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539A -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 Google Patents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539A
KR20160081539A KR1020140195494A KR20140195494A KR20160081539A KR 20160081539 A KR20160081539 A KR 20160081539A KR 1020140195494 A KR1020140195494 A KR 1020140195494A KR 20140195494 A KR20140195494 A KR 20140195494A KR 20160081539 A KR20160081539 A KR 20160081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wheel
support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8802B1 (en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한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9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802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8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0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1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an electric carrier using the same. The foldable loading instrument comprises: a handle part which has a handle and a handle frame where the handle is installed; a support part which has a support frame installed to rotate the handle frame around a shaft, a sliding member installed to be moved along the support frame, and a guide bar having both sides installed in the handle frame and the sliding member to be rotated around the shaft to move the sliding member when the handle frame is rotated around the shaft; and a wheel part which has first front and rear wheel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support frame, respectively. Therefore, the foldable loading instrument is manufactured to be moved by a power device.

Description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lding loading devices,

본 발명은 적재기구 및 전동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하기 편하게 접을 수 있는 적재기구와, 이를 전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일르 이용한 전동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mechanism and an electric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ading mechanism that can be easily folded, and a foldable loading mechanism and an electric carrier using an electric motor.

일반적으로, 캐리어는 물품을 싣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넓은 의미로 쇼핑용 카트 또는 유아용 유모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에는 구매한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바구니가 구비되고, 유모차에는 아기를 앉힐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된다. 여기서, 종래의 유모차에 대한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1호(발명의 명칭 : 유모차)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과 후륜을 구비한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시트(11)와, 몸체(10)를 밀 수 있도록 장착된 핸들(12)을 구비한다. 또한, 몸체(10)와 전륜(13) 또는 후륜(14)의 결합부위 및, 몸체(10)와 핸들(12)의 결합부위에는 측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5)와, 스프링(16)과 손잡이부재(18)를 통해 고정부재(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부재(18)를 당기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고정부재(17)가 축회전하면, 고정부재(17)와 회전부재(15)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15)를 회전시킨 후, 손잡이부재(18)를 놓으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7)가 원위치로 축회전하여 고정부재(17)와 회전부재(15)가 다시 체결된다. 이때, 회전부재(15)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10)에 대해 전륜(13) 또는 후륜(14)이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핸들(111)이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Generally, a carrier is a mechanism for carrying and moving articles, and in a broad sense may include a shopping cart, a baby stroller, or the like. Here, the cart is provided with a basket capable of holding purchased items, and the stroller is provided with a seat for seating the baby. Here,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30621 (the invention is called a baby carriage).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body 10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a seat 11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a handle (12). A rotating member 15 that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is provide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body 10 and the front wheel 13 or the rear wheel 14 and a joint portion between the body 10 and the handle 12. [ And a fixing member 17 through a spring 16 and a knob member 18.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handle member 18 is pulled, the fastening member 17 and the rotary member 15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when the fastening member 17 is rotated whil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is overcome. In this state, The fixing member 17 rotates in the original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and the fixing member 17 and the rotary member 15 are fastened again when the knob member 18 is released. At this time, by rotating the rotary member 15, the front wheel 13 or the rear wheel 14 can be rotated forward /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nd the handle 111 can be rotated forward / backward.

또한,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6호(발명의 명칭 :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를 보면, 도 1c에서와 같이 몸체(10)와 시트 장착부는 고정홈(20)을 구비하면서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1), 고정홈(20)과 체결되도록 스프링(16)과 손잡이부재(18)를 통해 설치된 고정부재(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부재(18)를 당기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고정부재(17)가 축회전하여 고정홈(20)과의 체결이 해제되고, 회전축(21)을 회전시킨 후 손잡이부재(18)를 놓으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7)가 원위치로 축회전하여 고정부재(17)와 회전축(21)이 다시 체결된다. 이때, 회전축(21)을 회전시킴으로써, 몸체(10)에 대해 시트(11)가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C, the body 10 and the seat mounting portion of the stroller 20 are fixed to the fixing groove 20 (see FIG. 1C),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30626 filed by the same applicant A rotary shaft 21 rotating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plan view and a fixing member 17 provided through a spring 16 and a pull member 18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20. Therefore, when pulling the knob member 18,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is overcome so that the fixing member 17 is rotated and the engagement with the fixing groove 20 is released. After the rotation shaft 21 is rotated, 18 is released, the fixing member 17 rotate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and the fixing member 17 and the rotary shaft 21 are fastened again. At this time, by rotating the rotary shaft 21, the seat 11 can be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하지만, 도 1b의 회전부재(15)와 고정부재(17), 도 1c의 회전축(21)과 고정부재(17) 간의 결합력은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전적으로 의지하게 되므로, 스프링(16) 하나가 파손 또는 녹이 슬어 탄성력이 저하되면 전륜(13), 후륜(14), 핸들(12) 및 시트(11)의 회전 기능이 무력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otary member 15 and the fixing member 17 of Fig. 1B, the rotary shaft 21 of Fig. 1C and the fixing member 17 depends entirely o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The rear wheel 14, the handle 12 and the seat 11 can be rendered inoperative if the elasticity of the front wheel 13, the rear wheel 1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1호(2012.03.2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0621 (published on March 29,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6호(2012.03.2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0626 (published on March 29, 2012)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 제2989-0005134호(1989.08.02. 공고)Practical new model of Korea public announcement 2989-0005134 (announcement of August 2, 1989)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프레임들이 상호 링크방식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인줄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고, 이 접힘 및 펼침 동작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folding type loading mechanism in which each frame is folded or unfolded while being inserted or folded in a linking manner and a sliding manner, and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is robustly performed. To provide an electric carrier.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적재기구는, 핸들, 핸들 이 장착된 핸들프레임을 구비한 핸들부;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부재,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양측부가 각각 핸들프레임과 슬라이딩부재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이드바를 구비한 지지부;와 지지프레임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장착된 제1전륜과 제1후륜을 구비한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able loading mechanism comprising: a handle portion having a handle and a handle frame; A guide bar mounted on the handle frame and the slid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so as to move the sliding member when the handle frame is rotated; And a wheel having a first front wheel and a first rear wheel mounted on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respectively.

여기서, 지지부는 슬라이딩부재에 일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이 가이드부재의 타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가이드부재가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부재를 당기거나 밀면 지지부재가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so as to rotate axially,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rotate axi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while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for axial rotation, And the support member is rotated about the support frame when the support member is pulled or pushed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frame.

또한, 바퀴부는 지지부재의 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전륜이 체결된 전륜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지지부재가 축회전하면 측면상 전륜프레임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upport member is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front wheel frame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hen the support member is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front wheel is folded or unfolded .

이때, 전륜프레임은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지지프레임에 장착되거나 지지프레임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에 장착되고, 다수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경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거나 제1몸체에 장착된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At this time, the front wheel frame is attached to the first bod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for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or fixed to the front body of the support frame, and when the plurality of frames are mutually connected, Made to be mutually mounted by members

또한, 바퀴부는 지지프레임의 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후륜이 체결된 제1후륜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제1후륜프레임에 장착된 제3몸체, 일측부가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에 고정되면서 타측부가 제3몸체 또는 제1후륜프레임에 고정된 제2후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후부에 고정되면서 제1후륜프레임이 장착된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rear wheel frame may include a third body mounted on the first rear wheel frame. The first body may be fixed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or the supporting frame. A second body fixed to the first body and having a second side fixed to the third body or the first rear wheel frame, and a second body fixed to a rea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 first rear wheel frame mounted thereon .

또, 핸들부는 핸들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핸들프레임, 제1핸들프레임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핸들프레임, 제2핸들프레임에 장착된 적재프레임과, 제2핸들프레임의 일측부가 고정되면서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3핸들프레임을 구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first handle frame mounted to rotate the handle shaft, a second handle frame configured to insert or pull out the first handle frame, a loading frame mount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And a third handle frame provided to rotate axi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여기서, 적재프레임은, 제2핸들프레임에 대해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회전몸체, 제2핸들프레임에 높이 방향으로 장착된 고정마찰부재와, 제1회전몸체가 회전하면 고정마찰부재와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호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제1회전몸체의 내면과 고정마찰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수단;과 제2핸들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면서 제1회전몸체와 결합된 제2회전몸체, 제2회전몸체의 선단측부위에 적재부재와 장착되는 받침부재, 제2핸들프레임의 외주면에 가공된 고정홈, 고정홈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도록 벌려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제작되어 제2회전몸체에 내장된 고정부재, 고정부재를 벌리거나 오므라들도록 동작시켜 고정홈과 체결 또는 체결 해제시키도록 설치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loading frame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installed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le frame, a stationary friction member mount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second handle frame, Down means including a movable frictio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fixed friction member so as to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ed friction member, The second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the supporting member mounted on the load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the fixing groove machi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andle frame, and the fixing groove, An operation member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and released from the fixing groove by being operated to open or close the fixing member, Rotation means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재기구를 구비한 전동캐리어는 상술된 적재기구;와 적재기구를 이동시키도록 동력부, 동력부에 의해 운동하도록 설치된 바퀴부, 동력부와 바퀴부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이 메인바디와 적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electric carrier having the loa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mentioned loading mechanism, a power unit for moving the loading mechanism, a wheel unit for moving by the power unit, a main body equipped with a power unit and a wheel unit, And a power unit having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oading mechanism.

동력부는 바퀴부를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 이 동력원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도록 설치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wer unit includes a power source installed to drive the wheels, a battery installed to apply power to the power source, and a power switch provided to apply or short-circuit the power of the battery.

동력부는 메인바디의 하부에 장착되어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바퀴부의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구름 운동을 증감시키도록 설치된 가속기,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구름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치된 제동기와,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력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구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wer unit includes an accelerato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to increase or decrease rolling motion of a second front wheel or a second rear wheel of a wheel portion driven by a power source, a brake provided to stop rolling motion of the second front wheel or the second rear wheel, And a controller install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accelerator or the brake or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power unit to control the rolling motion of the second front wheel or the second rear wheel.

연결부는 메인바디와, 적재기구의 일부위 또는 제2몸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이 연결프레임을 메인바디 또는 적재기구의 일부위 또는 제2몸체에 착탈 또는 축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a connecting frame connecting the second body to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and a fixing pin which is detachably 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or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or to the second body .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부가 지지부에 대해 축회전하고, 전륜이 지지부에 대해 축회전하여 접음으로써, 보관시 적재기구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핸들부의 축회전과 더불어 전륜이 접히도록 축회전함으로써, 접기 편리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s axi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ront wheel is axi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volume of the loading mechanism can be remarkably reduced. At this time, the shaft is rotated so that the front wheel is fold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of the handle, so that the folding is convenient and the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핸들부가 접히면서 지지부의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면서 지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접거나 펴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핸들부가 및 지지부에 대해 견고히 지지되면서 축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slid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support frame while the handle portion is being folded on the support frame of the support portion, the operation of folding and straightening is smoothly performed, and the shaft portion is rotatably supported while firmly support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

또한, 적재프레임이 핸들부의 핸들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또는 축회전함으로써, 적재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재부재의 높낮이 및 축회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접은 상태에서 적재프레임을 축회전시켜 접은 상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height of the loading member mounted on the loading frame and the axis rotation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by raising / lowering or rotating the loading frame along the handle frame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loading frame can be rotated axi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ink.

그리고, 적재기구를 동력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loading mechanism can be moved to the power uni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maximized.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a는 종래의 유모차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b와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몸체와, 바퀴 또는 핸들 또는 시트의 결합부위의 작동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가 도시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바퀴 프레임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적재기구가 접히는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Figs. 1B and 1C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body shown in Fig. 1A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wheel or the handle or the seat.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ing mechan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shown in Fig.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handle frame and the support frame shown in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frame, the support frame, and the wheel frame shown in Fig.
6A to 6C are views show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mechanism of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unit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재기구><Loading mechanism>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가 도시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바퀴 프레임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ing mechan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shown in Fig.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handle frame and the support frame shown in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frame, the support frame, and the wheel frame shown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기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10), 지지부(120)와 바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재기구(100)는 받침부재(114d)에 적재부재(미도시)를 착탈하도록 제작되고, 받침부재(114d)에 적재부재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적재기구(100)가 일 예로 유모차인 경우 적재부재는 아기가 탑승하는 시트(seat)가 되고, 다른 예로 카트인 경우 적재부재는 물품을 담는 바구니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적재기구(100)는 유모차 또는 카트에 한정하지 않고,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기구나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기구를 통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재 역시 유모차의 시트 또는 카트의 바구니에 한정하지 않고,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이 적재되는 통상의 부재를 통칭할 수 있다.The load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110, a support 120, and a wheel 130, as shown in FIG. Here, the loading mechanism 100 is made to attach and detach a loading member (not shown) to the receiving member 114d, and the loading member may be fixed to the receiving member 114d. In addition, when the loading mechanism 100 is a baby carriage, for example, the loading member is a seat on which the baby is boarded. In another example, the loading member is a basket for storing articles. That is, the loading mechanis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baby carriage or a cart, but may be a mechanism capable of seating a person or a device capable of loading objects. Therefore, the load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seat of the stroller or the basket of the cart, and can be generally referred to as a normal member on which a person is loaded or an object is loaded.

핸들부(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1), 제1핸들프레임(112), 제2핸들프레임(113), 적재프레임(114)과, 제3핸들프레임(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o 4, the handle 110 includes a handle 111, a first handle frame 112, a second handle frame 113, a loading frame 114, a third handle frame 115).

여기서, 핸들(111)은 대략 평면상 폐도형의 형상이고, 제1핸들프레임(112)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 핸들(111)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핸들프레임(112)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물론, 핸들(111)은 축회전시 측면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일정 각도 단위로 축회전하여 고정 가능하고, 제1핸들프레임(112)과 접촉하는 정도의 각도가 최대 축회전 각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Here, the handle 111 is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planar closed shape an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112. The handle 111 is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dle frame 112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handle 111 is rotatable in the axi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unit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shaft, and the handle 111 is installed such that the angle of contact with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the maximum axial rotation angle. do.

또한, 제1핸들프레임(112)은 상부에 핸들(111)이 장착되고, 기타 부위가 제2핸들프레임(113)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1핸들프레임(112)은 제2핸들프레임(113)에 삽입되는 경우, 핸들(111)과의 결합부위까지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제1핸들프레임(112)은 일정 길이만큼 삽입 또는 인출된 후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핸들프레임(112)이 제2핸들프레임(113)에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핸들부(110)의 전체 길이가 조정된다.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11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mount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113 to be inserted or drawn out. In this case, when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andle frame 113, the first handle frame 112 can be inserted up to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handle 111. Of course,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installed to be fixedly fixed to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fter being inserted or drawn by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ly, the entire length of the handle portion 110 is adjusted while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second handle frame 113.

또, 제2핸들프레임(113)은 상부에 제1핸들프레임(112)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장착되고, 하부가 제3핸들프레임(115)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핸들프레임(113)에는 적재프레임(114)이 장착된다. 이 적재프레임(114)은 제2핸들프레임(113)을 따라 승/하강하고,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축회전(도 6c 참조)하도록 설치된다. The second handle frame 113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112 such that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inserted or withdraw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113 is fixed to the third handle frame 115. Here, a loading frame 114 is mount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113. The loading frame 114 is moun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nd rotate about the axis of the second handle frame 113 (see FIG. 6C).

이때, 적재프레임(114)은 제1회전몸체(114a)와 제2회전몸체(11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회전몸체(114a)는 승/하강수단과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stacking frame 114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114a and a second rotating body 114c.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includes a lifting / lowering means and a rotating means.

여기서, 승/하강수단은 제2핸들프레임(113)을 중심으로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회전몸체(114a)를 포함한다. 또한, 승/하강수단은 제2핸들프레임(113)의 외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부착된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 제1회전몸체(114a)의 회전에 의해 고정마찰부재(114b)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도록 제1회전몸체(114a)의 내면과 고정마찰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마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회전몸체(114a)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위가 직경이 다르게 경사져 가공되고, 이를 통해 제1회전몸체(114a)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동마찰부재가 상호 밀착하여 체결되거나 상호 이격되어 체결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회전몸체(114a)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동마찰부재를 이격시킨 후 적재프레임(114)을 승/하강시키고, 다시 제1회전몸체(114a)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동마찰부재를 밀착 및 체결시켜 적재프레임(114)을 승/하강된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Here, the lifting / lowering means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114a provided so as to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s a plane.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includes a fixed friction member 114b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andle frame 113 in a height direction and a fixed friction member 114b fastened to the fixed friction member 114b by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and the fixed friction member so as to be unlocked.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is inclined differently in diameter, thereby rotating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so that the fixed friction member 114b and the moving friction member are reciprocated And are tighte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be disengaged. Accordingly,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eparate the fixed friction member 114b from the moving friction member, and then the mounting frame 114 is raised / lowered. Then,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stationary friction member 114b and the moving friction member are closely contacted and fastened to fix the mounting frame 114 in the raised / lowered position.

그리고, 회전수단은 제2핸들프레임(113)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면서 제1회전몸체(114a)와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되도록 설치된 제2회전몸체(114c)를 포함한다. 이 제2회전몸체(114c)의 선단측 부위에는 적재부재가 착탈되는 받침부재(114d)가 설치된다. 또한, 회전수단은 제2회전몸체(114c)가 제2핸들프레임(113)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제2회전몸체(114c) 내부에 설치된 고정부재(미도시)와, 고정부재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된 작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벌려지거나 오므라들도록 동작하면서 제2핸들프레임(11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가공된 고정홈(미도시)에 수용되거나 이탈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작동부재를 이동시켜 고정부재와 고정홈의 체결을 해제시킨 후 제2회전몸체(114c)를 축회전시키고, 다시 작동부재를 원위치시켜 고정부재와 고정홈을 체결시켜 제2회전몸체(114c)를 축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second rotating body 114c installed to be mounted on or dismounted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while rotating axially about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nd a supporting member 114d to which the loading member is attached and detached is provided at the tip side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In addition, the rotating means may include a fixing member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so that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is fixed or unlocked to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nd further includes an installed operation member. Here,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andle frame 113 while being operated to open or collapse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Accordingly, after the operation member is moved to release the fastening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ing groove,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is rotated and the operation member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fasten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ing groove, ) Is fixed at the shaft-rotated position.

그리고, 제3핸들프레임(115)은 상부에 제2핸들프레임(113)이 고정되고, 하부가 후술된 지지프레임(121,도 4 참조))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핸들프레임(115)의 일부위에 후술된 가이드바(123,도 4 참조)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The third handle frame 115 is installed such that the second handle frame 113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axi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121 (see FIG. 4) described later. Further, on the part of the third handle frame 115, a guide bar 123 (see Fig. 4)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to rotate the shaft.

지지부(12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1), 슬라이딩부재(122), 가이드바(123), 지지부재(124)와 가이드부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upport 120 includes a support frame 121, a sliding member 122, a guide bar 123, a support member 124 and a guide member 125 as shown in FIGS. 2, 4 and 5 .

먼저, 지지프레임(121)은 전부(前部)에 제1전륜(131)과 제3핸들프레임(115)이 축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후부에 제1후륜(132)이 장착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21)에는 외주면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슬라이딩부재(122)가 장착된다. First of all, the support frame 121 is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front wheel 131 and the third handle frame 115 are axially rotated on the front portion, and the first rear wheel 132 is mounted on the rear portion. Further, the sliding member 122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21 so as to reciprocally sli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여기서, 슬라이딩부재(122)는 지지프레임(121)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일부위에 가이드바(123)의 일단측 부위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며, 타부위에 가이드부재(125)의 일단측 부위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The sliding member 122 is mounted to surround the supporting frame 121 and reciprocates along the supporting frame 121. The sliding member 122 is mounted such that one end side portion of the guide bar 123 rotates about its axis, The one end side portion of the guide member 125 is mounted so as to rotate axially.

또한, 가이드바(123)는 일단측 부위가 슬라이딩부재(122)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면서 타단측 부위가 제3핸들프레임(115)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가이드바(123)는 제3핸들프레임(115)이 후방(이하, '후방'은 제1후륜(132)측 방향을 지칭한다)으로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부재(122)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슬라이딩부재(122)가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guide bar 123 is mounted so that one end side portion of the guide bar 123 rotates about the sliding member 122 while the other end side portion of the guide bar 123 rotates about the third handle frame 115. At this time, the guide bar 123 pushes the sliding member 122 backward when the third handle frame 115 is pivoted rearw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r' is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ar wheel 132) , And the sliding member 122 is slidable along the support frame 121. [0053]

또, 지지부재(124)는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면서 가이드부재(125)의 타단측 부위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지지부재(124)는 일 예로, 대략 "ㄷ"자 형상이고, 도면상 대략 상방향으로는 수평을 이루는 정도까지 축회전되며, 하방향으로는 가이드부재(125)가 후방으로 이동한 만큼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 지지부재(124)의 양측 단부를 관통하여 후술된 전륜프레임(131a)이 장착되고,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면 전륜프레임(131a)이 측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13)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지지부재(124)의 형상은 일자 형상일 수도 있고, "ㄴ"자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일측부가 지지프레임(121)에 직접 장착되거나 제1몸체(126)에 장착되어 가이드부재(125)의 이동에 의해 축회전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The support member 124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21 so as to rotate axially, and the other end side portion of the guide member 125 is mounted so as to rotate axially.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124 is, for example, approximately "C" shaped, is pivotally rotated to the extent that it is horizontal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figure, and the guide member 125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xis rotation. A front wheel frame 131a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 124. When the support member 124 rotates about its axis, the front wheel frame 131a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the side, (13) is folded or unfolded. Of course,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124 may be a straight shape or a "B" shape, and one side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21 or mounted on the first body 126, It may be any shape that can be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shaft.

그리고, 가이드부재(125)는 일단측 부위가 슬라이딩부재(122)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고, 타단측 부위가 지지부재(124)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 가이드부재(125)는 일 예로, 대략 "ㄴ"자 형상이고, 슬라이딩부재(122)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양측부는 슬라이딩부재(122)와 지지부재(124)에 대해 축회전한다. 물론, 가이드부재(125)는 일자 형상일 수도 있고, "ㄷ"자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일측부가 슬라이딩부재(122)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부재(122)와 함께 이동하면서 지지부재(124)를 축회전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The one end side portion of the guide member 125 is mounted on the sliding member 122 so as to rotat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side portion is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124 so as to rotate axially. The guide member 125 is, for example, substantially "b" shaped and moves rearward together with the sliding member 122, at which both sides are axially rotated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122 and the supporting member 124 . Of course, the guide member 125 may have a linear shape or a " C "shape, and one side portion may be mounted on the sliding member 122 to move the supporting member 124 in the axial direction Any shape that can be made is acceptable.

이렇게 구성된 지지부(120)는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제3핸들프레임(115) 즉, 핸들부(110)가 후방(제1후륜(132)측 방향)으로 축회전할 때 이를 지지하게 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제3핸들프레임(115)이 후방으로 축회전하면서 가이드바(123)를 밀면, 가이드바(123)가 슬라이딩부재(122)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때 가이드부재(125)가 함께 이동하면서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4)의 축회전과 더불어 전륜프레임(131a)이 측면상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131)이 접힌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의 연계 동작으로 인해 제3핸들프레임(115) 즉, 핸들부(110)가 후방으로 축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물론, 핸들부(110)가 후방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전방(제1전륜(131)측 방향)으로 축회전할 때, 각 가이드바(123), 슬라이딩부재(122), 가이드부재(125)와 지지부재(124)는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호 연계 동작하게 되고, 또한 전륜(13)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펼쳐진다.The supporting portion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third handle frame 115, that is, the handle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121 when it rotates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ar wheel 132). More specifically, the guide bar 123 pushes the sliding member 122 backward when the third handle frame 115 axially rotates rearward and the guide bar 123 is pushed rearward, The support member 124 rotates while being moved. The front wheel 131 is folded in one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front wheel frame 131a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 member 124. The coupling operation of each of these components ensures that the third handle frame 115, i.e., the handle portion 110, can rotate axially rearward. Of course, when the handle portion 110 is pivot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ront wheel 131) in the folded back direction, the guide bar 123, the sliding member 122, the guide member 125, The member 124 is operat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and the front wheel 13 is unfold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지지부(120)는 바퀴부(130)를 지지프레임(121)에 장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장착된 제1몸체(126)와, 후부에 장착된 제2몸체(1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를 배제할 수도 있고, 이들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가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고정 또는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몸체(126)는 대략 "ㄷ"자 형상인 지지부재(124)의 양측단부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제3핸들프레임(115)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제2몸체(127)에는 제1후륜프레임(132b)이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이때 제1후륜프레임(132b)은 지지프레임(121)을 관통하지 않고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의 바퀴부(130) 설명에서는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가 구비된 상태에서의 구조를 토대로 설명하지만,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를 배제한 채 지지프레임(121)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The supporting part 120 includes a first body 126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ing frame 121 and a second body 127 mounted on the rear part so as to mount the wheel part 130 on the supporting frame 121 ). Of course, the first body 126 and the second body 127 may be omitted, and the first body 126 and the second body 127 may be fixed or rotated about the support frame 121 It is possible. Here, the first body 126 is mount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 124, which are substantially "C" shaped, are rotated for axial rotation, and the third handle frame 115 is mounted for axial rotation.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b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127 such that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b passes through the support frame 12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b. Alth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wheel part 130 is based 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ody 126 and the second body 127 are provided, the first body 126 and the second body 127 are excluded Or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support frame 121.

바퀴부(130)는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장착된 제1전륜(131)과, 후부에 장착된 제1후륜(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wheel portion 130 includes a first front wheel 131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21 and a first rear wheel 132 mounted on the rear portion.

먼저, 제1전륜(131)은 지지프레임(121)의 전방에 위치하고,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 제1전륜(131)은 제1몸체(126)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대략 "ㄷ"자 형상인 지지부재(124)의 양측 단부를 관통하는 전륜프레임(131a)이 설치되고, 이 전륜프레임(131a)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전륜프레임(131a)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호 분리되어 장착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륜프레임(131a)이 다수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진 경우 제1몸체(126)에 연결부재(131b)를 통해 장착될 수 있고, 이때 연결부재(131b)는 지지부재(124)의 양측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륜(131)은 제1몸체(126)에 대해 후방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물론, 전륜프레임(131a)은 제1몸체(126)가 배제된 채 지지프레임(121)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22)와 더불어 가이드부재(125)가 이동하면 제1몸체(126)에 대해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게 되고, 연결부재(131b) 또는 전륜프레임(131a)이 측면상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륜(131)이 접히거나 펼쳐진다. 물론, 지지부재(124)와 별개로 연결부재(131b) 또는 전륜프레임(131a)이 설치될 수도 있고, 따라서 지지부재(124)의 축회전과 전륜(13)의 접힘과 펼침은 상호 별개의 동작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irst, the first front wheel 13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pport frame 121 and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21 so as to be rotatable. The first front wheel 131 is provided with a front wheel frame 131a penetrating both side ends of a support member 124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 provided for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26, 131a, respectively. Here, the front wheel frames 131a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or a plurality of units moun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front frame 131a may be mounted to the first body 126 through a connecting member 131b when a plurality of fram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end portion. Accordingly, the first front wheel 131 can rotate axially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26. [ Of course, the front wheel frame 131a may be installed so as to rotate about the support frame 121 while the first body 126 is excluded. At this time, when the guide member 125 moves together with the sliding member 122, the support member 124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26 and the connecting member 131b or the front wheel frame 131a is rotated on the side surface So that the front wheel 131 is folded or unfolded. Of course, the connecting member 131b or the front wheel frame 131a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ing member 124, so that the shaft rota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124 and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front wheel 13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Lt; / RTI &gt;

또한, 제1후륜(132)은 지지프레임(121)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1후륜(132)의 구름 운동 중심 축에 장착된 제3몸체(132a), 지지프레임(121)의 후부에 장착된 제2몸체(127)를 관통하면서 제3몸체(132a)에 장착된 제1후륜프레임(132b)과, 제1몸체(126)에 장착되며서 제3몸체(132a)를 관통하여 제1후륜(132)에 장착된 제2후륜프레임(132c)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후륜(132)은 고정된 구조로 제3몸체(132a), 제1후륜프레임(132b)과 제2후륜프레임(132c)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다. 여기서, 제3몸체(132a)가 배제된 채 제1후륜프레임(132b)의 양측부에 제1후륜(132)이 장착되고, 제2후륜프레임(132c)의 일단측 부위가 제1후륜프레임(132b)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first rear wheel 132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121 and includes a third body 132a mounted on the rolling center axis of the first rear wheel 132, A first rear wheel frame 132b mounted on the third body 132a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body 127 and a second rear wheel frame 132b mounted on the first body 126 and passing through the third body 132a, 132 mounted on the second rear wheel frame 132c. Accordingly, the first rear wheel 132 is firmly supported by the third body 132a,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b, and the second rear wheel frame 132c in a fixed structure. The first rear wheel 132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b while the third body 132a is excluded and the one end side portion of the second rear wheel frame 132c is connected to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c 132b.

<접힘 동작><Folding opera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적재기구가 접히는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6A to 6C are views show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mechanism of Fig.

위와 같이 구성된 적재기구(100)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와 같이 접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적재기구(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물론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동작은 접힘 동작과는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The loading mechanism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lded as shown in Figs. 6A to 6C. Hereinafter,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in the unfolded state will be described and, of course, the unfolding operation will be opposed to the folding operation.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적재기구(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3핸들프레임(115) 즉, 핸들부(110)가 후방으로 축회전한다. 이처럼 제3핸들프레임(115)은 제1몸체(126)에 대해 후방으로 축회전하면, 가이드바(123)가 슬라이딩부재(122)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물론, 가이드바(123)는 제3핸들프레임(115)과 슬라이딩부재(122)에 대해 축회전하게 된다. 이후, 슬라이딩부재(122)가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부재(125)를 이동시킨다. 이 가이드부재(125)의 이동과 함께 지지부재(124)가 제1몸체(126)에 대해 하방으로 축회전한다. 또한, 제1전륜(131)을 후방으로 축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핸들부(110)가 접힘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mechanism 10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6A, the third handle frame 115, i.e., the handle portion 110, rotates rearward. When the third handle frame 115 rotates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26, the guide bar 123 pushes the sliding member 122 backward. Of course, the guide bar 123 is rotated about the axis of the third handle frame 115 and the sliding member 122. Then, the sliding member 122 moves backward along the support frame 121 to move the guide member 125. The support member 124 rotat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26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125. Further, the first front wheel 131 is rotated axially rearward. The folded state of the handle portion 110 is shown in Fig. 6B.

다음으로, 제1핸들프레임(112)을 제2핸들프레임(113)에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또한, 핸들(111)을 상방으로 축회전시켜 제2핸들프레임(113)과 접촉시킨다. 여기서, 제1회전몸체(114a)를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의 체결을 해제한 다음, 적재프레임(114)을 최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후, 다시 제1회전몸체(114a)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Next, the first handle frame 112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handle frame 113. Further, the handle 111 is axially rotated upward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handle frame 113. Here,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may be rotated to release the fastening of the stacking frame 114 and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nd then the stacking frame 114 may be moved to the lowermost position. Thereafter,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may be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fasten the stacking frame 114 and the second handle frame 113 together.

끝으로, 제2회전몸체(114c)를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의 체결을 해제한 다음, 적재프레임(114)을 눕히도록 회전시킨다. 이후, 다시 제2회전몸체(114c)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여 적재기구(100)를 최소의 크기로 접힌 상태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Finally,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is rotated to unlock the stacking frame 114 and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nd then the stacking frame 114 is rotated so as to be laid down. Thereafter,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may be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fasten the loading frame 114 and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gain. The state in which the loading mechanism 100 is folded to the minimum size in such a manner is shown in Fig. 6C.

물론, 상술된 접힘 순서는 상호 바뀌어도 무관하다. 또한, 이렇게 접힌 상태의 적재기구(100)를 다시 펼치는 순서는 반대로 이루어지고, 역시 그 순서는 상호 바뀌어도 무관하다.
Of course, the folding sequence described above may be mutually exclusive. Also, the order of unfolding the stacking mechanism 100 in the folded state is reversed, and the order may be mutually exchanged.

<전동 캐리어><Electric carrier>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unit shown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는 도 7에서 보듯이, 상술된 적재기구(100)와, 이 적재기구(100)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여기서, 적재기구(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7, the electric carr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loading mechanism 100 and a power unit 200 installed to move the loading mechanism 100 by electric power. Here,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i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when necessary.

동력장치(200)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210), 동력부(220), 바퀴부(230)와 연결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동력장치(200)는 접히거나 펼칠 수 있도록 제작된 적재기구(100)를 전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적재기구(100)에 연결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The power unit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a power unit 220, a wheel unit 230, and a connection unit 240, as shown in FIGS. The power unit 200 is an apparatus for electrically moving the loading mechanism 100 manufactured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oading mechanism 100 for use.

먼저, 메인바디(210)는 동력부(220)의 배터리(221)와 바퀴부(230)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이 메인바디(210)는 일 예로, 도 8에서와 같이 상부바디(211)와 하부바디(212)의 체결로 이루어진다. 이 메인바디(210)에 배터리(221)와 제어기(223)가 내장되고, 하부에 바퀴부(230)가 장착되며, 전부(前部)에 연결부(240)가 장착된다. 또한, 메인바디(210)에는 동력장치(200)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속기 및 제동기가 설치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First, the main body 210 is a member to which the battery 221 and the wheel unit 230 of the power unit 220 are mounted. As shown in FIG. 8, the main body 210 is formed by fastening the upper body 211 and the lower body 212, for example. A battery 221 and a controller 223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and a wheel part 230 is mounted on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and a connection part 240 is mounted on a front part of the main body 210. Also, an accelerator and a brake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power unit 20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동력부(220)는 바퀴부(230)를 구동시키는 장치로, 배터리(221), 전원스위치(미도시), 동력원(222), 가속기(미도시), 제동기와 제어기(223)를 구비한다. The power unit 220 is a device for driving the wheel unit 230 and includes a battery 221, a power switch (not shown), a power source 222, an accelerator (not shown), a brake and a controller 223 do.

여기서, 배터리(221)는 동력원(222)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설치되면서 제어기(223)에 의해 제어되도록 메인바디(210)에 내장된다. Here, the battery 221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23 while being installed to apply electricity to the power source 222.

또한, 전원스위치는 배터리(221)의 전기를 동력원(222)에 전달 또는 단절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전원스위치는 버튼 형태, 일반 스위치 형태 또는 열쇠를 꽂아 돌리는 방식의 구조일 수 있다. 전원스위치는 이러한 구조의 형태에 따라 적재기구(100)의 핸들(111)부위나 동력장치(200)의 메인바디(210) 등을 포함한 적재기구(100)의 어느 곳에 무방하게 설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power switch is provided to transmit or disconnect the electricity of the battery 221 to the power source 222. [ The power switch may be a button type, a general switch type, or a key-inserted type. The power switch can be freely installed anywhere in the loading mechanism 100 including the handle 111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and the main body 210 of the power unit 200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ower switch.

또, 동력원(222)은 메인바디(210)에 내장되면서 바퀴부(230)의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을 직접 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메인바디(210)에 내장되면서 체인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해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을 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동력원(222)은 일 예로 모터일 수 있다.The power source 222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to directly move the second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of the wheel 230. In addition, And may be installed to move the second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through a separate member such as a chain or the like. The power source 222 may be, for example, a motor.

그리고, 가속기 또는 제동기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제어기(223)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가속기는 일 예로 가속패달(pedal) 형태의 구조일 수도 있고,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방식인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레버(lever)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가속패달을 밟거나 레버를 당겨 동력장치(200)의 이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동기의 경우 차량용 브레이크 방식이 차용될 수도 있고, 일 예로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와 밀착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210)에 별도의 제동부재(21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동부재(213)에 외력을 가하여 제동부재(213)가 축회전하면서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에 밀착됨으로써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일 예로, 제동부재(213)는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제2후륜(232) 모두에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이때 제2후륜(232)들은 상호 동일 구름 운동을 하도록 연결축(미도시)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제동부재(213)에 외력을 가하여 어느 하나의 제2후륜(232)의 회전이 감속하면 다른 하나의 제2후륜(232) 역시 동일하게 감속 회전함으로써, 동력장치(200)가 정지하게 된다. 한편,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작동이 제어기(223)를 거쳐 동력원(222)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가속기와 제동기 및, 제어기가 배제되고, 항상 일정한 속도로만 동력장치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ccelerator or the brake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23 by wire or wirelessly while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operate. Here, the accelerator may be, for example, a structure of an accelerator pedal type, or a structure of a lever type which can be grasped by hand, such as a bicycle or a motorcycle. Thu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power unit 200 can be adjusted by depressing the accelerator pedal or by pulling the lever. In the case of a brake, a brake system for a vehicle may be borrow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and 8, a separate brake pedal may be provided to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A braking member 213 may be provid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king member 213 to cause the braking member 213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while being pivoted to rotate the second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As shown in FIG. He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raking member 213 may be mounted on either one or a plurality of the second rear wheels 232, respectively, (Not shown). Therefore, when the rotation of one of the second rear wheels 232 is decelerat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any of the braking members 213, the other second rear wheel 232 also rotates at the same reduced speed, Stop. Meanwhi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or the brake can control the power source 222 via the controller 223. Also, the accelerator, the brake, and the controller may be omitted, and the power unit may be configured to move only at a constant speed at all times.

그리고, 제어기(223)는 메인바디(210)에 내장되면서 전원스위치, 동력원(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기(223)는 전원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222)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절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기(223)가 가속기와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가속기와 제동기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222)의 출력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23 is built in the main body 2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and the power source 222. Accordingly, the controller 223 receives the signal of the power switch and controls the power source 222 to be turned on or off. Here, when the controller 223 receives the signals of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it may receive the operation signals of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and control the degree of output of the power source 222. [

한편, 바퀴부(230)는 메인바디(210)의 전부와 후부에 장착된 적어도 1개의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을 구비한다. 일 예로, 바퀴부(230)는 1개의 제2전륜(231)과 2개의 제2후륜(232)으로 이루어지고, 이외에도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이 2개의 제2전륜(231)과 1개의 제2후륜(232), 2개의 제2전륜(231)과 2개의 제2후륜(232) 또는 3개 이상의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은 메인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 중 어느 바퀴는 동력원(222)에 의해 구름 운동하는 구동바퀴가 되고, 다른 바퀴는 종동바퀴가 된다. 물론,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 모두 구동바퀴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퀴부(230)는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 이외에도 보조 바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1개의 제2전륜(231)을 구비한 경우, 제2전륜(231)은 별도의 매개부재(233)를 통해 메인바디(210)에 장착된다. 또한, 제2후륜(232)이 구동바퀴인 경우, 2개의 제2후륜(232)들은 동일 구름 운동을 하도록 연결축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동력원(222)의 구동력이 2개의 제2후륜(232)에 전달되고, 1개의 제2후륜(232)에 제공된 제동력이 다른 제2후륜(232)에도 전달되도록 한다. The wheel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front wheel 231 and a second rear wheel 232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main body 210. For example, the wheel portion 230 may include one second front wheel 231 and two second rear wheels 232. In addition, the second front wheel 231 and the second rear wheel 232 may be formed of two second front wheels 231, A second front wheel 231 and two second rear wheels 232 or three or more second front wheels 231 and a second rear wheel 232. The first front wheel 231 and one second rear wheel 232, have. The second front wheel 231 and the second rear wheel 232 ar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wheels of the second front wheel 231 and the second rear wheel 232 are driven by a power source 222, It becomes the driving wheel that moves, and the other wheel becomes the driven wheel. Of course, both the second front wheel 231 and the second rear wheel 232 may be driven wheels. The wheels 230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wheels in addition to the second front wheels 231 and the second rear wheels 232. 8, the second front wheel 23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10 via a separate intermediate member 233 when one second front wheel 231 is provided. When the second rear wheel 232 is a driving wheel, the two second rear wheels 232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shaft so as to perform the same rolling motion,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power source 222 is transmitted to the two second rear wheels 232, And the braking force provided to one second rear wheel 232 is transmitted to the other second rear wheel 232 as well.

또한, 연결부(240)는 동력장치(200)와 적재기구(1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프레임(241)과 고정핀(242)을 구비한다. The connection unit 240 is for connecting the power unit 200 and the loading mechanism 100 and includes a connection frame 241 and a fixing pin 242.

여기서, 연결프레임(24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메인바디(210)의 전부(前部)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연결프레임(241)은 적재기구(100)의 일부위 즉, 일 예로 제2몸체(127)와 고정핀(242)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연결프레임(241)은 적재기구(100) 또는 메인바디(21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고, 양측 모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241)은 적재기구(100) 또는 동력장치(2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는 주행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connection frame 24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ixedly or removably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frame 241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for example, through the second body 127 and the fixing pin 242 as an example.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frame 241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or the main body 210, or both sides may be fixed or detachable. At this time, any one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or the power unit 20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other one of the connecting frame 241, so that the connecting frame 241 can be easily turned when travel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적재기구
110:핸들부
111:핸들
112:제1핸들프레임
113:제2핸들프레임
114:적재프레임
114a:제1회전몸체
114b:고정마찰부재
114c::제2회전몸체
114d:받침부재
115:제3핸들프레임
120:지지부
121:지지프레임
122:슬라이딩부재
123:가이드바
124:지지부재
125:가이드부재
126:제1몸체
127:제2몸체
130:바퀴부
131:전륜
131a:전륜프레임
131b:연결부재
132:후륜
132a:제2몸체
132b:제2후륜프레임
132c:제3후륜프레임
200:동력장치
210:메인바디
211:상부바디
212:하부바디
213:제동부재
220:동력부
221:배터리
222:동력원
223:제어기
230:바퀴부
231:전륜
232:후륜
233:매개부재.
100: loading mechanism
110:
111: Handle
112: first handle frame
113: second handle frame
114: stacking frame
114a: first rotating body
114b: fixed friction member
114c :: Second rotating body
114d: Support member
115: third handle frame
120: Support
121: Support frame
122: Sliding member
123: Guide Bar
124: Support member
125: Guide member
126: First body
127: second body
130:
131: front wheel
131a: front wheel frame
131b: connecting member
132: rear wheel
132a: second body
132b: second rear wheel frame
132c: third rear wheel frame
200: Power unit
210: Main body
211: upper body
212: lower body
213:
220:
221: Battery
222: Power source
223:
230:
231: front wheel
232: rear wheel
233: absence of mediation.

Claims (11)

핸들(111), 핸들(111)이 장착된 핸들프레임을 구비한 핸들부(110);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프레임(121),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부재(122),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부재(122)를 이동시키도록 양측부가 각각 핸들프레임과 슬라이딩부재(122)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이드바(123)를 구비한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장착된 제1전륜(13)과 제1후륜(14)을 구비한 바퀴부(130);를 포함하는 적재기구.
A handle (110) having a handle (111) and a handle frame (111);
A sliding member 122 mounted to move along the support frame 121, a handle frame 122 mounted on the handle frame to rotate the handle frame, A support 120 having a frame and a guide bar 123 mounted to rotate on a sliding member 122;
And a wheel unit (130) having a first front wheel (13) and a first rear wheel (14) mounted on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1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는 슬라이딩부재(122)에 일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25)와, 이 가이드부재(125)의 타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124)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25)가 슬라이딩부재(122)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부재(124)를 당기거나 밀면 지지부재(124)가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120 includes a guide member 12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122 so as to rotate about the axis of the support frame 121 while the other side of the guide member 125 is axially rotated, Further comprising an installed support member (124)
The supporting member 124 is rotated about the supporting frame 121 when the supporting member 124 is pulled or pushed while the guide member 125 moves along the sliding member 122.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130)는 지지부재(124)의 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전륜(13)이 체결된 전륜프레임(131a)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면 측면상 전륜프레임(131a)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13)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heel unit 130 further includes a front wheel frame 131a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member 124 and having front wheels 13 fastened to both sides thereof,
When the support member 124 rotates about its axis, the front wheel frame 131a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the side surface so that the front wheel 13 is folded or unfol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프레임(131a)은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지지프레임(121)에 장착되거나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126)에 장착되고, 다수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경우 지지프레임(121)에 고정되거나 제1몸체(126)에 장착된 연결부재(131b)에 의해 상호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front wheel frame 131a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21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121 or mounted on the first body 126 fix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131b) fixed to the support frame (121) or attached to the first body (1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130)는 지지프레임(121)의 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후륜(14)이 체결된 제1후륜프레임(132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후륜프레임(132b)에 장착된 제3몸체(132a), 일측부가 지지프레임(121) 또는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126)에 고정되면서 타측부가 제3몸체(132a) 또는 제1후륜프레임(132b)에 고정된 제2후륜프레임(132c)과, 지지프레임(121)의 후부에 고정되면서 제1후륜프레임(132b)이 장착된 제3몸체(12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 unit 130 further includes a first rear wheel frame 132b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21 and having rear wheels 14 fastened to both sides thereof,
The third body 132a mounted on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b is fixed to the first body 126 fix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21 or the support frame 121, A third body 127 having a first rear wheel frame 132b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21 while being fixed to the body 132a or the first rear wheel frame 132b; At least one of which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10)는 핸들(111)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핸들프레임(112), 제1핸들프레임(112)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핸들프레임(113), 제2핸들프레임(113)에 장착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의 일측부가 고정되면서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3핸들프레임(115)을 구비하는 적재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110 includes a first handle frame 112 mounted to rotate the handle 111 axially, a second handle frame 113 installed to insert or pull out the first handle frame 112, And a third handle frame (115) installed to rotate about the support frame (121) with one side of the second handle frame (113) being fix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114)은,
상기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회전몸체(114a), 제2핸들프레임(113)에 높이 방향으로 장착된 고정마찰부재(114b)와, 제1회전몸체(114a)가 회전하면 고정마찰부재(114b)와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호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제1회전몸체(114a)의 내면과 고정마찰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축회전하면서 제1회전몸체(114a)와 결합된 제2회전몸체(114c), 제2회전몸체(114c)의 선단측부위에 적재부재와 장착되는 받침부재(114d), 제2핸들프레임(113)의 외주면에 가공된 고정홈, 고정홈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도록 벌려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제작되어 제2회전몸체(114c)에 내장된 고정부재, 고정부재를 벌리거나 오므라들도록 동작시켜 고정홈과 체결 또는 체결 해제시키도록 설치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적재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ading frame (114)
A first rotating body 114a provided to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 fixed friction member 114b mount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nd a moving frictio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and the fixed friction member so that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rotates when the rotating body 114a is closely contact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ed friction member 114b, Up / down means
A second rotating body 114c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114a while being axi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le frame 113 and a supporting member 114c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114d, fixed groov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andle frame 113, fixing members built in the second rotating body 114c so as to be opened or closed to be fastened or unfastened in the fixing grooves, And a rotating means including an operating member which is operated to be lifted and closed and which is provided to engage or disengage the fixing groove.
전동 캐리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재기구(100);와
상기 적재기구(100)를 이동시키도록 동력부(220), 동력부(220)에 의해 운동하도록 설치된 바퀴부(230), 동력부(220)와 바퀴부(230)가 장착된 메인바디(210)와, 이 메인바디(210)와 적재기구(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를 구비한 동력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In the electric carrier,
10. A load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wheel 230 installed to move by the power unit 220 to move the loading mechanism 100; a main body 210 mounted with the power unit 220 and the wheel unit 230; And a power unit 200 having a main body 210 and a connecting portion 240 connecting the main body 210 and the loading mechanism 100. The loading device for a loader for a loader Electric carri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220)는 바퀴부(230)를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222), 이 동력원(22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배터리(221)와, 배터리(221)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도록 설치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unit 220 includes a power source 222 installed to drive the wheel unit 230, a battery 221 installed to apply power to the power source 222, Wherein the power switch comprises a power switch provided to the load carri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220)는 메인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동력원(222)에 의해 구동하는 바퀴부(230)의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구름 운동을 증감시키도록 설치된 가속기,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구름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치된 제동기와,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력부(2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구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22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ower unit 22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to increase or decrease rolling motion of the second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of the wheel unit 230 driven by the power source 222 A second front wheel 231 or a second rear wheel 232. The first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is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wheel 231 or the second rear wheel 232. The accelerator, 231) or a controller (223) provided to control the rolling motion of the second rear wheel (232). &Lt; IMAGE &g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40)는 메인바디(210)와, 적재기구(100)의 일부위 또는 제3몸체(127)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41)과, 이 연결프레임(241)을 메인바디(210) 또는 적재기구(100)의 일부위 또는 제3몸체(127)에 착탈 또는 축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2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on unit 240 includes a connection frame 241 connecting the main body 210 to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or the third body 127 and the connection frame 241 to the main body 210. [ Or a fixing pin (242) which is detachably or rotatably mounted on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100) or on the third body (127).
KR1020140195494A 2014-12-31 2014-12-31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KR101658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94A KR101658802B1 (en) 2014-12-31 2014-12-31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94A KR101658802B1 (en) 2014-12-31 2014-12-31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39A true KR20160081539A (en) 2016-07-08
KR101658802B1 KR101658802B1 (en) 2016-09-23

Family

ID=5650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494A KR101658802B1 (en) 2014-12-31 2014-12-31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80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720A (en) * 2017-11-28 2018-05-01 浙江多宝贝婴童用品有限公司 A kind of baby stroller using electronic auto-folder
CN109835405A (en) * 2018-09-18 2019-06-04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A kind of stroller frame
KR20200007909A (en) * 2017-05-16 2020-01-22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olding apparatus and scooter
KR102297086B1 (en) * 2020-05-2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Baby carriage with improved ease of use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4461A1 (en) * 1994-05-16 1995-12-21 Carlo Cianchetti A collapsible scooter
KR200437589Y1 (en) * 2007-02-02 2007-12-13 박태규 Portable walker
KR20090005134A (en) 2006-04-03 2009-01-12 터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powering a data acquistion or utilization device
KR20120030621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Stroller
KR20120030626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The stroller where the seat rotation is possib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4461A1 (en) * 1994-05-16 1995-12-21 Carlo Cianchetti A collapsible scooter
KR20090005134A (en) 2006-04-03 2009-01-12 터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powering a data acquistion or utilization device
KR200437589Y1 (en) * 2007-02-02 2007-12-13 박태규 Portable walker
KR20120030621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Stroller
KR20120030626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The stroller where the seat rotation is possib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909A (en) * 2017-05-16 2020-01-22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olding apparatus and scooter
CN107972720A (en) * 2017-11-28 2018-05-01 浙江多宝贝婴童用品有限公司 A kind of baby stroller using electronic auto-folder
CN109835405A (en) * 2018-09-18 2019-06-04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A kind of stroller frame
KR102297086B1 (en) * 2020-05-2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Baby carriage with improved ease of use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802B1 (en)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802B1 (en)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CA2736129C (en) Collapsible stroller
KR101527487B1 (en) Ele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572937B (en) Driving assist system with other installation frame
AU2013248806A1 (en) Collapsible stroller having reversible seat
CN107472344B (en) Baby carriage framework with direction-adjustable seat
TWI607927B (en) Cart
CN109291982B (en) Child cart
CN202724586U (en) Improved caddy
CN103802877A (en) Foldable baby carriage
CN104118462A (en) Wheel orientation mechanism and child vehicle with same
CN102616265A (en) Deformable baby carriage
CN102886131A (en) Golf bag hand cart
CN107416006B (en) Automatic braking mechanism, baby stroller and braking method of baby stroller
CN109927811B (en) Electric moving body
US20210347402A1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CN106080732B (en) A kind of travelling perambulator
KR101712511B1 (en)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JP2015202808A (en) baby carriage
CN206938834U (en) Trolley
KR20160066337A (en)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CN104176106A (en) Cart and brake device
CN118004262A (en) Child carrier
CN109625067A (en) A kind of baby stroller
KR20130110782A (en) Automatic stand for a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