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030A -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030A
KR20160082030A KR1020140193727A KR20140193727A KR20160082030A KR 20160082030 A KR20160082030 A KR 20160082030A KR 1020140193727 A KR1020140193727 A KR 1020140193727A KR 20140193727 A KR20140193727 A KR 20140193727A KR 20160082030 A KR20160082030 A KR 20160082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irtual
input
area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철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to KR102014019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030A/ko
Publication of KR2016008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은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는 단계,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오입력 키의 영역 및 상기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상 키보드의 오타율을 낮추고 문자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ON OF VIRTUAL KEYBOARD}
본 발명은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언어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가상 키를 보정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이 개발되면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에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대부분이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은 기존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내장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에서의 키보드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가상 키보드로 표시된다.
가상 키보드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고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가상 키보드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입력 수단 중 하나이다. 또한, 가상 키보드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가상 키의 위치를 계산하여 키보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가상 키보드는 가상 키 사이의 물리적 경계가 없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두께나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오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사용자의 오입력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 키를 터치할 때마다 터치되는 가상 키를 순간적으로 크게 표시하거나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에서 진동을 출력하여 가상 키의 입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단어와 유사한 단어를 추천하는 기능을 포함한 가상 키보드도 개발되었다.
다만, 가상 키보드는 실제 키보드와 달리 가상 키들을 사람의 손가락으로 인식할 수 없어 오입력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습관이나 사용 패턴에 따라 오입력을 계속할 수도 있으며,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는데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어와 유사한 단어를 추천하면서 사용자의 오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가상 키보드에서 가상의 키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관련기술문헌]
가상 키보드 상의 키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4548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가상 키를 추정하여 가상 키의 크기 또는 인식영역을 보정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상 키보드의 오타율을 낮추고 문자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은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는 단계,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오입력 키의 영역 및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추천 단어는 입력된 일 이상의 가상 키를 기초로 생성된 단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언어 모델링을 기초로 추천된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정하는 단계는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하거나 오입력 키의 영역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정하는 단계는 인접한 가상 키의 중심 좌표와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 및 오입력 키의 중심 좌표와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보정 기준값을 기초로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및 오입력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정 기준값은 오입력 키가 검출되는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장치는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는 추천모듈,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및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오입력 키의 영역 및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추천 단어는 입력된 일 이상의 가상 키를 기초로 생성된 단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언어 모델링을 기초로 추천된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정모듈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하거나 오입력 키의 영역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정모듈은 인접한 가상 키의 중심 좌표와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 및 오입력 키의 중심 좌표와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고, 보정 기준값을 기초로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및 오입력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정 기준값은 오입력 키가 검출되는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고,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하고,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오입력 키의 영역 및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하는 가상 키를 추정하여 가상 키의 크기 또는 인식영역을 보정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상 키보드의 오타율을 낮추고 문자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가상 키를 보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추천 단어가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된 가상 키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축소되는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입력 키와 확장되는 인접한 가상 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키보드”란,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입력 수단으로서, 물리적 입체감 없이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키보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된 키보드로 터치 입력도 가능한 키보드이다. 또한, 가상 키보드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홀로그램 영상을 통해 표시된 키보드로 사용자가 출력된 홀로그램 영상에 대한 제스처 등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키”란,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키들로서, 대응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키를 의미한다. 가상 키보드의 종류에 따라 가상 키의 배열은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키 사이에는 개별 가상 키를 구별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천 단어”란,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한 가상키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의도했다고 판단되어 보여지는 단어로서, 언어 모델링을 기초로 추천된 단어를 의미한다. 즉, 추천 단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단어와 언어 모델링에 의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어로 판단되어 사용자에게 디바이스를 통해 추천되는 단어를 의미한다. 추천 단어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추천 단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입력 키”란,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이하게 사용자의 실수로 입력된 키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중 추천 단어와 비교하여 상이한 가상 키를 의미한다. 즉, 오입력 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가상 키 중 하나로 추천 단어와 상이한 문자를 갖는 가상 키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 “보정 기준값”이란, 보정 대상이 되는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하기 위한 기준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정 기준값은 가상 키의 영역에 대한 비율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가상 키의 영역을 1이라 할 때, 보정 기준값이 1보다 크면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하는 보정이 실행되고, 보정 기준값이 1보다 작으면 가상 키의 영역을 축소하는 보정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 (100) 은 수신모듈 (110), 추천모듈 (120), 검출모듈 (130) 및 보정모듈 (140) 을 포함한다.
수신모듈 (110) 은 가상 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모듈 (110) 은 가상 키보드 중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모듈 (110) 은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곧바로 추천모듈 (120) 로 전송할 수 있다.
추천모듈 (120) 은 수신한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단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추천 단어를 출력한다. 추천모듈 (120) 은 언어 모델링을 기초로 추천 단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모듈 (120) 은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단어와 언어 모델링을 통해 생성된 단어들 중 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추천 단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천모듈 (120) 이 출력하는 추천 단어를 선택할 수 있고, 추천모듈 (120) 은 사용자로부터 추천 단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여 선택된 추천 단어를 검출모듈 (130) 로 전송할 수 있다.
검출모듈 (130) 은 출력된 일 이상의 추천 단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와 이미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한다. 즉, 검출모듈 (130) 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와 사용자가 입력한 가상 키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단어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한다.
검출모듈 (130) 은 오입력 키를 보정모듈 (140) 로 전송한다.
보정모듈 (140) 은 오입력 키 또는 가상 키의 영역을 보정하기 위해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고 보정 기준값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모듈 (140) 은 수신한 오입력 키의 영역 또는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보정모듈 (140) 은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하거나 오입력 키의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보정 기준값 및 보정에 대해서는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 (100) 의 각 구성들은 설명의 편의상 개별적인 구성으로 도시한 것일 뿐, 구현 방법에 따라 하나의 모듈에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이 2 이상의 구성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가상 키를 보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은 수신모듈 (110) 이 사용자로부터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함으로서 개시된다 (S210).
수신모듈 (110) 은 사용자의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모듈 (110) 은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상 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모듈 (110) 은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수신모듈 (110) 은 디바이스의 입력부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 내에서 디바이스의 입력부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통해 가상 키를 입력하는 수단은 다양할 수 있으며, 수신모듈 (110) 은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데이터의 형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추천모듈 (120) 은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한다 (S220).
추천모듈 (120) 은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모듈 (110) 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수신된 일 이상의 가상 키를 순차적으로 배열한 단어를 기초로 추천 단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추천모듈 (120) 은 일 이상의 가상 키로 생성된 단어를 언어 모델링을 통해 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추천 단어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추천모듈 (120) 은 임의의 단어 리스트를 포함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가상 키와 가상 키의 순서를 기초로 언어 모델링을 통해 유사한 단어를 단어 리스트로부터 추출하여 추천 단어를 생성할 수 있다. 추천모듈 (120) 은 추천 단어를 생성하여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추천 단어는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고, 추천 단어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추천모듈 (120) 이 출력하는 추천 단어를 선택할 수 있고, 추천모듈 (120) 은 사용자로부터 추천 단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추천모듈 (120) 은 수신한 선택된 추천 단어를 검출모듈 (130) 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검출모듈 (130) 은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한다 (S230).
검출모듈 (130) 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어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상이한 문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를 오입력 키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가상 키로 이루어진 단어가 ‘geace’이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어가 ‘grace’인 경우, ‘geace’와 ‘grace’를 문자마다 순서대로 비교한다. 이에 따라, 두 번째 문자인 ‘e’와 ‘r’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여 오입력 키를 ‘e’로 판단하여 검출한다.
이어서, 보정모듈 (140) 은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오입력 키 및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보정한다 (S240).
보정모듈 (140) 은 검출모듈 (130) 이 검출한 오입력 키를 기초로 인접한 가상 키 또는 오입력 키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모듈 (140) 은 사용자가 입력한 오입력 키에 대한 구체적 입력 좌표를 기초로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정 기준값을 기초로 오입력 키의 영역을 축소하거나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는 방법 및 구체적인 보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도 5a 및 도 5b를 통해 설명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추천 단어가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된 가상 키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 키보드 (310) 및 추천 단어 표시부 (320) 를 표시한다. 여기서, 추천 단어 표시부 (320) 는 추천 단어 (321) 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 이상의 추천 단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 (310) 상의 가상 키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 순서에 따라 수신모듈 (110) 도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추천모듈 (120) 이 일 이상의 추천 단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 이상의 추천 단어 중 사용자에 의해 추천 단어 (321) 가 선택되면, 선택된 추천 단어 (321) 를 기초로 검출모듈 (130) 이 입력된 가상 키와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가상 키보드 (310) 는 일 이상의 가상 키를 포함하며, 제1 입력 (311), 제2 입력 (312), 제3 입력 (313) 및 제4 입력 (314) 은 가상 키보드 (310) 를 통해 입력된다. 여기서, 제1 입력 (311), 제2 입력 (312), 제3 입력 (313) 및 제4 입력 (314) 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지점이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 키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순서대로 제1 입력 (311), 제2 입력 (312), 제3 입력 (313) 및 제4 입력 (314) 이 가상 키보드 (310) 보다 어두운 색상의 원으로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 (310) 에 가상 키에 대한 터치로 입력하면, 입력된 가상 키는 순서대로 수신모듈 (110) 을 통해 추천모듈 (120) 로 전달되며, 추천모듈 (120) 은 수신된 가상 키의 순서대로 추천 단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311) 에 의해 가상 키 ‘q’는 추천모듈 (120) 이 ‘q’로 시작하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도록 한다. 제1 입력 (311) 만 입력된 경우, 추천모듈 (120) 은 ‘queen’, ‘quit’, ‘quote’ 등과 같은 추천 단어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입력 (312), 제3 입력 (313) 및 제4 입력 (314) 이 입력되면, 추천모듈 (120) 은 순차적으로 ‘qo’, ‘qor’ 및 ‘qord’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어를 추천 단어로 출력하며, 일 이상의 추천 단어는 추천 단어 표시부 (320) 에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한 가상 키 확대영역 (330) 은 제1 가상 키 (331) 및 제2 가상 키 (333) 를 포함한다. 제1 가상 키 (331) 및 제2 가상 키 (333) 는 각각 중심에 가상의 임의의 중심인 제1 가상 키 중심 (334) 및 제2 가상 키 중심 (336) 을 포함한다. 제5 입력 (332), 제1 가상 키 중심 (334) 및 제2 가상 키 중심 (336) 은 실제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qord’를 입력하였고 추천 단어로 ‘word’를 선택한 경우, 제1 가상 키 (331) 는 오입력 키가 되고 제2 가상 키 (333) 는 인접한 가상 키가 된다.
보정모듈 (140) 은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오입력 키의 중심 좌표 및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중심 좌표를 기초로 보정 기준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보정모듈 (140) 은 입력 좌표와 인접한 가상 키의 중심 좌표 사이의 거리 (d1) 및 입력 좌표와 오입력 키의 중심 좌표 사이의 거리 (d2) 를 계산하고, d1과 d2의 비율을 보정 기준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기준값은 d1/d2에 비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기준값이 커질수록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이 넓어지거나 오입력 키의 영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듈 (130) 에 의해 오입력 키가 검출되는 횟수가 증가하면, 보정 기준값도 검출되는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qorld’라고 입력한 후 추천 단어 표시부를 통해 ‘world’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오입력 키 ‘q’가 계속 검출되는 경우 보정 기준값은 오입력 키가 검출되는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입력 키의 영역은 보정 기준값을 기초로 점점 축소될 수 있다. 보정 기준값의 변화에 따른 가상 키의 보정은 도 5a 및 도 5b를 통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축소되는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입력 키와 확장되는 인접한 가상 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접한 가상 키 확대영역 (510) 은 오입력 키 (512) 및 인접한 가상 키 (514) 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오입력 키 (512) 의 영역은 보정 기준값에 따라 제1 축소 보정 영역 (511) 및 제2 축소 보정 영역 (513) 과 같이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입력 키 (512) 의 영역은 보정 기준값의 역수 (d2/d1) 를 곱하여 제1 축소 보정 영역 (511) 또는 제2 축소 보정 영역 (513) 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듈 (130) 이 오입력 키 (512) 를 검출하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정 기준값은 횟수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고, 오입력 키 (512) 의 영역은 제2 축소 보정 영역 (513) 보다 더 작게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입력 키 (512) 가 검출된 횟수가 ‘2’인 경우, 보정 기준값에 2를 곱한 크기만큼 오입력 키 (512) 의 영역이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입력 키 (512) 의 영역이 제2 축소 보정 영역 (513) 으로 보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오입력 키 (512) 가 검출된 횟수가 ‘3’인 경우, 보정 기준값에 3을 곱한 크기만큼 오입력 키 (512) 의 영역이 축소되고 제2 축소 보정 영역 (513) 보다 더 작은 영역으로 오입력 키 (512) 의 영역이 축소 보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인접한 가상 키 확대영역 (520) 은 오입력 키 (522) 및 인접한 가상 키 (524) 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은 보정 기준값에 따라 제1 확장 보정 영역 (521) 및 제2 확장 보정 영역 (523) 과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은 보정 기준값 (d1/d2) 를 곱하여 제1 확장 보정 영역 (521) 또는 제2 확장 보정 영역 (523) 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듈 (130) 이 오입력 키 (512) 를 검출하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정 기준값은 횟수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고,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은 더 크게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입력 키 (522) 가 검출된 횟수가 ‘2’인 경우, 보정 기준값에 2를 곱한 크기만큼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이 제2 확장 보정 영역 (523) 으로 보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오입력 키 (522) 가 검출된 횟수가 ‘3’인 경우, 보정 기준값에 3을 곱한 크기만큼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이 확장되고 제2 확장 보정 영역 (523) 보다 더 큰 영역으로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이 확장 보정될 수 있다. 다만,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이 확장 보정되더라도 오입력 키 (522) 와 인접한 가상 키 (524) 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 키 구분선 (529) 을 넘지 않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보정 기준값에 따라 오입력 키 (512, 522) 가 축소되고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는 확장되는 보정이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정 기준값에 따라 동시에 오입력 키 (512, 522) 와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가 보정되더라도 오입력 키 (512, 522) 의 영역과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의 영역은 겹치지 않는다. 다만,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의 영역이 확장 보정되는 경우,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의 영역은 가상 키 구분선 (519, 529) 을 넘을 수도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 (100) 은 오입력 키 (512, 522) 및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의 영역을 보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인식하여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인지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 패턴에 의해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대신 오입력 키 (512, 522) 를 입력한 경우,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 (100) 은 오입력 키 (512, 522) 대신 인접한 가상 키 (514, 524) 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인지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 (100) 은 가상 키의 인식영역을 보정할 때 가상 키보드가 실행되는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또는 가상 키의 크기에 따라, 가상 키가 더 이상 보정되지 못하는 임계영역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 (100) 은 가상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가 오입력한 단어를 추천 단어를 통해 수정해주면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기초로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보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를 추정하여 가상 키의 크기가 보정될 수 있고 가상 키보드를 통한 오타율이 감소되고 문자 입력에 대한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이 사용되는 가상 키의 크기를 사용자의 경험칙 (사용자의 사용 패턴) 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기술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상 키보드 보정 모듈
110 수신모듈
120 추천모듈
130 검출모듈
140 보정모듈
310 가상 키보드
311 제1 입력
312 제2 입력
313 제3 입력
314 제4 입력
320 추천 단어 표시부
321 추천 단어
330, 510, 520 인접한 가상 키 확대영역
331 제1 가상 키
332 제5 입력
333 제2 가상 키
334 제1 가상 키 중심
336 제2 가상 키 중심
511 제1 축소 보정 영역
512 오입력 키
513 제2 축소 보정 영역
514 인접한 가상 키
519 가상 키 구분선
521 제1 확장 보정 영역
522 오입력 키
523 제2 확장 보정 영역
524 인접한 가상 키
529 가상 키 구분선

Claims (11)

  1.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상기 오입력 키의 영역 및 상기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는 입력된 상기 일 이상의 가상 키를 기초로 생성된 단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언어 모델링을 기초로 추천된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하거나 상기 오입력 키의 영역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한 가상 키의 중심 좌표와 상기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오입력 키의 중심 좌표와 상기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기준값을 기초로 상기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및 상기 오입력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기준값은 상기 오입력 키가 검출되는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6.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는 추천모듈;
    상기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및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상기 오입력 키의 영역 및 상기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는 입력된 상기 일 이상의 가상 키를 기초로 생성된 단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언어 모델링을 기초로 추천된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을 확장하거나 상기 오입력 키의 영역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인접한 가상 키의 중심 좌표와 상기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오입력 키의 중심 좌표와 상기 오입력 키에 대한 입력 좌표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보정 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보정 기준값을 기초로 상기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및 상기 오입력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기준값은 상기 오입력 키가 검출되는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장치.
  11. 일 이상의 가상 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일 이상의 가상 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추천 단어를 출력하고,
    상기 추천 단어 중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에 대응하는 가상 키와 입력된 가상 키를 비교하여 오입력 키를 검출하고,
    사용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상기 오입력 키의 영역 및 상기 오입력 키와 인접한 가상 키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40193727A 2014-12-30 2014-12-30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160082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27A KR20160082030A (ko) 2014-12-30 2014-12-30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27A KR20160082030A (ko) 2014-12-30 2014-12-30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030A true KR20160082030A (ko) 2016-07-08

Family

ID=5650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727A KR20160082030A (ko) 2014-12-30 2014-12-30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0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999B1 (ko) * 2016-11-28 2018-05-17 (주)헤르메시스 가상 키보드의 입력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09401A (ko) * 2017-03-28 2018-10-08 박용구 오타 수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90041119A (ko) * 2017-10-12 2019-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999B1 (ko) * 2016-11-28 2018-05-17 (주)헤르메시스 가상 키보드의 입력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09401A (ko) * 2017-03-28 2018-10-08 박용구 오타 수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90041119A (ko) * 2017-10-12 2019-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60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virtual keyboard
KR101345320B1 (ko) 예측 가상 키보드
KR101364881B1 (ko)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위한 적응형 버츄얼 키보드
US20150058785A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152323B2 (en)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US8701050B1 (en) Gesture completion path display for gesture-based keyboards
JP5731281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898585B2 (en) Electronic device, input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ing the method
KR20150104619A (ko) 원형의 접촉 감지 키보드를 위한 타이핑 방법 및 타이핑 디바이스
US10254952B2 (en) Progress display of handwriting input
JP5075997B2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列認識方法
CN106201324A (zh) 动态定位的屏幕上键盘
CN107085471B (zh) 一种基于用户输入速度的输入法纠错方法和装置
US89548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6219935B2 (ja) 単語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コントローラ及び装置
KR20160082030A (ko) 가상 키보드 보정 방법 및 장치
US20140247220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oftware Keyboard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oftware Keyboard Function
KR101858999B1 (ko) 가상 키보드의 입력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4235612A (ja) 端末装置、補正方法および補正プログラム
JP6154690B2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型入力装置、入力方法、電子機器
EP2891968B1 (en) Soft keyboard with keypress markers
US20150301741A1 (en) Method for selecting a character associated with a key in an electronic device
JP2006293987A (ja) 文字入力装置、文書作成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6226057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87941B1 (ko) 온라인 필기 데이터 라인 분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