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502A -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502A
KR20160083502A KR1020140195294A KR20140195294A KR20160083502A KR 20160083502 A KR20160083502 A KR 20160083502A KR 1020140195294 A KR1020140195294 A KR 1020140195294A KR 20140195294 A KR20140195294 A KR 20140195294A KR 20160083502 A KR20160083502 A KR 20160083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ontal disease
value
metabolic syndrome
personal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067B1 (ko
Inventor
김현덕
신명섭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067B1/ko
Priority to PCT/KR2015/003414 priority patent/WO2016108348A1/ko
Publication of KR2016008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질환 예측점수를 연산하기 위한 새로운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사회경제습관 요인, 분자생물학적 요인 및 전신건강 요인을 모두 고려한 예측 모델이며, 검증 결과 진단 능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Description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he prediction of periodontal disease}
본 발명은 구강보건학, 예방치과학, 치주과학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요인을 이용하여 치주질환을 예측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은 잇몸에 발생하는 치은염과 치조골에 발생하는 치주염을 포함하여, 치아 자체가 손상되는 질환이 아닌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주위 조직이 파괴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감염성이며 염증성인 만성질환이다.
치주질환의 직접적 원인은, 세균성 치태, 치석, 흡연 등을 들 수 있으나, 간접적으로는 사회경제 수준은 물론, 생활 습관 및 전신 건강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료 기술의 패러다임은, 과거의 치료 중심에서 벗어나, 질병이 발병하기 이전에 개인별로 위험을 예견하고 예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고 있는바, 치주질환의 위험 정도를 예견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식 모델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0159262호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치주병의 진행도를 수치화하여 치주병을 판별하는 기술을 개시하나, 여기에서 사용되는 정보들은 연령, 성별, 흡연, 복약유무 등 기본적인 정보에 불과하며, 각 정보들의 계수 값에 대한 고찰이 없어서 그 정확도가 낮을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치주질환의 예방을 위한 데이터가 아니라, 이미 진행되고 있는 치주병의 진행도를 판단하는 것이기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효과와도 상이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284660호는 치주질환을 검사하는 기술을 제시하는데, 후술하는 본 발명과 같이 사회경제습관 요인 등을 고려하지 않으며 역시 이미 진행되고 있는 치주질환의 진행도를 판단하는 것에 불과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7017847호는 구강 상태를 검사하여 치주병 위험도를 판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는데, 여기에서 활용되는 정보들은 칼슘 농도, 단백질 농도, 백혈구의 수 등 분자생물학적 요인들에 불과하므로, 비록 위험도를 예측하는 기술이기는 하나 사회경제습관 요인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아서 그 정확도가 낮다.
<종래기술>
일본공개특허 제2003-0159262호
일본공개특허 제2005-284660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701784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과 달리, 사회경제습관 요인, 분자생물학적 요인 및 전신건강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진단능력이 우수한 예측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한 시스템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를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개인정보 입력모듈(110); 대사증후군 여부를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 GCF 마커 결과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받은 MMPs의 값을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MMPs 연산모듈(130);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 및 상기 MMPs 연산모듈(130)로부터 전송된 값들과 기 설정된 수식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연산하는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 및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기 설정된 위험도 기준과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출력하는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이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를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b)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이 대사증후군 여부를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c) MMPs 연산모듈(130)이 GCF 마커 결과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받은 MMPs의 값을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이 상기 (a), (b), (c) 단계에서 전송된 값들과 기 설정된 수식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연산하는 단계; 및 (e)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가,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기 설정된 위험도 기준과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는, 연령(Age), 성별(Sex), 경제수준(Income), 흡연(Smoking) 및 음주(Drinking)에 관한 점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MPs의 값은 MMP-8, MMP-9 및 MMP-13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수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으며, 여기에서, 성별(Sex)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남성이면 "0", 여성이면 "1"이며, 경제수준(Income)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월 200만원 이하이면 "1", 월 200만원 초과 월 400만원 이하이면 "2", 월 400만원 초과이면 "3"이며, 흡연(Smoking)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흡연이면 "1", 흡연이면 "2"이며, 음주(Drinking)는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음주이면 "1", 가끔음주이면 "2", 자주음주이면 "3"이며, 그리고 대사증후군(MetS)은 상기 대사증후군 입력모듈(12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No인 경우 "1"이며, Yes인 경우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로부터 허리 둘레를 입력받고,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로부터 바이오마커 결과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혈압 입력부(122)로부터 혈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대사증후군 여부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는 중성지방(triglycerides)의 값과, HDL 콜레스테롤의 값과, 공복혈당(glucose)의 값을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는 연산된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가 0.24 이상인 경우, 치주질환 위험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치주질환이 발생하기 이전에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어서 치주질환 예방이 용이하다.
또한, 개인 맞춤형 치주질환 위험 진단이기에 개인 맞춤형 진단과 처방이 가능하고, 치주질환과 연관된 다요인이 수식에 포함되어 있어 정확도가 우수하다.
개별 치주질환 위험도가 점수화되기에, 위험 집단의 경우 건강 증진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치과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몇몇 지표를 활용하여 개별적으로 확인 가능하기에 국민 구강건강 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샘플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위한 변수들의 다양한 조합 중 가장 우수한 예측 모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모델의 상수 및 계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개 모델과 검증 모델에 다시 적용한 결과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시스템"은 물건을 지칭한다.
이하에서, "모듈"은 정보를 연산하는 단위이되, 다수의 모듈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음에 주의한다.
이하에서, "MMPs"는 기질 금속단백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들을 의미하며, 생리적 전개 및 조직 재구성뿐만 아니라, 병리적 조직 붕괴에도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각각의 MMPs들은 MMP-1 내지 MMP-13 등이며, 통칭하여 MMPs로 널리 지칭되는바 이와 같이 기재한다.
이하에서, "GCF"는 치은열구액(gingival crevicular fluid)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기술분야에서 GCF로 널리 지칭되는바 이와 같이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설명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개인정보 입력모듈(110),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 MMPs 연산 모듈(130),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 및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0)를 포함한다.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에는 별도의 입력부가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이에 관련된 점수를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한다.
미리 설정된 개인 정보는 연령(Age), 성별(Sex), 경제수준(Income), 흡연(Smoking) 및 음주(Drinking)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후술하는 대사증후군 여부를 판단하는 요소 중 하나인 허리 둘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점수화 방법은 아래에서 후술한다.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은 정보들을 수집하여 대사증후군 여부를 판단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한다.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에서 대사증후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요소는 크게 다섯 가지인데, 1)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에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해 입력되는 허리 둘레, 2)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되는 중성지방(triglycerides)의 값, 3)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되는 HDL 콜레스테롤의 값, 4)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되는 공복혈당(glucose)의 값, 5) 혈압 입력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혈압이다.
예를 들어, 1)의 허리 둘레가 남성 90cm 초과 또는 여성 85cm 초과 여부, 2)의 중성지방의 값이 150 mg/dL 초과 여부, 3)의 HDL 콜레스테롤의 값이 남성 40mg/dL 미만, 여성 50mg/dL 미만 여부, 4)의 공복혈당의 값이 110g/dL 초과 여부, 5)의 혈압이 수축시 100mmHg 초과 및 확장시 85mmHg 초과 여부, 또는 혈압약 복약 여부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대사증후군 여부가 연산된다.
MMPs 연산모듈(130)은 GCF 마커 결과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받은 MMPs의 값을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MMP-8, MMP-9, MMP-13의 세 개의 GCF 마커가 사용되며, 이를 사용한 결과가 GCF 마커 결과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된다.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은 개인정보 입력모듈(110),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 및 MMPs 연산모듈(130)로부터 전송된 값들을 이용하며 변수 입력부(150)에서 입력된 변수 값을 활용하여, 기 설정된 수식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연산한다.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은,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기 설정된 위험도 기준과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출력한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설명
전술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방법은, (a)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이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를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b)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이 대사증후군 여부를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c) MMPs 연산모듈(130)이 GCF 마커 결과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받은 MMPs의 값을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이 상기 (a), (b), (c) 단계에서 전송된 값들과 기 설정된 수식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연산하는 단계; 및 (e)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가,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기 설정된 위험도 기준과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수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pat00001
연령(Age)은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그대로 사용된다.
성별(Sex)은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남성이면 "0", 여성이면 "1"이다.
경제수준(Income)은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월 200만원 이하이면 "1", 월 200만원 초과 월 400만원 이하이면 "2", 월 400만원 초과이면 "3"이다.
흡연(Smoking)은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흡연이면 "1", 흡연이면 "2"이다.
음주(Drinking)는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음주이면 "1", 가끔음주이면 "2", 자주음주이면 "3"이다. 비음주, 가끔음주, 자주음주의 값들은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입력되는 값인바 보편성에 문제가 없음은 물론이다.
대사증후군(MetS)은 대사증후군 입력모듈(12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No인 경우 "1"이며, Yes인 경우 "2"이다.
MMP-8, MMP-9, MMP-13은 MMPs 연산 모듈(13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그대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가 0.24 이상인 경우,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는 치주질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출력한다.
한편, 위의 수식에서 상수인 -4.014와 계수인 0.042, -0.232, 0.084, 0.073, -0.365, 0.400, 0.064, -0.005, 0.021은 변수 입력부(150)에 활용되는 값인데, 이러한 수치들은 본 발명자들에 의한 다수의 실험에 의하여 획득된 값이다. 위험 여부에 대한 기준값인 0.24 역시 다수의 실험에 의하여 획득된 값이다.
상세한 상수, 계수 및 위의 수식의 획득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는 전술한 수식 획득을 위한 전개 샘플과 검증 샘플을 도시한다. 전개 샘플로서 총 322개, 검증 샘플로서 총 184개의 샘플이 사용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령, 성별, 경제수준, 흡연, 음주(이하, 총칭하여 AGESD)는 물론, 대사증후군(MetS) 여부, MMPs 및 사이토카인 (cytokine)을 이용한 IL-6, IN-8, TNF-α의 값들도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위의 변수들에 대한 다양한 조합들에 대한 ROC 곡선을 확인하기 위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물론, 진단 능력을 유추할 수 있는 c-통계값(c-statics)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들 중에서 AGESD-MMP-MetS의 조합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즉, 사이토카인(cytokine)을 이용한 IL-6, IN-8, TNF-α의 값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을 확인한 것이다.
다음, 이를 토대로 공지된 기술인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회귀방정식이 유도되었고, 이에 따른 상수(constant)와 각각의 변수에 대한 계수(β)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수들의 조합을 통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가 확인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나이(age)와 MMP-8의 값이 가장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다음, 이를 도 2에서 설명한 전개 샘플과 검증 샘플에 다시 적용한 결과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2와 도 5의 샘플 개수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은 통계 과정에서 발생한 일부 데이터 누락에 기인한다.
도 5에 도시된 결과의 c-통계값을 통해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예측 모델의 진단 능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치주질환 예측점수를 연산하기 위한 새로운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사회경제습관 요인, 분자생물학적 요인 및 전신건강 요인을 모두 고려한 예측 모델이되, 사이토카인에 의한 결과들은 생략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능력이 우수함이 검증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개인정보 입력모듈
120: 대사증후군 연산모듈
121: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
122: 혈압 입력부
130: MMPs 연산모듈
131: GCF 마커 결과 입력부
150: 변수 입력부
190: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
191: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

Claims (14)

  1. (a)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이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를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b)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이 대사증후군 여부를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c) MMPs 연산모듈(130)이 GCF 마커 결과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받은 MMPs의 값을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이 상기 (a), (b), (c) 단계에서 전송된 값들과 기 설정된 수식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연산하는 단계; 및
    (e)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가,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기 설정된 위험도 기준과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는, 연령(Age), 성별(Sex), 경제수준(Income), 흡연(Smoking) 및 음주(Drinking)에 관한 점수인,
    치주질환 예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MMPs의 값은 MMP-8, MMP-9 및 MMP-13의 값인,
    치주질환 예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의 기 설정된 수식은 아래와 같으며,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성별(Sex)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남성이면 "0", 여성이면 "1"이며, 경제수준(Income)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월 200만원 이하이면 "1", 월 200만원 초과 월 400만원 이하이면 "2", 월 400만원 초과이면 "3"이며, 흡연(Smoking)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흡연이면 "1", 흡연이면 "2"이며, 음주(Drinking)는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음주이면 "1", 가끔음주이면 "2", 자주음주이면 "3"이며, 그리고 대사증후군(MetS)은 상기 대사증후군 입력모듈(12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No인 경우 "1"이며, Yes인 경우 "2"인,
    치주질환 예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로부터 허리 둘레를 입력받고,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로부터 바이오마커 결과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혈압 입력부(122)로부터 혈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대사증후군 여부를 연산하는,
    치주질환 예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는 중성지방(triglycerides)의 값과, HDL 콜레스테롤의 값과, 공복혈당(glucose)의 값을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에 입력하는,
    치주질환 예측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가,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가 0.24 이상인 경우, 치주질환 위험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측 방법.
  8.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를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개인정보 입력모듈(110);
    대사증후군 여부를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
    GCF 마커 결과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받은 MMPs의 값을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 전송하는 MMPs 연산모듈(130);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 및 상기 MMPs 연산모듈(130)로부터 전송된 값들과 기 설정된 수식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연산하는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 및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 연산모듈(190)에서 연산된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를 기 설정된 위험도 기준과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출력하는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에 관한 점수는, 연령(Age), 성별(Sex), 경제수준(Income), 흡연(Smoking) 및 음주(Drinking)에 관한 점수인,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MPs의 값은 MMP-8, MMP-9 및 MMP-13의 값인,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수식은 아래와 같으며,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성별(Sex)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남성이면 "0", 여성이면 "1"이며, 경제수준(Income)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월 200만원 이하이면 "1", 월 200만원 초과 월 400만원 이하이면 "2", 월 400만원 초과이면 "3"이며, 흡연(Smoking)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흡연이면 "1", 흡연이면 "2"이며, 음주(Drinking)는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비음주이면 "1", 가끔음주이면 "2", 자주음주이면 "3"이며, 그리고 대사증후군(MetS)은 상기 대사증후군 입력모듈(120)을 통하여 전송된 값이 No인 경우 "1"이며, Yes인 경우 "2"인,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은, 상기 개인정보 입력모듈(110)로부터 허리 둘레를 입력받고,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로부터 바이오마커 결과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혈압 입력부(122)로부터 혈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대사증후군 여부를 연산하는,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결과 입력부(121)는 중성지방(triglycerides)의 값과, HDL 콜레스테롤의 값과, 공복혈당(glucose)의 값을 상기 대사증후군 연산모듈(120)에 입력하는,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14.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 위험도 출력부(191)는 연산된 상기 치주질환 예측점수(score)가 0.24 이상인 경우, 치주질환 위험으로 출력하는,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KR1020140195294A 2014-12-31 2014-12-31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KR10174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94A KR101745067B1 (ko) 2014-12-31 2014-12-31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PCT/KR2015/003414 WO2016108348A1 (ko) 2014-12-31 2015-04-06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94A KR101745067B1 (ko) 2014-12-31 2014-12-31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02A true KR20160083502A (ko) 2016-07-12
KR101745067B1 KR101745067B1 (ko) 2017-06-12

Family

ID=5628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294A KR101745067B1 (ko) 2014-12-31 2014-12-31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5067B1 (ko)
WO (1) WO20161083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24B1 (ko) * 2019-09-20 2020-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타액 mmp-9 및 il-8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방법
KR20200069665A (ko) * 2018-12-07 2020-06-17 서울대학교병원 급성 뇌경색 환자의 3개월 후 기능적 예후 예측 점수 체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516B1 (ko) 2018-10-18 2020-07-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KR102398684B1 (ko) 2020-08-19 2022-05-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584A (ja) * 2001-02-27 2002-09-10 Motosan Engineering Kk 歯周病診断装置
JP4048262B2 (ja) * 2001-11-27 2008-02-20 株式会社センス・イット・スマート 口腔予備検診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017148A (ja) * 2003-06-27 2005-01-20 Motosan Engineering Kk 歯周病診断装置
CA2586561A1 (en) * 2004-11-18 2006-05-26 Dental Medicine America, L.L.C. Describing a periodontal disease state
JP2008257293A (ja) * 2007-03-30 2008-10-23 Koichiro Yuji 健康状態予測システム
TWI405565B (zh) * 2009-04-01 2013-08-21 Colgate Palmolive Co 口腔用組成物之抗-骨質流失及抗-牙周附連喪失之功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665A (ko) * 2018-12-07 2020-06-17 서울대학교병원 급성 뇌경색 환자의 3개월 후 기능적 예후 예측 점수 체계
KR102098624B1 (ko) * 2019-09-20 2020-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타액 mmp-9 및 il-8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067B1 (ko) 2017-06-12
WO2016108348A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netti et al. Staging and grading of periodontitis: Framework and proposal of a new classification and case definition
Tadjoedin et al. Th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periodontal diseases
JP6432962B2 (ja) 腎機能低下、慢性腎疾患及び腎不全からなる群から選択される少なくとも一種の疾患を予防、又は治療するための有効成分の候補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Penttilä et al. 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 as predictor of long-term outcome in schizophren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Kosky et al. Association of increased cortical soluble Aβ42 levels with diffuse plaques after severe brain injury in humans
KR101745067B1 (ko)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Pillai et al. Oral health and brain injury: causal or casual relation?
Natto et al. Peri-implantitis and peri-implant mucositis case definitions in dental research: a systematic assessment
Ebersole et al. Ageing effects on humoral immune responses in chronic periodontitis
Kim et al. Associ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tooth loss in Korean adults: longitudinal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Health Examinee Cohort, 2002–2015
Gomes et al. Could the biomarker levels in saliva help distinguish between healthy implants and implants with peri-implant disease? A systematic review
Nunes et al. Does oral lichen planus aggravate the state of periodonta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rtugrul et al. Evaluation of beta‐2 microglobulin and alpha‐2 macroglobulin levels in patients with different periodontal diseases
EP308442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hemostatic risk of a subject
Czerniuk et al. Plasmatic NT-proBNP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coexistent periodontal disease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pilot studies
US11119104B2 (en) Methods of treating volume depletion and kidney injury
CN113631927A (zh) 辅助肾病况的评价的方法、肾病况的评价系统及肾病况的评价程序
KR102264060B1 (ko) 구강 질환의 위험도 예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그 방법이 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Lee et al. Real-time optical detection of endodontic infection using bacterial autofluorescence
Sari et al.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inflamed surface area and serum acute phase biomarkers in patients with sickle cell anemia
Lee et al. Validation of Scoring System for Survival Predic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Shahidi et al. Correlating quantitative fecal immunochemical test results with neoplastic findings on colonoscopy in a population-base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program: a prospective study
KR102098624B1 (ko) 타액 mmp-9 및 il-8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방법
Bhatt et al. 204. Living in a Low Socioeconomic Status Neighborhood Increases Risk of Developing Clinically Significant PTSD Symptoms after Motor Vehicle Collision: Results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JP2021521427A (ja) 軽度又は進行性の歯周病の診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