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087A -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087A
KR20160082087A KR1020140194132A KR20140194132A KR20160082087A KR 20160082087 A KR20160082087 A KR 20160082087A KR 1020140194132 A KR1020140194132 A KR 1020140194132A KR 20140194132 A KR20140194132 A KR 20140194132A KR 20160082087 A KR20160082087 A KR 2016008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weight
butylperoxy
organic peroxide
shee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708B1 (ko
Inventor
김건욱
조재화
이용래
변기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7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실란커플링제와 가교제를 첨가하여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용 모듈을 제작하는 경우 화학적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접착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열 경화반응이 없으면서도 크립(Creep) 현상이 없는 특성을 발휘하는 고 내열성의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Sealing sheet composition for solar cells}
본 발명은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실란커플링제와 가교제를 첨가하여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용 모듈을 제작하는 경우 화학적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접착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열 경화반응이 없으면서도 크립(Creep) 현상이 없는 특성을 발휘하는 고 내열성의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오래전부터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는 경제성 측면에서 다른 소재보다 매우 적합한 소재로써 사용이 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장기간 운영에 따라 황변이 발생하거나 박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태양광용 인버터의 성능향상으로 인하여 태양광 모듈 시스템에 1,000V 의 고전압이 가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절연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부터 장시간 초산이 발생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Frame을 없앤 태양광 모듈이 출시되면서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수분 침투성능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보다 절연성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한 태양전지용 봉지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들은 열 가교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다량의 가교제가 필요하지 않아 가교제가 잔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량의 가교제가 함유될 경우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가 아무리 가교가 되었다 하더라도, 가교제는 일부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게 되며, 이 잔류하는 가교제가 장기적으로 태양광 모듈 내에서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황변 발생, 박리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이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저하로 이어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봉지재가 가교 공정 없이 유리와 접착이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일본특허공개 제2013-042101호에서는 전리방사선을 이용하여 일부 가교를 시킴으로써 유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리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잡한 설비가 추가되어야 하며,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일본특허공개 제2005-019975호에서는 폴레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실란커플링제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실란변성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여 유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때, 실란커플링제가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화학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선 미량의 유기과산화물이 가교제로써 첨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 실란변성수지는 전체 봉지재 시트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유리 접착력과 고온에서 봉지재가 흘러내리는 Creep 현상의 수준이 결정되는데, 기존의 방법으로는 이러한 Creep 현상과 접착력 등의 물성을 제대로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3-042101호 일본특허공개 제2005-01997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전지용 모듈 제조에 사용되는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보다 쉽게 제조가 가능하고, 태양전지 모듈 제작 시에 봉지재 시트로 적용할 경우 각종 물성과 크립(Creep)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지재 시트로 적용할 경우 각종 물성이 우수하고 크립(Creep)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며 내구성과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중량부, 실란커플링제 0.5~5.0중량부, 100℃ 이상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A) 0.001~0.02중량부와 90℃ 이상 100℃ 미만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B) 0.01~0.0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은 실란변성수지를 이용하여 봉지재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봉지재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실란변성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봉지재 시트 조성물에서 실란커플링제와 폴리에틸렌수지를 결합하는데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추후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 시 Creep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반응온도가 각기 다른 2종의 유기과산화물을 가교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란변성수지를 제작하는 특정온도에서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는 유기과산화물(B)는 실란커플링제와 폴리에틸렌 수지가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이 되고, 상대적으로 반응이 느리게 진행되는 유기과산화물(A)는 실란변성수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고, 봉지재내에 잔류하고 있다가, 추후 태양전지용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화학적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접착력을 더욱 강하게 해주고, 추가적으로 Creep 현상이 억제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므로 기존에 비해 내구성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하고 현저한 물성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이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된 구조로서 Creep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인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실란커플링제 및 가교제로서 2종의 유기과산화물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이용한 봉지재보다 내구성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봉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실란커플링제 0.5~5.0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다르면,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열 경화반응이 없으면서도 Creep 현상이 없는 고 내열성의 폴리에틸렌계 봉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190℃, 2.16kg 기준에서 용융흐름지수(MFR)가 0.1 ~ 10.0(g/min)인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반응성 관응기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알킬티오기인 폴리에틸렌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봉지재와 유리와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실란커플링제를 첨가하며, 이때 실란커플링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실란변성폴리에틸렌 수지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여기서 사용된 실란커플링제는 EVA 봉지재에 사용되었던 기존의 실란커플링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비닐계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좀더 바랍직하게는 구체적으로 비닐트라이클로로실란, 비닐트라이메톡시실란, 비닐트라이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폴리에틸렌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내지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의 실란커플링제가 폴리에틸렌과 효과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미량의 가교제가 첨가된다. 이때, 가교제는 2종의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봉지재 시트 조성물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가교제로는 유기 과산화물이 사용되는데, 반응 온도가 각기 다른 2종의 가교제를 혼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100℃ 이상, 더욱 좋기로는 100~150℃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A)와 90℃ 이상 100℃ 미만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B)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각 유기과산화물은 다음의 범위 내에서 결정이 되어야 한다. 즉, 유기과산화물(A)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0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1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유기과산화물(B)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0.0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3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유기과산화물은 상기에 정해진 범위보다 소량으로 첨가하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불가능하다. 또한 각 유기과산화물을 상기 범위보다 과량으로 투입이 되어도 Creep 현상이나 유리접착력 측면에서는 문제될 것은 없다. 그러나 상기에 사용되는 실란커플링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록산으로 구조가 변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상기에 사용된 유기과산화물이 상기 범위보다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반응되지 않고 남아있는 유기과산화물이 촉매로 작용하여 실록산으로의 변화가 가속되어 실란변성폴리에틸렌 수지를 단시간 내에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록산으로의 변화가 이루어진 후에 사용을 할 경우 봉지재 시트 성형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2종의 유기과산화물을 과량으로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도 상기와 같이 반응온도가 각기 다른 2종의 유기과산화물을 가교제로 사용함으로 인해 실란변성수지로 변환되는 특정온도에서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는 유기과산화물(B)는 실란커플링제와 폴리에틸렌 수지가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반응이 느리게 진행되는 유기과산화물(A)는 실란변성수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고, 봉지재 시트 조성물 내에 잔류하고 있다가, 추후 이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용 모듈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게 되면 화학적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봉지재 시트의 접착력을 더욱 강하게 해주고, 추가적으로 Creep 현상이 억제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과산화물(A)는 100℃ 이상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이면 사용이 가능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다이메틸헥산, 2,5-다이하이드로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부틸퍼옥시)헥산, 3-다이-t-부틸 퍼옥사이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부탄,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 1,1-비스(t-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산, t-부틸퍼옥시벤조에톤, 벤조일 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들 중 2,5-다이메틸-2,5-다이(t-부틸퍼옥시)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과산화물(B)는 90℃ 이상 100℃ 미만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이면 사용이 가능한 바, 더욱 바람직하게는 t-부틸 (2-에틸헥실)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 t-부틸 이소프로필 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 t-아밀(2-에틸헥실)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 1,1-다이(t-부틸페록시)사이클록헥산, 1,1-다이(t-부틸페록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1,1-다이(t-아밀페록시)사이클로헥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들 중 t-부틸(2-에틸헥실)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성분 이외에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비가교형 폴리에틸렌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가교보조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여기에 사용되는 가교보조제로서는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를 이용한 봉지재 제조 시 사용하는 종래의 공가교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라이 알릴 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라이 알릴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3개의 작용기를 가진 가교보조제, 에스테르 등의 1개의 작용기를 가진 가교보조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가교보조제는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0.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가교보조제의 사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봉지재 시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경화반응이 발생하여 시트를 성형하는데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 조성물에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메틸에틸, p-벤조퀴논, 메틸 하이드로퀴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정제를 폴리에틸렌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외의 첨가제로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변색 방지제 중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하나 이상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착색제의 예로는 금속 산화물, 금속분 등의 무기 안료; 및 아조계, 프탈로사이아닌계, 산성 또는 염기성 염료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5-술폰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2'-하이드록시-5-메틸 페닐)벤조트라이아졸 등의 벤조트라이아졸계; 및 페닐살릴레이트, p-t-부틸페닐살릴레이트 등의 살릴레이트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노화 방지제의 예로는 아민계, 페놀계, 및 비스페닐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부틸-p-크세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라질)세바케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은 예컨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에 봉지재 시트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하는 구조를 Creep 테스트를 설명하게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서 1은 유리기판, 2는 유리기판(1)에 접착되는 유리판, 3은 유리기판(1)과 그에 접착되는 유리판(2)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재 시트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봉지재 시트로 적용한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태양전지 모듈에 봉지재 시트로 적용하는 경우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반응이 느리게 진행되는 유기과산화물(A)이 실란변성수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고, 봉지재 조성물 내에 잔류하고 있다가, 추후 태양전지용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화학적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접착력을 더욱 강하게 해주고, 추가적으로 Creep 현상이 억제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태양전지 모듈에서 각종 물성이 우수하고 크립(Creep)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며 내구성과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7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수지(190℃, 2.16kg 기준에서 용융흐름지수(MFR)가 4(g/min)이며, 밀도가 0.88g/㎤이고 가수분해성 관능기를 가지며, 부텐 계열이 포함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고, 실란커플링제로서는 비닐트라이메톡시실란을 사용하며, 가교제로서는 하기 표 1과 표 2의 구성을 적용하여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가교제 (A)는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산, 가교제 (B)는 t-뷰틸 (2-에틸헥실)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과 표 2에 사용된 각 성분은 중량부 단위이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교제로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산을 0.03 중량부 사용하고, 실란커플링제로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1.5중량부 사용하였다.
비교예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교제로 t-부틸 (2-에틸헥실)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를 0.03 중량부 사용하고, 실란커플링제로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1.5 중량부 사용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조성물에 대하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1) Creep test
Creep test 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안정성을 지니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면 1과 같이 샘플을 제작하고 오븐에서 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버티는 테스트를 하였다. 수지의 융점 (70℃) ~ 100℃ 범위에서는 Glass 가 움직이는 거리가 0mm 인 것을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100℃ ~ 120℃ 범위에서는 5mm 이내인 경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의 Creep test 는 각 온도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였다.
2) 유리접착력 테스트
유리와 봉지재의 접착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Intron 사의 UTM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유리/봉지재/백시트의 구조로 라미네이션 후 이를 180℃ 박리법으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기준은 JIS K 6854 기준을 따랐다. 접착력의 수준은 60 N/cm 이상인 것을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는 다음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원료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폴리올레핀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가교제(A) 0.03 0 0.001 0.001 0.001 0.005 0.005 0.005 0.01
가교제(B) 0 0.03 0.01 0.03 0.05 0.01 0.03 0.05 0.01
실란커플링제 1.5 1.5 1.5 1.5 1.5 1.5 1.5 1.5 1.5
80℃ Creep 0 0 0 0 0 0 0 0 0
100℃ Creep 0 3 0 0 0 0 0 0 0
110℃ Creep 3 10 3 3 3 2 2 2 1
120℃ Creep 5 23 5 4 5 4 4 4 3
유리접착력 10 87 70 75 88 77 81 99 80
원료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폴리올레핀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가교제(A) 0.01 0.01 0.015 0.015 0.015 0.02 0.02 0.02 0.01 0.03
가교제(B) 0.03 0.05 0.01 0.03 0.05 0.01 0.03 0.05 0.005 0.005
실란커플링제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80℃ Creep 0 0 0 0 0 0 0 0 0 0
100℃ Creep 0 0 0 0 0 0 0 0 0 0
110℃ Creep 1 1 0 0 0 0 0 0 1.5 1
120℃ Creep 3 2 1.5 2 1.5 1 0.5 0.5 3 3
유리접착력 83 89 79 83 81 93 91 99 30 39
상기 실시예 16, 17의 경우는 실시예로 표기하였지만, 가교제(B)의 사용량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난 범위로 사용한 결과 유리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현격하게 저하되는 등 물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1, 2의 경우는 가교제를 어느 하나만 사용한 경우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 그리고 실시예 16, 17에 비해서도 물성이 크게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1 : 유리기판
2 : 유리판
3 : 봉지재 시트

Claims (9)

  1.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중량부, 실란커플링제 0.5~5.0중량부, 100℃ 이상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A) 0.001~0.02중량부와 90℃ 이상 100℃ 미만에서 반감기가 10시간인 유기과산화물(B) 0.01~0.0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190℃, 2.16kg 기준에서 용융흐름지수(MFR)가 0.1 ~ 10.0(g/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과산화물(A)는 2,5-다이메틸헥산, 2,5-다이하이드로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부틸퍼옥시)헥산, 3-다이-t-부틸 퍼옥사이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부탄,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 1,1-비스(t-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산, t-부틸퍼옥시벤조에톤, 벤조일 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과산화물(B)는 t-부틸 (2-에틸헥실)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 t-부틸 이소프로필 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 t-아밀(2-에틸헥실)모노페록시카보네이트, 1,1-다이(t-부틸페록시)사이클록헥산, 1,1-다이(t-부틸페록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1,1-다이(t-아밀페록시)사이클로헥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가교보조제로서 트라이 알릴 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라이 알릴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에스테르의 1개의 작용기를 가진 가교보조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하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메틸에틸, p-벤조퀴논, 메틸 하이드로퀴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정제를 폴리에틸렌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하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첨가제로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변색 방지제 중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하나 이상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8.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9.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을 봉지재 시트로 적용한 태양전지 모듈.
KR1020140194132A 2014-12-30 2014-12-30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KR10164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132A KR101647708B1 (ko) 2014-12-30 2014-12-30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132A KR101647708B1 (ko) 2014-12-30 2014-12-30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087A true KR20160082087A (ko) 2016-07-08
KR101647708B1 KR101647708B1 (ko) 2016-08-11

Family

ID=5650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132A KR101647708B1 (ko) 2014-12-30 2014-12-30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9986A1 (zh) * 2017-07-25 2019-01-31 杭州星庐科技有限公司 封装组合物及包含其的封装胶膜和电子器件组件
CN109370453A (zh) * 2017-07-25 2019-02-22 杭州星庐科技有限公司 封装组合物及应用,及包含其的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9975A (ja) 2003-06-03 200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充填材層およ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80060613A (ko) * 2006-12-27 2008-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접착력 유지가 우수한 이방 전도성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이방전도성 필름
EP2003701A1 (en) * 2006-04-05 2008-12-17 Bridgestone Corporation Sealing film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such sealing film
KR20120055377A (ko) * 2010-11-23 2012-05-31 (주)엘지하우시스 태양 전지의 밀봉재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67958A1 (en) * 2010-12-22 2012-07-0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es for fabricating solar cell modules with encapsulant having resistance to discoloration
JP2013042101A (ja) 2011-07-19 2013-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9975A (ja) 2003-06-03 200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充填材層およ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003701A1 (en) * 2006-04-05 2008-12-17 Bridgestone Corporation Sealing film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such sealing film
KR20080060613A (ko) * 2006-12-27 2008-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접착력 유지가 우수한 이방 전도성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이방전도성 필름
KR20120055377A (ko) * 2010-11-23 2012-05-31 (주)엘지하우시스 태양 전지의 밀봉재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67958A1 (en) * 2010-12-22 2012-07-0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es for fabricating solar cell modules with encapsulant having resistance to discoloration
JP2013042101A (ja) 2011-07-19 2013-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9986A1 (zh) * 2017-07-25 2019-01-31 杭州星庐科技有限公司 封装组合物及包含其的封装胶膜和电子器件组件
CN109370453A (zh) * 2017-07-25 2019-02-22 杭州星庐科技有限公司 封装组合物及应用,及包含其的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
CN109370453B (zh) * 2017-07-25 2022-06-17 杭州星庐科技有限公司 封装组合物及应用,及包含其的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
US11472948B2 (en) 2017-07-25 2022-10-18 Hangzhou Xinglu Technologies Co., Ltd. Encapsulating composition and encapsulating film comprising same and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708B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1141B2 (ja) 太陽光発電封止材フィルムのための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US9147784B2 (en) Sealing material sheet for solar-cell module
EP2808906B1 (en) Sealing film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using same
KR102491397B1 (ko) 광전지 봉지재 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US9293616B2 (en) Solar cell sealing film and solar cell using the same
JP4762377B2 (ja)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201922898A (zh) 用於光伏打封裝膜之聚烯烴組成物
JP201304197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組成物、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シート
JP590051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シート
EP2770541B1 (en) Solar cell sealing film and solar cell using same
JP201219556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シート
KR101647708B1 (ko)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조성물
KR101624572B1 (ko)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CN110709461B (zh) 用于密封剂膜的非极性基于乙烯的聚合物组合物
JP60284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60129363A (ko) 태양전지용 봉지시트 조성물, 이에 따른 봉지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KR20120048005A (ko) 태양광 모듈을 위한 봉입 물질로서의 evm 과립화 물질, 그의 제조 방법, 접착 호일, 및 태양광 모듈,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678984B1 (ko)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JP609804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886529B2 (ja) 封止材フィルム用のリン酸トリアリルを含む非極性エチレン系組成物
JP610215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6531190A (ja) エチレン系ポリマーの架橋過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