이용하여 주변 장치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슬롯안테나는 가늘고 긴 개구부가 형성된 도체에 급전하여 도체 표면에 분포하는 전류에 의하여 개구부 부분을 통해 전파가 방출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안테나를 의미한다.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influence from peripheral devices by using a slot antenna. The slot antenna refers to an antenna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supplying power to a conductor having an elongated opening and emitting a radio wave through the opening portion by a current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일반적인 슬롯 안테나는 도파관 벽면, 원통형 도체 표면 또는 평면 도체판 상에 일 방향으로 길고 양단이 막힌 슬롯을 뚫어 상기 슬롯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부분에 급전함으로써, 슬롯 안테나가 전파의 방사체가 되도록 동작시킨다. 이러한 양단이 막힌 슬롯 안테나는 송수신하는 주파수의 파장의 최소 λ/2의 길이를 가져야 하며, 슬롯 길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양쪽이 막힌 슬롯안테나(closed slot antenna)를 개선하여 일측이 개방된 슬롯안테나(open slot antenna)를 이용하면 슬롯의 길이(D)는 λ/4으로 충분하게 이용 가능하게 되어 안테나 슬롯의 크기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A typical slot antenna operates so that the slot antenna becomes a radiator of radio waves by drilling a long and blocked slot in one direction on the wall of the waveguide, the surface of a cylindrical conductor, or a flat conductor plate and feeding the slotted portion so that an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slot. Let it. The slot antenna with both ends blocked must have a length of at least λ/2 of the wavelength of the frequency to be transmitted/received, and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the length of the slot. By improving the closed slot antenna on both sides and using an open slot antenna, the length of the slot (D) becomes λ/4, which is sufficient to reduce the size of the antenna slot. Can be reduced to

도 3은 통상의 슬롯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a)는 슬롯(1)의 막힌 부분(1a)으로부터 D1거리에 급전하는 피더(2)가 연결된 일측이 개방된 슬롯안테나에 있어서 1/2파장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방사하는 경우 임피던스와 전류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slot antenna. (a) shows the impedance and current in the case of radiating radio waves in the half-wavelength frequency band in the slot antenna with one side connected to the feeder 2 connected to the D1 distance from the blocked part (1a) of the slot (1). It shows the relationship.

점선은 임피던스 크기를 의미하고 화살표는 슬롯(1) 주변을 따라 흐르는 전류를 의미한다. 상기 슬롯(1)의 길이(D)의 4배에 해당하는 길이의 파장을 갖는 1/4파장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공진을 일으키고, 상기 1/4파장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magnitude of the impedance, and the arrow indicates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slot 1. Generates resonance with a signal of a 1/4 wavelength frequency band having a wavelength of 4 times the length (D) of the slot (1),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using the signal of the 1/4 wavelength frequency band. Do.

신호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통과하여 공진하므로 케이스의 소재에 따라 유전율이 차이가 있어, 상기 공진주파수의 파장은 관내파장(Guided Wavelength)을 기준으로 한다. 관내파장이란 유전체 내에서 전자기 파장을 말하며, 공기중의 파장/유전율의 비율로 얻어질 수 있다. 공기보다 케이스의 유전율이 더 크기 때문에 관내파장은 공기 중에서의 파장보다 작게 나타난다.Since the signal resonates through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the dielectric constant varie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ase, and the wavelength of the resonance frequency is based on the guided wavelength. Intra-tube wavelength refers to the electromagnetic wavelength in the dielectric, and can be obtained by the ratio of the wavelength/dielectric constant in the air. Sinc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ase is larger than that of air, the wavelength inside the tube appears smaller than the wavelength in air.

상기 슬롯 길이의 4배에 상응하는 길이의 파장을 갖는 1/4파장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해서는 슬롯(1)의 개방된 단부(1b)에서 최대 임피던스가 나타나도록 임피던스 매칭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receive a signal in a 1/4 wavelength frequency band having a wavelength corresponding to 4 times the length of the slot, impedance matching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maximum impedance appears at the open end 1b of the slot 1.

급전부(3)와 연결된 피더(2)의 임피던스를 소정 값으로 설정(예를 들면 50Ω)하고 피더(2)가 상기 슬롯(1) 상에 연결되는 위치(D1)을 조정하여 슬롯의 단부(1b)에서 최대 임피던스 값이 나오도록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할 수 있다. The impedance of the feeder 2 connected to the feeder 3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50 Ω) and the position D1 at which the feeder 2 is connected to the slot 1 is adjusted to Impedance matching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maximum impedance value in 1b).

임피던스 매칭이 되며, 슬롯길이의 약 4배에 해당하는 파장을 갖는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수신율이 다른 주파수 대역에 비해 급격히 향상되며 공진하게 된다. Impedance matching is performed,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rate of a frequency band signal having a wavelength corresponding to about 4 times the slot length is rapidly improved compared to other frequency bands and resonates.

도 3의 (b)는 슬롯 길이의 4배에 해당하는 주파수 이외에 다른 주파수 대역(슬롯 길이의 2배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이하 1/2파장 주파수 대역이라 한다)에서 전파를 방사하는 경우 임피던스와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슬롯(1)의 길이는 1/2파장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파장의 대략 λ/2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1/2파장 주파수 대역의 파장은 1/4파장 주파수 대역의 파장보다 파장이 짧은 고주파 대역(high band)이고 1/4파장 주파수 대역은 상대적으로 파장이 긴 저주파 대역(low band)이다. Figure 3(b) shows the impedance and impedance when radiating radio waves in a frequency band other than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four times the slot length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wice the slot leng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lf-wavelength frequency band). It shows the flow of current. Here, the length of the slot 1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λ/2 of the cent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1/2 wavelength frequency band. That is, the wavelength of the 1/2 wavelength frequency band is a high band whose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the 1/4 wavelength frequency band, and the 1/4 wavelength frequency band is a low band with a relatively long wavelength.

1/2파장 주파수 대역의 λ/4파장 지점이 슬롯(1)의 단부(1b)가 아닌 중앙부분(1c)에 위치하므로, 임피던스 최대값은 슬롯(1)의 중간 부분(1c)에 형성된다. 따라서 피더(211, 212, 215)가 위치하는 부분은 약 300Ω의 임피던스가 위치하게 되어 피더(211, 212, 215)의 임피던스(50Ω)와 매칭되지 않아 고주파 대역의 안테나 수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Since the λ/4 wavelength point of the 1/2 wavelength frequency band is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1c, not the end 1b of the slot 1, the maximum impedance valu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1c of the slot 1. . Therefore, the portion where the feeders 211, 212, and 215 are located has an impedance of about 300 Ω and is not matched with the impedance (50 Ω) of the feeders 211, 212, and 215,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tenna reception rate of the high frequency band is lowered. .

이러한 성질로 인해, 슬롯안테나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Due to this property, the slot antenna has been mainly used when processing a radio signal of one frequency band, and it is difficult to process a radio signal of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그러나, 이동통신은 800MHz, 900MHz, 1.8GHz, 2.1GHz, 2.6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통신사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고 국가별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안테나에 대한 요구가 있어 , 슬롯 안테나를 적용에 소극적이었다. Howeve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provided using the frequency bands of 800MHz, 900MHz, 1.8GHz, 2.1GHz, and 2.6GHz, and since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by carriers and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used by country, signals of various frequency bands There is a demand for an antenna that can handle the slot, so it was unpretentious to apply a slot antenna.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안테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좌측으로 개방된 슬롯과 우측으로 개방된 슬롯이 각각 좌우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슬롯 안테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안테나를 저주파 대역(Low band)의 신호와 중주파 대역(Mid band)의 신호를 구분하여 송수신하는 2개의 슬롯(1056, 1057)으로 구성한다.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lot opened to the left and a slot opened to the right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slot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slots 1056 and 1057 for transmitting/receiving by dividing a signal of a low band and a signal of a mid band so as to be used in various frequency bands.

도 4를 참조하면 메탈 플레이트(1051), 제1 전도성 스트립(1052), 제2 전도성 스트립(1053), 연결부(1054), 제1 피더(1065), 제2 피더(1066), 제1 스터브(1061) 및 제2 스터브(1062)가 도시되어 있다. 4, a metal plate 1051, a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a connection part 1054, a first feeder 1065, a second feeder 1066, a first stub ( 1061 and a second stub 1062 are shown.

본 발명의 안테나는, 메탈 플레이트(1051), 연결부(1054) 및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에 의해 형성된 제1 슬롯(1056)을 포함하는 제1 안테나(116)와 메탈 플레이트(1051), 연결부(1054) 및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제2 슬롯(1057)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117)로 구성된다. Th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ntenna 116 and a metal plate 1051 including a first slot 1056 formed by a metal plate 1051, a connection part 1054 and a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a connection part. It is composed of a second antenna (117) including a second slot (1057) formed surrounded by (1054) and a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제1 슬롯(1056)과 제2 슬롯(1057)은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어 방사되는 방향이 상이하여 상호 간섭을 적게 받고, 길이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각각 다른 주파수의 무선통신에 이용할 수 있다. 길이가 긴 제1 슬롯(1056)이 저주파 대역(Low band)의 신호를 방사하고 길이가 짧은 제2 슬롯(1057)이 중주파 대역(Mid bnad)의 신호를 방사한다. The first slot 1056 and the second slot 1057 are each open toward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radiation direction is different to receive less interference from each other, and can b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different frequencies by forming different lengths. . A long first slot 1056 emits a signal of a low band, and a second slot 1057 with a short length emits a signal of a mid frequency band.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전도성 스트립(1052)의 크기도 제한된다. 따라서, 메탈 플레이트(1051), 연결부(1054) 및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에 의해 형성된 제1 슬롯(1056)의 길이가 제한되므로, 상기 제1 슬롯(1056)을 통해 방사하고자 하는 주파수와 공진을 이루도록 제1 슬롯(1056)을 연장하는 제1 스터브(10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limited, the size of the conductive strip 1052 is also limited. Therefore,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slot 1056 formed by the metal plate 1051, the connection part 1054 and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is limited, the frequency and resonance to be radiated through the first slot 1056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tub 1061 extending the first slot 1056 to achieve a.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 슬롯(1057)도 상기 제1 슬롯(1056)과 마찬가지로 고주파 대역에서 공진하는 슬롯안테나의 슬롯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제2 스터브(1062)를 구비할 수 있다. Like the first slot 1056, the second slot 1057 for emitting a signal in the high frequency band may also have a second stub 1062 to sufficiently secure the length of the slot of the slot antenna resonating in the high frequency band. .

상기 제1 스터브(1061) 및 상기 제2 스터브(1063)가 부가됨으로써, 제1 안테나(116)와 제2 안테나(117)는 슬롯안테나와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PIFA: Planar Inverted-F Antenna)의 성격을 모두 가질 수 있다.As the first stub 1061 and the second stub 1063 are added, the first antenna 116 and the second antenna 117 are a slot antenna and a planar inverted-F antenna (PIFA). You can have all of your personality.

상기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상기 제1 스터브(1061) 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저주파 대역(Low band)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1 방사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전도성 스트립(1053)과 상기 제2 스터브(1062)는 중주파 대역(Mid bnad)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 방사체를 구성한다.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first stub 1061 are electrically connected even if they are not formed as a single member, thus constituting a first radiator that emits a low band signal, and the first stub 1061 is connected to each other. 2 The conductive strip 1053 and the second stub 1062 constitute a second radiator that emits a signal of a mid frequency band (Mid bnad).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미들 프레임(105)과 기판이 결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메탈 플레이트(105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 및 이동 단말기(100)에 실장되는 부품을 지지하는 미들 프레임(105)의 제1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05) 이외에도 금속 소재의 케이스가 적용되는 경우 케이스가 메탈 플레이트(1051)가 될 수 있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FIGS. 5 to 8.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middle frame 105 and the substr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the metal plate 105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frame of the middle frame 105 that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middle frame 105, when a case made of a metal material is applied, the case may be a metal plate 1051.

본 실시예의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은 미들 프레임(105)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메탈 플레이트(1051)의 일단에 이격되어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이 나란히 연결되어 배치되고 메탈 플레이트(1051)와 제1 전도성 스트립(1052) 및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을 연결하는 연결부(1054)를 포함한다.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middle frame 105. That is, apart from one end of the metal plate 1051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are connected and disposed in parallel, and the metal plate 1051 and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054 connecting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이 연결부(1054)만을 통해 메탈 플레이트(1051)와 연결되는 경우 연결부(1054)가 끊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들 프레임(105) 형성시 상기 제1 슬롯(1056)과 제2 슬롯(1057)을 사출물로 채울 수 있다. When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are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1051 only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054, the connection part 1054 may be disconnected. To prevent this, when the middle frame 105 is formed, the first slot 1056 and the second slot 1057 may be filled with an injection product.

사출물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롯 안테나의 기능은 유지되면서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이 메탈 플레이트(105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molded product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etal plate 1051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slot antenna.

상기 미들 프레임(105)의 배면에 메인기판(185)이 안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기판(185)은 배터리(191)가 실장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메인기판(185a)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메인기판(185b) 및 제1 메인기판(185a)과 제2 메인기판(185b)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기판(185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메인기판(185b)이 도시되어 있다. The main substrate 185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05. As described above, the main substrate 185 includes a first main substrate 185a position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second main substrate 185b positioned below the battery 191,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battery 191 is mounted. And a connection substrate 185c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ain substrate 185a and the second main substrate 185b, and FIG. 5 illustrates a second main substrate 185b positioned below.

제2 메인기판(185b)은 전원공급부와 피더(1065, 1066)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안테나에 전류를 흘려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105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피더(1065)는 제2 메인기판(185b)과 상기 제1 전도성 스트립(1052)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슬롯(105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피더(1066)은 제2 메인기판(185b)과 상기 제2 전도성 스트립(1053) 사이를 연결한다. The second main substrate 185b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through the feeders 1065 and 1066 to receive power, and may radiate a signal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antenna. The first feeder 1065 tha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slot 1056 connects the second main substrate 185b and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slot 1057. The supplied second feeder 1066 connects the second main substrate 185b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상기 피더(1065, 1066)의 길이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전원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고, 상기 전도성 스트립에 연결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슬롯(1056) 및 상기 제2 슬롯(1057)을 통해 방사하는 신호와 매칭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상기 피더(1065, 1066)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더(1065, 1066)는 소정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USB포트(161)나 이어잭(162)을 넘어서 배치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feeders 1065 and 1066 is adjusted to adjust the impedance of the supplied power, and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conductive strip is adjusted to radiate through the first slot 1056 and the second slot 1057. It can match the signal. For impedance matching, the feeders 1065 and 1066 may further include capacitors. The feeders 1065 and 1066 may be disposed beyond the USB port 161 or the ear jack 162 as shown in FIG. 5 to secure a predetermined length.

이동 단말기(100) 하단에는 이어잭(162)이나 USB포트(161) 등의 인터페이스 및 스피커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어잭(162)이나 USB포트(161)는 제2 메인기판(185b)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An interface such as an ear jack 162 or a USB port 161 and a speaker may be positioned under the mobile terminal 100. The ear jack 162 or the USB port 16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board 185b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이어잭(162)은 이어폰 또는 헤드폰과 같은 음향기기를 통해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음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이어잭(162)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The ear jack 162 includes a hole into which an earphone plug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is inserted so that sound can be output through an audio device such as an earphone or a headphone. The ear jack 162 may b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positioned below.

USB포트(161)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어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USB포트(161)와 이어잭(162)은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홀이 형성되며, 본체의 측면을 통해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어잭(162)이나 USB포트(161)가 위치하는 부분은 연속적인 부재를 위치시키기 어렵고 전원이 흐르거나, 신호가 이동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주변의 전자기장에 영향을 미친다. The USB port 16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computer to transmit/receive data by wire, or to receive power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hole is formed in the USB port 161 and the ear jack 162 to connect to an external device, and a hole is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the portion where the ear jack 162 or the USB port 161 is located is difficult to locate a continuous member and is a path through which power flows or signals travel, and thus affects the surrounding electromagnetic field.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 하부에 위치하는 안테나는 USB포트(161)나 이어잭(162)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옆쪽으로 안테나가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역에프 안테나(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와 같이 복수회 꺽어진 패턴형태의 안테나는 USB포트(161)나 이어잭(162)을 피해 좌우의 좁은 공간에 꺽어서 배치하였다.Therefore, the antenna located under the mobile terminal 100 is generally located to the side of the antenna except for the location where the USB port 161 or the ear jack 162 is formed. An antenna in the form of a pattern that is bent multiple times, such as a 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 is bent and disposed in a narrow space on the left and right avoiding the USB port 161 or the ear jack 162.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롯안테나는 다른 안테나와 달리 주변에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이어잭(162)과 USB포트(161)와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105)의 배면에 이어잭(162)과 USB포트(161)가 안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lot antenna is less affected by the surroundings unlike other antennas, it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ar jack 162 and the USB port 161. As shown in FIG. 5, the middle frame ( An ear jack 162 and a USB port 161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105).

또한, 상기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상기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에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와 체결시 스크류가 삽입되는 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05)의 상기 메탈 플레이트(1051) 부분에 형성하면, 보스에 의해 실장 공간이 제약되는 문제가 있으나, 보스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100)의 최외각으로 위치시킴으로 인해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스를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후면 하단에 위치하는 스피커의 공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oss into which a screw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when fastened to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f it is formed on the metal plate 1051 of the middle frame 105,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unting space is limited by the boss, but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is reduced by positioning the boss to the outermost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You can increase it. For example, by moving the boss to the end, the resonance space of the speak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ar can be secured.

제1 전도성 스트립(1052) 및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의 단부에 결합된 스터브(1061, 1062)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메탈 프레임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는 세로방향으로 꺽어져 연장될 수 있다. 스터브(1061, 1062)는 슬롯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하여 원하는 파장의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The stubs 1061 and 1062 coupled to the ends of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forementioned metal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5, the end portion may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to extend. The stubs 1061 and 1062 may emit a signal having a desired wavelength by substantiall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slot.

상기 스터브(1061, 1062)는 리어 케이스(102)가 결합 시 상기 전도성 스트립(1052, 1503)과 연결되도록 리어 케이스(102)의 내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터브(1061, 1062)의 형상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stubs 1061 and 106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ar case 102 to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strips 1052 and 1503 when the rear case 102 is coupled.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stubs 1061 and 1062 may hav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ar case 102.

도 6은 전술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디스플레이부(151)가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메탈 플레이트(1051)와 전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메탈 플레이트(1051)와 전도성 스트립 사이에 형성된 슬롯에 사출물(1055)이 주입됨 미들 프레임(105)이 결합된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cluding a metal plate 1051 and a conductive strip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to which the display unit 151 is coupled, and an injection product ( 1055 is injected The middle frame 105 is coupled.

미들 프레임(105)의 배면에 제2 메인기판(185b) 및 USB포트(161)가 안착되며, 전도성 스트립과 제2 메인기판(185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도성 스트립에 전원을 공급하는 피더(1065, 1066)가 도시되어 있다. The second main board 185b and the USB port 161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05, and the feeder 1065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ductive strip and the second main board 185b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strip. , 1066) is shown.

제2 메인기판(185b) 및 미들 프레임(105)의 배면에 실장된 배터리(191)를 커버하며 리어 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191) 탈착형인 경우 리어 케이스가 결합된 후 리어 케이스의 배면에 배터리(191)가 안착되고, 리어 케이스의 배면에 후면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main substrate 185b and the battery 191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05 may be covered, and the rear case may be coupled. In the case of the detachable battery 191, after the rear case is coupled, the battery 191 is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and the rea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안테나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전도성 스트립이 미들 프레임(105)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스트립 기판(188)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ductive strip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middle frame 105, but through a strip substrate 188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Can be implemented.

스트립 기판(188)은 단단한 인쇄회로 기판을 이용해 구현할 수도 있고, 연서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트립 기판(188)을 부분적으로 꺽어 상기 USB포트(161)나 이어잭(162)의 배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The strip substrate 188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Yeonseo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strip substrate 188 may be partially bent and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SB port 161 or the ear jack 162.

스트립 기판(188)은 이동 단말기(100) 외관을 구성하는 메탈 부재와 연결되더라도 안테나 방사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메탈 부재를 이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데에도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 Even if the strip substrate 188 is connected to a metal member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does not affect the antenna radiation performance, and thus there are few limitations in forming the exterior using the metal member.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안테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메탈데코(107a, 107b)를 전도성 스트립으로 이용하여 슬롯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전면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면 메탈데코를 이용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메탈데코(107a, 107b)를 이용할 수도 있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lot antenna may be implemented by using metal decks 107a and 107b constituting a part of a case as a conductive strip. A front metal deco constituting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front may be used, or metal deco 107a and 107b positioned around the side surfaces as shown in FIG. 8 may be used.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메탈데코(107a, 107b)를 전도성 스트립으로 이용하는 경우 메탈데코(107a, 107b)는 상기 미들 프레임(105)의 메탈 플레이트(105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메인기판(185b)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When the metal decor (107a, 107b) constituting a part of the case is used as a conductive strip, the metal decor (107a, 107b) is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1051 of the middle frame 105, and the second main substrate (185b) ) And can receive pow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62)이나 USB포트(161) 등이 삽입되는 공간의 확보를 위해 메탈데코(107a, 107b)가 제1 전도성 스트립(107a)과 제2 전도성 스트립(107b)이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도성 스트립(107a)과 제2 전도성 스트립(107b)은 각각 메탈 플레이트(10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8,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to which the ear jack 162 or the USB port 161, etc. are inserted, the metal deco (107a, 107b) is provided with a first conductive strip (107a) and a second conductive strip (107b). This can be separated.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7a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7b are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1051.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으로 상기 전도성 스트립(107a, 107b)이 연장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슬롯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별도의 스터브를 구비하지 않고도 충분한 길이의 슬롯을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conductive strips 107a and 107b can be extended to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length of the slot can be sufficiently secured,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a slot having a sufficient length can be implemented without having a separate stub. I can.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안테나(116)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안테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9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ntenna 116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FIG. 9,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antenna efficiency of FIG. 9.

전술한 실시예의 제1 안테나(116)에서 송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700MHz~960MHz)이고, 제2 안테나(117)가 송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은 중주파 대역(1.7GHz~2.1GHz)이다. 일부 국가는 이보다 높은 고주파 대역(2.6GHz)의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있어,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The frequency band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116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 low frequency band (700 MHz to 960 MHz), and the frequency band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second antenna 117 is a medium frequency band (1.7 GHz to 2.1 GHz). Some countries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signals of a higher frequency band (2.6 GHz), so a configur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the high frequency band is required.

본 실시예의 제1 피더(1065)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딜레이 라인(1065a, delay line)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는 전원공급부로부터 다이렉트로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연결되나, 본 실시예의 제1 피더(1065)는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연결되는 위치가 전술한 실시예(도 4 참조)보다 더 제1 방향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연결된다. The first feeder 1065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elay line 1065a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directly from the power supply, but the first feeder 1065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 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t a position that is more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의 파장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슬롯 안테나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전송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FIGS. 3A and 3B,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a signal of a high frequency band with a slot antenna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low frequency band.

저주파 대역 뿐만 아니라 고주파 대역에서도 공진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1 피더(1065)는 저주파 대역에 임피던스 매칭이 되는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의 위치로 연장되다가, 슬롯의 개방된 방향(제1 방향)으로 D2거리만큼 연장된 딜레이 라인(1065a)을 가질 수 있다. 딜레이 라인(1065a)의 길이는 상기 제1 안테나에서 공진하는 고주파 대역의 파장길이의 1/4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feeder 1065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that is impedance matched to the low frequency band so that the resonance effect can be exhibit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as well as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lot ( A delay line 1065a extending by a distance D2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provided. The length of the delay line 1065a may have a length of 1/4 or more of the wavelength of the high-frequency band resonated by the first antenna.

딜레이 라인(1065a)을 통해 고주파 대역의 신호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며, 딜레이 라인(1065a)의 길이를 조정하여 제1 안테나(116)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제1 안테나(116)에서 공진하는) 고주파 대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Impedance matching corresponding to the signal in the high frequency band is possible through the delay line 1065a, and transmission/reception of the signal to the first antenna 116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elay line 1065a (from the first antenna 116). Resonant) high frequency band can be changed.

본 실시예의 제1 안테나(116)는 2개의 브랜치 패턴(1063, 1064)을 더 포함하여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랜치 패턴(1063)의 일단은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다른 평면에서 연장되고, 제2 브랜치 패턴(1064)의 일단은 메인 기판(185)의 전원공급부(18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다른 평면에서 연장된다. The first antenna 116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wo branch patterns 1063 and 1064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a high frequency band. 11, one end of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the other end extends in a plane different from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second branch pattern ( One end of the 106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86 of the main substrate 185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a plan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제1 브랜치 패턴(1063)과 제2 브랜치 패턴(1064)은 리어 케이스의 배면에 인쇄되거나 부착되고 리어 케이스(102)에 의해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와 전기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브랜치 패턴(1063)의 일단부는 리어 케이스(102)를 관통하는 스크류(1052c)나 리어 케이스(102) 내측에 형성된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와 연결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랜치 패턴(1065)은 제1 스터브(1061)과 같은 경로(1052c)를 통해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may be printed o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and may be kept electr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by the rear case 102. One end of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by having a screw 1052c penetrating the rear case 102 or a connection terminal formed inside the rear case 102. As shown in FIG. 9, the first branch pattern 106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through the same path 1052c as the first stub 1061.

제1 브랜치 패턴(1063)과 제2 브랜치 패턴(1064)를 이용하여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파장 길이의 1/4길이로 형성하면 해당 주파수에서 공진이 이루어져 안테나로서 활용할 수 있다.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can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a high frequency band. Can be utilized.

이때, 넓은 대역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2.5GHz ~2.7GHz)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2개로 분산시킬 수 있다. 2개의 포인트에서 공진이 되도록 구성하기 위해 제2 브랜치 패턴(1064)은 제1 공진 주파수(본 실시예에서는 2.5GHz)와 매칭되도록 제1 공진주파수의 파장 길이의 1/4의 길이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브랜치 패턴(1063)은 제2 공진 주파수(본 실시예에서는 2.7GHz)와 매칭되도록 제2 공진주파수의 파장 길이의 1/4의 길이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브랜치 패턴(1063)과 제2 브랜치 패턴(1064)의 길이는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2, the resonant frequency points may be distributed into two so that a signal of a wide band can be used (2.5GHz ~ 2.7GHz). In order to resonate at two points,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forms a pattern with a length of 1/4 of the wavelength of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so as to match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2.5 GHz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may form a pattern with a length of 1/4 of the wavelength of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so as to match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2.7 GHz in this embodiment). In this case, the lengths of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may be reversed.

제1 피더(1065)도 고주파 대역의 신호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길이를 제1 공진주파수의 파장의 1/4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전원공급부(186)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feeder 1065 may als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power supply unit 186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1/4 of the wavelength of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for impedance matching with the signal in the high frequency band.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브랜치 패턴(1063)은 제1 슬롯(1056)이 개방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브랜치 패턴(1064)은 제1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브랜치 패턴(1063)의 타단과 제2 브랜치 패턴(1064)의 타단은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한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lot 1056 is opened, and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Is extended in the first direction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face each other.

제1 브랜치 패턴(1063)의 타단과 제2 브랜치 패턴(1064)의 타단 사이의 간격(a)은 5mm이하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브랜치 패턴(1063, 1064)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안테나(11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2.5GHz~2.7GHz)의 신호에서 공진할 수 있다. The distance a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may be 5 mm or less. By further providing the two branch patterns 1063 and 1064, the first antenna 116 may resonate in a signal of a high frequency band (2.5 GHz to 2.7 GHz) as shown in FIG. 12.

또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더(1065)와 연결되는 스위치(187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1871)는 메인기판(185)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86)로부터 연결된 제1 피더(1065)는 스위치(1871)를 통해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에 연결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 and 11, a switch 1871 connected to the first feeder 1065 may be further provided. The switch 1871 may be formed on the main substrate 185, and the first feeder 1065 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186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through the switch 1871.

스위치(1871)의 ON/OFF 여부에 따라 제1 안테나(116)에 인가되는 전류가 변화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과 매칭된다. 도 12을 참고하면 저주파 대역에서 2개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스위치(1871)의 ON/OFF여부에 따라 저주파 대역의 공진주파수 대역이 변화할 수 있다.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antenna 116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switch 1871 is turned on or off, and is matched with another frequency band. Referring to FIG. 12, two graphs are shown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resonant frequency band of the low frequency band may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switch 1871 is turned on/off.

도 12의 S21은 제1 안테나(116)와 제2 안테나(117)가 동시에 작동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S21)로서, 중주파 대역에서 크기가 커져 제1 안테나(116)와 제2 안테나(117)가 동시에 구동시에는 간섭이 문제된다. 다만, 도9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브랜치 패턴(1063)과 제2 브랜치 패턴(1064)을 더 구비한 제1 안테나(116) 구조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2 안테나(117)의 공진 주파수 대역인 중주파 대역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어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제1 안테나(116)와 제2 안테나(117)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S21 of FIG. 12 is a graph (S21) showing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antenna 116 and the second antenna 117 affect each other when operating at the same time. As the size increases in the mid-frequency band, the first antenna 116 and the second antenna 117 When the antennas 117 are simultaneously driven, interference is a problem.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tenna 116 further including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second branch pattern 1064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a signal of a high frequency band. In countries that do not use a high-frequency signal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terference in the mid-frequency band, which is the resonant frequency band of the antenna 117, the structure is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116 and the second antenna 117. There is a need to improve.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1 안테나(11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안테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antenna 116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and FIG. 15 is a graph showing antenna efficiency of FIG.

본 실시예는 제1 슬롯(1056)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1 피더(1065)가 연결부(1054) 근처에서부터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된 제1 피더(1065)의 단부는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연결(1052c)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872)는 제1 피더(1065)보다 연결부(1054)에 가까운 지점에서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연결된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feeder 1065 disposed across the first slot 1056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from near the connection portion 1054. The end of the extended first feeder 1065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1052c), and as shown in FIG. 14, the switch 1872 is closer to the connection part 1054 than the first feeder 1065. It is connected with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t a point.

제1 전도성 스트립(1052)과 제1 피더(1065) 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루프안테나(loop antenna)의 형태를 이룬다. 루프안테나(loop antenna)는 특정 방향으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지향성이 있어, 주변 전자기기에 영향이 작기 때문에 제2 안테나(117)의 영향을 적게받고 안정적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the first feeder 1065 form a loop antenna as shown in FIG. 14. Since the loop antenna has directivity that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in a specific direction, it is less affected by the second antenna 117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a stable signal.

본 실시예는 전술한 도 9의 실시예와 달리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으나, 고주파 대역의 신호로 통신을 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보다 안정적으로 저주파 대역의 신호 및 중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9, it is not possible to transmit/receive a signal in a high frequency band, but in an area that does not communicate with a signal in a high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in a low frequency band and a signal in the middle frequency band have.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터브(1061)는 상기 제1 피더(1065)와 연결되어 직접 전원을 인가받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tub 1061 is connected to the first feeder 1065 to receive power directly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도 15를 참조하면 2개의 안테나(116, 117) 간의 간섭을 나타내는 S21그래프는 비교적 평탄한 곡선을 나타내고 있어, 제1 안테나(116)와 제2 안테나(117)가 동시에 구동하더라도 간섭이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S21 graph represent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antennas 116 and 117 shows a relatively flat curve, so even if the first antenna 116 and the second antenna 117 are simultaneously driv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large. I can.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안테나(11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7는 도 16의 단면도이다. 1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antenna 116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6.

도 9에 도시된 스위치(1871)을 이용하여 제1 주파수(예를 들면 700MHz)에서 제2 주파수(예를 들면 900MHz)로 또는 그 반대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나, 급전에서 단락지점간 거리만 달라져 안테나 매칭열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The resonant frequency can be changed from a first frequency (for example, 700 MHz) to a second frequency (for example, 900 MHz) or vice versa using the switch 1871 shown in FIG. 9, but only the distance between short-circuit points in the power supply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antenna matching deterioration occurs.

도 18의 (a)는 도 9의 스위치(1871)을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시의 주파수 특성에 관한 그래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주파수에서 제1 주파수로 공진주파수가 변경 시 주파수 특성이 나빠진다. (주파수 dB이 음의 값이 커질수록 주파수 특성이 좋음)As shown in the graph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during impedance matching using the switch 1871 of FIG. 18(a), when the resonant frequency is changed from the second frequency to the first frequency,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deteriorate. (The higher the negative value of the frequency dB, the bett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본 실시예는 저주파 대역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매칭하기 위해 제1 방사체(1052)와 연결된 스위치(1873)를 동작하면, 공진특성이 달라져 저주파 대역에서 주파수 스위칭 시에 성능을 개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83)는 제1 피더(1065)와 제1 방사체(1052)의 연결 상태를 변경하여 안테나의 형태를 변형시키며, 스위치(1083)가 OFF상태에서는 제1 주파수에서 공진하고, 스위치(1083)가 ON상태에서는 제2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witch 1873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1052 is operated in order to match signals of other frequency bands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 resonanc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during frequency switching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 switch 108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hanges the shape of the antenna by chang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feeder 1065 and the first radiator 1052, and when the switch 1083 is OFF, it resonates at the first frequency. , When the switch 1083 is ON, it resonates at the second frequency.

본 실시예에서 제1 방사체는 제1 전도성 스트립(1052)를 포함하고, 제1 스터브(106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브랜치 패턴(1063)은 상기 제1 방사체(1052)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1 브랜치 패턴(106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에서 딜레이 라인과 함께 커플링되어 주파수 특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의 형태를 변형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adiator includes a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tub 1061, and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extends from the first radiator 1052. .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is coupled together with a delay line in a high frequency band to improv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an antenna is modified.

스위치(1873)가 OFF상태에서는 상기 제1 브랜치 패턴(1063)과 제1 피더(1065)가 연결되지 않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슬롯 안테나 또는 PIFA안테나로 작동하여, 제1 방사체(1052)의 길이의 4배에 상응하는 파장의 주파수(제1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도 19의 (a)는 스위치(1873)가 OFF상태인 경우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접지지점)에서 제1 방사체(1052)를 따라 전류가 흐른다. When the switch 1873 is in the OFF state,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first feeder 1065 are not connected, and thus operate as a slot antenna or a PIFA antenna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resonates at a frequency (first frequency) of a wavelength corresponding to four times its length. FIG. 19A shows the flow of current when the switch 1873 is in the OFF state, and the current flows along the first radiator 1052 at the connection part (ground point).

스위치(1873)가 ON상태가 되면 제1 브랜치 패턴(1063)과 상기 제1 피더(1065)가 연결된다. 제1 피더(1065)가 딜레이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딜레이 라인과 제1 브랜치 패턴(1063)을 연결한다. 도 19의 (b)는 스위치(1873)가 ON상태인 경우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접지지점)에서 제1 전도성 스트립과 제1 브랜치 패턴(1063), 스위치(1873) 및 딜레이 라인을 통해 피더까지 연결되는 루프 구조를 형성한다. When the switch 1873 is turned on,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nd the first feeder 1065 are connected. When the first feeder 1065 includes a delay line, the delay line and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16. FIG. 19B shows the flow of current when the switch 1873 is in the ON state, and the first conductive strip and the first branch pattern 1063, the switch 1873, and the delay line are connected at the connection part (contact point). It forms a loop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feeder through.

상기 루프의 길이의 2배 길이의 파장의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제2 주파수)가 된다. 즉, 스위치(1873)에 의해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전술한 PIFA안테나의 길이보다 길어지나, 루프 안테나의 경우 공진 주파수 파장의 1/2의 길이로 형성해야 하므로, 실제로는 더 짧은 파장의 주파수에서 공진하게 된다. The frequency of the wavelength twice the length of the loop becomes the resonant frequency (second frequency). That is, when the loop is formed by the switch 1873, the length of the PIFA antenna is longer than that of the above-described PIFA antenna, but the loop antenna must be formed with a length of 1/2 of the resonant frequency wavelength. It is done.

도 18의 (b)는 도 16과 같이 딜레이 라인(1065a)과 제1 전도성 스트립(1052)이 연결되는 구조에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700MHz와 960MHz에서 모두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스위치(1873)는 제1 안테나(116)의 단락지점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안테나의 길이 및 구조를 바꾸어 전류의 흐름과 안테나의 태양을 모두 바꾸어 7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열화 없이 매칭되는 효과가 있다. FIG. 18B is a graph showing signal strength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elay line 1065a and the first conductive strip 1052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16, and shows high efficiency at both 700MHz and 960MHz. In the embodiment of FIG. 16, the switch 1873 does not change the short-circuit point of the first antenna 116, but changes both the current flow and the aspect of the antenna by changing the length and structure of the antenna. There is a matching effect.

도 20은 도 16의 변형 실시예로 상기 스위치(1874)는 제1 방사체(1052)와 제3 방사체(1011)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제1 방사체(1052)와 제3 방사체(1011)는 이격되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제1 방사체(1052)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스위치(1874)는 제3 방사체(1011)와 제1 피더(1065)를 연결하여 상기 제3 방사(1011)체를 이용해 무선통신을 할 수 있다. 20 is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16, wherein the switch 1874 selectively connects the first radiator 1052 and the third radiator 1011. When the first radiator 1052 and the third radiator 1011 are spaced apart and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first radiator 1052 does not function properly, the switch 1874 is connected to the third radiator 1011 and the first radiator. By connecting the feeder 1065,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third radiating body 1011.

예를 들면, 제1 방사체(1052)와 제2 방사체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노출되고, 제3 방사체(101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노출된 전도체인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으로 파지하면, 측면에 노출된 제1 방사체(1052)와 제2 방사체(1053)에 손에 닿게 되고, 상기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바뀌어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제1 방사체(1052)와 제2 방사체(1053)에 사용자의 손이 닿아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스위치(1874) 전면 제3 방사체(1011)와 연결하여 안테나의 방사체를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radiator 1052 and the second radiator are expos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third radiator 1011 is a conductor exposed in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moves. When the terminal 100 is held by hand, the first radiator 1052 and the second radiator 1053 exposed to the side are touched, and the flow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tenna is changed, resulting in a problem of deteriorating call quality. . When the user's hand touches the first radiator 1052 and the second radiator 1053 and the call quality deteriorates, the radiator of the antenna may be changed by connecting to the third radiator 1011 in front of the switch 1874.

이 경우, 상기 제1 방사체(1052)와 제1 피더(1065)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추가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874)가 ON이 되어 제3 방사체(1011)와 제1 피더(1065)가 연결되었을 때에, 상기 추가 스위치가 OFF되어 제1 방사체(1052)와 제1 피더(1065) 사이의 연결을 끊으면 제1 방사체(1052)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In this case, an additional switch may be further included to selectively connect between the first radiator 1052 and the first feeder 1065. When the switch (1874) is turned on and the third radiator (1011) and the first feeder (1065) are connected, the additional switch is turned off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radiator (1052) and the first feeder (1065). When disconnected,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first radiator 1052,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제2 안테나(117)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안테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2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antenna 117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graph showing antenna efficiency of FIG. 21.

제2 안테나(117)는 제1 안테나(116)에 비해 길이가 짧고, 2000Hz전후의 신호를 송수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제2 슬롯(1057)만으로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경우 도 22에 도시된 그래프 중에 하나의 최적 포인트(1.9GHz)만 존재하여 수평의 점선 이하(유효한 신호세기)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이 좁다. 다양한 통신 방법에 이용하기 위해 제2 안테나(117)가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넓힐 필요가 있다. The second antenna 117 is shorter in length than the first antenna 116 and can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round 2000 Hz. In the case of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only with the second slot 1057, only one optimum point (1.9 GHz) in the graph shown in FIG. 22 is present, so that the frequency band located below the horizontal dotted line (effective signal strength) is narrow. In order to be used in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frequency band that the second antenna 117 can use.

제3 브랜치 패턴(1068)은 일단이 제2 안테나(117)의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에 연결되며, 제2 전도성 스트립(1053) 및 메탈 프레임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연장된다. 제3 브랜치 패턴(1068)은 리어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3 브랜치 패턴(1068)의 일단은 리어 케이스(102)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전도성 스트립(1053)과 접촉한다. The third branch pattern 1068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of the second antenna 117 and extends apart from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and the metal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ird branch pattern 1068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and one end of the third branch pattern 1068 is located inside the rear case 102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rear case, and the second conductive strip ( 1053).

다음으로, 제4 브랜치 패턴(1069)은 제2 안테나(117)와 인접한 위치의 메인기판(185)에 일단이 연결되어 메인기판(185)을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 받는다. 제2 전도성 스트립(1053)과 소정거리 이격되며 배치되고, 제4 브랜치 패턴(1069) 역시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fourth branch pattern 1069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substrate 185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antenna 117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rough the main substrate 185.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ourth branch pattern 1069 may also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상기 제3 브랜치 패턴(1068)과 상기 제4 브랜치 패턴(1069)은 중주파 대역의 밴드 범위를 변화시키기 위해 공진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파장 길이의 1/4크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3 브랜치 패턴(1068)은 제1 공진주파수(본 실시예에서는 1.7GHz)의 파장길이의 1/4크기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고, 제4 브랜치 패턴(1069)은 제2 공진주파수 본 실시예에서는 2.1 GHz)의 파장길이의 1/4크기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third branch pattern 1068 and the fourth branch pattern 1069 may have a length of 1/4 of the wavelength of the frequency band for resonance in order to change the band range of the middle frequency band. The third branch pattern 1068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1/4 of the wavelength of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1.7 GHz in this embodiment), and the fourth branch pattern 1069 is the second resonant frequency. In the example, it can be formed with a length of 1/4 of the wavelength of 2.1 GHz).

본 실시예는 메인 기판(185)에서 연장된 제2 피더(1066)가 제2 전도성 스트립(1053)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나, 제4 브랜치 패턴(1069)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제2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feeder 1066 extending from the main substrate 185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trip 1053, bu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fourth branch pattern 1069, a magnetic field is formed 2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ntennas.

제3 브랜치 패턴(1068)과 상기 제4 브랜치 패턴(1069)을 추가하면, 도 16과 같이 중주파 대역의 밴드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어 1700MHz~2100MHz범위의 신호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third branch pattern 1068 and the fourth branch pattern 1069 are added, as shown in FIG. 16, the band of the mid-frequency band is widened, so that all signals in the range of 1700 MHz to 2100 MHz can be us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금속 부분에 의한 안테나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interference of an antenna due to a metal part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by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또한 외부에 메탈 소재를 이용할 수 있어 디자인의 제약이 적어 디자인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어잭(162)이나 USB포트(161)와 같은 외부 단자 연결부(1054)에 의한 안테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내부 부품 배치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metal material can be used outside, the design quality can be improved due to less design restrictions, and the antenna space is not limited by the external terminal connector 1054 such as the ear jack 162 or the USB port 161.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arrangement of internal parts can be improv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단말기 105: 미들 프레임
116: 제1 안테나 117: 제2 안테나
1051: 메탈 플레이트 1052: 제1 전도성 스트립
1053: 제2 전도성 스트립 1054: 연결부
1055: 사출물 1056: 제1 슬롯
1057: 제2 슬롯 1061, 1062: 스터브
1065, 1066: 피더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61: USB포트 162: 이어잭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85: 메인기판 185a: 제1 메인기판
185b: 제2 메인기판 185c: 연결기판
190: 전원공급부
100: mobile terminal 105: middle frame
116: first antenna 117: second antenna
1051: metal plate 1052: first conductive strip
1053: second conductive strip 1054: connection
1055: ejection product 1056: first slot
1057: second slot 1061, 1062: stub
1065, 1066: feeder 110: wireless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60: interface unit
161: USB port 162: Ear jack
170: memory 180: control unit
185: main substrate 185a: first main substrate
185b: second main substrate 185c: connecting substrate
190: power supply

Claims (18)

본체;
상기 본체에 실장되는 판형의 메탈 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연결부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이격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피더;
일단이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된 제1 브랜치 패턴(branch pattern)을 포함하는 보조 방사체; 및
상기 보조 방사체와 상기 제1 피더 사이의 연결을 ON/OFF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가 ON인 경우,
상기 제1 방사체, 상기 연결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1 브랜치 패턴 및 상기 제1 피더가 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전류가 흐르고,
상기 루프는 상기 루프의 길이의 2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2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와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main body;
A plate-shaped metal plate mounted on the main body;
A first radiato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etal plate through a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part from the metal plate from the connection part;
A first feeder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to supply power;
An auxiliary radiator at one end including a first branch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And
And a first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radiator and the first feeder,
When the first switch is ON,
The first radiator, the connection part, the first feeder, the first branch pattern, and the first feeder form a loop so that a current flows along the loop,
Wherein the loop resonates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twice the length of the loo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브랜치 패턴과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witch is
A mobile terminal, wherein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attern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OFF인 경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피더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1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와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resonates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of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connector and the first fee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 피더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브랜치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랜치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제2 브랜치 패턴의 타단과 마주보며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further includes a second branch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feeder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ranch pattern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faces and is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ranch patter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제1 브랜치 패턴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3 주파수와 공진하거나,
상기 제2 브랜치 패턴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4 주파수와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radiator,
Resonates with a third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of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first branch pattern, 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resonates with a fourth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of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second branch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와 다른 위치에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 효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3 방사체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ON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radiator is
And a third radiator dispos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first radiator and spaced apart from the metal plate and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at one e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urn on the first switch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radiator when the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of the signal through the first radiat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더와 상기 제1 방사체의 연결을 ON/OFF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OFF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ON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ON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connection of the first feeder and the first radiator,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메탈 케이스이고,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메탈 케이스를 사용자가 접촉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radiator is a side metal cas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third radiator is disposed on the front or inside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When a user contacts the side metal case,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방사체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피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방사체의 길이는 상기 제1방사체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radiato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nnecting pa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adiato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eede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radiator,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radiator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radiat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더는
전원과 연결된 전원 라인;
상기 제1 방사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딜레이 라인(delay line); 및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된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eeder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 delay lin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radiator; And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딜레이 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switch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elay lin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딜레이 라인의 길이의 4배 길이의 파장을 갖는 제3 주파수와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radiato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resonates with a third frequency having a wavelength of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delay 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93901A 2015-04-22 2015-07-01 Mobile terminal KR102243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01A KR102243660B1 (en) 2015-07-01 2015-07-01 Mobile terminal
US14/937,621 US9866252B2 (en) 2015-04-22 2015-11-10 Mobile terminal
EP15194262.0A EP3086403A1 (en) 2015-04-22 2015-11-12 Mobile terminal
CN201610034287.9A CN106067826B (en) 2015-04-22 2016-01-19 Mobile terminal
US15/847,104 US10361743B2 (en) 2015-04-22 2017-12-19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01A KR102243660B1 (en) 2015-07-01 2015-07-01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69A KR20170004069A (en) 2017-01-11
KR102243660B1 true KR102243660B1 (en) 2021-04-23

Family

ID=5783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901A KR102243660B1 (en) 2015-04-22 2015-07-01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6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4544A (en) * 2018-09-11 2020-05-22 Lg电子株式会社 Mobile terminal
CN113140889B (en) * 2020-01-20 2024-06-07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Mobile devices
KR102684248B1 (en) * 2020-04-08 2024-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related to antenna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262A (en) 2010-09-16 2012-04-26 Nec Corp Antenna apparatus
US20120214424A1 (en) 2011-02-23 2012-08-23 Mediatek Inc. Single Input/Multiple Output (SIMO) or Multiple Input/Single Output (MISO) or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MIMO) Antenna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262A (en) 2010-09-16 2012-04-26 Nec Corp Antenna apparatus
US20120214424A1 (en) 2011-02-23 2012-08-23 Mediatek Inc. Single Input/Multiple Output (SIMO) or Multiple Input/Single Output (MISO) or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MIMO) Antenn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69A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799B1 (en) Mobile terminal
US10361743B2 (en) Mobile terminal
KR102260640B1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US9685694B2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658733B2 (en) Mobile terminal
KR101604759B1 (en)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186844B1 (en) Electronic device
KR20180021432A (en) Mobile terminal
KR20170037464A (en) Mobile terminal
KR102243663B1 (en) Mobile terminal
KR102088825B1 (en) Antenna device of a mobile terminal
KR20200089330A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KR102192822B1 (en) Mobile terminal
KR102243660B1 (en) Mobile terminal
KR20160084745A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128262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67025A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20160066396A (en) Mobile terminal
KR20160034576A (en) Mobile terminal
KR101818115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