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25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259A
KR20160084259A KR1020150000914A KR20150000914A KR20160084259A KR 20160084259 A KR20160084259 A KR 20160084259A KR 1020150000914 A KR1020150000914 A KR 1020150000914A KR 20150000914 A KR20150000914 A KR 20150000914A KR 20160084259 A KR20160084259 A KR 2016008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acoustic
display
unit
mount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종
김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259A/ko
Publication of KR2016008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음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음향부가 플랫(flat)한 제 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가압하거나 당기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부는 스피커가 실장된 복수의 실장 패턴(Speaker Packaged Patter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부 내에 복수개 존재하는 실장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하여도 음질이 만곡 정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 하부의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하여도 음질이 만곡 정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기 위하여 음향부 내에 복수개 존재하는 실장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음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음향부가 플랫(flat)한 제 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가압하거나 당기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부는 스피커가 실장된 복수의 실장 패턴(Speaker Packaged Patter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음향부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음향부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병진운동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접해있는 상기 다른 실장 패턴과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실장 패턴은 상기 음향부의 정면에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상기 다른 실장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접해있는 상기 다른 실장 패턴과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장 패턴은 내마모성 또는 내마찰성이 다른 복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재질 중 내마모성 또는 내마찰성이 강한 재질은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이 상호 접촉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재질 중 어느 하나는, 폴리 아세탈(POM, polyacetal)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음향부는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을 지지해주는 바(Bar)와,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외측에서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을 가이드해주는 패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상기 음향부의 후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LE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향부 내에 복수개 존재하는 실장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하여도 음질이 만곡 정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부(20)와 하우징(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클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은 모듈 커버(1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30)는 외부전원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동 을 위해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스피커 및 신호 입출력 단자 등을 포함하는 AV 박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하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상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부(20)보다 작을 수 있다.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 또는 구동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영상이나 사진에 더 몰입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디스플레이부(20) 후면 하단에 하우징(30)이 제공되며, 하우징(30)의 후면에 백 커버(BC)가 하우징(30)을 감싸며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전체 두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백 커버(BC)의 z방향으로의 폭의 합(d1)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백 커버(BC)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는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으로의 폭과 하우징(30)의 z방향 폭의 합(d3)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폭(d1)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30)이 디스플레이부(20) 전체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은 x축 양 끝으로 제 1 면적(SA1)만큼 노출될 수 있으며 y방향으로 제 2 면적(SA2)만큼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하우징(30)이 하단 중심부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 폭(d2)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라고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폭은 더 줄어들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평한 제 1 상태와 만곡되어 있는 제 2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가 평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20)는 제 1 상태일 때 곡률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 1 상태일 때 하우징(30)의 x축 양 끝과 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 폭(d2)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의 z 방향 폭의 합(d3)에 비해 아주 작을 수 있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 폭(d2)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의 z방향 폭의 합(d3)과 비교하여 50%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30) 내에는 링크(50)가 제공될 수 있다. 링크(50)는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주면서 디스플레이부(20)를 전방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하우징(30)은 링크(50)가 디스플레이부(20) 방향으로 상승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20)와 양 측이 이격될 수 있다. 링크(50)는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서로 이격될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에서 링크(50)가 -z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제 2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의 링크(50)가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을 밀어주어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이 -z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 2 상태일 때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위치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곡률(R1, R2, R3)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30)은 제 2 상태일 때에도 수평선(VPL)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디스플레이부(20)는 제 2 상태일 때 -z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와 x축 양 끝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링크(50)는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서로 이격될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x방향이 변형되지만, y방향은 변형되지 않거나 변형량이 아주 작을 수 있다. 따라서, x방향의 강성이 y방향의 강성과 비교하여 작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y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에 의해 y방향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P)에 따라 여러가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30) 한 측의 링크(50a)만이 디스플레이부(20)를 밀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주는 링크(50)의 상승된 높이가 양 측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한 측만이 -z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곡률은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측의 링크(50b)만이 디스플레이부(20)를 밀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주는 링크(50)의 상승된 높이가 양 측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한 측만이 -z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곡률은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의 개별 곡률을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개별 사용자마다 최적화된 곡률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면에 음향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음향부(12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음향부(12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0)와 접해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음향부(120)가 하부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와 분리되어 있다고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에 더 쉽게 몰입할 수 있다.
음향부(120)는 디스플레이부(20)와 x축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음향부(120)는 디스플레이부(20) 보다 y축 방향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음향부(120)의 y축 방향 길이가 디스플레이부(20)에 비하여 더 짧기 때문에 음향부(120)의 외관에 방해받지 않고 화면에 쉽게 몰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이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부(20)는 후면 중심부에 하우징 고정부(45)가 위치하며 x축 양 끝에 제 1 및 제 2 브라켓(40a, 40b)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는 하우징(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은 디스플레이부(20)와 양면 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양측에 구동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제 1,2 브라켓(40a, 40b)를 밀어주면서 디스플레이부(20) 및 음향부(120)를 전방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30)의 하부 양측 영역, 상부 양측 영역, 및/또는 중심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30)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x축 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y축 방향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y축 방향 높이(H)의 반에 해당하는 높이(0.5H)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제 1,2 브라켓(40a, 40b)의 중심부를 밀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 브라켓(40a, 40b)의 중심부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y축 방향 높이의 반(0.5H)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50)가 제 1,2 브라켓(40a, 40b)의 중심부를 밀어주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에 고르게 외력이 분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0)가 제 1,2 브라켓(40a, 40b)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어줄 때에 비해 외력이 한쪽으로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 고정부(45)의 중심부에 구동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구동부(50)는 하우징 고정부(4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를 전방으로 만곡 시킬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 고정부(45)와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제 1,2 브라켓(40a, 40b)의 복수의 부분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제 1,2 브라켓(40a, 40b)의 서로 다른 부분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50)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제 1,2 브라켓(40a, 40b)의 하부를 밀고, 다른 하나의 링크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의 상부를 밀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50)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제 1,2 브라켓(40a, 40b)의 장축을 2등분 하였을 때 하부에 결합되며, 구동부(50)의 다른 하나의 링크는 제 1,2 브라켓(40a, 40b)의 장축을 2등분 하였을 때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50)의 링크가 제 1,2 브라켓(40a, 40b)을 가압하면 제 1,2 브라켓(40a, 40b)의 상부, 중심부, 하부에 외력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50)가 제 1,2 브라켓(40a, 40b)의 복수의 부분에 외력을 가하기 때문에, 제 1,2 브라켓(40a, 40b)의 각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 차이에 의한 뒤틀림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2 브라켓(40a, 40b)의 상부와 하부에 압력을 가하여도 제 1,2 브라켓(40a, 40b)의 상부, 중심부, 하부에 동일한 외력이 걸리기 때문에 구동부(50)의 링크가 제 1,2 브라켓(40a, 40b)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제 1 상태에서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 음향부(120)의 양 측만이 접할 수 있다. 즉, 하우징(30)의 중심부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가 하우징(30)의 중심부로 당겨지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가 당겨질 때,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는 하우징(30)의 중심부로 점차 만곡될 수 있다.
제 2 상태에 도달하면,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와 하우징(30)의 중심부는 서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는 양 측이 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양 측이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의 x축 양 끝을 구동부로 밀어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양 측을 전방으로 돌출시켰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x축 양 끝이 돌출될 때, 측면의 링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를 구동부(50)의 링크로 당겨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를 하우징(30)으로 당길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중심부가 당겨지더라도 링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가 평평한 상태일 때도 측면에서 링크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잇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관에 영향이 적을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50)가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후면 중심부에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 결합부(45)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 결합부(4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를 당길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 결합부(45)의 중심부를 당기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상부와 하부에 힘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분산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50)가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의 양 측에 복수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고, 음향부(120)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 측과 대칭되는 타 측에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고, 음향부(120)의 타 측에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브라켓(40a, 40b)을 복수개의 구동부(50)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는 구동부(50)가 양 측에 하나일 때 보다 더 큰 힘으로 쉽게 가압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와 음향부(120)의 중심부에 구동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에 위치한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복수의 부분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50)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를 밀고, 다른 하나의 링크는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를 밀 수 있다.
음향부(120)의 중심부에 위치한 구동부(50)는 음향부(20)의 복수의 부분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음향부(12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50)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음향부(120)의 하부를 밀고, 다른 하나의 링크는 음향부(120)의 상부를 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가 다른 구동부(50)에 의해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의 분산이 더 쉬어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중심부와 음향부(120)의 후면 중심부에 구동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중심부에 위치한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를 당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구동부(50)가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를 당기면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음향부(120)의 후면 중심부에 위치한 구동부(50)는 음향부(120)의 중심부를 당길 수 있다. 음향부(120)는 구동부(50)가 음향부(120)의 중심부를 당기면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가 서로 다른 구동부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부(120)가 작은 힘에 의해서 쉽게 당겨질 수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부(120)가 실장 패턴(165), 바(151), 패턴 가이드(137), 메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스피커가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음향부(120)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복수개의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을 포함할 수 있다. 실장패턴(165)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실장 패턴(165)은 x축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실장 패턴(165)은 x축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이지 않을 수 있다.
바(151)는 실장 패턴(165)을 지지할 수 있다. 바(151)는 음향부(120)가 만곡될 때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바(151)는 상부 바(151a)와 하부 바(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151a)와 하부바(151b)가 실장 패턴(165)의 지지부(161)를 잡아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바(151)는 음향부(120)가 만곡될 때 실장 패턴(165)이 음향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바(151a)와 하부 바(151b)는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부 바(151a)와 하부바(151b)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기 때문에 상부 바(151a)와 하부 바(151b)는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바(151)는 지지부(161)가 실장 패턴(165)에 연결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음향부(120)의 y축 방향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바(151)는 이에 따라 음향부의 y축 방향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바(151)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하부 바(151b)에 외력이 가해지며,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상부 바(151a)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을 둘러 싸며 패턴 가이드(137)가 위치할 수 있다. 패턴 가이드(137)는 실장 패턴(165)이 제공될 위치를 가이드해줄 수 있다. 즉, 패턴 가이드(137)는 음향부(1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어도 실장 패턴(165)이 음향부(12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패턴 가이드(137)의 z축 방향으로의 폭은 실장 패턴(165)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장 패턴(165)의 z축 방향으로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패턴 가이드(137)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바(151)가 z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홀(177)을 포함할 수 있다. 홀(177)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의 상부에 메쉬(173)가 위치할 수 있다. 메쉬(173)는 실장 패턴(165)과 이격될 수 있다. 메쉬(173)는 그물형상으로 실장 패턴(16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쉬(173)는 그물 형상일 수 있다.
메쉬(173)가 실장 패턴(16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더 깔끔해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장 패턴(165)은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을 포함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하부에 지지부(161)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61)는 원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161)는 적어도 일부가 실장 패턴(165)에 연결될 수 있다.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하여도 지지부(161)는 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형상에 비해 좀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돌출부(172)와 중첩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2)는 실장 패턴(165)을 완성 하였을 때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중첩부(149)는 다른 실장 패턴(165)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첩부(149)는 돌출부(172)에 비하여 내부로 함몰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실장 패턴(165a)은 실장 패턴(165) 중 x축 양 끝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실장 패턴(165a)은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했을 때 가장 만곡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실장 패턴(165a)의 일 측은 패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장 패턴(165a)의 일 측은 패턴 가이드와 접하기 위하여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제 1 실장 패턴(165a)은 중첩부(149)를 포함하지 않고 돌출부(17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장 패턴(165a)은 가장 만곡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첩부(149)가 필요 없을 수 있다.
제 1 실장 패턴(165a)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은 돌출부(172)가 다른 실장 패턴(165)의 중첩부(149)와 중첩되기 위하여 두께가 좀 더 얇을 수 있다.
제 2 실장 패턴(165b)은 제 1 실장 패턴(165a)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실장 패턴(165b)은 실장 패턴(165)의 가장자리부터 중심부까지 제 3 실장 패턴(165c)과 함께 반복적으로 번갈아가며 위치할 수 있다.
제 2 실장 패턴(165b)은 중첩부(149)가 제 1 실장 패턴(165a) 또는 제 3 실장 패턴(165c)의 돌출부(172)와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장패턴(165b)은 돌출부(172)가 제 3 실장 패턴(165c) 또는 제 4 실장 패턴(165d)의 중첩부(149)와 중첩될 수 있다.
제 3 실장 패턴(165c)은 제 2 실장 패턴(165b)과 반복적으로 번갈아가며 위치할 수 있다. 제 3 실장 패턴(165c)은 중첩부(149)가 제 2 실장 패턴(165b)의 돌출부(172)와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실장 패턴(165c)은 돌출부(172)가 제 2 실장 패턴(165b)의 중첩부(149)와 중첩될 수 있다.
제 4 실장 패턴(165d)은 실장 패턴(165)들 중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4 실장 패턴(165d)은 중심부에 두개가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실장 패턴(165d)의 일 측은 다른 제 4 실장 패턴(165d)와 접하기 위하여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제 4 실장 패턴(165d)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은 제 2 실장 패턴(165b)의 돌출부(172)와 중첩하는 중첩부(149)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은 돌출부(172)와 중첩부(149)가 서로 많이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은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찰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은 폴리아세탈(POM, polyacetal) 수지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실장 패턴(165)은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찰성이 다른 복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다른 실장 패턴(165)과 마찰되는 부분만이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찰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장 패턴(165)은 얇은 표면이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찰성이 강한 재질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장 패턴(165)의 얇은 표면만이 폴리 아세탈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장 패턴(165)의 일부가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찰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할 때, 실장 패턴(165)의 x축 양 끝의 실장 패턴(165)부터 순서대로 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향부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실장 패턴(165a)부터 순서대로 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제 1 실장 패턴(165a)을 시작으로 경사져 있는 계단 형상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장 패턴(165)은 중첩되어 있는 중첩부(149)와 돌출부(172)가 실장 패턴(165)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장 패턴(165)은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되어도 정면에서 바라보면 돌출부(172)만이 보이고 중첩부(149)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만곡되어도 실장 패턴(165)의 형상이 유지된다고 느낄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장 패턴(165)은 돌출부(172)가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실장 패턴(165)은 돌출부(172)의 각 변의 길이(RL1)가 모두 같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0(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장 패턴(165)은 돌출부(172)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실장 패턴(165)은 돌출부(172)의 한변의 길이(RL1)과 다른 변의 길이(RL2)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0(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장 패턴(165)은 돌출부(172)가 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실장 패턴(165)은 삼각형, 별모양 등 여러가지 형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장 패턴(165)이 여러가지 다른 형상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른 심미감을 가져다줄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될 때, 실장 패턴(165)은 ?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실장 패턴(165)은 음향부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이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고 정면을 향하기 위하여 각각의 실장패턴(165)은 서로 x 방향 양 끝이 접해있을 수 있다.
실장 패턴(165)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 1 실장 패턴(165a)은 더 중심부에 위치한 제 2,3 실장 패턴(165b, 165c) 보다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실장 패턴(165b)은 더 중심부에 위치한 제 3 실장 패턴(165c)보다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실장패턴(165a)은 제 2 실장 패턴(165b)보다 제 1 거리(PD1)만큼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실장 패턴(165b)은 제 3 실장 패턴(165c)보다 제 2 거리(PD2)만큼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거리(PD1)은 제 2 거리(PD2)보다 더 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장 패턴(165) 중 가장자리의 실장 패턴(165)이 내측에 있는 실장 패턴(165)보다 더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부의 실장 패턴(165) 중 바깥쪽에 있는 실장 패턴(165)이 더 많은 거리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바깥쪽에 위치한 실장 패턴(165)은 안쪽에 위치한 실장 패턴(165)보다 내마모성 및/또는 내 마찰성이 더 좋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장 패턴(165)은 돌출부(172)와 중첩부(149)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실장 패턴(165)은 음향부가 전방측으로 만곡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장 패턴(1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다른 하나는 음향부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실장 패턴(165) 중 적어도 하나는 음향부의 두께 방향으로 병진운동할 수 있다.
실장 패턴(165) 중 적어도 일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실장 패턴(165b)의 중첩부(149)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1 실장 패턴(165a)의 돌출부(172)의 하부면까지 거리(OA1)는 제 2 실장 패턴(165b)의 돌출부(172)의 상부면으로부터 제 1 실장패턴(165a)의 돌출부(172)의 하부면 까지의 거리(OA2)보다 클 수 있다.
제 2 실장 패턴(165b)의 중첩부(149)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1 실장 패턴(165a)의 돌출부(172)의 하부면까지 거리(OA1)가 제 2 실장 패턴(165b)의 돌출부(172)의 상부면으로부터 제 1 실장패턴(165a)의 돌출부(172)의 하부면 까지의 거리(OA2)보다 크다면 사용자는 x축 방향으로 음향부를 바라보아도 각각의 실장 패턴(165)이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향부가 외관상 더 깔끔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도 23(a)를 참조하면, 제 3 실장 패턴(165c)의 지지부(161)와 중첩부(149)는 돌출부(172)의 하나의 측에 치우져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72)의 한 측만이 다른 실장 패턴의 중첩부(149)와 중첩될 수 있다. 돌출부(172)의 한 측만이 다른 실장 패턴의 중첩부(149)와 중첩되기 때문에, 제 3 실장 패턴(165c)은 쉽게 전방측으로 이동했다가 복귀할 수 있다.
도 23(b)를 참조하면, 제 3 실장 패턴(165c)의 지지부(161)와 중첩부(149)는 돌출부(172)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72)의 양 측이 다른 실장 패턴의 중첩부(149)와 중첩될 수 있다. 돌출부(172)의 양 측이 다른 실장 패턴의 중첩부(149)와 중첩되기 때문에, 제 3 실장 패턴(165c)은 무게 중심이 균형이 잡혀있어 좌우로 기울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는 제 3 실장 패턴(165c)만이 도시되었으나, 본 도면의 지지부(161)와 중첩부(149)는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에 모두 적용 될 수 있다.
지지부(161)와 중첩부(149)의 위치에 따른 장점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이동량이 많은 가장자리의 실장 패턴(165)은 지지부(161)와 중첩부(149)가 하나의 측에 치우치며 이동량이 작은 중심부의 실장 패턴(165)의 실장 패턴(165)은 지지부(161)와 중첩부(149)가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실장 패턴(165)은 지지부(161), 및 지지부(161)와 중첩부의 하부면을 연결해주는 연결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1)는 음향부의 바에 실장 패턴(165)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61)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져 좀 더 자유롭게 전방측으로 실장 패턴(165)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지지부(161)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및/또는 삼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153)는 지지부(161)와 중첩부의 하부면을 연결해줄 수 있다. 바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결부(153)는 지지부(161)의 적어도 일부에만 접할 수 있다. 연결부(153)는 지지부(161)의 중심부에만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연결부(153)는 지지부의 양 측에만 접하며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실장 패턴(165)은 중첩부가 존재하지 않고 돌출부(172)만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실장 패턴(165)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172)의 모양은 직육면체의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부분의 돌출부(172)가 파손 되어도 형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더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돌출부(172)의 측면만 마찰되기 때문에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찰성이 덜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장 패턴(165)은 더 내구성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장 패턴(165)이 돌출부(172)만을 포함하며 돌출부(172)는 서로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더 단순한 실장 패턴(165)의 디자인을 보며 심미감을 느낄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실장 패턴(165)은 y축을 기준으로 패턴이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x축을 기준으로도 패턴이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은 x축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패턴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이 복수개의 패턴으로 나누어짐에 따라 음향부 상하부의 곡률이 달라지더라도 각각의 패턴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실장 패턴(165)의 한 부분이 파손되어도 그 부분의 패턴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은 각각의 패턴마다 지지부(161)와 본체를 연결해주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이 복수개의 패턴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장 패턴(165)은 더 자유롭게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음향부(120)의 제 1 내지 제 3 실장 패턴(165a 내지 165c)에 스피커(197)가 실장될 수 있다.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3 실장 패턴(165a 내지 165c)의 돌출부(172)에 실장될 수 있다.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3 실장 패턴(165a 내지 165c)의 중심부에 실장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실장 패턴(165a 내지 165c)의 돌출부(172)의 스피커(197)가 실장될 부분을 일부 제거한 후 스피커를 실장할 수 있다.
제 4 실장 패턴(165d)에는 스피커(197)가 실장되지 않을 수 있다. 제 4 실장 패턴(165d)은 면적이 좁기 때문에 중심부에 스피커(197)가 실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피커(197)는 원 형상일 수 있다. 스피커(197)는 원 형상이기 때문에 음향이 전 방향으로 고르게 퍼질 수 있다. 또한, 스피커(197)는 원 형상이기 때문에 심미감이 더 뛰어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피커(197)는 x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스피커(197)는 직사각형 형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듣는 위치에 따라 특정 주파수대가 들리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에 스피커(197)가 실장될 수 있다.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3 실장 패턴(165a 내지 165c)의 돌출부(172) x축 양 끝에 실장될 수 있다. 즉,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3 실장 패턴(165a 내지 165c)의 돌출부(172)마다 두 개가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제 4 실장 패턴(165d)은 돌출부(172)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하나의 스피커(197)만이 실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의 y축 양 끝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스피커(197)는 제 1 내지 제 4 실장 패턴(165a 내지 165d)의 돌출부(172)의 다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197)가 제 1 내지 제 3 실장 패턴(165a 내지 165c)의 돌출부(172)마다 두 개가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197)의 개수가 더 많아져 입체감이 커질 수 있다.
도 2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부가 음향부(120)의 중심부를 당겨 음향부(120)를 전방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이 때, 음향부(120)의 양 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실장 패턴(165)은 거의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음향부(120)의 중심부에 위치한 실장 패턴(165)은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부가 음향부(120)의 x축 양 끝을 밀어 음향부(120)를 전방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이 때, 음향부(120)의 중심부에 위치한 실장 패턴(165)은 거의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음향부(120)의 양 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실장 패턴(165)은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음향부(120)가 전방측으로 만곡하여도 각각의 실장 패턴(165)은 좌우로 기울지 않고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향부(197)의 음질이 음향부(197)의 만곡 정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음향부(197)가 가변함에 따라 실장 패턴(165)이 이동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향부(197)가 디스플레이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패널
15: 모듈 커버 30: 하우징
120: 음향부 165: 실장 패턴

Claims (16)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음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음향부가 플랫(flat)한 제 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가압하거나 당기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부는,
    스피커가 실장된 복수의 실장 패턴(Speaker Packaged Pattern)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음향부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음향부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를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병진운동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접해있는 상기 다른 실장 패턴과 일부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장 패턴은,
    상기 음향부의 정면에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상기 다른 실장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 실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접해있는 상기 다른 실장 패턴과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패턴은,
    내마모성 또는 내마찰성이 다른 복수의 재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질 중 내마모성 또는 내마찰성이 강한 재질은,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이 상호 접촉되는 영역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질 중 어느 하나는, 폴리 아세탈(POM, polyacetal) 수지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부는,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을 지지해주는 바(Bar)와,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 외측에서, 상기 복수의 실장 패턴을 가이드해주는 패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상기 음향부의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LED)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00914A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4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14A KR20160084259A (ko)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14A KR20160084259A (ko)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259A true KR20160084259A (ko) 2016-07-13

Family

ID=5650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914A KR20160084259A (ko)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5923A (zh) * 2019-11-08 2021-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5923A (zh) * 2019-11-08 2021-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US11630635B2 (en) 2019-11-08 2023-04-18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907608B2 (en) 2019-11-08 2024-02-20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82702A (ja) 表示装置
JP6195698B2 (ja) 表示装置
US9338905B2 (en) Curved display apparatus
US10645828B2 (en) Display apparatus
TWI549117B (zh) 用於具有多個像素陣列之可平鋪顯示設備之組態
CN102236181A (zh) 显示设备
US20130201663A1 (en) Supporting member for backlight unit,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310311B2 (en) Display apparatus
TR201702620A2 (tr) Sesi Yeniden Üreten Ekran
EP3425262B1 (e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illumination apparatus
CN103529595A (zh) 显示装置
KR2016009861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42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98483A1 (ja) 光学部材、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6597617B2 (ja) 表示装置
CN109661810B (zh) 显示装置
US10788612B2 (en) Light-emitting unit, display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US2012020080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449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299174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0003582A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700164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바텀
KR20170015727A (ko) 표시장치
WO2017064919A1 (ja)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3050649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