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643A -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 Google Patents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643A
KR20160084643A KR1020150001117A KR20150001117A KR20160084643A KR 20160084643 A KR20160084643 A KR 20160084643A KR 1020150001117 A KR1020150001117 A KR 1020150001117A KR 20150001117 A KR20150001117 A KR 20150001117A KR 20160084643 A KR20160084643 A KR 2016008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ile
concrete
base pile
heav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1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0513B1 (en
Inventor
김선학
최철용
Original Assignee
김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학 filed Critical 김선학
Priority to KR102015000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513B1/en
Publication of KR2016008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A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support of a heavy object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which use a base pile unit and an upper end cover unit to directly install base supports at a site, and connect and install the base supports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To achieve the objec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upport of a heavy object comprises: a base pile unit (40) formed in a pipe shape whos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buried in the base ground (10) except an upper end thereof, on which a support (30) of a heavy object is fixed and installed; and an upper end cover unit (50) of a pipe shape installed to enclose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unit (40) exposed above the base ground (10), wherein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thereof are opened and a diameter thereof is larger than the base pile unit (40). Concrete (60) is deposited in a space between the base pile unit (40) and the upper end cover unit (50).

Description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및 그 받침대 시공방법{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dation for supporting a heavy object,

본 발명은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및 그 받침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패널과 같은 중량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및 그 받침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dation base for a heavy objec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ba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dation base for a heavy objec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base.

흙으로 된 원지반에 펜스, 방범망, 소음 차단벽, 안전 울타리, 태양광 패널 지지대 등과 같은 중량물을 설치하는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독립된 기초 받침대를 원지반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In order to install heavy materials such as fence, security net, noise barrier, safety fence, solar panel support, etc. on the ground paper, first, an independent foundation base should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aperboard do.

도 1 및 도 2에는 중량물의 한 종류인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초 받침대 구성을 나타낸다.Figs. 1 and 2 show a conventional bas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panel, which is a kind of heavy material.

먼저,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거푸집을 제작하고, 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중앙에 지지판(600)을 세우고 2 ~ 3일 간 양생시킨다. 양생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하여 기초 받침대(400)를 완성한다. First, a mold having a certain shape is manufactured, concrete is placed in the mold, and a support plate 600 is placed at the center and cured for 2 to 3 days. After the curing time has elapsed, the mold is removed to complete the foundation pedestal (400).

제작된 콘크리트식 기초 받침대(400)를 공사 현장으로 운반하고, 태양광 패널(200)이 설치될 위치에 따라 원지반을 파내는 터파기 작업을 수행한다. 굴착된 원지반 내에 상기 콘크리트식 기초 받침대(400)를 삽입하여 위치시킨 후에 다시 되메우기 및 원지반 다지기 작업을 수행한다. The constructed concrete foundation pedestal 400 is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site and a tear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dig a ground sheet according to a location where the solar panel 200 is to be installed. The concrete type foundation pedestal 400 is inserted into the excavated floor and placed thereon, and thereafter, back-up and chopping are performed.

원지반 다지기 작업이 완료되면, 복수 개의 태양광 패널(200)의 지지대(300)를 상기 기초 받침대(400)의 지지판(600)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태양광 패널(200)의 지지대(300) 하부에 마련된 베이스(500)를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초 받침대(400)의 지지판(600)과 견고히 결합시킴으로써 설치 공사가 완료된다. The supporting table 300 of the plurality of solar panels 200 is disposed on the supporting plate 600 of the base pedestal 400, The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d by firmly coupling the base 500 provided at the lower part with the support plate 600 of the base pedestal 400 using an anchor bolt or the like.

이 때, 상기 태양광 패널(200)의 구조적 안정성은 콘크리트식 기초 받침대(400)의 중량과 원지반(100)에 의해 좌우 유동을 잡아주는 지지력에 의해 좌우된다. At this tim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olar panel 200 depends on the weight of the concrete-type foundation pedestal 400 and the supporting force for holding the left and right flows by the paper sheet 100.

그러나, 상기 기초 받침대(400)를 사용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먼저, 콘크리트식 기초 받침대(400)를 제작하는 과정이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배합 및 타설 등으로 복잡하고, 2 ~ 3일 간의 양생 기간이 요구되므로 제작 기간도 오래 걸렸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oundation pedestal 400, the following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Firs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oncrete-type foundation pedestal 400 is complicated by formwork, concrete mixing, and pouring, and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to cure because the curing period is required for 2 to 3 days.

또한, 콘크리트로 제작된 관계로 기초 받침대 자체가 50 ~ 60kg 정도 나가는 중량물이어서 이를 산비탈과 같은 공사 현장으로 운반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식 기초 받침대(4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원지반을 파헤지는 터파기, 되메우기, 다짐 등의 작업이 추가로 요구되므로 시공방법 자체도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렸다. In addition, since the base pedestal itself is made of concrete, the weight of the base pedestal itself is 50 to 60 kg, which is difficult to transport to a construction site such as a mountainous area. 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concrete-type foundation pedestal 400, the construction method itself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because it requires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digging, backing, compaction, and the like.

더욱이, 한번 파헤쳐진 원지반은 이완되어 원래의 원지반보다 다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기초 받침대의 좌우 유동을 잡아주는 지지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기초 받침대 주위로 덜 다져진 부분에서는 강우 시에 흙의 세굴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설치된 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고, 심한 경우에는 태양광 패널과 같은 고가의 제품이 손상되어 추가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undeveloped ground is loosened and the degree of compactness is lower than that of the original ground, not only is the supporting force for holding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foundation pedestal weak, but also the scoring phenomenon occurs at the part where the pedestal is less rounded around the pedestal.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ed structure tilts or falls, and in the severe case, expensive products such as a solar panel are damaged, resulting in an additional installation cos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중량물 기초 받침대를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기초 말뚝부와 상단 덮개부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기초 받침대를 설치하고 각 기초 받침대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및 그 받침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using such a conventional heavy foundation pedestal,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edestal pedestal directly on site by using the foundation pile portion and the top lid por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pedest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고, 상단부를 제외하고 원지반에 일정한 깊이로 매입되며, 그 위에 중량물의 지지대가 고정 설치되는 기초 말뚝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기초 말뚝부보다 직경이 더 큰 관 형태를 이루고, 상기 기초 말뚝부 중에서 원지반 위에 노출되는 상기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상단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말뚝부와 상기 상단 덮개부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support for a heavy object, the base support having a tubular shap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is embedd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ase paper except for the upper end, Foundation pile; And an upper lid part which is opened to op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nd has a tube shap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base pile part and which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art exposed on the ground plate among the base pile parts, And the concrete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lid part.

또한, 상기 기초 말뚝부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 덮개부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내측 스터드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upling outer stub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inner stud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lid.

또한, 상기 상단 덮개부의 외주면에는 연결용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연결용 플랜지에는 인접하는 상단 덮개부를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수평 지지대가 결합될 수 있다.Further, a connecting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lid part, and a horizontal support part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adjacent top lid parts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flange.

또한,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기초 말뚝부와 상기 상단 덮개부의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기초 말뚝부의 내부 공간에도 타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중량물의 지지대는 상기 기초 말뚝부의 내부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rete may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ile and the top lid, but also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ile. In this case, the support of the heavy object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concret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oundation pile.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받침대 시공방법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는 기초 말뚝부를 그 상단부를 제외하고 원지반에 매입시키는 단계;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기초 말뚝부보다 직경이 더 큰 관 형태를 이루는 상단 덮개부를 상기 기초 말뚝부 중에서 원지반 위에 노출되는 상기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 말뚝부와 상기 상단 덮개부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 말뚝부 위에 중량물의 지지대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edestal for a heavy object, the method comprising: embedding a base pile having a tube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oth opened, Providing an upper lid portion having a tube shape larger than the base pile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ase pile portion exposed on the ground plate; Placing the concrete in a space between the base pile and the top lid; And fixing the support of the heavy object on the foundation pile.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에 의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기초 말뚝부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 덮개부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내측 스터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rete pouring step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er studs for join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y the concrete, and a plurality of inner studs for joining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lid have.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상기 상단 덮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용 플랜지에 인접하는 상단 덮개부를 상호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 지지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crete pouring step may further include joining the horizontal support to the top cover adjacent to the connecting flang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to connect and fix the top cover.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기초 말뚝부와 상기 상단 덮개부의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기초 말뚝부의 내부 공간에도 타설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량물의 지지대 고정 설치 단계는, 상기 중량물의 지지대를 상기 기초 말뚝부의 내부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Also, the concrete pouring step may place the concrete not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ile and the top lid, but also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ile. At this time, the step of supporting and fixing the support of the heavy object may be fixed on the concret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oundation pi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및 그 받침대 시공방법에 따르면, 관 형태의 기초 말뚝부를 원지반에 일정 깊이로 매입함으로써 다짐도가 우수한 원지반의 지지력을 이용할 수 있고, 기초 말뚝부의 상단부에 상단 덮개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력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를 제공해 준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foundation of a heavy objec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supporting force of a ground sheet having a high degree of compaction by embedding a foundation- By providing the concrete by using the lid par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utilized at the same time, thereby providing a base support for a heavy object which greatly improves the structural stability.

또한, 상기 상단 덮개부에 형성된 연결용 플랜지를 이용하여 인접한 상단 덮개부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켜준다.Further, the adjacent top end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connecting flange formed on the top end portion,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또한, 상기 기초 말뚝부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를 설치하고 상기 상단 덮개부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결합용 내측 스터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말뚝부와 상단 덮개부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합력을 향상시켜준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oupling outer stub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ile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inner studs for coupl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lid portion, the coupling force by the concrete placed between the base pile and the top lid Improve.

또한, 상기 기초 말뚝부와 상단 덮개부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기초 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체인 기초 받침대를 현장으로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켜준다. In addition, by using the foundation pile portion and the top lid por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edestal pedestal directly in the field,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 pedestal pedestal of the weight pedestal to the site.

도 1은 종래의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말뚝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덮개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말뚝부와 상단 덮개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base pedestal of a conventional heavy object.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foundation pedestal of a heavy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basic pi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5 shows a top li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pile and the top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rizont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foundation pedestal of a heavy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말뚝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덮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말뚝부와 상단 덮개부의 콘크리트에 의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oundation of a heavy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ounda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top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suppor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undation pile and an upp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concrete.

본 실시예에서는 기초 받침대 상에 지지 고정되는 중량물로서 태양광 패널(20)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펜스, 방범망, 소음 차단벽, 안전 울타리 등 원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중량물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lar panel 20 is illustrated as a heavy object supported and fixed on the base pedest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ither will be applicable.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는 크게 원지반(10)에 일정한 깊이로 매입되는 기초 말뚝부(40), 이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지면 상에 노출된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상단 덮개부(50), 이 기초 말뚝부(40)와 상단 덮개부(50)를 결합시키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60)로 구성된다.The foundation base of the heavy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base pile portion 40 which is embedded in the ground surface 10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upper cover portion 40 which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foundation pile portion 40 50, and a concrete 60 pushed to join the base pile 40 and the top lid 50.

상기 기초 말뚝부(40)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고, 상단부를 제외하고 원지반(10)에 일정한 깊이로 매입되며, 그 위에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가 고정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는 기초 말뚝부(40)에 볼트 결합 등에 의해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기초 말뚝부(40)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앙카 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pile (4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both upper and lower openings. The base pile (40) is embedded in the ground board (10) at a predetermined depth except for the upper end, Respectively. More precisely, the support 30 of the solar panel 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base pile 40 by bolting or the like, and anchor bolts And can be indirectly coupled.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기초 말뚝부(40)는 상하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관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원지반(10)에 매입된 상태에서 기초 말뚝부(40)의 내부에 위치하는 원지반(10)의 지지력을 그대로 이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원형의 관 형태를 이루는 기초 말뚝부(40)의 지름은 그 내부에 충분한 양의 원지반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원지반의 지지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 만큼의 지름 크기는 기초 말뚝부(40) 위에 설치되는 중량물의 형태나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수치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foundation pile portion 40 has a tub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up and dow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paper cloth 10 located in the base pile portion 40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paper cloth 10 as it is.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base pile (40), which has a circular tube shape, has a size enough to contain a sufficient amount of ground. Of course,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base pile 40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shape and weight of the weight of the base pile 40,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diameter of the base pile 40 to a numerical value.

또한,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원지반(10)에 매입되는 깊이도 그 내부에 충분한 양의 원지반의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원지반(10)의 지지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 만큼의 깊이는 기초 말뚝부(40) 위에 설치되는 중량물의 형태나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수치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ground pile (10) embedded in the base pile (40) has such a size that it can include a sufficient amount of the grou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epth sufficient to us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paperboard 10 is not limited to the numerical value because i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and the weight of the heavy material provided on the base pile portion 40.

상기 기초 말뚝부(40)는 원지반(10)에 매입된 상태에서 원지반(10) 위에 노출되는 상단부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41)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결합용 외측 스터드(41)는 기초 말뚝부(40)와 상단 덮개부(50)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6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준다. The base pile (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uter studs (41) for coupl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exposed on the paperboard (10) while being embedded in the paperboard (10). The joining outer stud 41 improv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se pile 40 and the concrete 60 placed between the top cover 50 and the base pile 40.

상기 결합용 외측 스터드(41)는 기초 말뚝부(40)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때, 기초 말뚝부(40)의 중앙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외측 스터드(41)는 비록 매입하는 때에 더 큰 외력을 필요로 하나, 매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원지반(10)과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켜준다. The coupling outer stator 41 may be install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ase pile 40. At this time, the outer stud 41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r the lower end of the base pile 40 requires a larger external force at the time of embedding, but the embedding force with the ground plate 10 is further improved give.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상단 덮개부(50)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기초 말뚝부(40)보다 직경이 더 큰 관 형태를 이루고,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원지반(10) 위에 노출되는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 덮개부(50)는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원지반 위에 노출되는 상단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top lid 50 is open at both the top and the bottom and has a tube shap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base pile 40. The top plate 50 of the base pile 40,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exposed upper end portion. To this end, the top lid 50 may be of the same height as the top of the base pile 40 exposed on the backing plate.

여기서, 상단 덮개부(50)가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원지반 위에 노출되는 상단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높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기초 말뚝부(40)와 상단 덮개부(50)의 사이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60)에 의해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가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동등한 높이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e fact that the top lid 50 is construct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op of the base pile 40, which is exposed on the ground, does not mean the mathematically exact height but may be slightly different, Means th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is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concrete 60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top cover 40 and the top cover 50.

따라서, 상단 덮개부(50)의 높이를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보다 약간 낮게 만들어 콘크리트(60)가 타설된 후에 기초 말뚝부(40)의 상단이 콘크리트(60) 위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콘크리트(60) 위로 노출된 기초 말뚝부(40)의 상단에는 볼트 등에 의해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의 하부 베이스(35)에는 구조적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날개 보강판이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may be exposed above the concrete 60 after the concrete 60 has been poured by making the height of the top lid 50 slightly lower than the top of the base pile 40 have. At this time, the support base 30 of the solar panel 20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oundation pile portion 40 exposed on the concrete 60 by bolts or the like. The lower base 35 of the support 30 of the solar panel 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 reinforcing plates to improve structural sup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사상은 상단 덮개부(50)를 매개로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60)를 타설함으로써, 기초 말뚝부(40)의 구조적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Another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the concrete 60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ase pile portion 40 via the top cover portion 50 to improve the structural support force of the base pile portion 40 .

이를 위해 원형의 관 형태를 이루는 상단 덮개부(50)의 지름은 그 내부에 기초 말뚝부(40)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는데 충분한 양의 콘크리트(60)가 타설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콘크리트(60)에 의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상단 덮개부(50)의 지름 크기는 기초 말뚝부(40) 위에 설치되는 중량물의 형태나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수치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To this end,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pipe-shaped top lid 50 is such that a sufficient amount of the concrete 60 can be installed therein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base pile 40 desirable. Here, the diameter of the top lid part 50, which allows the concrete 60 to have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and weight of the weight of the foundation pile 40, There will be no.

또한, 상기 상단 덮개부(50)는 그 내주면에 복수 개의 결합용 내측 스터드(51)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결합용 내측 스터드(5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기초 말뚝부(40)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41)와 함께 작용하여 기초 말뚝부(40)와 상단 덮개부(50)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6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준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용 내측 스터드(51)는 상단 덮개부(50)의 내주면의 길이 전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inner studs 5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lid portion 50. 6, the coupling inner stator 51 works together with the coupling outer stator 41 of the base pile portion 40 to form the coupling between the base pile portion 40 and the top lid portion 50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60 placed on the concrete wall.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inner studs 51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50.

또한, 상기 상단 덮개부(50)는 그 외주면에 연결용 플랜지(52)가 형성되고, 이 연결용 플랜지(52)에는 인접하는 상단 덮개부(50)를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수평 지지대(7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flange 52 for conn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lid 50 and a horizontal support 7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adjacent top lid 50 to the connecting flange 52 Or < / RTI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태양광 패널(200)의 기초 받침대(400)는 각각이 자체의 콘크리트 중량만으로 무거운 태양광 패널(200)을 독립적으로 지탱하여야 했다. 따라서, 그 중 한 개의 기초 받침대(400)라도 태양광 패널(200)을 지탱하지 못하면, 이것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져 인접한 다른 태양광 패널(200)까지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base pedestals 400 of the conventional solar panel 200 has to independently support the heavy solar panel 200 with its own concrete weight. Accordingly, if one of the base pedestals 400 does not support the solar panel 200, there is a problem that it tilts or collapses to damage another adjacent solar panel 20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단 덮개부(50)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연결용 플랜지(52)를 형성하고, 이 연결용 플랜지(52) 사이를 수평 지지대(70)를 매개로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여러 기초 받침대가 하나로 엮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 결과, 일정한 구역 내에 위치한 모든 기초 받침대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됨으로써 더욱 우수한 구조적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다시 말해, 각각의 기초 받침대가 하나의 몸체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기초 면적이 넓어져 상부 중량물에 대한 지지력 및 수평 변위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A plurality of connecting flanges 5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portion 50 and the connecting flanges 52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via a horizontal support 70. [ By constructing it, it is constituted so that various foundation pedestals are made to be one. As a result, all of the base pedestals located within a certain area ar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better structural support. In other words, since each foundation pedestal becomes one body, the base area is widened as a result, so that the resistance to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upper weight increases.

도 7은 일정한 구역 내에 위치한 모든 기초 받침대가 수평 지지대(70)에 의해 격자 형태로 연결 고정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단 덮개부(50)는 연결용 플랜지의 갯수에 따라 3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먼저, 제1 상단 덮개부(50a)는 2개의 연결용 플랜지가 직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사각 격자틀의 네 모퉁이에 설치된다. 제2 상단 덮개부(50b)는 3개의 연결용 플랜지가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사각 격자틀의 외부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제3 상단 덮개부(50c)는 4개의 연결용 플랜지가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사각 격자틀의 내부에 설치된다.FIG. 7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ll the base pedestals located within a certain region are connected and fixed in a lattice form by the horizontal supports 70. In this embodiment, the top lid 50 i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necting flanges. First, the first top cover portion 50a is formed at four corners of a square grating frame in which two connecting flanges are formed at right angles. The second top cover part 50b is formed to have three connecting flanges at right angles, and is installed at the outer corner of the rectangular frame. Finally, the third top cover part 50c is formed so that four connecting flang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quare grille frame.

한편, 상기 콘크리트(60)는 상기 기초 말뚝부(40)와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도 타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초 말뚝부(40)가 상단부를 제외하고 원지반(10)에 매입되므로,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는 원통형의 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 빈 공간에도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는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 앙카 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기초 말뚝부(40)와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ncrete 60 may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ile 40 and the top lid 50 but also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ile 40. The base pile portion 40 is embedded in the base paper 10 except for the upper end portion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ase pile portion 40 is empty in the cylindrica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mpty space is filled with concrete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In this case, the supporting base 30 of the solar panel 20 is fixed to the concret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ile 40 by anchor bolts or the like, thereby being in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pile 40 .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의 시공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Finally, referring to FIG. 8, a method of constructing a foundation pedestal of a heavy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는 기초 말뚝부(40)를 그 상단부를 제외하고 원지반(10)에 매입시킨다(S10). 이 때, 매입되는 기초 말뚝부(40)의 깊이와 지름은 다짐도가 우수한 원지반(10)을 이용하여 기초 말뚝부(40)의 구조적 지지력을 향상시키는데 충분한 정도의 규격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base pile (40) having a tubular shape in which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is embedded in the ground board (10) except for the upper end thereof (S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and diameter of the base pile portion 40 to be embedded have a size sufficient to improve the structural bearing capacity of the base pile portion 40 by using the ground layer 10 having excellent compaction.

다음으로,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기초 말뚝부(40)보다 직경이 더 큰 관 형태를 이루는 상단 덮개부(50)를 상기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원지반(10) 위에 노출되는 상기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장착한다(S20). 이 때, 장착되는 상단 덮개부(50)의 높이와 지름은 중량체인 콘크리트(60)를 이용하여 기초 말뚝부(40)의 구조적 지지력을 향상시키는데 충분한 정도의 규격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p cover 50, which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base pile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S20).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height and diameter of the top lid unit 50 to be mounted have a size sufficient to improve the structural bearing capacity of the base pile 40 by using the concrete 60 as a weight.

기초 말뚝부(40) 및 상단 덮개부(50)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사이 공간에 결합용 콘크리트(60)를 타설한다(S30). 상기 콘크리트(60)에 의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41)가 설치되고, 상단 덮개부(5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내측 스터드(51)가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oundation pile 40 and the top lid 50 is completed, the concrete 60 for connection is laid in the space between them (S30). A plurality of coupling outer stays 41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crete 60. A plurality of coupling inner studs 41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lid 50, (51) can be installed.

이 때,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용 플랜지(52)에는 인접하는 상단 덮개부(50)를 상호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 지지대(70)를 결합시킬 수 있다(S40). 즉, 상기 수평 지지대(70)는 연결용 플랜지(52)를 매개로 인접하는 상단 덮개부(50)를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여러 기초 받침대가 하나로 엮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 결과, 일정한 구역 내에 위치한 모든 기초 받침대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됨으로써 더욱 우수한 구조적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다시 말해, 각각의 기초 받침대가 하나의 몸체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기초 면적이 넓어져 상부 중량물에 대한 지지력 및 수평 변위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support 70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flange 5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50 so as to connect and fix the adjacent top covers 50 (S40).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support 7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adjacent top lid 50 via the connecting flange 52, so that the various base supports are joined together. As a result, all of the base pedestals located within a certain area ar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better structural support. In other words, since each foundation pedestal becomes one body, the base area is widened as a result, so that the resistance to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upper weight increases.

마지막으로, 상기 기초 말뚝부(40) 위에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를 고정 설치한다(S50). 이 때, 지지대(30)의 하부 베이스(35)는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결합될 수도 있다.Finally, the support 30 of the solar panel 20 is fixed on the foundation pile 40 (S50). At this time, the lower base 35 of the support 3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or may be indirectly coupled through another medium.

간접 결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S30)에서 상기 콘크리트(60)를 상기 기초 말뚝부(40)와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도 타설한다. 그 후,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를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 앙카 볼트 등을 이용해 고정 설치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the concrete pouring step S30, the concrete 60 is moved not only between the base pile portion 40 and the top lid portion 50, (40). Thereafter, the supporting base 30 of the solar panel 20 is fixed by using an anchor bolt or the like on the concrete lai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ile portion 40.

이와 같이,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와 기초 말뚝부(40)가 콘크리트를 매개로 간접 결합되면, 결합 작업이 좀 더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 패널(20)의 지지대(30)를 제거하더라도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기초 받침대 자체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base 30 of the solar panel 20 and the base pile 40 are indirectly coupl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crete, not only the joining operation is easier, but also the support 30 of the solar panel 20 ,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is not damaged, so that the base pedestal itself can be recycl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원지반 20: 태양광 패널
30: 지지대 40: 기초 말뚝부
50: 상단 덮개부 60: 콘크리트
70: 수평 지지대
10: Fabric 20: Solar panel
30: Support base 40: Base pile
50: top cover part 60: concrete
70: Horizontal support

Claims (10)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고, 상단부를 제외하고 원지반(10)에 일정한 깊이로 매입되며, 그 위에 중량물의 지지대(30)가 고정 설치되는 기초 말뚝부(40);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기초 말뚝부(40)보다 직경이 더 큰 관 형태를 이루고, 상기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원지반(10) 위에 노출되는 상기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상단 덮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말뚝부(40)와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60)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A base pile (40) having a tubular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oth opened, a base pile (40) embedded in the base paper (10) except for an upper end thereof, and a support base (30)
A top end portion of the base pile (40), which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ase pile (40) 50)
And a concrete (60)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base pile (40) and the top lid part (5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41)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내측 스터드(5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upling outer stays 41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Wherein a plurality of inner studs (51) for engagement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lid part (5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외주면에는 연결용 플랜지(52)가 형성되고, 이 연결용 플랜지(52)에는 인접하는 상단 덮개부(50)를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수평 지지대(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flange 5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50 and a horizontal support 7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adjacent top covers 5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flange 52 The base of a heavy object that featur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60)는 상기 기초 말뚝부(40)와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도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rete 60 is installed not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ile portion 40 and the top lid portion 50 but also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pile portion 4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의 지지대(30)는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base (30) of the heavy objec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oncrete laid in the inner space of the foundation pile (40).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는 기초 말뚝부(40)를 그 상단부를 제외하고 원지반(10)에 매입시키는 단계;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기초 말뚝부(40)보다 직경이 더 큰 관 형태를 이루는 상단 덮개부(50)를 상기 기초 말뚝부(40) 중에서 원지반(10) 위에 노출되는 상기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 말뚝부(40)와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60)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 말뚝부(40) 위에 중량물의 지지대(3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시공방법.
A step of embedding the base pile (40) having a tubular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oth open, into the ground board (10) except for the upper end thereof;
A top lid portion (50) having both a top and a bottom open and a larger diameter than the base pile (4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top portion of the base pile (40) Installing;
Placing a concrete (60) in a space between the base pile (40) and the top lid part (50); And
And fixing the support base (30) of the heavy object on the base pile (4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60)에 의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외측 스터드(41)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용 내측 스터드(5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crete pouring step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er studs 41 for coupl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pile 40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crete 60, And a plurality of inner studs (51) for engagement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용 플랜지(52)에 인접하는 상단 덮개부(50)를 상호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 지지대(7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crete pouring step includes:
And joining the horizontal support 70 so that the upper lid part 50 adjacent to the connecting flange 5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lid part 50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base of a heavy objec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60)를 상기 기초 말뚝부(40)와 상기 상단 덮개부(50)의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도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crete pouring step is characterized by placing the concrete 60 not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ile portion 40 and the top lid portion 50 but also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pile portion 40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for heavy object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의 지지대 고정 설치 단계는, 상기 중량물의 지지대(30)를 상기 기초 말뚝부(40)의 내부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securing and supporting the heavy object is performed by fixing the supporting base 30 of the heavy object on the concrete lai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ile 40.
KR1020150001117A 2015-01-06 2015-01-06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KR101720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117A KR101720513B1 (en) 2015-01-06 2015-01-06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117A KR101720513B1 (en) 2015-01-06 2015-01-06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43A true KR20160084643A (en) 2016-07-14
KR101720513B1 KR101720513B1 (en) 2017-03-28

Family

ID=5649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117A KR101720513B1 (en) 2015-01-06 2015-01-06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5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409A (en) * 2017-05-26 2018-12-05 이동호 Composite foundation structure for pos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ost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761B1 (en) * 2021-07-28 2021-12-15 주식회사 알피오 Construction method of solar panels using Support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927B1 (en) * 2011-12-07 2012-11-13 강덕만 C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body and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KR20130025568A (en) * 2011-09-02 2013-03-12 (주)한맥기술 Basic structure for sound-insulation wall enabling easy assembly and deviation correction
KR20140139223A (en) * 2013-05-27 2014-12-05 김이영 foundation of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568A (en) * 2011-09-02 2013-03-12 (주)한맥기술 Basic structure for sound-insulation wall enabling easy assembly and deviation correction
KR101200927B1 (en) * 2011-12-07 2012-11-13 강덕만 C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body and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KR20140139223A (en) * 2013-05-27 2014-12-05 김이영 foundation of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409A (en) * 2017-05-26 2018-12-05 이동호 Composite foundation structure for pos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os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513B1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41B1 (en)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KR20150074502A (en)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steel rod grid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KR101720513B1 (en)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KR20160000702A (en) Fastening member used in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its using concrete filled steel tube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and its includes build underground structure and method
KR101618719B1 (en) Top-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FT column
KR101054696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with slurry wall retained by slab diaphragm effect
CN110984692B (en) Do benefit to enclosure stand of construction
JP6422084B2 (en) Underground space construction method
CN111593737A (en) Recoverable foundation pit steel upright post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492883Y1 (en) Braced wall
JP4808018B2 (en) Assembly-type foundation block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426511B1 (en) A temporary skeleton system used in constructuring a underground structure of a building and a top 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emporary skeleton system
KR101677431B1 (en) Large concrete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212772377U (en) Recoverable foundation pit steel stand connecting device
KR101808833B1 (en) Floor structure of underground floor with reduced floor height using shear reinforce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462236B1 (en) panel for external underground wall of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99952B1 (en) Water preloading method using steel system wall
KR101545713B1 (en) Composite type cutoff wall of steel temporary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JP6032568B2 (en) Hollow foundation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240479A (en) Installation article base
CN215211060U (en) Side slope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JP2003020658A (en) Structural body
KR101657628B1 (en) Top-dow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d structure using steel pipe
JP6418683B2 (en) Temporary support method
KR101415867B1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downwar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