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337A -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6337A KR20160066337A KR1020140170582A KR20140170582A KR20160066337A KR 20160066337 A KR20160066337 A KR 20160066337A KR 1020140170582 A KR1020140170582 A KR 1020140170582A KR 20140170582 A KR20140170582 A KR 20140170582A KR 20160066337 A KR20160066337 A KR 201600663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wheel
- frame
- seat
- wheel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8—Resilient suspensions of bo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인력에 의존하는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기동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고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매우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s seat-type electric baby stroller, which improve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aby carriage depending on a driver's man power, thereby improving maneuverability and convenience, allowing a driver to ride and carry with ease, Type electric baby stroller.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륜과 직선 주행만 가능하게 방향이 고정된 후륜으로 구성되며, 후면에서 보호자가 손잡이를 밀어 유모차를 앞쪽으로 나아가게 하거나 진행 방향을 조작하게 된다.Generally, the stroller is composed of a front wheel capable of freely rotating and a rear wheel having a fixed direction so that only the straight running can be carried out. At the rear, the protector pushes the handle to move the stroller ahead or manipulate the traveling direction.
기존기술에 따른 수동식 유모차는 운전자가 보행하면서 밀고 나가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운전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7034호에서 본체 하부에 설치한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1408162호에서 모터를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개시한 바 있다. Most of the passive stroller according to the existing technology is driven by the driver while walking. In order to alleviate the burden on the driver,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97034 discloses a method in which the vehicle can be moved using an infinite track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r an electric motor is used in Korean Patent No. 10-1408162 .
상기 선행문헌은 기계 동력을 이용하므로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으나, 여전히 운전자가 보행하면서 유모차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편의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부피가 크고 복잡한 구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휴대하거나 차량에 수납하여 운반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preceding document uses mechanical pow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driving, but since the driver still has to operate the stroller while walking, not only the convenience is lowered but also the bulky and complicated structure is formed. So that it is not suitable for carrying.
한편 백화점, 전시회 등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유모차를 이용하여 장거리를 돌아다니거나 울퉁불퉁한 노면이 많은 야외 공원이나 산책로 등과 같이 주행 환경이 열악한 험로에서 유아를 유모차에 태운 채 보호자가 함께 이동하는 등 유모차의 이용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wide space such as a department store, an exhibition, etc., a baby stroller travels a long distance, or an infant rides on a stroller in a poor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n outdoor park or a walkway with many rugged roads, The environment is changing.
이러한 배경에 의해서 기존기술의 유모차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야외의 거친 노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With this backgrou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troller of the existing technology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to carry and carry easily, an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driving which can be stably moved even on the rough road surface of the outdoors.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에 탑승한 운전자의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저속 운행함으로써 기동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고, 착탈식 시트를 분리하고 나서 프레임을 접어 전체 외형 크기를 간결하게 축소함과 아울러 이용 환경에 따라 발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전륜에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유모차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전륜과 후륜에 설치한 완충장치를 통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for a vehicle, which provides mobility and convenience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a driver aboard a footrest by a simple operation of a driver, separates the detachable seat and then folds the frame to reduce the overall size, And the driving motor is mounted on the front wheel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by carriage is not biased to one side and the shock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is relieved through the shock absorber provided 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er's seat-type electric baby stroller which can travel very stably.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는, 전륜과 후륜 사이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과 발판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발판 프레임에 지지되는 발판부,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지지부, 상기 전륜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전륜과 상기 발판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r's seat type electric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frame and a foot frame connected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a handle coupled to the seat frame, a foot plate supported by the foot frame, And a driving motor provided on the front wheel, wherein the pedestal frame slides inside the pedestal portion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pedal portion.
또한, 상기 시트 프레임에 시트를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시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heet engaging portion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sheet to or from the sheet frame.
또한, 상기 전륜 지지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 관절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 일측과 상기 핸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at joint part connected between the front wheel support part and the seat frame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eat frame; a handle joint part connected between one side of the seat frame and the handl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전륜 완충부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후륜 완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of a front wheel buffering portion for allevia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buffering portion for relieving an impact applied to the rear wheel.
또한, 상기 전륜에 설치한 제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허브 모터이고, 상기 제동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ing device provided on the front wheel, wherein the drive motor is a hub motor, and the braking device applies a disc brake.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탑승하여 간편한 조작으로 바퀴에 장착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저속 운행함으로써 넓은 공간에서 장거리 이동하여도 운전자의 피로를 줄이고 양호한 기동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driver and provide good maneuverability and convenience even when the driver is moving in a long space in a wide space by using a driving motor mounted on the wheel by a simpl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식 시트를 분리하고 나서 프레임을 접어 외형 크기를 줄여 차량 등에 수납할 수 있어 운반 및 휴대하기가 용이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achable sheet can be separated and the frame can be folded to reduce the size of the outer shape, it can be housed in a vehicle or the like, which makes it easy to carry and carr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 탑승시에는 발판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탑승하지 않고 유모차를 주행시 운전자의 보행에 간섭받지 않도록 발판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등 이용 환경에 따라 발판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for example, by moving the footrest position backward when boarding the driver and moving the footrest position forwar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river '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과 후륜에 설치한 완충장치를 통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매우 높은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cks due to external forces can be alleviated through the shock absorber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wheels, and very high driving stability can be ensured.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관절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완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river-seat type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eat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front wheel buffe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ar wheel buffe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er's seat type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1)는 전륜(3)과 한 쌍의 후륜(4) 사이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10)과 발판 프레임(70)을 포함한다. 도 1은 시트(2)를 결합한 상태로 시트 프레임(10)이 아래쪽으로 접혀진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시트(2)를 분리한 후 시트 프레임(10)을 위쪽으로 기립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 to 5, a driver's seat type
시트 프레임(10)은 유아가 앉는 시트(2)를 지지하는 한 쌍의 파이프로 구성하며, 이를 위하여 한 쌍의 파이프 중도에 시트 결합부(30)가 각각 설치된다. 시트 결합부(30)는 시트(2)를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착탈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e
또한 시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파이프 일측은 시트 관절부(50)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파이프 타측은 핸들 관절부(40)를 매개로 핸들(20)에 결합된다.One side of the pair of pipes of the
시트 관절부(50) 하단은 축 결합을 이용하여 연결부(61)에 고정된다. 연결부(61)에 발판 프레임(70)이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발판 프레임(70)은 한 쌍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한 쌍의 파이프 일측은 연결부(61) 양측에 결합되고, 한 쌍의 파이프 타측은 발판부(100)에 연결된다.The
전륜 완충부(60)는 연결부(61)와 고정 결합구(81)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전륜 완충부(60)는 상부의 연결부(61) 및 하부의 고정 결합구(81)에 각각 축 결합되어 있다.The front wheel buffering portion (60)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61) and the fixed coupling portion (81) to alleviate an impact caused by an external force. The front
전륜 지지부(80) 상부는 고정 결합구(81) 양측에 결합되고 하부는 전륜(3)의 양측 바퀴축에 각각 결합되어 전륜(3)을 지지한다. 전륜(3)에 가해지는 외력은 전륜 지지부(80)에 연결된 전륜 완충부(60)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전륜(3)에는 구동모터(90)와 제동장치(91)가 설치된다. 구동모터(90)는 발판 프레임(70) 또는 발판부(100)에 설치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은 충전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할 수 있으며 바퀴 중심에 직결된 허브 모터를 적용하며, 제동장치(91)는 핸들(20)에 설치할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에 따라 전륜(3)의 회전을 제한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전륜(3)에 비교적 무거운 구동모터를 장착함으로써 전동 유모차(1)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발판부(100)는 발판 덮개(101)를 포함한다.The footrest (100) includes a footrest (101).
발판 덮개(101)는 가운데 부분을 평탄하게 하고 양측은 돌출 형성한다. 발판 덮개(101) 가운데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드(102)를 부착하며, 발판 덮개(101) 양측은 한 쌍의 후륜(4)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탑승한 운전자의 다리가 회전하는 후륜(4)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The foot cover (101) has a flat central portion and protruding portions on both sides. A
발판 프레임(70)은 후륜(4)측으로 연장되고 직관 형상의 프레임 후단부(71)를 구비한다. 프레임 후단부(71)는 발판부(100) 내부에 출입할 수 있다. 이는 발판부(100) 위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부(100)에서 프레임 후단부(71)를 빼내게 되면 전륜(3)과 후륜(4) 사이가 넓어지며, 발판부(100) 위에 탑승한 운전자가 핸들(20)을 잡고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때 핸들 관절부(40)의 잠금 레버(41)를 눌러 핸들(20)을 위로 올라가도록 회전시킨 후 잠금 레버(41)의 누름 동작을 해제하여 핸들(20) 위치를 고정한다. 운반 또는 휴대하기 위하여 전체 외형 크기를 줄이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후단부(71)를 발판부(100) 내부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보행하면서 핸들(20)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잠금 레버(41)를 이용하여 핸들(20)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foot frame (70) extends toward the rear wheel (4) side and has a frame rear end (71) of a straight tubular shape. The frame
이와 같이 발판부(100) 위치는 전륜(3) 측으로 가깝게 당기거나 전륜(3)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동 유모차(1)를 차량 내부에 수납하거나 휴대하기 위하여 시트 프레임(10)을 접고 발판부(100)를 전륜(3) 측으로 당겨 전체 외형 크기를 축소한 경우로서, 운전자가 무리 없이 들고 갈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에 결합된 시트(2)는 분리하여 별도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where th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관절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eat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트 관절부(50)는 내부에 설치된 축 이음부(51)를 포함한다.The
축 이음부(51)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52)와, 고정구(52)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회동구(53)와, 한 쌍의 회동구(53)의 외주연에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턱(54)과, 한 쌍의 회동구(53) 측면에 각각 일체 결합된 끼움구(55), 및 고정구(52)와 회동구(53) 중심에 관통 결합된 축봉(56)을 포함한다.The
끼움구(55)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고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일단이 견고하게 묶인다. 와이어 타측은 핸들(2)에 설치하는 조작 레버(미도시)에 연결된다. 이 조작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와이어에 연결된 끼움구(55)가 당겨지거나 풀어지며, 끼움구(55)가 당겨질 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구(55)에 일체 결합된 회동구(53)는 고정구(52) 양측 방향으로 축봉(56)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회동구(53)는 고정구(52)의 걸림턱에서 분리됨에 따라 축봉(56)에서 회동할 수 있고, 이렇게 회동구(53)가 회동 가능한 위치에서는 회동구(53)에 결합된 시트 프레임(10)을 접거나 펴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턱(54)은 시트 관절부(50) 외측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시트 프레임(10)의 회동을 방지하려면 조작 레버를 풀어주며, 이에 따라 끼움구(55)를 당기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인력이 느슨해져 도 6a에서와 같이 회동구(53)는 고정구(52) 양측 걸림턱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회동구(53)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가 풀어져 회동구(53)가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핸들 관절부(40) 역시 시트 관절부(50)와 동일한 동작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시트 관절부(50)는 조작 레버에 의해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서 회동구를 회동시키는 방식이나 핸들 관절부(40)는 잠금 레버(41)를 누르거나 누름 동작을 해제하여 끼움구에 일체 결합된 회동구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The handle
시트 관절부(50)는 핸들(20)에서 멀리 위치하여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사용하고, 핸들 관절부(40)는 핸들(20)에 가까이 위치하여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잠금 레버(41)를 이용하는 구성상에서 차이가 있지만, 관절 부분의 회동 구조를 이용하여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동일한 동작 원리를 적용한다.The seat joint 50 uses a wire so that it can be remotely located from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완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front wheel buffe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륜 완충부(60)는 시트 관절부(50)와 고정 결합구(81) 사이에 연결되어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륜 완충부(60) 상부가 시트 관절부(50)에 연결되고 하부가 고정 결합구(81)에 연결된다.The front
전륜 완충부(60)는 연결부(61), 케이싱(20), 압축 스프링(63), 및 누름봉(64)을 포함한다. 케이싱(20) 내부에 압축 스프링(63)과 누름봉(64)이 수용되며, 누름봉(64) 상부는 연결부(61)와 시트 관절부(50) 하부에 연결된다.The front
전륜 완충부(60)는 시트 관절부(50)와 고정 결합구(81) 중 어느 일측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압축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을 감쇠함으로써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The fron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ar wheel buffe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판부(100)는 박스 형상의 발판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발판 지지부(110) 상부에 발판 덮개(101)가 설치된다.The footrest (100) includes a footrest support member (110) in the form of a box. A
발판 지지부(110)는 전방 측면 양측에 한 쌍의 프레임 후단부(71)가 각각 출입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며, 이 출구 내측에 프레임 후단부(71)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The
발판 지지부(110) 좌우 양측에 후륜(4)의 후륜축(5)이 결합되고, 상부 양측에는 후륜 완충부(130)가 각각 설치된다. 후륜 완충부(130)는 케이싱 내부에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외측으로 당겨지면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고 당김이 해제되면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조를 구비한다.The rear wheel shafts 5 of the
후륜 완충부(130) 일측은 발판 지지부(110)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륜축(5)에 결합된다. 한 쌍의 후륜(4)에 각각 설치된 후륜 완충부(130)는 어느 하나의 후륜(4)이 지면에서 들려지는 경우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후륜(4)과 지면의 마찰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불량한 노면 상태 또는 부주의한 운전 조작으로 전동 유모차(1)의 후륜(4) 일측에 과도한 불균형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바퀴의 들림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완충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One side of th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저면에서 나타낸 발판 지지부(110)의 구조이고, 도 10은 발판 지지부(110)에 삽입된 프레임 후단부(71)를 측면에서 나타낸 구조이다. Fig.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프레임 후단부(71)는 발판 지지부(110) 내부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후단부(71) 외측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72)를 형성한다. 발판 지지부(110) 측면에 회동 가능한 스토퍼(120)를 관통 설치한다. 스토퍼(120)가 요철부(72)에 걸려지면 프레임 후단부(71)의 이동이 제한되며 스토퍼(120)가 요철부(72)에서 빠져나오면 프레임 후단부(71)는 자유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20)는 내측에 걸쇠를 형성하고 외측에 잠금 레버(미도시)를 형성하는데, 운전자는 외측에 노출된 잠금 레버를 발로 조작함으로써 프레임 후단부(71)를 이동하거나 이동 제한할 수 있다.
The frame
1 : 전동 유모차 2 : 시트
3 : 전륜 4 : 후륜
5 : 후륜축 10 : 시트 프레임
20 : 핸들 30 : 시트 결합부
40 : 핸들 관절부 50 : 시트 관절부
51 : 축이음부 52 : 고정구
53 : 회동구 54 : 돌출턱
55 : 끼움구 56 : 축봉
60 : 전륜 완충부 61 : 연결부
62 : 케이싱 63 : 압축 스프링
64 : 누름봉 70 : 발판 프레임
71 : 프레임 후단부 72 : 요철부
80 : 전륜 지지부 81 : 고정 결합구
90 : 구동모터 91 : 제동장치
100 : 발판부 101 : 발판 덮개
102 : 패드 110 : 발판 지지부
120 : 스토퍼 130 : 후륜 완충부1: Electric stroller 2: Sheet
3: front wheel 4: rear wheel
5: rear wheel shaft 10: seat frame
20: handle 30: seat coupling portion
40: handle joint part 50: seat joint part
51: shaft portion 52: fastener
53: turning pin 54: protruding jaw
55: Shaft 56: Shaft
60: front wheel buffering portion 61:
62: casing 63: compression spring
64: push rod 70: foot frame
71: frame rear end 72: concave / convex portion
80: front wheel supporting portion 81:
90: drive motor 91: brake device
100: footstool 101: footstool
102: pad 110: foot support
120: stopper 130: rear wheel buffer
Claims (5)
상기 전륜과 상기 발판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A seat frame and a foot frame connected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a handle coupled to the seat frame, a foot plate supported by the foot frame, a front wheel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and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front wheel,
And wherein the foot frame slides inside the footrest part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footrest part.
상기 시트 프레임에 시트를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시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eet engaging portion for attaching or detaching a sheet to or from the seat frame.
상기 전륜 지지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 관절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 일측과 상기 핸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at joint part connected between the front wheel supporting part and the seat frame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eat frame, and a handle joint part connected between one side of the seat frame and the handle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Wherein the motor-driven stroller is mounted on the driver's seat.
상기 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전륜 완충부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후륜 완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cushioning portion for reducing an impact applied to the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cushioning portion for reducing an impact applied to the rear wheel.
상기 전륜에 설치한 제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허브 모터이고,
상기 제동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aking device provided on the front wheel,
Wherein the drive motor is a hub motor,
Wherein the braking device applies a disc brak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0582A KR102376092B1 (en) | 2014-12-02 | 2014-12-02 |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0582A KR102376092B1 (en) | 2014-12-02 | 2014-12-02 |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6337A true KR20160066337A (en) | 2016-06-10 |
KR102376092B1 KR102376092B1 (en) | 2022-03-18 |
Family
ID=5619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0582A KR102376092B1 (en) | 2014-12-02 | 2014-12-02 |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609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40620A (en) * | 2016-08-24 | 2016-12-21 | 关子怡 | A kind of shockproof perambulator device of Anti-inclining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6500A (en) * | 2003-09-22 | 2005-04-14 | Univ Nihon | Electric three-wheel kick skater |
KR100849102B1 (en) * | 2000-02-17 | 2008-07-30 |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 Caster for baby carriage |
KR100997034B1 (en) | 2008-09-18 | 2010-11-26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A caterpillar baby carriage |
WO2011001130A1 (en) * | 2009-06-30 | 2011-01-06 | Symeon Onipede | Parent and child pedal -less cycle |
KR20120005621A (en) * | 2010-07-09 | 2012-01-17 | 손영철 | Portable motor scooter that length control is available |
KR20120030626A (en) * | 2010-09-20 | 2012-03-29 | 김현동 | The stroller where the seat rotation is possible |
WO2014040731A1 (en) * | 2012-09-12 | 2014-03-20 | Viktor Herzog-Lang | Hand-guided vehicle and retrofit kit for retrofitting to a vehicle of this type |
KR101408162B1 (en) | 2013-02-12 | 2014-06-17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KR200474422Y1 (en) * | 2013-03-18 | 2014-09-17 | (주)한스이엔지 | Baby stroller attached electric mov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without using hands |
-
2014
- 2014-12-02 KR KR1020140170582A patent/KR10237609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102B1 (en) * | 2000-02-17 | 2008-07-30 |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 Caster for baby carriage |
JP2005096500A (en) * | 2003-09-22 | 2005-04-14 | Univ Nihon | Electric three-wheel kick skater |
KR100997034B1 (en) | 2008-09-18 | 2010-11-26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A caterpillar baby carriage |
WO2011001130A1 (en) * | 2009-06-30 | 2011-01-06 | Symeon Onipede | Parent and child pedal -less cycle |
KR20120005621A (en) * | 2010-07-09 | 2012-01-17 | 손영철 | Portable motor scooter that length control is available |
KR20120030626A (en) * | 2010-09-20 | 2012-03-29 | 김현동 | The stroller where the seat rotation is possible |
WO2014040731A1 (en) * | 2012-09-12 | 2014-03-20 | Viktor Herzog-Lang | Hand-guided vehicle and retrofit kit for retrofitting to a vehicle of this type |
KR101408162B1 (en) | 2013-02-12 | 2014-06-17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KR200474422Y1 (en) * | 2013-03-18 | 2014-09-17 | (주)한스이엔지 | Baby stroller attached electric mov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without using hand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40620A (en) * | 2016-08-24 | 2016-12-21 | 关子怡 | A kind of shockproof perambulator device of Anti-inclin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6092B1 (en) | 2022-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28065B2 (en) | Automatic folding electronic car | |
JP2018500065A (en) | Movable walking / carrying aid | |
TWI607927B (en) | Cart | |
US20130300072A1 (en) | Tow assembly for a trailer | |
EP2814721A1 (en) | Urban vehicle | |
KR102158013B1 (en) | The power unit of wheelchair for change electromotive run | |
WO2016176124A1 (en) | Transformable folding electric scooter | |
KR101632185B1 (en) | Foldable electirc baby carriage | |
KR101192959B1 (en) | Silver cart for the old and the weak | |
KR101629385B1 (en) | Cart and wheel control system applicable to the same | |
KR101658802B1 (en) |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 |
CN109927811B (en) | Electric moving body | |
KR101342962B1 (en) | Folding type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 |
KR20160066337A (en) |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
CN104340253B (en) | vehicle frame | |
CN106536321A (en) | Foldable stroller | |
JP2018203092A (en) | Handcart and front wheel lifting unit for use in handcart | |
RU135996U1 (en) | Sled Wheelchair (OPTIONS) | |
CN106080732B (en) | A kind of travelling perambulator | |
KR101131873B1 (en) |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 |
CN205574030U (en) | Baby's handcart that one hand was folded up | |
KR101598478B1 (en) | Driving Auxiliary Device Having Extra Mounting Frame | |
CN106394759A (en) | Suspension scooter | |
EP3697364B1 (en) | Person transportation aids and devices | |
KR102065261B1 (en) | Electric-motion scoo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