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621A -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 Google Patents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621A
KR20160084621A KR1020150001055A KR20150001055A KR20160084621A KR 20160084621 A KR20160084621 A KR 20160084621A KR 1020150001055 A KR1020150001055 A KR 1020150001055A KR 20150001055 A KR20150001055 A KR 20150001055A KR 20160084621 A KR20160084621 A KR 20160084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lab
connection support
hot water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1866B1 (ko
Inventor
왕병윤
Original Assignee
왕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병윤 filed Critical 왕병윤
Priority to KR102015000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관한 것으로,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유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 온수배관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 바닥 충진재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 받침목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 연결 지지목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 연결 지지목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 및 연결 지지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과 석판의 상부를 마감하되 석판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본 발명은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충격소음의 저감효과가 있도록 한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마루는 강화마루나 합판마루의 상대적인 개념인데 강화마루는 상부의 라미네이트층과 중간의 바탕재층 및 밑바닥에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기 위한 하층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라미네이트 마루 또는 복합재 마루라고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강화마루는 목재에서 섬유질을 분리 채취하여 방수수지를 첨가한 뒤 고온 고압으로 압축 성형한 HDF(High-density fiberboard)를 바탕재로 하고, 표면은 HPL(high-pressure laminate) 또는 LPL(law-pressure laminate)로 강화 처리한 제품이다. 표면을 라미네이팅 코팅 처리하여 내마모도·내구성·내오염성이 강하고 유지 관리가 편리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강화마루는 박판상(薄板狀)이지만 표면이 강화되고 복합재 구조로 되어 있어 현가식 시공법이 사용된다. 현가식 시공법은 마루와 마루 사이의 홈에 접착제를 칠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차음성(遮音性)과 보행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강화마루는 모양지(decorative paper)의 종류에 따라 색상이나 디자인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다. 그러나, 모양지의 한계와 표면의 멜라닌 라미네이팅 등으로 목재의 질감이 원목마루나 합판마루에 견주어 다소 떨어진다 할 수 있다.
반면, 합판마루는 합판을 바탕재로 사용하여 표면에 무늬목을 입힌 것으로, 표면에 무늬목을 입힘으로써 질감이 자연스럽고 수분이나 열에 의한 변형이 적으나, 원목마루처럼 표면이 강하지 못해 긁힘이나 오염 및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나 퇴색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합판마루에는 바탕재로 사용한 합판의 두께가 10㎜ 이하로, 온돌용으로 사용하는 박판상(薄板狀) 마루와 두께가 10㎜ 이상이라 상업용 및 비온돌용으로 사용되는 후판상(厚板狀) 마루가 있다. 박판상 마루는 하지(下地, subfloor)에 직접 접착제를 바르고 붙여야 하는데 반해 후판상 마루는 凹부의 홈에만 접착제를 바르는 현가식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합판마루는 표면에 무늬목을 입힘으로써 질감이 자연스럽고 수분이나 열에 의한 변형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원목마루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열전도도도 좋은 편이지만, 원목마루처럼 표면이 강하지 못해 긁힘이나 오염 및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나 퇴색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 들어 특수 코팅재 및 접착제가 개발되면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원목마루는 외관이 고급스럽긴 하나 재료 특성상 습기에 의해 모양이 변형되거나 난방 방식에 따라 시공법에 제한이 뒤따른다. 합판마루는 이런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합판 위에 접착제로 원목 무늬목을 붙인 다음 냉압과 고열 처리한 합판을 직각으로 붙이고 특수 코팅으로 표면의 강도를 높여 긁힘과 변색 등을 최소한으로 줄였다.
그러나, 원목마루는 천연의 원목을 그대로 마루판으로 가공한 것으로, 모양에 따라 쪽마루판과 널마루판으로 나뉜다. 너비 18∼68㎜에 두께 8∼25㎜의 원목마루를 쪽마루판이라 하고, 너비 75∼175㎜에 두께 8∼22㎜의 판자형 마루를 널마루판이라 한다. 쪽마루판에 비해 널마루판이 목재의 질감이나 문양 상태가 좀더 우수하다. 바닥난방이 어려워 가정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충격 흡수성이 좋아 교실 등에 바닥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의 대표적인 재료로는 단풍나무나 자작나무가 있다.
전술한 널마루판은 원목을 그대로 이용해 질감이 우수하므로 최고급의 바닥재로 인식되고 있다. 재료로는 단풍나무·자작나무·물푸레나무 등의 활엽수가 주로 사용되는데, 수종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다. 또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여 스포츠센터나 교실 등에 바닥재로 많이 쓰인다. 촉감이 좋고 모양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인체에 해가 없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원목마루는 강화마루나 합판마루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단점으로는 열을 받으면 뒤틀려서 시공한 대로의 원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원목마루를 난방이 이루어지는 바닥에 사용하기 위해서 원목마루에 뒤틀림방지홈을 낸다거나 뒤틀림을 흡수하는 요홈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지만, 뒤틀림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원목마루는 슬래브 상부면 상에 몰탈을 통해 고정되어 시공된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난방에 있어 쉽게 가열은 되지만 가열된 온도를 오래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효율이 극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목마루는 상부면에 수직충격이 발생시 수직충격음은 원목을 통해 슬래브나 측벽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 할 수 있어 층간소음 심각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주민 상호간에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야기되기도 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439호(2012.08.17.자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4288호(2010.11.08.자 공고)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8527호(2006.11.15.자 공고)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064호(2006.02.01.자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유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직충격에 따른 소음을 분산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는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 온수배관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 바닥 충진재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 받침목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 연결 지지목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 연결 지지목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 및 연결 지지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과 석판의 상부를 마감하되 석판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석판의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연결홈은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의 상하 두께나 측방향 길이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어 난방시 열응력에 의해 연결 지지목의 튀틀림 발생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뒤틀림의 상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루목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결합시 요철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받침목은 구획목과 상하의 연결 지지목 끝단 및 석판의 모서리를 동시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온수배관 대신 탄소섬유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루목 대신 다다미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루목의 하부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횡방향으로 분산시켜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분산홈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유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직충격에 따른 소음을 분산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켜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간을 분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석판과 결합목의 결합을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마루목 대신 다다미의 시공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탄소섬유열선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면상발열체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석판과 결합목의 결합을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100)는 층간 슬래브(10)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110), 온수배관(110)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10)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110)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120),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130), 받침목(130)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142)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140),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대응하는 연결홈(152)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140)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110)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150),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150)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160) 및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를 마감하되 석판(150)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104)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17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100) 시공은 먼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슬래브(10)의 상부면 상에 온수배관(11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한다. 이때, 온수배관(110)은 동관이나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층간 슬래브(10)의 상부면 상에 온수배관(11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한 다음에는 황토, 모래, 쇄석 및 시멘트로 이루어진 바닥 충진재(또는 몰탈 : 120)를 슬래브(10) 상부면에 충진하여 균일하게 펼친 후 양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닥 충진재(120)의 높이는 온수배관(110) 높이의 1/4∼3/4 범위로 충진하여 양생을 통해 온수배관(1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충진재(120)를 슬래브(10) 상부면에 충진하여 양생을 통해 온수배관(110)을 고정시킨 다음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을 통해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받침목(130)을 설치한다. 이때, 받침목(130)은 시공되는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 위치를 감안하여 설치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양생을 통해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받침목(130)을 설치한 다음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끝단이 받침목(130)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연결 지지목(140)을 위치시켜 양측으로 석판(150)을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결합은 석판(150)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홈(152)에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가 삽입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구성에서 석판(150)의 상하 두께는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 부분은 받침목(130)의 상부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하부면은 동일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는 높이 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목(130)을 통해 연결 지지목(140)을 설치하여 온수배관(110) 상부측으로 연결 지지목(140)에 석판(150)을 결합 연결하게 되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경화된 상태의 바닥 충진재(120)는 온수배관(110)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되기 때문에 석판(150)의 하부면과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과의 사이에는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공기층(102)의 공기는 온수배관(110)의 가열온도에 의해가열되어 정체된 상태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난방의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마루목(170) 상부로 가해진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이 연결 지지목(140)이나 석판(150)을 통해 전달되면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슬래브(10)로 전달되는 충격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시공 과정은 일측의 벽체측으로부터 타측 벽체 방향으로 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연결하여 받침목(130)을 통해 온수배관(110) 상부로 지지되도록 한 다음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하부측에 구획목(16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구획목(160)의 상하 두께 역시 연결 지지목(140)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져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획목(160) 역시 슬래브(10)의 아래쪽에 1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이 이루어지면 상부측으로 구획목(160)을 설치하여 구획목(160)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2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배열과 구획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하부측에 구획목(160)을 설치한 다음에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루목(170)을 시공한다. 이때, 마루목(170)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 : 172, 174)이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상부측으로 시공되는 마루목(170)은 연속 결합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요철(凹凸 : 172, 174)을 통해 타카로 연결 지지목(140)에 고정시키면서 차례로 마루목(170)을 연결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마루목(170)의 요철(凹凸 : 172, 174)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하여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면을 마감하게 되면 석판(150)이 연결 지지목(140)의 높이에 비해 낮기 때문에 마루목(170)의 하부면은 연결 지지목(140)과 구획목(160)의 상부면에만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마루목(170) 하부면과 석판(150) 상부면 사이에는 에어층(10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층(104)은 마루목(170) 상면에 수직충격에 가해지는 경우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부측으로의 충격소음 전달량이 저감되도록 한다. 이때, 에어층(104)은 충격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과 함께 가열공기를 에어층(104) 상에 정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온도를 유지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마루목(170)으로는 편백나무나 낙엽송 또는 소나무와 같은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청정 효과나 살균효과 및 탈취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온수배관(110)은 온수를 통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수배관(110)은 도 1 내지 도 4,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슬래브(10) 상부면 상에 지그재그로 형태로 배열되어 온수의 유동을 통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온수배관(110)은 동관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관이나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배관(110)을 유동하는 온수 대신 가열효과가 더 우수한 열매체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닥 충진재(120)는 온수배관(110)의 시공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바닥 충진재(1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관(110)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10)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1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바닥 충진재(120)는 황토와 모래 및 시멘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 조성한 몰탈을 말하는 것으로, 슬래브(10) 상에 일정량 충진하여 미장도구를 통해 펼쳐 표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닥 충진재(12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온수배관(110)의 1/4∼3/4 높이로 충진하여 경화를 시킴으로써 온수배관(110)의 배열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목(130)은 후술하는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받침목(130)은 도 1 내지 도 4,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을 통해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목(130)은 시공되는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 위치를 감안하여 설치된다. 이때, 받침목(130)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시 그 위치를 변경하면서 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받침목(130)은 고정시키지 않는다. 받침목(130)의 고정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 위치를 바로 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목(130)은 구획목(160)과 상하의 연결 지지목(140) 끝단 및 석판(150)의 모서리를 동시에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 지지목(140)은 측방향으로 석판(150)을 연결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결 지지목(14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목(130)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14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지지목(140)으로 본 발명에서는 편백나무나 낙엽송 또는 소나무와 같은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하였다. 이때, 연결지지목(140)의 길이는 후술하는 석판(15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지지목(140)은 상시 최외곽에서 석판(150)과 연결되기 때문에 석판(150)의 개수에 비해 항상 한 개가 많게 구성된다. 즉, 두 개의 연결 지지목(140) 사이에 하나의 석판(150)이 연결된다 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지지목(140) 중 최외각에 위치되는 연결 지지목(140)의 외곽에 형성된 연결돌기(142)는 제거된 상태로 벽체와 접촉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석판(150)은 온수배관(110)을 통해 가열되어 온돌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석판(150)은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대응하는 연결홈(152)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140)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110)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석판(150)의 상하 두께는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결합하여 받침목(130) 상에 지지되도록 하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 하부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지만 상부는 석판(150)에 비해 연결 지지목(140)의 상부측에 높게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석판(150)의 연결홈(152)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비해 상하 높이나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처럼 석판(150)의 연결홈(152)을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비해 상하 높이나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하는 이유는 난방시 열응력에 의해 연결 지지목(140)의 튀틀림 발생시 연결돌기(142)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연결 지지목(140)의 뒤틀림아 상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배관(110)의 상부측으로 석판(150)을 시공하게 되면 석판(150) 하부면과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 사이에는 뜬구조의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열공기층(102)은 가열공기의 정체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열온도를 장시간 유지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석판(150) 하부면과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 사이에는 뜬구조의 가열공기층(102)은 가열공기의 유지를 통한 난방유지는 물론, 수직충격이 발생시 전달된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획목(160)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하의 열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획목(160)은 도 1, 조 2,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150)의 배열을 구획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획목(160)의 상하 두께 역시 연결 지지목(140)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져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되는 구획목(160)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하 열의 개수에 비해 하나가 더 구성된다. 즉, 상하의 최외관은 구획목(160)에 의해 벽체와 접촉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획목(160)은 슬래브(10)의 아래쪽 벽체에 접촉되도록 받침목(130)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위쪽으로 1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이 이루어지면 상부측으로 구획목(160)을 설치하여 구획목(160)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2열의 연결게 되고, 1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 위쪽으로 구획목(160)이 시공되는 배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마루목(170)은 마루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마루목(17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를 마감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상부측으로 직교되도록 마루목(170)을 시공하게 되면 석판(150)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104)이 형성된다. 이는 석판(150)에 비해 연결 지지목(140)이 높기 때문에 석판(150) 상부면과 마루목(170 하부면 사이에는 에어층(10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층(104)은 마루목(170) 상부로 수직충격에 발생되는 경우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열공기를 에어층(104) 상에 정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온도를 유지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마루목(170)으로 본 발명에서는 편백나무나 낙엽송 또는 소나무와 같은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하였다. 이때, 마루목(170)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 : 172, 17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결합시 요철(172, 174)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마루목(170)의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횡방향으로 분산시켜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분산홈(176)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분산홈(176)은 마루목(170)에 수직충격이 발생시 충격소음을 길이방향의 횡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충격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마루목 대신 다다미의 시공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예의 마루목(170) 대신 다다미(18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탄소섬유열선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면상발열체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이다.
아울러, 도 8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예의 온수배관(110) 대신 탄소섬유열선(190)이나 도 9 에서와 같이 면상발열체(19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바닥 충진재(120)를 통해 슬래브(10) 상부측에 고정된 온수배관(110) 상부로 연결 지지목(140)을 통한 석판(150)의 시공과 석판(150) 상부로 마루목(170)을 결합 시공하여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공기층(102, 104)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층(102, 104)의 가열공기를 통해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기층(102, 104)을 통해 수직충격에 따른 소음을 분산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바닥 충진재(120)를 통해 슬래브(10) 상부측에 고정된 온수배관(110) 상부로 연결 지지목(140)을 통한 석판(150)의 시공과 석판(150) 상부로 마루목(170)을 결합 시공하여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구들장 구조로 시공함으로써 석판(150)의 가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효과와 원목의 피톤치드 발산 효과를 통해 새집증후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슬래브 100. 원목마루
110, 온수배관 120. 바닥 충진재
130. 받침목 140. 연결 지지목
142. 연결돌기 150. 석판
152. 연결홈 160. 구획목
170. 마루목 180. 다다미
190. 탄소섬유열선 192. 면상발열체

Claims (7)

  1.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
    상기 온수배관 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슬래브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
    상기 바닥 충진재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
    상기 받침목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
    상기 연결 지지목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상기 바닥 충진재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
    상기 연결 지지목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상기 석판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 및
    상기 연결 지지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 지지목과 석판의 상부를 마감하되 상기 석판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의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연결홈은 상기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의 상하 두께나 측방향 길이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어 난방시 열응력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목의 튀틀림 발생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뒤틀림의 상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목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결합시 상기 요철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목은 상기 구획목과 상하의 상기 연결 지지목 끝단 및 상기 석판의 모서리를 동시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관 대신 탄소섬유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목 대신 다다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목의 하부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횡방향으로 분산시켜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분산홈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KR1020150001055A 2015-01-06 2015-01-06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KR10164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55A KR101641866B1 (ko) 2015-01-06 2015-01-06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55A KR101641866B1 (ko) 2015-01-06 2015-01-06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21A true KR20160084621A (ko) 2016-07-14
KR101641866B1 KR101641866B1 (ko) 2016-07-22

Family

ID=5649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55A KR101641866B1 (ko) 2015-01-06 2015-01-06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99B1 (ko) 2023-07-06 2024-04-09 (주)케이오에스 마감용 바닥판 고정형 히팅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504A (ko) * 1993-12-15 1995-07-24 임학수 구들장 조립식 온수 온돌 시공방법
KR200408064Y1 (ko) 2005-11-08 2006-02-07 김기원 충격완화용 원목마루 시공방법과 그 원목마루
KR20060058992A (ko) * 2004-11-26 2006-06-01 대창기업 주식회사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KR100648527B1 (ko) 2005-11-08 2006-11-27 김기원 충격완화용 원목마루 시공방법과 그 원목마루
KR20090106680A (ko) * 2008-04-07 2009-10-12 서선옥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KR100994288B1 (ko) 2009-11-30 2010-11-12 김덕호 통 원목마루 및 그 시공 방법
KR101176439B1 (ko) 2012-01-16 2012-08-30 왕병윤 원목마루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504A (ko) * 1993-12-15 1995-07-24 임학수 구들장 조립식 온수 온돌 시공방법
KR20060058992A (ko) * 2004-11-26 2006-06-01 대창기업 주식회사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KR200408064Y1 (ko) 2005-11-08 2006-02-07 김기원 충격완화용 원목마루 시공방법과 그 원목마루
KR100648527B1 (ko) 2005-11-08 2006-11-27 김기원 충격완화용 원목마루 시공방법과 그 원목마루
KR20090106680A (ko) * 2008-04-07 2009-10-12 서선옥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KR100994288B1 (ko) 2009-11-30 2010-11-12 김덕호 통 원목마루 및 그 시공 방법
KR101176439B1 (ko) 2012-01-16 2012-08-30 왕병윤 원목마루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866B1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9764A1 (zh) 地暖型模块地板
US7793483B2 (en) Ventilated floor moldings
RU2340742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101641866B1 (ko)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CA2792370A1 (en) Floor heating system with flexible and stretchable anti-fracture membrane
CN102277948A (zh) 水泥装饰复合板及其施工方法
KR101616779B1 (ko) 층간소음 저감구조의 원목마루
CN205046806U (zh) 地暖型模块地板及其组件
CA2671446A1 (en) Floairs
KR101176439B1 (ko) 원목마루 시공방법
KR101318200B1 (ko) 황토 방바닥의 난방장치
KR102140100B1 (ko) 경량전열패널
KR20180034820A (ko) 축열식 층간소음 저감구조의 실내바닥
JP2588598Y2 (ja) 床暖房用床材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100658497B1 (ko) 이동식 온돌
US9970200B1 (en) Raised adjustable insulated flooring system
KR100967051B1 (ko) 조립식 마루판
CN216380415U (zh) 一种客厅用硬木实木复合地板
CN219654162U (zh) 一种新型地暖模块
KR20120007318A (ko) 허니컴 마루 바닥재
KR101192515B1 (ko) 원통형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N201144510Y (zh) 三层实木复合地板
KR101163951B1 (ko) 공기 유입관을 구성한 통풍프레임
CA3000263C (en) Raised adjustable insulated flo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