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41B1 -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 Google Patents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41B1
KR101022841B1 KR1020100136005A KR20100136005A KR101022841B1 KR 101022841 B1 KR101022841 B1 KR 101022841B1 KR 1020100136005 A KR1020100136005 A KR 1020100136005A KR 20100136005 A KR20100136005 A KR 20100136005A KR 101022841 B1 KR101022841 B1 KR 101022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wall
steel
corrugated steel
temporary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유림
Original Assignee
송유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림 filed Critical 송유림
Priority to KR102010013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8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02D19/04Restraining of open water by coffer-dams, e.g. made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PURPOSE: A coffer dam using wavy steel and bendable steel, which includes a supporter, a holder and a dam wall, is provided to secure stability by preventing the leakage and deformation on the connection part of dam walls. CONSTITUTION: A coffer dam using wavy steel and bendable steel comprises a foundation, a coffer dam wall supporter(20), a holder(30), and a coffer dam wall(40). The foundation is formed by pouring underwater concrete in the inner space of a form(2). The coffer dam wall supporter is built in the foundation and comprises a seating plate(21) and a stud bolt(22). The holder is installed on the soft rock of underwater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coffer dam wall support. The coffer dam wall is combined with the seating plate of the coffer dam wall supporter and is connected with a main fixing beam and a sub fixing beam.

Description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Temporary film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ding steel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본 발명은 말뚝기초의 상부에 시공되는 푸팅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외수 수압에 의해 가물막이 벽체의 이음부가 변형되어 누수를 방지하므로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ooting to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ile foundation, the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b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joint wall of the temporary wall by external water pressure to prevent leakage It relates to the temporary barrier used.

종래의 쉬트파일을 이용한 수상구조물의 기초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기초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다수개의 쉬트파일을 설치한다. 그리고, 쉬트파일이 형성하는 내부면적을 굴착하기 위해 가물막이관을 설치하고, 쉬트파일의 상단부 일정길이를 절단한다. 이후 확대기초와 기둥을 시공하고 가물막이관을 철거하고 수상기초물의 기초 시공을 완성한다.The basic construction method of a waterborne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sheet pil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sheet piles with a larger area than the basic area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Then, in order to excavate the inner area formed by the sheet pile, a temporary containment tube is installed, and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sheet pile is cut. After that, expand the foundations and pillars, remove the clogs, and complete the basic construction of the water-based plants.

이러한 쉬트파일 공법은 연암층까지 항타가 가능하고, 건식공간 확보를 위해 가시설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개의 쉬트파일을 항타 및 인발하여야 함으로 많은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수가 소요되며, 항타 시에는 파일 가이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시공 완료 후 회수된 쉬트파일은 타 현장에서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차수를 위한 그라우팅 시공 시 부대작업이 필요하고, 차수작업을 시행하여도 다수개의 쉬트파일과 쉬트파일의 이음부에서는 완벽한 차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수밀성 확보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is sheet pile method is capable of driving to soft rock layers and can provide temporary facilities to secure dry spaces, but it requires a lot of working time and work process number due to the driving and drawing of multiple sheet piles. As the guide is necessary, the work becomes cumbersome, and the sheet pile recovered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is not reusable at other sites, and additional work is required when grouting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ordering, There is a problem that a perfect order is not achieved at the joint of the sheet pile and the sheet pile, and a lot of time and cost are required to secure watertightnes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가물막이 벽체의 단면이 파형 또는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도록하고, 가물막이 벽체의 내측벽에 서브 고정빔을 통해 견고함을 유지하는 메인 고정빔을 설치하여 가물막이 벽체의 이음부가 외수 수압에 의한 변형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temporary clogging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wall of the temporary film is formed into a wavy or bent shape, the sub film on the inner wall of the wall By installing the main fixed beam which maintains its rigidity through the fixed beam, it is possible to use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by preventing leakage from occurring due to deformation due to external water press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loak.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수중의 연암에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푸팅을 형성 한 다음 그 상부로 기둥이 설치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형성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볼트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중의 연암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의 안착판에 결합되어 상기 푸팅의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이 설치되며, 외수 수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발생되도록 그 단면이 파형형상 또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물막이 벽체;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nstall a formwork supported by the support in the soft rock in the water, form a footing in the interior of the form and then the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is installed in the column In the temporary membrane used, the base portion is formed and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ormwork; A buoyant double pedestal, which is embedded in the base part and has a seating plate formed at intervals between the through holes penetr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stud bolts are spaced vertically on both sides; A cradle mounted on the soft rock in the water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dual-use pedestal; The temporary membrane i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of the combined pedestal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footing, and the main fixed beam i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neighboring main fixed beam The sub-fixed beam connecting the main fixed beam is installed, and the temporary film is formed in a corrugated or bent cross section so that the bracing stiffness against external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수중의 토사층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이 형성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의 안착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기초부와 푸팅 및 기둥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이 설치되며, 외수 수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발생되도록 그 단면이 파형형상 또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물막이 벽체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의 외측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빔;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on the soil layer in the water, and the upper part of the temporary film combined support pedestal to form a seating plate formed at intervals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penetrates; The temporary film i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of the combined pedestal, the base and the footing and the pillars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interior,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main fixed beam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And a sub-fixed beam coupled to the main fixed beam adjacent to both sides to connect the main fixed beam, and the temporary film wall having a cross-section formed in a wave shape or a bent shape so as to generate a stiffness against external hydraulic pressure; And the support film is install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bined pedestal so that the temporary support beam supports the combined pedestal.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수중의 토사층에 매설되는 말뚝기초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말뚝기초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블럭과; 하단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볼트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의 안착판에 결합되어 프리캐스트 블럭의 내부에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이 설치된 가물막이 벽체;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re-cast block is formed at intervals,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ile foundation is buried in the soil layer; A lower end portion is embedded in the precast block, and the upper end portion has a seating plate formed with a space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temporary double wall support having stud bolts spaced vertically on both sides; The temporary film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of the combined pedestal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interior of the precast block, and the main fixed beam i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neighboring main fixed bea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emporary film is installed on the sub fixed beam connecting the main fixed beam wall.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가물막이 벽체의 단면이 파형 또는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도록하고, 가물막이 벽체의 내측벽에 서브 고정빔을 통해 견고함을 유지하는 메인 고정빔을 설치하여 가물막이 벽체의 이음부가 외수 수압에 의한 변형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temporary clogging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ross section of the wall to form a corrugated or bent shape, and maintains the main fixed beam through the sub fixing beam on the inner wall of the wall. It is effective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by preventing the leakage of water by deformation due to external water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적용된 가물막이 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적용된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와 가물막이 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temporary clogging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barrier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plan views showing embodiments of a temporary cladding wall applied to a temporary cladding using a corrugated steel or a bent steel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temporary barrier combined pedestal and a temporary barrier wall applied to a temporary barrier using a corrugated steel or a bent steel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ne embodiment of a temporary closure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실시예 1>&Lt; Example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적용된 가물막이 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적용된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와 가물막이 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temporary cladding using a corrugated steel or a bent st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corrugated steel or a bending st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ding st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Figure 5b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mporary wall wall applied to the temporary film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temporary barrier double wall and the temporary barrier wall applied to the temporary barrier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기초부(10)와,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거치대(30)와, 가물막이 벽체(4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o FIG. 6, the temporary cladding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10, a temporary cladding base 20, a cradle 30, and a temporary clamding. The wall 40 is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를 설치하기에 위해 먼저 수중의 연암에 거푸집(2)을 설치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temporary cladding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work 2 is first installed in the soft rock underwater.

그리고 상기 거푸집(2)에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기초부(10)가 충진되고, 상기 거푸집(2)의 내측에는 푸팅(5)이 형성된다.And the formwork (2) is filled with a base portion 10 so that the temporary film double stand 20 can be installed stably, the footing 5 is formed inside the formwork (2).

예컨대, 상기 거푸집(2)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2개의 사각틀을 준비 한 다음 크기가 작은 사각틀을 크기가 큰 사각틀의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거푸집(2)들의 사이에 기초부(10)를 충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rmwork (2) is to prepare two rectangular frame having a different size and then install a small rectangular frame inside the large rectangular frame to fill the base portion 10 between the formwork (2). Can be.

상기에서 기초부(10)는 거푸집(2)의 내부공간에 수중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base portion 10 may be formed by pouring / curing water concret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ormwork (2).

여기서, 상기 거푸집(2)의 사이에 기초부(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중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상기 거푸집(2)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푸팅(5)을 시공할 때 거푸집(2)에는 콘트리트로부터 발생되는 측압이 전가될 것이므로, 상기 거푸집(2)의 양측면에는 지지대(3)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 전가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증대되도록 하고 거푸집(2)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filling the underwater concrete to form the base 10 between the formwork (2), and cast the concrete in the interior of the formwork (2), when constructing the footing (5) Since the side pressure generated from the concrete will be transferred to both sides of the formwork (2), the support (3)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rmwork (2) to increase the stiffness against the side pressure transferr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the phenomenon of filling the formwork (2)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structure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상기 기초부(10)는 공지의 수중 콘크리트 또는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시공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0 may be constructed by pouring, curing the known underwater concrete or underwater inseparable concrete.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는 전체가 'ㅁ'자 형상을 이루도록 총 4개가 상기 기초부(10)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가물막이 벽체(4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가물막이 벽체(40)를 고정하는 안착판(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스터드 볼트(22)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A total of four buried pedestal 20 is embedded in the base 10 so as to form a whole 'ㅁ' shape, and penetrate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 the upper end of the double pedestal 20 The through-holes 21a are formed at intervals, and the seating film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40 to form a seating plate 21 for fixing the wall 40, and is installed at both sides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ud bolt 22 is protru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스터드 볼트(22)는 기초부(10)와 함께 양생됨에 따라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가 수중콘크리트와 부착력이 증대되도록하여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As the stud bolt 22 is cured together with the foundation part 10, the temporary cladding pedestal 20 increases the adhesion between the underwater concrete and the temporary cladding pedestal 20 to ensure stability.

상기 거치대(30)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중의 연암에 설치되어 거푸집(2)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수중콘크리트 타설시 안정적으로 거푸집(2)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cradle 30 is installed on the soft rock in the water so a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dual purpose pedestal 20, so that the formwork (2) does not flow, and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formwork (2) during underwater concrete placement.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는 총 4개가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기초부(4) 및 푸팅(5)의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Four of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is coupled to each of the seating plate 21 of the dual-use pedestal 20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base 4 and the footing 5.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는 그 단면이 파형 또는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내측벽에는 브라켓(B')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42)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42)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42)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43)이 설치되어 있어, 외수 수압에 의해 이음부 변형으로 인한 누수발생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has a cross-section having a wavy or bent shape, and the main barrier beam 42 is provided at intervals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through a bracket B '. And a sub-fixed beam 43 coupled to the main fixed beam 42 adjacent to both sides to connect the main fixed beam 42, thereby preventing leakage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joint by external water pressur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secured.

또한,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양측 끝단에는 결합날개(41)를 더 형성하고, 상기 결합날개(41)에는 이웃하는 가물막이 벽체(40)의 결합날개(41)에 볼팅결합되는 연결대(80)를 볼팅결합하여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를 연결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film 41 is further formed on both ends of the temporary wall 40, the coupling blade 41 is bolted to the coupling blade 41 of the neighboring temporary film wall (40) ( Bolting coupling 80 may connect the temporary film to the wall 40.

그리고, 시공하고자 하는 기둥(6)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를 다단으로 적층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상단에 연결 프레임(44)의 관통홀(44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45a)이 관통형성된 적층 연결프레임(45)을 더 결합하여 상기 관통홀(44a,45a)에 볼트(B)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관통홀(4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를 다단으로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stacking the temporary wall 40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illar 6 to be constructed, the through-hole 44a of the connecting frame 44 and the top of the temporary wall 40 By further coupling the laminated connection frame 45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45a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he bolt B is sequentially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s 44a and 45a, and then mov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44a. Fastening the nut (N) to the exposed portion may couple the temporary wall 40 in multiple stages.

한편, 도 6은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를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 상단에 결합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하단에 상기 안착판(21)의 관통홀(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44a)이 형성된 연결 프레임(44)을 더 결합하여 상기 관통홀(21a,44a)에 볼트(B)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관통홀(21a)의 외부로 돌출되는 볼트(B)에는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를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for coupling the temporary wall (40) to the top of the seating plate 21 of the double wall of the temporary wall, as shown in FIG. The membrane is further coupled to the through-holes 21a and 44a by further coupling the connection frame 44 having the through-holes 44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s 21a of the seating plate 21 at the bottom of the wall 40. The bolt B is sequentially installed and the nut B is fastened to the bolt B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hole 21a so that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of the temporary barrier double wall 20 can be installed. Can be combined on top

이때,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과 가물막이 벽체(40)의 연결 프레임(44)의 사이에는 차수용 지수링(150)을 더 개재하여 안착판(21)과 연결 프레임(44) 사이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between the seating plate 21 of the temporary barrier double support 20 and the connecting frame 44 of the temporary wall 40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late 21 through the water guide ring 150 further. The external water may be blocked between the frames 44.

도 4는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를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 상단에 결합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21)의 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높이를 갖도록 수직하게 돌출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판(21)의 중앙부분에 가물막이 벽체(40)를 삽입한 다음 안착판(21)의 벽면에 내부에 지수재(50) 및 고정용 목재(6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가물막이 벽체(40)의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FIG. 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for coupling the temporary wall 40 to the top of the seating plate 21 of the dual wall 20, which is shown in FIG. On the edge of the (21) is formed a wall projecting vertically to have a height to the upper side, insert the temporary wall (4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21 and then inside the wall of the seating plate 21 The water film 50 and the fixing wood 6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to allow the temporary film to fix both sides of the wall 40.

또한, 상기 지수재(50)는 외수와 접촉될 때 침투압 및 밀도가 감소되는 특성과 물이 흡수되면 용적이 수 내지 십여배로 팽창하는 성질이 있다. 이와 같이 지수재(50)는 물을 흡수하게 되면 용적이 팽창하므로, 거푸집(2)의 내부로 외수가 유입될 경우 팽창되어 침투되는 외수를 차단시켜 기초부(4)와 푸팅(5)으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ex member 50 has a property of decreasing the penetration pressure and density when contacted with external water and expanding the volume by several to ten times when water is absorbed. In this way, the water absorbing material 50 expands in volume when water is absorbed, so that when the external water flows into the formwork 2, the water is expanded to block the external water that penetrates into the base portion 4 and the footing 5. Can be efficiently prevented from entering.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is a corrugated steel or bend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mporary barrier using steel.

상기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가물막이 벽체(40)와, 지지빔(90)으 로 이루어져 구성된다.7, 8A and 8B, the temporary block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 wall 20, the temporary wall 40, the support beam 90 It consists of).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와 그 구성에 있어서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몇 가지 점에서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언급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7, 8A and 8B, the temporary shield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shown in Figures 1 to 6,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bending steel shown in Figures 1 to 6, but there are some points Since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here, the components of the temporary barrier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shown in FIGS. 7, 8A and 8B will be briefly mentioned and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수중의 토사층에 총 4개의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를 설치하여 전체가 'ㅁ'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가물막이 받침대(20)의 상단부에 가물막이 벽체(40)를 설치하며,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외측면에 지지빔(90)을 설치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temporary cladding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total of four temporary cladding pedestals 20 are installed in the soil layer in the water so that the whole forms a 'ㅁ' shape.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20, and the support beam 9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al barrier pedestal 20.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가물막이 벽체(4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가물막이 벽체(40)를 고정하는 안착판(21)이 형성된다.Through-holes 21a penetrat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re formed at intervals 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ual-use pedestal 20, which is combi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wall 40 to fix the temporary wall 40. The plate 21 is formed.

또한,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내측벽에는 지수판(100)이 더 설치되어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내부 바닥면에는 부직포(110)가 더 설치되어 기초부(4)를 시공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 콘크리트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토사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top plate 10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dual-use pedestal 20 can effectively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the non-woven fabric 110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ual-use pedestal 20 It is further install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oil layer while preventing the loss of concrete when pouring concrete to construct the foundation (4).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는 총 4개가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기초부(4)와 푸팅(5) 및 기둥(6)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가물막이 벽체(40)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가물막이 벽체(40)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total of four of the temporary wall 40 i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21 of the double wall 20, the base 4, the footing 5 and the pillars 6 are sequentially installed therein do. Since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is the same as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추가적으로, 상기 기초부(4)는 공지의 수중 콘크리트 또는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4 may be constructed by pouring and curing well-known underwater concrete or underwater inseparable concrete.

상기 지지빔(90)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경사각을 갖도록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외측면에 설치된다.The support beam 9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uble-sided support 20 to have a tilt angle with a plurality of intervals so as to stably support the double-sided support 20.

상기 지지빔(90)의 내부에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에 연결결합되는 보강대(91)가 더 설치되어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가 가물막이 벽체(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가물막이 벽체(40)의 휨/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side the support beam 90,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or a quadrangular shape, and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91 is connected to the double wall pedestal 20, and the double wall pedestal 20 is provided. As the temporary film supports the wall 40 stably, the temporary film prevents bending / deformation of the wall 40, thereby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만약, 상기 푸팅(5)이 설치되는 장소가 부력이 많이 발생되는 곳일 경우 말뚝기초(1)가 상기 기초부(4)를 관통하도록 수중의 토사층에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4)의 상부로 돌출된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는 부력 방지대(120)의 저면이 기초부(4)의 상면과 맞닿도록 설치하여 양압력을 방지함에 따라 기초부(4)의 미세한 부상도 방지할 수 있다.If the place where the footing 5 is installed is a place where a lot of buoyancy is generated, the pile foundation 1 is installed in the soil layer in the water so as to penetrate the foundation part 4, and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part 4.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ile foundation 1, the bottom of the buoyancy guard 120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4, thereby preventing the positive pressure, thereby preventing minute injuries of the foundation 4. have.

또한, 상기 기초부(4)의 내부에 위치되는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는 말뚝연결밴드(130)가 더 결합된다. 상기 말뚝연결밴드(130)의 외주연에는 돌기부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말뚝기초(1)의 양압력을 기초부(4)에 균등하게 분포시켜 말뚝기초(1)와 기초부(4)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말뚝기초(1)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ile connection band 130 is furth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foundation (1) located inside the base (4). Protrusions are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le connection band 130 so that the positive pressure of the pile foundation 1 is evenly distributed on the foundation portion 4 so that the pile foundation 1 and the foundation portion 4 are formed. The pile foundation 1 can be stably settled by allowing it to be integrally behaved.

<실시예 3><Example 3>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ladding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rrugated steel or bending st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mporary shiel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지지빔(90)과, 가물막이 벽체(4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temporary barrier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eam 90 and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도시된 도 1 내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와 그 구성에 있어서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몇 가지 점에서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언급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temporary clogging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shown in FIGS. 9 to 11 is a temporary clogging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shown in FIGS. 1 to 8A and 8B shown in Examples 1 and 2 and the same. Although not very different in configur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veral points, so that here, the components of the temporary cladding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shown in FIGS. 9 to 11 will be briefly mentioned and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do.

상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프리캐스트 블럭(140)과,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가물막이 벽체(4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temporary block using the corrugated steel or the bent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cast block 140, a double wall pedestal 20, and a temporary wall 40. It is made up.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은 수중의 토사층에 설치되는 말뚝기초(1)가 관통되는 관통공(140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브라켓(B")을 통해 상기 말뚝기초(1)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The precast block 140 is formed at intervals of the through hole 140a through which the pile foundation 1 installed in the soil layer is underwater, and is stably installed in the pile foundation 1 through the bracket B ″. do.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내부에는 상측 일부분이 푸팅(5)과 결합됨으로 인해 프리캐스트 블럭(140)과 푸팅(5) 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배력 철근(7)이 더 매설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precast block 140 is coupled with the footing 5, the backing rebar 7 may be further embedded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recast block 140 and the footing 5 may be increased. It may be.

만약,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이 설치되는 장소가 부력이 많이 발생되는 곳일 경우에는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상부로 돌출된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는 저면이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상면과 맞닿는 부력 방지대(120)를 더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place where the precast block 140 is installed is a place where a lot of buoyancy is genera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e foundation 1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ecast block 140 is the precast block 140. The buoyancy guard 120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e further installed to prevent the injury of the precast block 140.

이때, 상기 부력 방지대(120)의 저면은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바닥면과 맞닿도록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미세한 부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ancy guard 12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foundation (1) to a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cast block 140 to prevent the minute injury of the precast block 140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내부에는 일부분이 푸팅(5)과 결합됨으로 인해 프리캐스트 블럭(140)과 푸팅(5) 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배력 철근(7)이 더 매설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portion of the precast block 140 is combined with the footing 5, the backing rebar 7 may be further embedded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recast block 140 and the footing 5 may be increased. have.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는 하단부가 프리캐스트 블럭(140)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가물막이 벽체(4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가물막이 벽체(40)를 고정하는 안착판(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스터드 볼트(22)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The temporary barrier double pedestal 20 is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precast block 140, the through hole 21a penetrat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re formed at intervals and coup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wall 40 As a result, a mounting plate 21 for fixing the temporary wall 40 is formed, and stud bolts 22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블럭(140)이 경량일 경우에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를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바닥면에 매설되도록 하고,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블럭(140)이 중량일 경우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가장자리로 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벽면에 매설되도록 하여 가물막이 벽체(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형상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가물막이 벽체(40)는 전체가 'ㅁ'자 형상을 이루도록 총 4개가 연결결합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precast block 140 is light in weight, the temporary barrier double pedestal 20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cast block 140, and as shown in FIG. When the cast block 140 is heavy, the temporary film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precast block 140, and the precast block 140 can be stably supported. 1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11, and in this case, the total of four parts are connected so that the entire double wall 20 and the temporary wall 40 form a 'ㅁ' shape. Combined.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는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일부분을 단면처리하여 도시하였다는 걸 표시한 화살표 이다.An arrow shown in FIG. 11 is an arrow indicating that a portion of the precast block 140 is illustrated by cross-sectional processing.

또한,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가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바닥면에 매설될 경우 상기 스터드 볼트(22)는 바닥면과 함께 양생되고,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가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벽면에 매설될 경우 상기 스터드 볼트(22)는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함께 양생 됨에 따라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temporary double wall 20 is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cast block 140, the stud bolt 22 is cured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the double wall 20 is a precast block When the stud bolt 22 is buri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140 is cured together with the concrete for forming the wall surface of the precast block 140, so that the temporary barrier double pedestal 20 ensures structural stability.

상기 가물막이 벽체(40)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결합되어 상기 기초부(4) 및 푸팅(5)의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가물막이 벽체(4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i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21 of the temporary barrier double pedestal 20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base portion 4 and the footing 5, the embodiment Since the temporary film described in 1 is the same as the wall 4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7 : 배력 철근 10 : 기초부
20 :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 21 : 안착판
21a,44a,45a : 관통홀 22 : 스터드 볼트
30 : 거치대 40 : 가물막이 벽체
41 : 결합날개 42 : 메인 고정빔
43 : 서브 고정빔 44 : 연결 프레임
45 : 적층 연결프레임 50 : 지수재
60 : 고정용 목재 80 : 연결대
90 : 지지빔 91 : 보강대
100 : 지수판 101 : 부직포
120 : 부력 방지대 130 : 말뚝연결밴드
140 : 프리캐스트 블럭 140a : 관통공
150 : 차수용 지수링
7: power reinforcement 10: foundation
20: double wall stand 21: mounting plate
21a, 44a, 45a: Through hole 22: Stud bolt
30: cradle 40: faux wall
41: coupling blade 42: main fixed beam
43: sub fixed beam 44: connection frame
45: laminated connection frame 50: index material
60: fastening wood 80: connecting rod
90: support beam 91: reinforcement
100: index plate 101: nonwoven fabric
120: buoyancy guard 130: pile connection band
140: precast block 140a: through hole
150: degree index ring

Claims (13)

수중의 연암에 지지대(3)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2)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2)의 내부에 푸팅(5)을 형성 한 다음 그 상부로 기둥(6)이 설치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형성되는 기초부(10)와;
상기 기초부(10)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볼트(22)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중의 연암에 설치되는 거치대(3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결합되어 상기 푸팅(5)의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42)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42)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42)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43)이 설치되며, 외수 수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발생되도록 그 단면이 파형형상 또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물막이 벽체(4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Corrugated steel or bending in which the formwork (2) supported by the support (3) is installed on the soft rock in the water, and the footing (5) is formed inside the formwork (2), and then the column (6) is installed thereon. In the temporary barrier using steel,
A base portion 10 formed by being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ormwork 2;
The mounting plate 2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 through-hole 21a penetrat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t intervals is formed, and the stud bolts 22 are perpendicular to both sides. A temporary stopper combined support 20 installed at intervals;
Cradle 30 is installed on the soft rock in the water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temporary film combined support 20;
The temporary film i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21 of the combined pedestal 20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footing 5, the main fixed beam 42 i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neighboring main fixed beam 42 is connected to the sub fixed beam 43 is connected to the main fixed beam 4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bracing stiffness to the external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The temporary film formed in the shape of the wall (40); the temporary film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수중의 토사층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21)이 형성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결합되며, 내부에 기초부(4)와 푸팅(5) 및 기둥(6)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42)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42)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42)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43)이 설치되며, 외수 수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발생되도록 그 단면이 파형형상 또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물막이 벽체(4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외측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를 지지하는 지지빔(90);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It is installed on the soil layer in the water,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temporary film combined use pedestal 20 is formed with a seating plate 21 formed at intervals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s 21a penetr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temporary film i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21 of the combined pedestal 20, the base portion 4, the footing 5 and the pillars 6 are sequentially installed therein,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interior The main fixed beam 42 i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and the sub fixed beam 43 is coupled to the main fixed beam 42 adjacent to both sides to connect the main fixed beam 42. A temporary film wall 40 whose cross-section is formed into a wave shape or a bent shape so that a brace rigidity against external water pressure is generated;
Facade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beam is install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al purpose pedestal 20, the support beam 90 for supporting the dual pedestal 20 The curtain.
수중의 토사층에 매설되는 말뚝기초(1)가 관통되는 관통공(140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말뚝기초(1)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블럭(140)과;
하단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볼트(22)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결합되어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내부에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42)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42)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42)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43)이 설치된 가물막이 벽체(4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A through-cast hole 140a through which the pile foundation 1 embedded in the soil layer in water is formed at intervals, and a precast block 140 installed in the pile foundation 1;
A lower end is embedded in the precast block 140, and a seating plate 21 formed with a spaced apart through-hole 21a penetrat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stud bolts 22 are perpendicular to both sides. A dual-use supporter 20 which is installed at intervals;
The temporary film i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21 of the combined pedestal 20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into the precast block 140, the main fixed beam 42 i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42 And a temporary film wall 40 having both sides coupled to the neighboring main fixed beam 42 to which the sub fixed beam 43 is connected to connect the main fixed beam 42. Or temporary cladding using bent ste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의 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의 내부에는 지수재(50) 및 고정용 목재(6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edge of the seating plate 21 is formed a wall surface protruding vertically upwards, and inside the wall surface of the water barrier wall 40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index member 50 and the fixing timber 60 A temporary film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fix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90)의 내부에는 보강대(91)가 더 설치되어지되, 상기 보강대(91)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of claim 2,
The reinforcing bar 91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support beam 90, the reinforcing bar 91 is a temporary film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triangular or square shap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내측벽에는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지수판(10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내부 바닥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토사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포(110)를 더 설치하여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stop plate 10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double wall 20 of the temporary film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ouble wall 20 of the temporary film prevents the loss of concrete during concrete pouring. The temporary cladding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woven fabric 110 is further install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oil lay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4)에는 말뚝기초(1)를 더 관통설치하고, 상기 기초부(4)의 상면에는 기초부(4)의 상부로 돌출된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부력 방지대(120)를 설치하여 상기 기초부(4)의 부력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기초부(4)의 내부에 위치되는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는 말뚝연결밴드(13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of claim 2,
The foundation portion 4 is further installed through the pile foundation (1),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portion 4 to prevent buoyancy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foundation (1)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portion (4) The base 120 is installed to prevent buoyancy of the foundation 4, and the pile connection band 130 is further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le foundation 1 located inside the foundation 4. The temporary film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는 프래캐스트 블럭(140)의 바닥면에 매설되거나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가장자리로 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벽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mporary barrier double pedestal 20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cast block 140 or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precast block 140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ding steel Cloa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바닥 상면에는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상부로 돌출된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 방지대(1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On the bottom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block 14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foundation (1)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ecast block 140 to prevent buoyancy to prevent the injury of the precast block 140 Buoyancy guard 120 is a temporary shield using a corrugated steel or bending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further.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안착판(21)의 관통홀(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44a)이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44)을 더 결합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44)을 안착판(21)의 상단부에 안착한 다음 관통홀(21a,44a)에 볼트(B)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볼트(B)에는 너트(N)를 체결하여 가물막이 벽체(40)가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upling frame 44 having a through hole 44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1a of the seating plate 21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emporary wall 40, and the connection frame 44 )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plate 21, and then the bolts B are sequentially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s 21a and 44a, and the nut B is fastened to the bolts B so that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is formed. The temporary film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orary film is coupled to the combined pedestal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상단에는 연결 프레임(44)의 관통홀(44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45a)이 관통형성되는 적층 연결프레임(45)을 더 결합하고, 상기 적층 연결프레임(45)을 연결 프레임(44)에 안착한 다음 관통홀(44a,45a)에 볼트(B)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볼트(B)에는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가물막이 벽체(40)가 다단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part of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is further coupled to the laminated connecting frame 45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45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44a of the connecting frame 44, the laminated connecting frame The 45 is seated on the connecting frame 44, and then the bolt B is sequentially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s 44a and 45a, and the nut B is fastened to the bolt B so that the temporary barrier wall 40 ) The temporary film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upled in multiple stag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44)과 적층 연결 프레임(45)의 사이 및 안착판(21)과 연결 프레임(44)의 사이에는 차수용 지수링(150)이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12. The method of claim 11,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order index ring 150 is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frame 44 and the laminated connecting frame 45 and between the seating plate 21 and the connecting frame 44. Gaomak using.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양측 끝단에는 결합날개(4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날개(41)에는 이웃하는 가물막이 벽체(40)의 결합날개(41)와 연결결합되는 연결대(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upling blades 4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emporary film wall 40 and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blade 41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blade 41 of the neighboring temporary film wall 40. The temporary film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80 is provided.

KR1020100136005A 2010-12-27 2010-12-27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KR101022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05A KR101022841B1 (en) 2010-12-27 2010-12-27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05A KR101022841B1 (en) 2010-12-27 2010-12-27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841B1 true KR101022841B1 (en) 2011-03-17

Family

ID=4393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005A KR101022841B1 (en) 2010-12-27 2010-12-27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41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334B1 (en) 2011-03-14 2013-05-28 김상구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construction
KR101959691B1 (en) 2018-10-24 2019-03-18 강병관 Ring-shaped structure of cofferdam using cross section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0528542A (en) * 2018-05-24 2019-12-03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ssembled cofferdam structure
KR20200107521A (en) 2019-03-08 2020-09-16 강병관 Structure of cofferdam using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3375751A (en) * 2021-06-28 2021-09-10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deep and thick covering layer riverbed dam
KR20210123805A (en) 2020-04-06 2021-10-14 손지현 Water-proof Structure for Retaining of Earth
KR102577843B1 (en) 2022-06-30 2023-09-13 김민혁 Curtain structure using ready-made piles
KR102657857B1 (en) 2023-02-28 2024-04-18 김수민 Modular bulkhead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various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22A (en) * 2004-12-06 2006-06-12 (주) 선암기술연구소 Pile groups construction method of weak bedding bone using caission
JP2006322154A (en) 2005-05-17 2006-11-30 Kooyoo Create:Kk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KR100854338B1 (en) 2008-04-02 2008-08-26 최승희 Construction structure of open caisson cofferdam using holding type sheet pile
KR20090037114A (en) * 2007-10-11 2009-04-15 현대건설주식회사 Cofferdam,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sheet file and wa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structure using the cofferd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22A (en) * 2004-12-06 2006-06-12 (주) 선암기술연구소 Pile groups construction method of weak bedding bone using caission
JP2006322154A (en) 2005-05-17 2006-11-30 Kooyoo Create:Kk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KR20090037114A (en) * 2007-10-11 2009-04-15 현대건설주식회사 Cofferdam,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sheet file and wa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structure using the cofferdam
KR100854338B1 (en) 2008-04-02 2008-08-26 최승희 Construction structure of open caisson cofferdam using holding type sheet pi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334B1 (en) 2011-03-14 2013-05-28 김상구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construction
CN110528542A (en) * 2018-05-24 2019-12-03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ssembled cofferdam structure
KR101959691B1 (en) 2018-10-24 2019-03-18 강병관 Ring-shaped structure of cofferdam using cross section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WO2020085590A1 (en) 2018-10-24 2020-04-30 강병관 Annular cofferdam using tapered square pipes, temporary structure for pit excavatio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11371204B2 (en) 2018-10-24 2022-06-28 Byung Kwan Kang Ring-shaped cofferdam and temporary pit excavation structure using tapered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00107521A (en) 2019-03-08 2020-09-16 강병관 Structure of cofferdam using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210123805A (en) 2020-04-06 2021-10-14 손지현 Water-proof Structure for Retaining of Earth
CN113375751A (en) * 2021-06-28 2021-09-10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deep and thick covering layer riverbed dam
KR102577843B1 (en) 2022-06-30 2023-09-13 김민혁 Curtain structure using ready-made piles
KR102657857B1 (en) 2023-02-28 2024-04-18 김수민 Modular bulkhead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various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41B1 (en) Wave pattern steel beam or cutting pattern steel beam having a temporary coffer dam
KR100884289B1 (en) Composite type steel temporary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87495B1 (en) Partial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s
KR100949781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39;s construnction method
KR20140055639A (en) A execution method of architecture beam
JP6454674B2 (en) Construction method of water stop working space
KR101734026B1 (en) Retaining Wal1 Construction Method Using PHC Pile
JP5007140B2 (en) Support for construction of honeycomb structure
JP2014012981A (en) Liquefaction countermeasure structure
KR100979138B1 (en) Elevator pit structure
KR20170136420A (en) 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CN111593737A (en) Recoverable foundation pit steel upright post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587062B1 (en) Steel composite undergroun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39;s construction method
JP2015183366A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anking structure
KR100903508B1 (en) &#39;?&#39; Shape Waling Method Separated from the Basement Wall
KR200387372Y1 (en) The underwater casing form
KR101426511B1 (en) A temporary skeleton system used in constructuring a underground structure of a building and a top 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emporary skeleton system
KR101808833B1 (en) Floor structure of underground floor with reduced floor height using shear reinforce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20513B1 (en) Base of support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base
CN212772377U (en) Recoverable foundation pit steel stand connecting device
KR101545713B1 (en) Composite type cutoff wall of steel temporary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RU53312U1 (en) BRIDGE OF BRIDGE SUPPORT
KR101129250B1 (en) The intake tower construction method that use a mold of intake tower that can do function of cofferdam and an outer wall of intake tower at the same time
KR100744972B1 (en) Earth of building land-side protection wall structure
JP2003020658A (en) Structural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