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702A -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702A
KR20160083702A KR1020150000146A KR20150000146A KR20160083702A KR 20160083702 A KR20160083702 A KR 20160083702A KR 1020150000146 A KR1020150000146 A KR 1020150000146A KR 20150000146 A KR20150000146 A KR 20150000146A KR 20160083702 A KR20160083702 A KR 2016008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d
parts
goethite
wust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주
Original Assignee
권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주 filed Critical 권영주
Priority to KR102015000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3702A/ko
Publication of KR2016008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6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characterised by specific heating conditions during heat treatment
    • C04B2235/6567Treatment t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제작공정 중 문양 및 표현기법에서 사용되는 화장토 중에서 특정한 색을 발색하는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본 고유의 적색 라꾸 다완에서 발색되는 적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발색하는 적색 화장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을 5 중량부와 우스타이트(Wustite)를 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적색 라꾸 다완의 적색과 매우 유사한 적색인, UV측정결과(L*a*b*) 값이 각각 56.83, 27.22, 23.28인 적색을 발색하는 화장토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RED ENGOBE FOR RAKU CERAMIC WA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자기 제작공정 중 문양 및 표현기법에서 사용되는 화장토 중에서 특정한 색을 발색하는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 제작공정은 원료 선택 후, 소지 조성조합(청자토, 분청토, 산청토, 중국백토)하여 성형(물레성형, 도판, 소지의 덩어리)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형, 문양 및 표현기법(양각, 인화문, 상감조각, 조화조각, 박지조각)을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건조, 초벌구이(900℃, 산화소성)를 한 후, 시유(청자유, 분청유, 망간유), 분무법, 담금법, 마침(재벌)구이(1,230℃ 환원소성)를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도자기 제작공정 중 화장토는, 기물에 칠을 하여 무늬 등을 장식하는 것과 태토의 색깔이나 질감을 감추기 위해 기물 전체에 분장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의 홍도와 흑도, 고려시대의 상감 재료,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에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화장토는 소지와의 융착력과 수축력이 가장 중요하며 건조와 수차례의 소성에 수반되는 수축에도 잘 견뎌야하며 초벌구이 소지가 수축을 일으키지 않도록 밀착되어야 한다.
화장토의 조합비가 부적절할 경우에는 소지와 유약의 고착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건조과정에서 균열 및 파손이 발생하여 도자기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색화장토의 사용에 의한 화려한 표면장식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또한 적색을 비롯한 기존의 색화장토의 경우, 원하는 정확한 색상의 발현이 용이하지 않아 색화장토의 사용에 의한 도자기 심미성 향상을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400년전 일본에서 탄생한 라꾸야끼는 중국 당나라의 당 삼채의 영향을 받은 도자기로 라꾸야끼의 창시자인 조지로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기와공이던 조지로는 센노리큐와의 만남으로 일반 도자기와는 완전 다른 방식의 차도구용 라꾸 다완을 만들게 되었다. 라꾸 다완의 특징으로는 물레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만 빚어 만들었으며, 초벌한 도자기를 900℃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하는 방식으로 적색 다완은 900℃에 넣어 10분간, 검은색 다완은 1180℃에서 넣어 약 10분간 급열, 급냉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초기 적색 다완에 사용된 황토는 일본 교토 주변에서 산출되는 황토로 시가라끼 황토라고 불리며 이를 이용하여 붉은 색상을 나타냈으나, 최근 원료의 고갈 및 채취장소의 택지화로 인하여 채취가 어렵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각 연구 단체 및 전문 라꾸 요장에서는 적색 라꾸에 사용할 황토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일반 황토의 경우 900℃로 급열하여 급냉하는 경우 황갈색의 색상을 나타내는데, 일본 라꾸 도자기에 사용되는 황토는 900℃에서 급열, 급랭하였을 경우 적색을 나타낸다.
화장토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02668(등록일자 2001년07월05일)에서 '도자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화장토와 그 화장토로 만들어진 도자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지만, 이러한 등록특허는 일반적인 화장토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을 뿐, 일본 라꾸 도자기 고유한 적색을 나타내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국내에서 산출되는 원료를 사용하여 일본 고유의 적색 라꾸 다완에서 발색되는 적색과 동일한 색상을 발색하는 적색 화장토를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본 고유의 적색 라꾸 다완에서 발색되는 적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발색하는 적색 화장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ㅈ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4 ~ 6 중량부와 우스타이트(Wustite) 8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화장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20 ~ 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화장토를 제공한다.
상기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도가니에 넣어 뚜껑을 덮은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8 ~ 12 분간 소성한 다음 상온에서 자연냉각시킨 후 평균 입경 10㎛로 분쇄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색 고령토는 SiO2 48.40 중량%, Al2O3 34.32 중량%, Fe2O3 0.53 중량%, MgO 0.20 중량%, CaO 4.59 중량%, Na2O 1.02 중량%, K2O 0.55 중량%의 성분을 함유하는 백색 고령토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을 5 중량부와 우스타이트(Wustite)를 9 중량부를 첨가하여, 적색 라꾸 다완의 적색과 매우 유사한 적색인, UV측정결과(L*a*b*) 값이 각각 56.83, 27.22, 23.28인 적색을 발색하는 화장토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시가라끼 황토와 영주산 황토의 라만 스펙트럼 분석 결과도.
도 2는 시가라끼 황토를 900℃, 1000℃에서 10분간 소성한 후 XRD 분석을 수행한 결과도.
도 3은 시가라끼 황토를 (a)소성 전과 (b)소성 후에 라만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한 결과도.
도 4는 900℃에서 10분간 소성 후의 침철석(Goethite)와 우스타이트(Wustite)에 대한 XRD 분석 결과도.
도 5는 900℃에서 10분간 소성 후의 침철석(Goethite), Fe+백색 고령토, Fe+알루미나, Fe+실리카, 시가라끼 황토 및 소성을 하지 않은 시가라끼 황토의 XRD 분석 결과도.
도 6은 900℃에서 10분간 소성 후의 침철석(Goethite), Fe+백색 고령토, Fe+알루미나, Fe+실리카, 시가라끼 황토 및 소성을 하지 않은 시가라끼 황토의 XRD 분석 결과도에서 (a) 및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침철석(Goethite)을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시험편에 첨가하고, 900℃에서 10분간 소성 후에 변화한 UV 스펙트럼 발색값의 변화 결과도.
도 8은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를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시험편에 첨가하고, 900℃에서 10분간 소성시킨 후에 변화한 UV 스펙트럼 발색값의 변화 결과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본 고유의 적색 라꾸 다완에서 발색되는 적색과 동일한 색상을 발색하기 위해,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4 ~ 6 중량부와 우스타이트(Wustite) 8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적색 화장토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86.2 ~ 89.3 중량%, 침철석(Goethite) 3.5 ~ 5.3 중량% 및 우스타이트(Wustite) 7.0 ~ 8.8 중량%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적색 화장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본 고유의 적색 라꾸 다완에서 발색되는 적색과의 유사한 색상을 발색하기 위해,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20 ~ 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적색 화장토를 제공한다.
혼합으로 조성된 상기 조성물을 도가니에 넣어 뚜껑을 덮은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8 ~ 12 분간 소성한 다음 상온에서 자연 냉각시킨 후 평균 입경 10㎛로 분쇄하여 화장토를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점토라 하는 것은 물리적인 형태가 매우 작은 크기의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제 입자 크기가 지름이 1마이크론보다 작은 것을 말한다. 이 작은 입자들이 점토의 단일 결정체이며,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해 보면 점토 입자들은 납작한 형태를 하고 있다. 양 면이 길고 다른 쪽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점토 중에서 자연 상태에서 얻을 수 있는 1차적인 흙을 고령토라고 부른다. 1밀리미터의 고령토 입방체는 350만개의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교적 거친 점토이다. 백토는 철분과 유기물의 함유량에 따라 백색이 다른 색을 띠기도 한다. 고령토를 카올린(Kaolin)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Al2O3-2SiO2-2H2O이며, 본 발명에서는 백색 고령토를 기본으로 한 조성의 혼합물을 소성하여 일본 고유의 적색 라꾸 다완에서 발색되는 적색과 유사한 색상을 발색하는 화장토를 제공한다.
사용한 백색 고령토는 하동에서 산출되는 고령토로 SiO2 48.40 중량%, Al2O3 34.32 중량%, Fe2O3 0.53 중량%, MgO 0.20 중량%, CaO 4.59 중량%, Na2O 1.02 중량%, K2O 0.55 중량%의 성분을 함유하는 백색 고령토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사용 원료인 황토의 성분 분석
적색 라꾸에 사용되던 기존 시가라끼 황토와, 라꾸 개발을 위해 시험 사용된 국내산 적색 화장토 원료의 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XRF 분석을 하였다.
XRF분석 결과를 보면, 아래 (표 1)과 같이 일본 시가라끼 황토에서 SiO2 함량은 60.63%, Al2O3 함량은 26.03%인 것에 비해 산화철의 함유량은 9.43%로 높다. 이들은 대부분 침철석(Goethite) 형태로 존재하며 일부 우스타이트(Wustite)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국내의 대부분 황토의 경우 산화철 함유량이 8% 이하이며 이들은 대부분 Hematite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산 황토 중 영주산 황토의 경우 8.10%로 그 중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2. 화장토 시유 및 소성
시가라끼 황토를 국내 화장토로 대체하기 위한 최적의 조합 비율을 찾기 위하여, (표 2)와 같이,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각각 침철석(Goethite)(FeO(OH))을 1~25 중량부까지 2 중량부씩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고, 우스타이트(Wustite, FeO)는 1~19 중량부까지 2 중량부씩 증가시키면서 조합한 화장토 조성을 만들어 이를 건조한 라꾸 시험편에 시유한 다음 800℃에서 30분간 초벌 소성하였다. 초벌 소성한 시험편을 900℃로 유지된 전기로에 넣어 10분간 재벌소성 하여 후속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실시예 3. 결정상 분석
A. Raman spectroscopy 분석
시가라끼 황토와 개발된 적색화장토의 결정상 특성(일본 시가라끼 황토와 영주 황토내에 함유되어 있는 침철석(Goethite)(FeO(OH))와 우스타이트(Wustite, FeO)의 양을 알아보기 위하여 Raman spectroscopy(Lambda solution, Inc., U.S.A.) RP 532-U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황토 중 영주 황토만이 (도 1)에서와 같이 일본 시가라끼 황토와 같은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로 산화철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본 시가라끼 황토와 영주 황토 내에 함유되어 있는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의 양을 Raman에 의한 "상대 정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더니, 시가라끼 황토는 382 cm-1에서 침철석(Goethite)의 특성 peak을 보였고, 649 cm-1에서 우스타이트(Wustite)의 특성 peak을 보였다. 각 peak의 intensity 비율을 를 계산한 결과 FeO(OH) : FeO = 1.125 : 1 이었다. 따라서 일본 시가라끼 황토 내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철 9.4 %는 침철석(Goethite)이 5 %, 우스타이트(Wustite)가 4.4 %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주 황토의 경우 같은 방법으로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의 비를 계산하면 FeO(OH) : FeO = 0.1815 : 1 로 계산되어, 영주 황토 내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철 8.1 %에는 침철석(Goethite)이 3.6 %, 우스타이트(Wustite)가 4.5 %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시가라끼 황토와 영주 황토 내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철은 동일한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들의 함량 차이에 의하여 소성 시 색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B. XRD 분석
시가라끼 황토의 적색을 나타내는 화장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황색의 시가라끼 황토를 900℃, 1000℃에서 10분간 소성한 후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XRD 분석 결과, 소성 전 황토의 주 결정상은 Quartz(도 2에 'Q'로 표시)였고 그 외에 Kaolinite(도 2에 'K'로 표시)가 함께 공존하였으며 900℃에서 10분간 소성한 황토는 Kaolin이 Metakaolin으로 전이 되어 적색의 Hematite 결정(도 2에 'H'로 표시)이 생성되었다. 이를 더욱 자세히 확인하기 위하여 Raman 분석을 한 결과, (도 3)과 같이 황토(도 3에서 (a)로 표시됨) 내의 침철석(Goethite)의 특성 peak(227 cm-1,301 cm-1,382 cm-1,475 cm-1)이 900℃에서 10분간 소성한 후(도 3에서 (b)로 표시됨) Hematite 특성 peak(223 cm-1,292 cm-1,407 cm-1,504 cm-1,613 cm-1)으로 전이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다른 산화물인 알루미나(Alumina)와 실리카(Silica)를 고용하는 현상 때문이다. 우스타이트(Wustite)의 경우는 Magnetite로 전이되면서 명도 값은 낮아지고 색상은 핑크 빛을 나타내는 회색을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4)에서 침철석(Goethite)에 대한 XRD 분석 결과와 900℃에서 소성한 후의 XRD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도 Hematite 생성 현상을 볼 수 있다. (도 5)와 부분확대한 (도 6)을 보면 'F'로 표시된 것이 Hematite(Fe2O3)이고 'A'로 표시된 것이 고용된 알루미나(Alumina)인데, 알루미나(Alumina)와 실리카(Silica)를 고용하여 peak가 전이되는 현상을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색상 분석
적색라꾸에 사용되는 시가라끼 황토와, 조합된 적색 화장토의 색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 (2401-PC, Shimadzu, Japan)를 사용하여 색상을 측정하였으며, 멘셀(Muncell)색 표시인 색상(H: hue), 명도(V: value), 채도(C: chroma)값을 측정하여 CIE-L*a*b*값으로 나타내었다.
시가라끼 황토를 900℃로 10분간 소성하면 L*a*b* 값이 52.50, 27.01, 24.08인 Grayish reddish orange color로 발색하였고, 영주 황토로만 소성한 경우 L*a*b* 값이 62.50, 18.46, 30.33인 Moderate Orange color로 발색하여 영주 황토만으로는 시가라끼 황토를 대체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가라끼 황토를 대체하기 위하여, 시가라끼 황토에 대한 분석 자료를 근거로 산화철 함량이 적고 가소성을 가진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lion)를 사용하였으며, 시가라끼 황토 내에 존재하는 산화철이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로 존재하므로 백색 고령토(White Kaolin)에 시가라끼 황토에 함유된 동일 몰(mole)의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 성분을 넣어 시가라끼 황토를 대체할 수 있는 적색 화장토를 개발하였다.
A.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W/K)에 우스타이트(Wustite)를 첨가한 경우의 UV 분석
백색 고령토(White Kalion)에 우스타이트(Wustite)를 첨가하였고, Alumina와 Silica 100 중량부에 각각 우스타이트(Wustite)를 7 중량부로 첨가하여 UV를 분석한 결과 침철석(Goethite)은 Hematite로 전이 되면서 Hematite에 Alumina와 Silica를 고용하여 적색을 내지만 우스타이트(Wustite)의 경우는 Hematite로 전이 되면서 적색을 나타내지 못하고 핑크색을 띄는 회색을 나타내었다. Alumina와 Silica 100 중량부에 각각 우스타이트(Wustite)를 7 중량부로 첨가했을 때의 색상을 (표 3)에, 백색 고령토(White Kalion)에 우스타이트(Wustite)를 첨가했을 때의 색상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4>
Figure pat00004

B.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W/K)에 침철석(Goethite)을 첨가한 경우의 UV 분석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lio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을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중량부씩 첨가하여 시험편에 시유하여 건조하였으며, 이것을 800℃에서 30분간 유지 초벌 소성한 후, 최고온도 900℃로 유지된 전기 가마에 넣어 10분간 소성하여 색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lion)에 침철석(Goethite)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명도 값은 감소하였고 색상을 나타내는 a*b*값은 증가 하여 밝은 색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을 (표 5)와 (도 7)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5

C.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W/K)에 침철석(Goethite)과 우스타이트(Wustite)를 첨가한 경우의 UV 분석
(표 5)를 분석한 결과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lio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21 중량부(11번의 회색으로 나타낸 부분)를 첨가한 시험편의 a*b*값은 30.36, 23.02로 일본 시가라끼 황토와의 거리(EH)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3.514로 가장 비슷하였다. 시가라끼 황토와 같은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동 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21 중량부를 첨가한 조합비에 각각 우스타이트(Wustite)를 1, 3, 5 중량부씩 첨가 하여 초벌한 시험편을 900℃에 넣어 10분간 소성후 UV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침철석(Goethite) 21 중량부가 함유된 하동 White Kalion에 우스타이트(Wustite)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명도 값은 감소하고 a*b*값은 증가하여 시가라끼 황토와 유사하지만 동일한 색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을 (표 6)과 (도 7)에 나타내었다.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20 ~ 22 중량부를 함유하는 경우, 그 조성물은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81 ~ 84 중량%와 침철석(Goethite) 16 ~ 19 중량%로 이루어지게 된다.
<표 6>
Figure pat00006

D. Raman 상대정량 분석법에 의한 UV 분석
적색 라꾸 화장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라가끼 황토를 Raman에 의한 "상대 정량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lio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를 5, 7 중량부 및 우스타이트(Wustite)를 1, 3, 5, 7, 9 중량부로 첨가하여 만든 화장토 시험편을 900℃에 넣어 10분간 소성한 결과의 UV 색상값을 (표 7)과 (도 8)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pat00007
그 결과 만들어진 화장토는 모두 Moderate Reddish Orange색을 나타내었으며 침철석(Goethite)에 우스타이트(Wustite)가 첨가됨에 따라 색상을 나타내는 a*b*값은 감소되었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 시라가끼 화장토와 가장 비슷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은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lio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5 중량부와 우스타이트(Wustite) 9 중량부 비율로 첨가하였을 경우(표 7에서 회색으로 나타낸 부분)이며, 측정된 a*b*값은 27.01, 24.08로 시가라끼 황토와의 거리(EH)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0.827로 가장 유사하였다.
하동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4 ~ 6 중량부, 우스타이트(Wustite) 8 ~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경우, 그 조성물은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86 ~ 90 중량%, 침철석(Goethite) 3 ~ 6 중량% 및 우스타이트(Wustite) 7 ~ 9 중량%로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86.2 ~ 89.3 중량%, 침철석(Goethite) 3.5 ~ 5.3 중량% 및 우스타이트(Wustite) 7.0 ~ 8.8 중량%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4 ~ 6 중량부와 우스타이트(Wustite) 8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화장토.
  2. 백색 고령토(white kaolin) 100 중량부에 침철석(Goethite) 20 ~ 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화장토.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도가니에 넣어 뚜껑을 덮은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8 ~ 12 분간 소성한 다음 상온에서 자연 냉각시킨 후 평균 입경 10㎛로 분쇄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화장토.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색 고령토(white kaolin)는 SiO2 48.40 중량%, Al2O3 34.32 중량%, Fe2O3 0.53 중량%, MgO 0.20 중량%, CaO 4.59 중량%, Na2O 1.02 중량%, K2O 0.55 중량%의 성분을 함유하는 백색 고령토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화장토.
KR1020150000146A 2015-01-02 2015-01-02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 KR2016008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46A KR20160083702A (ko) 2015-01-02 2015-01-02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46A KR20160083702A (ko) 2015-01-02 2015-01-02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02A true KR20160083702A (ko) 2016-07-12

Family

ID=5650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146A KR20160083702A (ko) 2015-01-02 2015-01-02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37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9445A1 (fr) 2021-02-03 2022-08-05 Adam Pyrométrie four céramique électrique « RAKU » sur alimentation domesti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9445A1 (fr) 2021-02-03 2022-08-05 Adam Pyrométrie four céramique électrique « RAKU » sur alimentation domest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8476B (zh) 汝瓷包装容器防渗漏釉料、釉浆及其制备方法
KR101384251B1 (ko)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Das et al. Shrinkage and strength behaviour of quartzitic and kaolinitic clays in wall tile compositions
KR101830911B1 (ko)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1747089A (zh) 一种汝窑玛瑙釉及其加工方法和应用
CN110117184A (zh) 一种耐磨损日用陶瓷及其制备方法
KR101208350B1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16127A (zh) 德化珍珠白瓷器及其制备工艺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922810B (zh) 一种陶瓷用大红釉料及其制成陶瓷产品的方法
KR101938260B1 (ko) 동백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9052951A (zh) 一种光致变色钧瓷釉及其制备方法
KR101238266B1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3702A (ko) 붉은색 raku 도자기 화장토와 그 제조방법
CN104418336B (zh) 一种合成硅灰石和含该合成硅灰石的蛋白瓷及其制造方法
Katsuki et al. Some properties of the early Arita celadon
Molinari et al. Assessing white clays from Tabarka (Tunisia) in the production of porcelain stoneware tiles
CN102060510A (zh) 类瓷工业紫砂制品材料及制造方法
Vieira Ferreira et al. An archaeometric study of a Late Neolithic cup and coeval and Chalcolithic ceramic sherds found in the São Paulo Cave, Almada, Portugal
KR101917133B1 (ko) 커피 슬러지를 이용한 유약
Aras et al. The mineralogy and firing behaviour of pottery clays of the Lake Van region, eastern Turkey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KR101106364B1 (ko) 뚝배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뚝배기의 제조방법
CN107473589B (zh) 一种碧绿泛蓝玲珑釉及其应用方法
KR20100128107A (ko) 산화동을 사용한 환원소성용 녹색계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녹색계 도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