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956A -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2956A KR20160082956A KR1020160081839A KR20160081839A KR20160082956A KR 20160082956 A KR20160082956 A KR 20160082956A KR 1020160081839 A KR1020160081839 A KR 1020160081839A KR 20160081839 A KR20160081839 A KR 20160081839A KR 20160082956 A KR20160082956 A KR 20160082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witching valve
- regeneration
- flow path
- path switc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0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9000008234 soft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492 regen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415 sod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HPQYMZQTOCNFJ-UHFFFAOYSA-N Calcium cation Chemical compound [Ca+2] BHPQYMZQTOC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VVSXFLKOJNIY-UHFFFAOYSA-N Magnesium ion Chemical compound [Mg+2] JLVVSXFLKOJN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4 calc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3 har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5 magne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구,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수전구와 유로전환밸브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유속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연수기 시스템 상에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유속감지센서에서 원수의 유속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의해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연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에서, 상기 연수기 시스템을 가동한 후 대기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유속감지센서를 통해 연수탱크 내의 누적통수량을 체크하여 재생상태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연수탱크로 재생탱크에서의 재생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연수탱크 내에서 재생된 재생수 또는 린스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제1유로전환밸브, 및 원수를 상기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에 공급하는 제2유로전환밸브를 재생초기상태의 구동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생초기상태에서 상기 유속감지센서에 상기 원수의 유동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독하여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여부를 구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작동여부를 구별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수기 시스템이 재생동작을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원점동작 확인명령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유속감지센서에서 유체의 흐름이 감지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처 가능하므로 연수기 시스템의 성능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밸브구동기어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해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센싱하는 과정을 통해서 연수기 시스템의 각 구동모드로 정밀하게 전환하게 하거나 오작동을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구,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수전구와 유로전환밸브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유속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연수기 시스템 상에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유속감지센서에서 원수의 유속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의해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수기는 경수에 함유된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부드럽게 하는 원리를 갖는데, 이를 위해 나트륨이온이 함유된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물에 용해될 경우에 나트륨이온을 생성하는 소금 등의 이온교환수지 재생물질이 들어있는 재생탱크을 포함하고 있다.
즉, 연수기는 연수통 내에 미세한 알갱이(ball) 형상의 이온교환수지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돗물을 상기 연수통 내로 계속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연수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수돗물과의 계속적인 접촉에 의해 Na+성분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해 NaCl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금물을 연수통 내로 투입하게 된다.
종래의 연수기는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과, 이온수지의 성능이 저하되었을 때 이온수지를 원상태로 재생시키는 재생수 공급을 위한 소금이 채워져 있는 재생탱크을 구비한다. 연수통, 재생탱크은 유로전환 밸브모듈과 파이프 등의 연결배관을 통하여 수전구, 샤워수단, 수조 출수구 등에 연결된다.
유로전환 밸브모듈은 원수, 연수, 재생수 등을 연수기 시스템의 각 부위로 보낼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유로, 유로공, 유로홈 등이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통과 재생탱크으로 공급하고, 연수통의 이온수지를 거침으로써 연수화된 물을 외부로 출수시킬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연수기의 작동 과정에서 연수, 재생, 린스 등의 작동단계로 변화하는 기능은 유로전환 밸브모듈이 담당하게 되는데, 상기 유로전환 밸브모듈을 구성하는 밸브구동기어가 연결된 밸브 구조체를 적절한 위치로 회전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 연수, 재생수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본이 된다. 한편, 기존에는 연수기의 각 작동 단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변환을 가하거나 자동으로 변환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연수, 재생, 린스 모드 등의 각 작동 단계로의 정확한 이동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더불어, 유로전환 밸브모듈에 전원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연수기 시스템이 예상치 않은 작동모드에 진입하게 되어 성능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재생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유로전환밸브모듈을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진행했을때 수전구와 유로전환밸브모듈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 배치된 유속감지센서가 원수의 흐름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유로전환밸브모듈을 구성하는 밸브구동기어가 정상적으로 회전 구동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연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에서, 상기 연수기 시스템을 가동한 후 대기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유속감지센서를 통해 연수탱크 내의 누적통수량을 체크하여 재생상태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연수탱크로 재생탱크에서의 재생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연수탱크 내에서 재생된 재생수 또는 린스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제1유로전환밸브, 및 원수를 상기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에 공급하는 제2유로전환밸브를 재생초기상태의 구동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생초기상태에서 상기 유속감지센서에 상기 원수의 유동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독하여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여부를 구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작동여부를 구별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수기 시스템이 재생동작을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원점동작 확인명령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생초기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는 정지 모드에 해당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는 연수 모드에 해당되며, 상기 수전구의 레버가 닫혀있는 상태로 상기 제어부가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속감지센서에 상기 원수의 유동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재생을 시작하기에 앞서 대기상태에 진입한 후 유로전환밸브들(100,200)을 재생초기상태로 설정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정지, 연수, 재생모드의 순서로 배치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연수기 시스템은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유속감지센서에서 유체의 흐름이 감지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처 가능하므로 연수기 시스템의 성능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밸브구동기어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해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센싱하는 과정을 통해서 연수기 시스템의 각 구동모드로 정밀하게 전환하게 하거나 오작동을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시스템의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도,
도 3은 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연수기 시스템의 중요구성요소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유로전환밸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의 평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에 대한 시계열적인 특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도,
도 3은 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연수기 시스템의 중요구성요소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유로전환밸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의 평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에 대한 시계열적인 특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유로전환밸브들에 해당하는 정지, 재생, 연수, 린스 모드 등의 용어는 연수기 시스템이 대기, 연수 또는 재생 상태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유로전환밸브들에 연결된 관로들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켜 유체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작동모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시스템의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도, 도 3은 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연수기 시스템의 중요구성요소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유로전환밸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의 평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에 대한 시계열적인 특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수기 시스템(4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핀다. 연수기 시스템(400)은 본체(401)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 제1유로전환밸브(100), 제2유로전환밸브(200), 재생탱크(410) 및 유속감지센서(430a, 430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킬 수 있는 이온교환수지가 채워져 있다. 또한,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는 제1유로전환밸브(100) 및 제2유로전환밸브(200)와 연통되어 있다.
재생탱크(410)는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소금과 같은 재생제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재생제는 분말형, 타정형, 블럭형 중에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럭형을 사용하는 경우 체적이용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블럭형 소금이 저장될 수 있다. 재생탱크(410) 내에는 유로가이드(411)와 배수벽(4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배수벽(412)은 재생탱크(410)를 배수영역(413)과 재생영역(414)으로 구분한다. 재생탱크(410) 내에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이 높은 경우, 수압이 낮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정 시간 동안 보다 많은 원수가 재생탱크(410) 내에 유입되어 필요 이상의 많은 재생수가 생성되거나, 필요 이상의 많은 재생제가 낭비되거나, 공급된 원수 또는 생성된 재생수가 재생탱크(410)를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유로가이드(411)를 채택하여,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이 높은 경우 유로가이드(411)에 닿아서 일부가 재생영역(414)이 아닌 배수영역(413)으로 직접 흘러들고 오버플로우 유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재생제를 낭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재생영역(414) 내에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재생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재생탱크(410)에서 원수가 넘치는 일(overflow)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생영역(414)에 공급된 원수 또는 재생영역(414)에서 재생된 재생수가 과다한 경우 배수벽(412)을 너머 배수영역(413)으로 흘러들어 오버플로우 유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과다하게 공급된 원수 또는 과다하게 생성된 재생수가 재생탱크(410)에서 넘치는 현상(overflow)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6방향유로의 형상을 가지며, 각 구동모드에서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재생탱크(410)와 연통하는 재생수공급유로(6), 제1연수탱크(310)의 상측에 연통하는 제1 재생수유입유로(7), 제1연수탱크(310)의 하측에 연통하는 제1 재생수유출유로(9), 제2연수탱크(320)의 상측에 연통하는 제2 재생수유입유로(8), 제2연수탱크(30)의 하측에 연통하는 제2 재생수유출유로(10) 및 외부와 연통하는 배출유로(11)를 구비한다.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어떠한 유체도 내부를 통해 유동하지 않도록 6방향의 유로(6 내지 11)를 모두 폐쇄하는 정지모드, 재생수공급유로(6)에서 재생수유입유로(7,8)를 통해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로 입수된 재생수가 재생수유출유로(9,10)와 배출유로(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갖는 재생모드, 및 원수공급유로들(3, 4)를 통해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로 입수된 원수가 재생수유출유로(9,10)와 배출유로(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갖는 린스모드를 구비한다. 상기 재생모드와 린스모드는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 각각에 대해 별도로 행해지거나 동시에 행해질 수 있으므로 냉수재생, 온수재생, 냉수린스, 온수린스 모드 등 4개의 작동 모드로 세분화할 수 있다.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5방향유로의 형상을 가지며, 각 구동모드에서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수전구(30)와 연통하는 원수유입유로들(1, 2),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의 하측과 각각 연통하는 원수공급유로들(3, 4) 및 재생탱크(410)와 연통하는 재생원수유입유로(5)를 구비한다.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어떠한 유체도 내부를 통해 유동하지 않도록 5방향의 유로(1 내지 5)를 모두 폐쇄하는게 하는 정지모드, 원수유입유로들(1, 2) 및 원수공급유로들(3, 4)를 연결하여 원수를 수전구(30)로부터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로 상시적으로 공급하는 연수모드, 및 냉원수유입유로(2)와 재생원수유입유로(5)를 연결하여 원수가 수전구(30)로부터 재생탱크(410)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재생모드 등의 3가지 모드를 구비한다. 한편,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재생탱크(410)와 제2유로전환밸브(200) 사이에 위치한다.
상술한 제1유로전환밸브(100) 및 제2유로전환밸브(200)의 구성은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유로들(1 내지 11)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면 충분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유속감지센서(430a, 430b)는 제2유로전환밸브(200) 하측의 원수유입유로들(1, 2) 상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에 각각 유입되는 온수 및 냉수에 대한 유속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공급되는 원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누적통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수전구(30)는 원수유입유로들(1,2), 온연수 및 냉연수출수유로(13,14), 샤워관(15), 및 상수관(16)과 연결된다. 샤워관(15)은 샤워장치(40)에 연결되고, 상수관(16)은 상수도(50)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수전구(30)는 별도의 레버(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레버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온연수 및 냉연수출수유로(13,14)와 샤워장치(40)를 연결하는 유로가 폐쇄되는 상태가 되고, 레버가 열리는 상태에서는 온연수 및 냉연수출수유로(13,14)와 샤워장치(40)가 상호 연통하게 되고 자동으로 연수기 시스템(400)이 연수 상태로 진입하여 진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60)는 제1,2유로전환밸브(100,200), 유속감지센서(430a,430b), 수전구(30), 및 알람부(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수기 시스템(400)은 최초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에 대기상태에 진입한다. 대기상태는 수전구(30)의 레버가 닫혀있어 사용자가 연수기 시스템(400)으로부터 연수를 공급받지 못하거나, 재생동작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연수기 시스템(400)에 최소한의 대기전력만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수전구(30)를 통해 원수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연수모드를 유지하고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정지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수전구(30)의 레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대기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면 수전구(30), 제2유로전환밸브(200), 및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를 연결하는 유로(2,4,14 또는 1,3,13) 상에 유체가 만충되어짐으로써 유속감지센서(430a, 430b)는 수전구(30)의 레버가 개방되지 않는 이상 원수의 흐름을 더이상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1유로전환밸브(100)와 제2유로전환밸브(200)가 각각 정지, 연수 모드인 상태에서 유속감지센서(430a, 430b)가 유체의 흐름을 감지할 수 없는 상태를 연수기 시스템(400)의 재생초기상태로 본다.
상기의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전구(30)의 레버를 개방하면 수전구(30)를 통해 연수가 샤워장치(40)로 공급되어지는데, 제어부(60)는 이를 연수상태로 인식하여 진행한다. 상기 연수상태에서는 정격 전력이 연수기 시스템(400)에 전체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연수기 시스템(400)의 작동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연수기 시스템(400)에서 연수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연수탱크(310,320) 내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필요하게 되는데, 제어부(60)는 재생을 시작하기에 앞서 상술한 대기상태에 진입한 후 유로전환밸브들(100,200)을 상술한 재생초기상태에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재생초기상태에서,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연수모드이고,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정지모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정지, 연수, 재생모드의 순서로 배치되어 연수모드가 중앙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초기위치에 설정하는 경우 착오가 생길 우려가 없게 된다.
연수기 시스템(400)의 재생이 시작되기에 앞서 상기의 재생초기위치 설정 확인 작업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순차적으로 재생탱크(410) 원수 보충, 재생수 생성, 연수탱크(310,320) 압력제거, 재생수 투입, 연수탱크(310,320) 린스 등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 중 특히 연수탱크(310,320) 린스 과정에서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연수모드이고,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린스모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린스모드는 연수탱크(310,320) 내의 소금기를 세척하는 과정이므로 냉수원수를 사용하는 냉수린스 모드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연수탱크 린스 과정 중에는 계속적으로 연수탱크(310,320)로 원수가 입수되어져야 하므로 이 경우에는 유속감지센서(430a, 430b)가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즉, 재생초기상태에서 제1유로전환밸브(100)가 오작동을 행하여 정지모드가 아닌 냉수린스모드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유속감지센서(430a, 430b)에서 원수가 유동하는 것으로 감지가 되므로 이를 통해 제1유로전환밸브(100)의 구동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연수기 시스템(400)이 재생초기상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전원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예상하지 않은 구동모드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유로전환밸브(1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오작동에 대한 감지방법에 대해 살핀다.
먼저, 도 4와 도 5를 보면,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밸브구동기어(110), 밸브구동기어(110)의 일측방에 배치되는 위치확인센서(120), 유로가 형성된 밸브구조체(미도시)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32), 하우징(132)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원수, 연수, 재생수 등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관부(140), 및 밸브구동기어(1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0)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50)는 피니언(152)에 직접 연결되어지고, 상기 피니언(152)은 밸브구동기어(110)의 외주에 형성된 치형(111)에 그 외주면이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동모터(150)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한다.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연수기 시스템(400) 상에서 원수, 연수, 재생 및 린스 모드 등의 각 작동 단계에서 유체가 각 유로들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관로의 연결을 재배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연수기 시스템 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우징(132)내의 밸브구조체를 작동하는 밸브구동기어(110)가 정확히 제자리에 배치하도록 하는 것은 연수기 시스템(400)의 신뢰성 증가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밸브구동기어(110)는 치형(111)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두께의 원통형 링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벽(114)과 하부 중앙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30) 내의 밸브구조체에 연결되는 체결구(112)가 구비된다. 차단벽(114) 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위치확인홀(116)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확인홀(116)은 연수기 시스템 상에서 연수, 재생, 린스 모드 등에 해당하도록 유로전환밸브모듈(100)의 정확한 위치 변환을 유도하는 것으로 위치확인센서(120)에 의해서 그 해당 모드에서 정지가 가능해진다.
위치확인센서(120)는 몸체(121), 몸체(121) 상에 배치되어 광성분을 송신하는 발광체(122), 및 발광체(122)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몸체(121) 상에 배치되어 발광체(122)로부터의 광성분을 수신하는 수광부(124)로 이루어진다. 즉, 발광체(122)로부터 발진된 광성분이 수광체(124)에 의해 수신 확인이 이루어지면 on상태로 인식하고, 수신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off상태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센싱을 하게 된다.
위치확인홀(116)은 차단벽(114)을 따라 제1 내지 제5위치확인홀(116a,116b,116c,116d,116e)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인접한 위치확인홀(116) 사이는 차단벽(114)을 따라 일정한 이격거리(d)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밸브구동기어(110)가 회전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격거리(d)를 이동하는 시간을 홀확인주기로 정의할 수 있다. 홀확인주기는 하나의 위치확인홀(116) 확인후 인접한 다른 위치확인홀(116)을 센싱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홀(11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되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개수에 한정되어질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위치확인홀(116a)를 정지모드로 설정하고, 기타 제2위치확인홀(116b) 내지 제5위치확인홀(116e)을 온수린스, 온수재생, 냉수재생, 냉수린스 모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지모드와 냉수린스 모드를 위치확인홀(116)의 각 끝단에 배치하여 조절하는 것이 밸브구동기어(110)의 회전방향에 따른 위치확인에 있어 용이하므로, 제5위치확인홀(116e)을 냉수린스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수기 시스템(400)의 가동을 시작한다(S10). 이후, 제어부(60)는 원점동작 확인명령을 행한다(S11). 상기에서 원점동작은 본원발명에서의 연수기 시스템이 재생동작을 실시하기에 앞서 재생초기단계에서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사전에 체크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원점동작 단계에서는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연수모드를 유지하고 제1유로전환밸브(100)는 정지모드를 유지하고, 수전구(30)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60)는 유속감지센서(430a, 430b)를 통해 원수유입유로들(1, 2) 상에 유동하는 원수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S12). 상기 S12 단계에서, 유속감지센서(430a, 430b)가 유속을 감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수전구(30)의 레버를 개방하여 원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능하지만 S11 단계의 원점동작 단계에서 수전구(30)의 레버가 닫혀 있는 상태를 정하고 있으므로 이는 밸브구동기어(110)가 반대로 회전하거나 다른 이유에 의한 누수를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경고를 발생시키고(S13), 연수기 시스템(400)의 작동을 정지한 후 정비 과정을 진행한다(S14). 이후에, 다시 연수기 시스템(400)을 가동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S12 단계에서, 유속감지센서(430a, 430b)가 유속을 감지하지 못하면 원점동작 단계에서 연수기 시스템에 이상 발생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60)는 이후로 연수 사용이 가능하도록 명령을 수행한다(S15). 이후 연수 과정이 진행될 수 있지만 그 연수 과정이 종료되면 대기상태로 돌아가 최저 전력 상태를 유지한다(S16).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전구(30)의 레버를 개방하면 연수가 수전구(30)를 통해 방출되므로 제어부(60)는 계속적으로 유속감지센서(430a, 430b)를 통해 원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S17). 상기 S17 단계에서 유량이 감지되면 제어부(60)는 누적통수량이 재생을 위한 기준수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S18). S18 단계에서, 상기 기준수량을 초과한다고 보면, 제어부(60)는 연수기 시스템(400)에 재생상태를 실시하도록 명령을 하게 되고(S19), 제어부(60)는 재생이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S17 내지 S18 단계에서, 유량이 감지되지 않거나 재생기준수량에 미치지 못한다면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가서 연수 사용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수기 시스템(400)의 원점동작 확인단계에서 재생탱크(410)과 연수탱크(310,320) 사이에 위치한 제1유로전환밸브(100)가 정지모드에 위치하도록 제어부(60)로부터 지시를 받은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수전구(30)에서 연장되는 유로 상에 유속감지센서(430a, 430b)를 배치하여 감지하는 과정을 통하여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면 연수기 시스템(4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유속감지센서(430a, 430b)에 유체의 흐름이 감지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차 가능하므로 연수기 시스템(400)의 성능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는데에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 수전구
60 : 제어부
70 : 알람부 100 : 제1유로전환밸브
110 : 밸브구동기어 111 : 치형
114 : 차단벽 116 : 위치확인홀
120 : 위치확인센서 121 : 몸체
122 : 발광부 124 : 수광부
132 : 하우징 140 : 유로관부
150 : 구동모터 152 : 피니언
200 : 제2유로전환밸브 310 : 제1연수탱크
320 : 제2연수탱크 400 : 연수기 시스템
401 : 본체 410 : 재생탱크
411 : 유로가이드 412 : 배수벽
413 : 배수영역 414 : 재생영역
d : 위치확인홀 사이의 이격거리
70 : 알람부 100 : 제1유로전환밸브
110 : 밸브구동기어 111 : 치형
114 : 차단벽 116 : 위치확인홀
120 : 위치확인센서 121 : 몸체
122 : 발광부 124 : 수광부
132 : 하우징 140 : 유로관부
150 : 구동모터 152 : 피니언
200 : 제2유로전환밸브 310 : 제1연수탱크
320 : 제2연수탱크 400 : 연수기 시스템
401 : 본체 410 : 재생탱크
411 : 유로가이드 412 : 배수벽
413 : 배수영역 414 : 재생영역
d : 위치확인홀 사이의 이격거리
Claims (4)
- 연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에서,
상기 연수기 시스템을 가동한 후 대기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유속감지센서를 통해 연수탱크 내의 누적통수량을 체크하여 재생상태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연수탱크로 재생탱크에서의 재생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연수탱크 내에서 재생된 재생수 또는 린스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제1유로전환밸브, 및 원수를 상기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에 공급하는 제2유로전환밸브를 재생초기상태의 구동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생초기상태에서 상기 유속감지센서에 상기 원수의 유동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독하여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여부를 구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작동여부를 구별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수기 시스템이 재생동작을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원점동작 확인명령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초기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는 정지 모드에 해당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는 연수 모드에 해당되며, 상기 수전구의 레버가 닫혀있는 상태로 상기 제어부가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속감지센서에 상기 원수의 유동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을 시작하기에 앞서 대기상태에 진입한 후 유로전환밸브들(100,200)을 재생초기상태로 설정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200)는 정지, 연수, 재생모드의 순서로 배치되어 작동되는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1839A KR101703307B1 (ko) | 2016-06-29 | 2016-06-29 |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1839A KR101703307B1 (ko) | 2016-06-29 | 2016-06-29 |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7554A Division KR101636557B1 (ko) | 2009-10-14 | 2009-10-14 | 연수기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2956A true KR20160082956A (ko) | 2016-07-11 |
KR101703307B1 KR101703307B1 (ko) | 2017-02-06 |
Family
ID=5649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1839A KR101703307B1 (ko) | 2016-06-29 | 2016-06-29 |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330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7372A (ko) * | 1999-08-11 | 2001-03-05 | 박호군 | 활성탄에 담지된 팔라듐 촉매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염화불화탄소로부터 불화탄화수소의 제법 |
JP2003313923A (ja) * | 2002-04-26 | 2003-11-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衛生洗浄装置 |
KR20080092227A (ko) * | 2007-04-11 | 2008-10-15 | 주식회사 승광 | 연수기 |
KR20080100323A (ko) * | 2008-10-29 | 2008-11-17 | 주식회사 승광 | 연수기 |
KR20110040334A (ko) | 2009-10-14 | 2011-04-2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연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 |
KR101602682B1 (ko) | 2009-10-14 | 2016-03-11 | 코웨이 주식회사 | 유로전환밸브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밸브구동기어의 위치확인방법 |
-
2016
- 2016-06-29 KR KR1020160081839A patent/KR1017033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7372A (ko) * | 1999-08-11 | 2001-03-05 | 박호군 | 활성탄에 담지된 팔라듐 촉매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염화불화탄소로부터 불화탄화수소의 제법 |
JP2003313923A (ja) * | 2002-04-26 | 2003-11-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衛生洗浄装置 |
KR20080092227A (ko) * | 2007-04-11 | 2008-10-15 | 주식회사 승광 | 연수기 |
KR20080100323A (ko) * | 2008-10-29 | 2008-11-17 | 주식회사 승광 | 연수기 |
KR20110040334A (ko) | 2009-10-14 | 2011-04-2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연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감지방법 |
KR101602682B1 (ko) | 2009-10-14 | 2016-03-11 | 코웨이 주식회사 | 유로전환밸브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밸브구동기어의 위치확인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3307B1 (ko) | 2017-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6557B1 (ko) | 연수기 시스템 | |
JP4844724B2 (ja) | イオン交換装置の制御方法 | |
US5628899A (en) |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regeneration of two water treatment tanks | |
US7563362B2 (en) | Auto-regenerable hot and cold water softener | |
KR101703307B1 (ko) | 유로전환밸브의 정상작동 확인방법 | |
CN100381369C (zh) | 可自动再生的热和冷水软化器 | |
KR100737926B1 (ko) | 연수기 | |
EP2044876B1 (en) | A dishwasher provided with an integrated system for controlling quantities of water | |
KR100814612B1 (ko) | 연수기 | |
KR101602682B1 (ko) | 유로전환밸브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밸브구동기어의 위치확인방법 | |
JP5126985B2 (ja) | 軟水化装置を備えた給湯システム | |
KR101658127B1 (ko) | 유로전환밸브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밸브구동기어의 위치확인방법 | |
KR101595571B1 (ko) |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 |
KR100521843B1 (ko) |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 |
KR101591095B1 (ko) | 유로전환밸브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밸브구동기어의 위치확인방법 | |
KR101883444B1 (ko) |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 관리 방법 | |
KR100503738B1 (ko) | 연수기용 전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수기 | |
KR20110121491A (ko) | 적산유량계 및 이를 구비한 수압 재생식 연수기 | |
EP080347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 |
JP2009178664A (ja) | 軟水化装置、並びに、給湯システム | |
US11655904B1 (en) | Valve control system | |
US20240159322A1 (en) | Multi-way valve, water softe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softener | |
CN219869903U (zh) | 软水盐量检测装置和软水装置 | |
KR20130009652A (ko) | 단일 위치감지센서를 갖는 유로전환밸브모듈 및 이의 작동불량 감지방법 | |
CN213924138U (zh) | 净水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