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622A - 패드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패드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622A
KR20160081622A KR1020140195713A KR20140195713A KR20160081622A KR 20160081622 A KR20160081622 A KR 20160081622A KR 1020140195713 A KR1020140195713 A KR 1020140195713A KR 20140195713 A KR20140195713 A KR 20140195713A KR 20160081622 A KR20160081622 A KR 2016008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printing
blanket
printing plat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193B1 (ko
Inventor
최유찬
최성원
채호철
이상봉
장범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4019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41F17/3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on articles with surface irregularities, e.g. fruits,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패드 인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는,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작업을 위해 기판을 지지하는 워크 스테이지(work stage)유닛;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판을 지지하는 인쇄판 스테이지유닛; 및 인쇄판에 접촉되어 인쇄판의 원형 패턴을 전이받고 기판에 접촉되어 기판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되 인쇄판 또는 기판에 접촉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블랭킷 스탬프를 갖는 인쇄모듈과, 블랭킷 스탬프에 인쇄액을 코팅하는 코팅모듈을 구비하는 패드인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드 인쇄장치{PAD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패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인쇄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패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고부가가치 제품제조에 인쇄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매우 선명한 인쇄 구현이 가능하고 또한 인쇄가 반복되더라도 인쇄형상의 변형이 없고 인쇄 위치 정밀도의 변화가 없는 인쇄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매우 선명하고 인쇄 반복에 따른 인쇄형상의 변형이 없는 인쇄법으로 반전 옵셋(Reverse Offset) 인쇄법이 있다.
반전 옵셋(Reverse Offset) 인쇄법으로는, 그라비아 롤(Gravure Roll)로부터 블랭킷 롤(Blanket roll)로 인쇄액이 전이되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이나, 또는 블랭킷 롤(Blanket roll)이 플레이트 타입 인쇄판에 접촉 회전하여 불필요한 인쇄액이 플레이트 타입 인쇄판에 묻도록 하고 블랭킷 롤에는 인쇄패턴에 따라 인쇄액이 남도록 한 후 블랭킷 롤에 패터닝 된 인쇄액을 기판에 전이하여 최종 패턴을 인쇄하는 롤투플레이트(roll to plate) 방식 등이 있다.
한편 롤(Roll)을 이용하는 반전 옵셋 인쇄장치에서 인쇄정밀도는 롤(Roll)의 회전속도와 롤(Roll) 혹은 기판의 진행속도의 동기화 정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회전속도와 진행속도의 동기화를 위해서 기구적 치차를 이용하는 경우 치차 가공 오차가 그대로 인쇄정밀도 오차로 발현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구적 치차를 이용하는 대신에 제어적으로 동기화하는 경우 기구적 치차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동기화 정밀도가 개선되지만, 회전속도와 진행속도의 동기화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곤란하여 인쇄정밀도가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쇄 반복에 따라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스웨링(Swelling)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직경이 변화하고,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직경 변화에 따라 롤(Roll) 구동 및 직선 구동의 동기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롤(Roll) 형태의 인쇄장치에서는 블랭킷 시트(Blanket Sheet)를 균일한 장력으로 장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장착기구가 필요하고, 수명이 제한적인 블랭킷 시트(Blanket Sheet)를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교체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 효율에 다소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패드 인쇄는 인쇄무늬를 패드에 의해 전사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방법으로서, 이와 같은 패드 인쇄는 대상물이 공급지그에 장착되면 인쇄무늬가 형성된 부식기판의 인쇄도안을 패드가 이동하며 전사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목적하는 인쇄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패드 인쇄를 수행하는 종래 패드 인쇄방법은 반전 옵셋(Reverse Offset) 인쇄법에 비하여 그 인쇄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나 정밀도가 부족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고부가가치 제품제조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롤(Roll) 형태의 인쇄장치가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고부가가치 제품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정밀도가 종래보다 향상된 패드 인쇄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0191호(2010년 07월 14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반전 옵셋(Reverse Offset) 인쇄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인쇄 정밀도를 종래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패드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는,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작업을 위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워크 스테이지(work stage)유닛; 상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판을 지지하는 인쇄판 스테이지유닛; 및 상기 인쇄판에 접촉되어 상기 인쇄판의 상기 원형 패턴을 전이받고 상기 기판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기판에 접촉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블랭킷 스탬프를 갖는 인쇄모듈과,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인쇄액을 코팅하는 코팅모듈을 구비하는 패드인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 패턴은 상기 기판의 패턴에 대한 음각 패턴이며,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인쇄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판에 접촉되어 상기 인쇄판의 상기 음각 패턴에 해당하는 패턴에만 인쇄액을 남긴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몸체를 형성하는 스탬프 바디; 상기 인쇄액이 도포되는 블랭킷 시트; 및 상기 스탬프 바디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가압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블랭킷 시트를 접촉 지지하는 블랭킷 시트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스탬프 바디는 미리 결정된 영역이 소정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랭킷 시트 지지체의 중앙 영역은 양단부 영역보다 두께가 얇으며, 상기 스탬프 바디와 상기 블랭킷 시트 지지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블랭킷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시트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가압챔버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블랭킷 스탬프를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인쇄판으로 가압하는 스탬프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결합되어 상기 블랭킷 스탬프를 회전시키는 스탬프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회전부는 상기 블랭킷 스탬프가 결합되는 스탬프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스탬프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쇄모듈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인쇄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 회전부는, 상기 스탬프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가 결합되고 상기 인쇄프레임에 결합되는 회전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 가압부는 상기 회전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 케이스를 이동시켜 상기 블랭킷 스탬프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인쇄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블랭킷 스탬프의 하부 이동을 미리 결정된 영역까지 제한하는 하부 리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모듈은,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인쇄액을 도포하는 박막도포부; 및 상기 박막도포부를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 유닛은, 상기 인쇄판이 안착되는 인쇄판 스테이지; 및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를 지지하되,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인쇄판 스테이지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 이동부는,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프레임; 상기 패드인쇄유닛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이동 레일; 및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을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구동부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에 결합되며 상기 볼 스크류를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켜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을 상기 웹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반전 옵셋(Reverse Offset) 인쇄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인쇄 정밀도를 종래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1' 영역에서 블랭킷 스탬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블랭킷 스탬프에 에어가 공급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2' 영역에서 블랭킷 스탬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B' 영역에서 스탬프 회전부, 스탬프 가압부 및 하부 리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패드 인쇄장치의 인쇄판 스테이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패드 인쇄장치의 인쇄판의 패턴 원형에 형성된 주 얼라인 마크 및 보조 얼라인 마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평면 투영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영역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패드 인쇄장치의 인쇄판 스테이지유닛의 인쇄판 스테이지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패드 인쇄장치의 인쇄판 스테이지유닛의 인쇄판 스테이지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패드 인쇄장치의 인쇄판 스테이유닛의 인쇄판 스테이지가 축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진행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1)는, 기판(10)에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작업을 위해 기판(10)을 지지하는 워크 스테이지(work stage)유닛(100)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패턴(M, 도 8 및 도 15 참조)이 형성되는 인쇄판(20)을 지지하는 인쇄판 스테이지유닛(200)과, 인쇄판(20)에 접촉되어 불필요한 인쇄액(30)을 인쇄판(20)에 묻게 하고 기판(10)에 접촉되어 패터닝된 인쇄액(30)을 기판(10)에 전이하여 기판(10)에 패턴을 형성하는 패드인쇄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드인쇄유닛(300)은,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접촉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블랭킷 스탬프(410, Blanket stamp)를 갖는 인쇄모듈(400)과, 블랭킷 스탬프(410)에 인쇄액(30)을 코팅하는 코팅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롤(Roll) 형태가 가지는 인쇄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접촉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평판 형태의 블랭킷 스탬프(410)가 사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인쇄판(20)에 형성된 원형 패턴(M)은 기판(10)에 형성할 패턴에 대응하여 음각으로 형성된 음각 패턴(M)이다. 즉 인쇄액(30)이 도포된 블랭킷 스탬프(410)가 인쇄판(20)에 접촉하게 되면 인쇄판(20)에 형성된 음각 패턴(M)에 대응되는 블랭킷 스탬프(410) 영역에만 인쇄액(30, 도 15 참조)이 남게 되고 나머지 영역의 인쇄액(30)은 인쇄판(20)에 묻도록 인쇄판(20)에 음각 패턴(M)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블랭킷 스탬프(410)는 인쇄액(30)이 코팅된 상태에서 먼저 인쇄판(20)에 접촉되어 인쇄판(20)의 음각 패턴(M)에 해당하는 블랭킷 스탬프(410) 부분에만 인쇄액(30)이 남아 있게 되고 이 후 블랭킷 스탬프(410)에 패터닝된 인쇄액(30)을 기판(10)에 전이하여 기판(10)에 최종적으로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패드인쇄유닛(300)의 코팅모듈(500)은 패드인쇄유닛(300)의 블랭킷 스탬프(410)에 인쇄액(30)을 도포하게 되며, 블랭킷 스탬프(410)에 불필요한 인쇄액(30)을 제거하기 위하여 인쇄판 스테이지유닛(200)이 도 1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 패드인쇄유닛(300)의 하방 위치인 인쇄위치로 이동하고, 인쇄판 스테이지유닛(200)이 다시 초기위치로 이동한 후 이번에는 블랭킷 스탬프(410)가 기판(10)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워크 스테이지유닛(100)이 도 1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 패드인쇄유닛(300)의 하방 위치인 인쇄위치로 이동한다.
우선 패드인쇄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랭킷 스탬프(410)를 갖는 인쇄모듈(400)과, 블랭킷 스탬프(410)에 인쇄액(30)을 코팅하는 코팅모듈(5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쇄모듈(400)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인쇄프레임(420)과, 블랭킷 스탬프(410)와, 블랭킷 스탬프(410)를 기판(10) 또는 인쇄판(20)으로 가압하는 스탬프 가압부(430)와, 블랭킷 스탬프(410)에 결합되어 블랭킷 스탬프(410)를 회전시키는 스탬프 회전부(440)와, 인쇄프레임(420)에 결합되어 블랭킷 스탬프(410)의 하부 이동을 미리 결정된 영역까지 제한하는 하부 리미트(45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A1' 영역에서 블랭킷 스탬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블랭킷 스탬프에 에어가 공급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A2' 영역에서 블랭킷 스탬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B' 영역에서 스탬프 회전부, 스탬프 가압부 및 하부 리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과 함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인쇄프레임(420)은 프레임을 형성한다. 인쇄프레임(420)에는 스탬프 회전부(440), 스탬프 가압부(430) 및 하부 리미트(45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판(20) 또는 기판(10)과 직접 접촉하는 블랭킷 스탬프(410)는,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형성하는 스탬프 바디(411)와, 인쇄액(30)이 도포되는 블랭킷 시트(412, Blanket sheet)와, 스탬프 바디(411)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가압챔버(419)를 형성하되 블랭킷 시트(412)를 접촉 지지하는 블랭킷 시트 지지체(413)와, 블랭킷 시트(412)의 장력을 조절하는 시트 장력 조절부(415)와, 가압챔버(419)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418)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랭킷 스탬프(410)는 그 자체를 탈거 및 교체하여 짧은 시간에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 종래 블랭킷 롤의 형태에서 블랭킷 시트(412) 교체 시 일정한 장력을 부가하여 장착하기 위하여 복잡한 작업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스탬프 바디(411)의 미리 결정된 영역은 소정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스탬프 바디(411)는 블랭킷 시트 지지체(413)와 결합되어 내부에 에어(air)가 주입될 수 있는 가압챔버(419)를 형성한다.
블랭킷 시트 지지체(413)는 가압챔버(419)에 에어가 주입되게 되면 변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특히 블랭킷 시트 지지체(413)의 중앙 영역(413b, 도 3 및 도 4 참조)은 양단부 영역(413a, 도 3 및 도 4 참조)보다 두께가 얇도록 마련되어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시 가압챔버(419)에 에어(air)가 주입되어 공압이 인가되면 중앙 영역(413b)이 돌출되는데, 이에 의하여 블랭킷 시트(412)도 중앙 영역이 돌출되어 블랭킷 시트(412)가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접촉 시 중앙 영역부터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인쇄 시에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블랭킷 시트(412)의 중앙 영역부터 접촉되도록 하고, 스탬프 바디(411) 및 블랭킷 시트(412)와, 인쇄판(20) 또는 기판(10)의 가공정밀도나 평판도를 완충하여, 블랭킷 시트(412)는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탬프 바디(411)와 블랭킷 시트 지지체(413)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414, O-Ring)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가압챔버(419) 내에 에어(air)가 주입되더라도 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균일한 압력으로 인쇄를 위하여 블랭킷 시트(412)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블랭킷 시트(412)의 장력을 조절하는 시트 장력 조절부(415)가 마련된다.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장력 조절부(415)는, 블랭킷 시트(412)의 일단부를 스탬프 바디(411)에 고정하는 고정체(미도시)와, 스탬프 바디(411)와 블랭킷 시트(412)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블랭킷 시트(412)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인가체(416)와, 블랭킷 시트(412)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블랭킷 시트(4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41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장력 인가체(416)가 블랭킷 시트(412)의 타단부에 적절한 장력을 인가하게 되면 블랭킷 시트(41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블랭킷 시트(412)의 타단부가 가이드체(417)에 가이드되어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블랭킷 시트(412)가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스탬프 회전부(440)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킷 스탬프(410)가 결합되는 스탬프 회전축(441)과, 감속기 및 커플링 등을 통하여 스탬프 회전축(441)이 결합되는 회전모터(442)와, 인쇄프레임(420)에 결합되어 회전모터(442)를 결합 지지하는 회전부 케이스(443)를 포함한다.
블랭킷 스탬프(410)는 스탬프 회전부(440)의 스탬프 회전축(44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 쌍 마련된다. 이와 같이 블랭킷 스탬프(410)를 스탬프 회전축(441)을 중심으로 2개 설치하여 코팅 시에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실시하고 인쇄 시에는 아래로 회전하여 인쇄작업을 하는데, 스탬프 회전축(441)을 중심으로 2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나가 인쇄 시에 다른 하나는 코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택트 타임(tact time)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블랭킷 스탬프(410)는 인쇄를 위하여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접촉되어 가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탬프 가압부(430)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탬프 가압부(430)는 회전부 케이스(443)에 결합되어 회전부 케이스(443)를 상하 이동시키고, 회전부 케이스(443)가 상하 이동되면 스탬프 회전부(440)가 상하 이동하게 되고, 스탬프 회전부(440)가 상하 이동하게 되면 스탬프 회전부(440)의 스탬프 회전축(441)과 결합된 블랭킷 스탬프(410)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스탬프 가압부(430)가 회전부 케이스(443)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블랭킷 스탬프(410)가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접촉되어 인쇄판(20) 또는 기판(10)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스탬프 가압부(430)가 블랭킷 스탬프(410)를 하부로 가압한다는 의미는 단지 블랭킷 스탬프(410) 등의 지지를 해제하여 블랭킷 스탬프(410) 등의 자중만으로 가압함을 의미하는 것도 포함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블랭킷 스탬프(410)의 하부 이동의 제한은 하부 리미트(45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블랭킷 스탬프(410)에 인쇄액(30)을 코팅하기 위하여 코팅모듈(500)이 마련된다. 블랭킷 스탬프(410)의 노출 표면형상은 평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균일한 막 코팅이 가능한 슬릿 코터(slit coater)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코팅모듈(500)은, 블랭킷 스탬프(410)에 인쇄액(30)을 도포하는 박막도포부(510, 도 2 참조)와, 박막도포부(510)를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결합부(520)를 포함한다. 이동결합부(520)에 의하여 박막도포부(510)가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면서 블랭킷 스탬프(410)의 인쇄액(30) 도포가 필요한 전 영역으로 인쇄액(30)을 도포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쇄판 스테이지유닛(200)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패턴(M)이 형성되는 인쇄판(20)을 지지한다. 이러한 인쇄판 스테이지유닛(200)은, 인쇄판(20)이 안착되는 인쇄판 스테이지(210)와,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지지하되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패드인쇄유닛(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동부(230)를 포함한다.
인쇄판 스테이지(210)는 상면에 인쇄판(20)을 진공으로 흡착한 상태에서 패드인쇄유닛(30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이동은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이동부(230)에 의해 수행된다.
인쇄판 스테이지 이동부(230)는,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지지하는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과, 패드인쇄유닛(300)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이동 레일(233)과,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에 연결되어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을 이동 레일(233)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 구동부는, 이동 레일(233)을 따라 배치되되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에 결합된 볼 스크류(미도시)와, 볼 스크류에 결합되며 볼 스크류를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켜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을 패드인쇄유닛(300)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동 레일(233)은 인쇄판(20)이 이동되는 방향인 패드인쇄유닛(300)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이 이동 레일(2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레일(233)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즉,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미리 설정된 초기위치에서 패드인쇄유닛(300) 측으로 이동된 후, 다시 패드인쇄유닛(300) 측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스테이지(210)의 왕복운동은 구동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는 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블랭킷 스탬프(410)가 인쇄판(20)을 접촉 가압하여 인쇄판(20)의 음극 패턴(M)에 해당하는 인쇄액(30)만을 남겨야 추후 기판(10)에 가압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판(20)에 대하여 블랭킷 스탬프(410)를 가압함에 있어서, 블랭킷 스탬프(410)와 인쇄판(20)을 상호 정렬하여야 한다.
이에 인쇄모듈(400)은 블랭크 스탬프의 일측에 마련된 정렬 비젼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정렬 비젼부는 블랭크 스탬프(310)와 음극 패턴이 형성된 인쇄판(20)이 정렬하도록,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판(20)에 형성된 주 얼라인 마크(P1) 및 주 얼라인 마크(P1)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보조 얼라인 마크(P2)를 촬영한다.
그리고, 정렬 비젼부에 의해 촬영된 주 얼라인 마크(P1) 및 보조 얼라인 마크(P2)를 기초로 블랭킷 스탬프(410)와 인쇄판(20)을 정렬하는데 있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판 스테이지유닛(200)은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를 더 포함한다.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는 정렬 비젼부에 의해 촬영된 인쇄판(20) 상의 복수의 얼라인 마크를 기초로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상대 이동시켜 블랭킷 스탬프(410)와 인쇄판(20)을 정렬한다.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는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판면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 Y축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한 인쇄판(20)의 정렬작업을 진행한다.
즉,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는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는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의 상면과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과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는,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판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사각 구도로 배치되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판면 방향(X축, Y축 및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는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상대이동가능하게 하는 4개의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를 포함한다.
이처럼, 4개의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를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사각 구도로 배치할 경우,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인쇄 시 블랭킷 스탬프(410)가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높은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하더라도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임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즉, 블랭킷 스탬프(410)에 의해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판 스테이지(210) 자체를 X축, Y축 및 축 방향으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미세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 각각을, 도 9의 A 영역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가면서 각각 제1 내지 제4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와,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에 결합되어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와,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를 사이에 두고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의 대향 측에 마련되어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내지 제4 회전 지지부(267a~267d)와,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에 결합되고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의 회전 시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과,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에 결합되며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이 이동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자유 이동 가능한 제1 내지 제4 교차블록(264a~264d)과, 양단이 제1 내지 제4 교차블록(264a~264d)의 상면 및 인쇄판 스테이지(210)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265a~265d)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는 각각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즉,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해 인쇄판 스테이지(210) 상에 진공으로 흡착된 인쇄판(20)(M) 가 X축, Y축 및 축 방향으로 틀어진 정도가 계산되면, 제어부는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를 개별적으로 독립 제어하여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과, 제1 내지 제4 교차블록(264a~264d)의 이동을 통해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의 상면에는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266a~266d)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의 회전에 의해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은 복수의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266a~266d)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은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의 동작에 의해 이동한다. 하지만, 제1 내지 제4 교차블록(264a~264d)은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과는 달리,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상에서 자유 이동된다.
이를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블록(263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관통홀(268a)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269a)와, 관통홀(268a)을 통과하도록 돌출부(269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제1 교차블록(264a)에 고정되는 이동축(270)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제1 교차블록(264a)은 제1 이동블록(263a)의 상면에서 이동축(2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69a) 및 이동축(270)의 구성은 제1 스테이지 정렬부(260a) 외에도 제2 내지 제4 스테이지 정렬부(260b~260d)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나, 편의를 위해 제2 내지 제4 스테이지 정렬부(260b~260d)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를 인쇄판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의 네 모서리 영역에 사각 구도로 배치함으로써 인쇄판 스테이지(21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지만,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한 인쇄판(20)(M)의 정렬작업을 위해 인쇄판 스테이지(210)는 필요에 따라 X축, Y축 및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제1 내지 제4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들 각각의 배열 방향 역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X축, Y축 및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에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는 스테이지 지지프레임(231)의 상면에서 대각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들끼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되, 대각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내지 제4 스테이지 단위정렬부(260a~260d)에 마련된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인쇄판 스테이지(210)는 X축, Y축 및 축 방향(도 12 내지 도 14 참조)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한 정렬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정렬 비젼부에 의해 촬영된 인쇄판(20) 상의 주 얼라인 마크(P1) 및 보조 얼라인 마크(P2)를 기초로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한 인쇄판(20)의 정렬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우측(X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켜야 할 경우, 제어부는 제1 및 제3 구동모터(261a, 261c)를 동작시켜 제1 및 제3 볼 스크류(262a, 262c)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 및 제4 구동모터(261b, 261d)는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및 제3 볼 스크류(262a, 262c)에 결합된 제1 및 제3 이동블록(263a, 263c)은 그 하부의 제1 내지 제3 가이드 레일(266a, 266c)을 따라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및 제3 이동블록(263a, 263c)과 대각 방향에 위치한 제2 및 제4 이동블록(263b, 263d)은 고정되어 있지만, 제2 및 제4 이동블록(263b, 263d)의 상부에 마련된 제2 및 제4 교차블록(264b, 264d)은 제2 및 제4 이동블록(263b, 263d) 상에서 우측으로 자유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인쇄판 스테이지(210)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상측(Y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켜야 할 경우, 제어부는 제2 및 제4 구동모터(261b, 261d)를 동작시켜 제2 및 제4 볼 스크류(262b, 262d)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 및 제3 구동모터(261a, 261c)는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및 제4 볼 스크류(262b, 262d)에 결합된 제2 및 제4 이동블록(263b, 263d)은 그 하부의 제2 내지 제4 가이드 레일(266b, 266d)을 따라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및 제4 이동블록(263b, 263d)과 대각 방향에 위치한 제1 및 제3 이동블록(263a, 263c)은 고정되어 있지만, 제1 및 제3 이동블록(263a, 263c)의 상부에 마련된 제1 및 제3 교차블록(264a, 264c)은 제1 및 제3 이동블록(263a, 263c) 상에서 상측으로 자유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인쇄판 스테이지(210)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축)시켜야 할 경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 전부를 동작시킨다.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261a~261d)가 동작되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내지 제4 볼 스크류(262a~262d)의 동작에 의해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이 이동하게 되고, 제1 내지 제4 교차블록(263a~263d)이 제1 내지 제4 이동블록(263a~263d) 상에서 해당 방향으로 자유 이동함으로써 이들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도 14에서와 같은 인쇄판 스테이지(210) 회전동작은 도 12 및 도 13의 동작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해 인쇄판 스테이지(210)를 상대 이동시켜 블랭킷 스탬프(410)와 인쇄판(20)을 정렬하고 블랭킷 스탬프(410)를 인쇄판(20)에 가압하여 인쇄판(20)에는 불필요한 인쇄액(30)을 남겨 두고 블랭킷 스탬프(410)에는 패터닝된 인쇄액(30)을 남겨 두게 된다.
다음으로, 워크 스테이지유닛(100)은, 블랭킷 스탬프(410)에 의해서 기판(10)에 대한 인쇄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면에 기판(10)을 지지하는 워크 스테이지(미도시)와, 워크 스테이지의 하부에 결합되되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한 워크 스테이지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워크 스테이지를 판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 스테이지 정렬부(미도시)와, 워크 스테이지 정렬부를 사이에 두고 워크 스테이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워크 스테이지 정렬부를 지지하는 워크 스테이지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이 인쇄판(20)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블랭킷 스탬프(410)가 인쇄판(20)에 접촉되면 인쇄판(20)에 형성된 음각 패턴(M)에 해당하는 인쇄액(30)만 블랭킷 스탬프(410)에 남게 된다.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워크 스테이지는 초기위치에서 블랭킷 스탬프(410) 측으로 이동하여 워크 스테이지 상의 기판(10)에 블랭킷 스탬프(410)가 접촉하여 기판(10)에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에도 블랭킷 스탬프(410)에 대하여 워크 스테이지 상의 기판(10)의 정렬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워크 스테이지 정렬부(미도시)가 담당한다.
워크 스테이지, 워크 스테이지 이동부 및 워크 스테이지 정렬부는 인쇄판 스테이지(210), 인쇄판 스테이지 이동부(230) 및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25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1)를 이용한 인쇄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진행도이다. 이 도면과 도 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1)를 이용한 인쇄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블랭킷 스탬프(410)의 블랭킷 시트(412)에 코팅모듈(500)이 인쇄액(30)을 도포한다.
그런 다음에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초기위치에서 패드인쇄유닛(300)으로 이동하여 인쇄위치에 도달하면 인쇄액(30)이 도포되어 회전된 블랭킷 시트(412)는 인쇄판(20) 상부에서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에 의하여 블랭킷 시트(412)와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정렬된다. 그리고 나서 스탬프 가압부(430)에 의하여 블랭킷 시트(412)가 하강하여 인쇄판 스테이지(210)에 로딩된 인쇄판(20)에 블랭킷 스탬프(410)가 접촉 가압한다.
블랭킷 시트(412)가 인쇄판(20)에 접촉 가압한 후 블랭킷 시트(412)를 인쇄판(2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키면 인쇄판(20)에는 음극 패턴(M)에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블랭킷 시트(412)의 인쇄액(30)이 전이되어 남게 되고 블랭킷 시트(412)에는 인쇄판(20)의 음극 패턴(M)에 해당하는 부분에 인쇄액(30)이 남게 되어 인쇄액(30)이 패터닝된다.
그런 다음에 인쇄판 스테이지(210)는 초기위치로 이동하고, 워크 스테이지의 상면으로 로딩(loading)되어 워크 스테이지의 상면에 지지되는 기판(10)을 흡착한 상태에서 워크 스테이지는 초기위치에서 패드인쇄유닛(300) 측으로 이동하여 인쇄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블랭킷 스탬프(410)의 블랭킷 시트(412)는 기판(10) 상부에서 인쇄판 스테이지 정렬부(820)에 의하여 블랭킷 시트(412)와과 인쇄판 스테이지(210)가 정렬된다.
그리고 나서 블랭킷 시트(412)가 스탬프 가압부(430)에 의해 기판(10)의 방향으로 하강하여 블랭킷 시트(412)가 기판(10)에 접촉 가압한 후 블랭킷 시트(412)를 기판(1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켜 기판(10)에 패턴을 최종적으로 형성한다.
블랭킷 시트(412)가 인쇄 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챔버(419)에 에어가 주입되어 블랭킷 시트(412)의 중앙 영역이 돌출되어 블랭킷 시트(412)가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블랭킷 시트(412)의 중앙 영역부터 접촉되도록 하고, 스탬프 바디(411) 및 블랭킷 시트(412)와, 인쇄판(20) 또는 기판(10)의 가공정밀도나 평판도를 완충하여, 블랭킷 시트(412)는 인쇄판(20) 또는 기판(10)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평판형의 블랭킷 스탬프(410)를 가지되 반전 옵셋(Reverse Offset) 인쇄법을 구현하는 패드 인쇄장치(1)는 롤(Roll) 구동 동기화가 불필요하여 구동 동기 정밀도에서 벗어나 인쇄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블랭킷 롤의 형태에서 블랭킷 시트(412) 교체 시 일정한 장력을 부가하여 장착하기 위하여 복잡한 작업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블랭킷 스탬프(410) 자체를 탈거 및 교체하여 짧은 시간에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패드 인쇄장치 100 : 워크 스테이지유닛
200 : 인쇄판 스테이지유닛 230 : 인쇄판 스테이지 이동부
300 : 패드인쇄유닛 400 : 인쇄모듈
410 : 블랭킷 스탬프 411 : 스탬프 바디
412 : 블랭킷 시트 413 : 블랭킷 시트 지지체
414 : 오링 415 : 시트 장력 조절부
416 : 장력인가체 417 : 가이드체
418 : 에어공급부 419 : 가압챔버
420 : 인쇄프레임 430 : 스탬프 가압부
440 : 스탬프 회전부 450 : 하부 리미트
500 : 코팅모듈

Claims (15)

  1.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작업을 위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워크 스테이지(work stage)유닛;
    상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판을 지지하는 인쇄판 스테이지유닛; 및
    상기 인쇄판에 접촉되어 상기 인쇄판의 상기 원형 패턴을 전이받고 상기 기판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기판에 접촉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블랭킷 스탬프를 갖는 인쇄모듈과,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인쇄액을 코팅하는 코팅모듈을 구비하는 패드인쇄유닛을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패턴은 상기 기판의 패턴에 대한 음각 패턴이며,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인쇄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판에 접촉되어 상기 인쇄판의 상기 음각 패턴에 해당하는 패턴에만 인쇄액을 남긴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패드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몸체를 형성하는 스탬프 바디;
    상기 인쇄액이 도포되는 블랭킷 시트; 및
    상기 스탬프 바디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가압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블랭킷 시트를 접촉 지지하는 블랭킷 시트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스탬프 바디는 미리 결정된 영역이 소정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랭킷 시트 지지체의 중앙 영역은 양단부 영역보다 두께가 얇으며,
    상기 스탬프 바디와 상기 블랭킷 시트 지지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이 결합되어 있는 패드 인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블랭킷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시트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가압챔버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블랭킷 스탬프를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인쇄판으로 가압하는 스탬프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결합되어 상기 블랭킷 스탬프를 회전시키는 스탬프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회전부는 상기 블랭킷 스탬프가 결합되는 스탬프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블랭킷 스탬프는 상기 스탬프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 쌍 마련되는 패드 인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인쇄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 회전부는,
    상기 스탬프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가 결합되고 상기 인쇄프레임에 결합되는 회전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 가압부는 상기 회전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 케이스를 이동시켜 상기 블랭킷 스탬프를 가압하는 패드 인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인쇄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블랭킷 스탬프의 하부 이동을 미리 결정된 영역까지 제한하는 하부 리미트를 더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모듈은,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인쇄액을 도포하는 박막도포부; 및
    상기 박막도포부를 상기 블랭킷 스탬프에 대하여 상대 이동 시키는 이동결합부를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 유닛은,
    상기 인쇄판이 안착되는 인쇄판 스테이지; 및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를 지지하되,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인쇄판 스테이지 이동부를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이동부는,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인쇄판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프레임;
    상기 패드인쇄유닛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이동 레일; 및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을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동부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에 결합되며 상기 볼 스크류를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켜 상기 스테이지 지지프레임을 상기 웹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패드 인쇄장치.
KR1020140195713A 2014-12-31 2014-12-31 패드 인쇄장치 KR10169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13A KR101694193B1 (ko) 2014-12-31 2014-12-31 패드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13A KR101694193B1 (ko) 2014-12-31 2014-12-31 패드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622A true KR20160081622A (ko) 2016-07-08
KR101694193B1 KR101694193B1 (ko) 2017-01-09

Family

ID=5650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713A KR101694193B1 (ko) 2014-12-31 2014-12-31 패드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0895A (zh) * 2018-08-21 2018-12-11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移印装置
KR102413343B1 (ko) * 2022-01-18 2022-06-27 (주)피에스산업 얼라인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단자 인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965B1 (ko) * 2018-04-04 2018-06-12 안동준 인쇄-패드 및 고정수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49U (ja) * 1993-07-23 1995-02-21 シヤチハタ工業株式会社 捺印具
KR100970191B1 (ko) 2010-04-15 2010-07-14 주식회사 대영테크 실크인쇄를 이용한 간접 패드인쇄 장치
KR20110011465A (ko) * 2009-07-28 2011-02-0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음각 스탬핑 방식의 오프셋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및 음각 스탬핑 방식의 오프셋 인쇄 방법
KR101244741B1 (ko) * 2012-05-18 2013-03-18 한국기계연구원 패턴 인쇄 방법
KR20130067528A (ko) * 2011-12-14 201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49U (ja) * 1993-07-23 1995-02-21 シヤチハタ工業株式会社 捺印具
KR20110011465A (ko) * 2009-07-28 2011-02-0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음각 스탬핑 방식의 오프셋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및 음각 스탬핑 방식의 오프셋 인쇄 방법
KR100970191B1 (ko) 2010-04-15 2010-07-14 주식회사 대영테크 실크인쇄를 이용한 간접 패드인쇄 장치
KR20130067528A (ko) * 2011-12-14 201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44741B1 (ko) * 2012-05-18 2013-03-18 한국기계연구원 패턴 인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0895A (zh) * 2018-08-21 2018-12-11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移印装置
CN108970895B (zh) * 2018-08-21 2024-02-09 广东高标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移印装置
KR102413343B1 (ko) * 2022-01-18 2022-06-27 (주)피에스산업 얼라인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단자 인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193B1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8763B (zh) 胶印印刷方法及装置
US10994470B2 (en) Structure stamp, device and method for embossing
WO2010137320A1 (ja) アライメントステージ
KR101694193B1 (ko) 패드 인쇄장치
KR101928108B1 (ko) 인쇄장치
CN105813765B (zh) 涂布构件及涂布装置
JP6963796B2 (ja) アライメントステージ
JP2010241069A (ja) オフセット印刷方法及び装置
US20170173939A1 (en)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CN102438834A (zh) 胶版印刷用转印装置
JP2010280164A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KR101684914B1 (ko) 이중 인압 제어 장치를 이용한 롤 인쇄기
CN103391847B (zh) 滚筒印刷设备以及使用该设备的滚筒印刷方法
KR20110040181A (ko) 롤 및 인쇄 대상물의 배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WO2010122809A1 (ja) オフセット印刷方法及び装置
KR101479939B1 (ko) 인쇄장치
KR20140141137A (ko) 인쇄장치
WO2010143401A1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KR101519843B1 (ko) 구동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동기화 오차를 계측 및 보정하는 인쇄 장치 및 방법
JP2018015932A (ja) 転写装置および転写方法
KR100830094B1 (ko) 패턴 형성용 인쇄 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
KR20230092365A (ko) 기판 정렬기를 구비하는 프린트 장치
KR20120097346A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TW201927579A (zh) 印刷裝置以及轉印輥
KR20120006249A (ko) 롤투플레이트 방식의 필름 얼라인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롤투플레이트 방식의 필름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