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514A -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514A
KR20160081514A KR1020140195447A KR20140195447A KR20160081514A KR 20160081514 A KR20160081514 A KR 20160081514A KR 1020140195447 A KR1020140195447 A KR 1020140195447A KR 20140195447 A KR20140195447 A KR 20140195447A KR 20160081514 A KR20160081514 A KR 2016008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cific code
sound
server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슬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4019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514A/ko
Publication of KR2016008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설정된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설정된 소리를 수신하여 송신부의 접근을 감지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서버부 및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수신부에 상기 특정 코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오티피생성부를 포함하는 도어 보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 {Apparatus for locking door}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부가 고 주파수 대역의 설정된 특정 소리를 출력하고 수신부는 이를 수신하여 식별하고, 오티피생성부가 일회용의 특정 코드를 서버부 및 수신부에 출력하고, 서버부는 특정 코드를 암호화 하여 수신부에 출력할 때, 수신부는 수신한 두 특정 코드를 비교하고 두 특정 코드가 동일할 때 도어를 잠그는 시건 장치가 해제되도록 하는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도어 및 주택 도어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존에 지문을 인식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번거롭고, 고정적인 비밀 번호가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보안 유지에 한계가 있다.
이에 오티피(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여 개인 인증을 받는 방식을 차량 도어 및 집의 도어에 적용하고, 그에 더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하는 등의 새로운 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송신부가 고 주파수 대역의 설정된 특정 소리를 출력하고 수신부는 이를 수신하여 식별하고, 오티피생성부가 일회용의 특정 코드를 서버부 및 수신부에 출력하고, 서버부는 특정 코드를 암호화 하여 수신부에 출력할 때, 수신부는 수신한 두 특정 코드를 비교하고 두 특정 코드가 동일할 때 도어를 잠그는 시건 장치가 해제되도록 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도어 보안 장치는,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설정된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설정된 소리를 수신하여 송신부의 접근을 감지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서버부 및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수신부에 상기 특정 코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오티피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다.
상기 오티피생성부는 상기 송신부에 구비된다.
상기 서버부는 상기 특정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특정 코드를 암호화 하여 상기 수신부에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버부가 출력한 상기 암호화 된 특정 코드를 복원하고,상기 송신부가 출력한 상기 특정 코드와 상기 복원된 특정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적으로 제어되고, 도어(door)를 잠그는 시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서버부가 출력한 특정 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상기 도어가 해제된다.
기타 실시례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어 보안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도어 보안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특정 코드를 서버부 및 수신부에 출력하고 두 특정 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도어 보안을 강화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특정 코드를 서버부 및 수신부에 출력하고 두 특정 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도어 보안을 이중으로 강화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도어 보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이 차량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상황을 도시한 통신 상황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의하여 도어 보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도어 보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도어 보안 장치는 송신부(100), 오티피생성부(200), 수신부(300), 서버부(400) 및 시건 장치(500)를 포함한다.
송신부(100)가 출력하는 고 주파수 대역의 설정된 소리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대역이고, 20khz 이상의 대역일 수 있다. 송신부(100)는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설정한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한다. 송신부(100)는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가 모두 같은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에 대해 소리의 패턴, 예를 들면 연속된 소리의 리듬을 주는 패턴을 설정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송신부(100)가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설정하거나 소리의 패턴을 설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소리를 식별한다. 송신부(100)가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설정하거나 소리의 패턴을 설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소리를 식별하는 아이디(ID, IDentification)화할 수도 있다.
일실시례에 따른 송신부(100)는 카드키, 차량의 스마트키(smartkey)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른 송신부(100)는 RF(radio frequency) 주파수 송출 장치를 통하여 수신부(300)에 고 주파수 대역의 설정된 소리를 출력한다.
오티피생성부(200)는 서버부(400) 및 수신부(300)에 특정 코드를 동시에 출력한다. 오티피생성부(200)는 시간에 따라 출력하는 특정 코드를 변경한다. 일실시례에 따른 오티피생성부(200)가 생성하여 출력한 특정 코드는 60초간 유효하다. 일실시례에 따른 오티피생성부(200)는 특정 코드를 출력하고, 60초 후에 다른 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일실시례에 따른 송신부(100)는 무선통신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및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망을 통하여 서버부(400) 및 수신부(300)에 특정 코드를 출력한다.
수신부(300)는 설정된 소리를 수신하여 송신부(100)의 접근을 감지한다. 수신부(300)는 설정된 소리를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된 소리와 수신부(300)에 저장된 설정된 소리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 송신부(100)의 접근을 감지한다.
송신부(100)는 수신부(300)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주기적으로 전파를 송출할 수도 있다. 수신부(300)는 송출한 전파를 수신할 때, 전파를 수신했음을 확인하는 확인 전파를 송신부(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실시례에 따른 송신부(10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 수신부(300)에 고 주파수 대역의 설정된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송신부(100)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다.
송신부(100)는 차량의 스마트키, 집 도어(door)의 카드키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수신부(300)가 송신부(100)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신부(300)는 송신부(100)에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수신부(300)에 특정 코드를 출력하게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송신부(100)는 수신부(300)가 출력한 특정 코드 출력 신호를 수신할 때 오티피생성부(200)가 특정 코드를 생성한다. 오티피생성부(200)는 송신부(100)에 구비된다.
서버부(400)는 오티피생성부(200)가 출력한 특정 코드를 수신한다. 일실시례에 따른 서버부(400)는 무선통신 3G, 4G, LTE(Long Term Evolution)를 통하여 오티피생성부(200)가 출력한 특정 코드를 수신한다.
서버부(400)는 수신한 특정 코드를 암호화한다. 서버부(400)는 암호화한 특정 코드를 수신부(300)에 출력한다. 서버부(400)가 수신한 특정 코드를 암호화하고 암호화한 특정 코드를 수신부(300)에 출력함으로써, 도어 해제에 대한 보안을 갖추는 효과가 있다.
수신부(300)는 서버부(400)가 출력한 암호화 된 특정 코드를 원래의 특정 코드로 복원한다. 수신부(300)는 송신부(100)가 출력한 측정 코드와 복원된 특정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부(300)는 서버부(400)가 암호화하여 출력한 특정 코드를 복원하고, 송신부(100)가 출력한 특정 코드와 복원된 특정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일실시례에 따른 시건 장치(500)는 차량 도어 또는 집의 대문에 구비된다. 시건 장치(500)는 전자적으로 제어된다. 시건 장치(500)는 전자적으로 제어되고, 도어(door)를 잠근다.
송신부(100)가 출력한 설정된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수신부(300)가 수신할 때 도어가 해제된다. 송신부(100) 및 서버부(400)가 출력한 특정 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상기 도어가 해제된다. 송신부(100)가 출력한 설정된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수신부(300)가 수신하고, 동시에 송신부(100) 및 서버부(400)가 출력한 특정 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상기 도어가 해제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이 차량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상황을 도시한 통신 상황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LF 신호 및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정상 사용자 여부에 대한 1차적인 인증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송신부(100)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포브키 또는 스마트키)(150)일 수 있다. 송신부(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다. 스마트폰과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는 상호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과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는 선행적으로 페어링(pairing) 과정이 요구된다.
일실시례에 따른 수신부(300)는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키 유닛(Smartkey Unit)일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를 휴대한 채로 수신부(300)가 배치된 차량으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가 웨이크 업(Wake-up)되고,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사이드 도어의 핸들을 잡아당기거나,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위치 버튼을 조작하는 동작에 의하여 LF 신호(Low frequency Signal)가 발생한다. 발생된 LF 신호는 변조 및 복조되어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로 송신되고,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는 LF 신호에 응답하는 형대로 반응 신호를 수신부(300)에 송신한다.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는 수신부(300)로부터 인가된 첼린지 신호를 수신한다. 첼린지 신호 수신 후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는 첼린지 신호의 변조 및 복조된 신호를 디코딩한다.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는 첼린지 신호에 응답하는 형태로 적어도 2이상의 정보를 가진 반응신호(Response signal)를 수신부(300)에 송신한다. 여기서 반응 신호는 정상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가 송신하는 암호화 코드를 포함한다. 반응 신호가 송신된 후 수신부(300)가 수신한 반응 신호를 디코딩한다. 수신부(300)는 기 저장된 암호화 코드와 관련된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상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로써 휴대용 무선통신장치(150)와 차량의 수신부(300) 사이에 보안 인증이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스마트폰인 송신부(100)와 수신부(300)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더욱 강력한 보안 모듈을 구축할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른 송신부(100)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RF(radio frequency) 주파수 송출 장치를 통하여 수신부(300)에 고 주파수 대역의 설정된 소리를 출력한다. 수신부(300)는 설정된 소리를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된 소리와 수신부(300)에 저장된 설정된 소리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 송신부(100)의 접근을 감지한다.
오티피생성부(200)는 서버부(400) 및 수신부(300)에 특정 코드를 동시에 출력한다. 서버부(400)는 수신한 특정 코드를 암호화한다. 서버부(400)는 암호화한 특정 코드를 수신부(300)에 출력한다.
수신부(300)는 서버부(400)가 출력한 암호화 된 특정 코드를 원래의 특정 코드로 복원한다. 수신부(300)는 송신부(100)가 출력한 측정 코드와 복원된 특정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부(300)는 두 특정 코드가 일치할 때,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시건 장치(500)에 의해 잠겨 있는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서버부(400)는 오티피생성부(200)가 특정 코드를 생성하는 키 값과 동일한 키 값으로 특정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키 값은 시간을 대상으로 한다. 오티피생성부(200)가 시간에 대한 키 값으로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60초 이내에 서버부(400)에 출력한다. 오티피생성부(200)가 생성한 특정 코드는 60초 동안 유효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부(400)는 오티피생성부(200)가 생성하여 출력한 특정 코드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서버부(400)는 동일한 방식으로 시간에 대한 키 값으로 생성한 특정 코드를 오티피생성부(200)가 생성한 특정 코드와 비교한다. 서버부(400)는 오티피생성부(200)로부터 수신한 특정 코드와 서버부(400)가 생성한 특정 코드가 동일할 때, 수신부(300)에 시건 장치(500)가 해제되도록 하는 시건 장치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수신부(300)는 시건 장치 해제 신호를 수신할 때에만 시건 장치(500)가 해제되도록 한다.
또 다른 일실시례로서, 서버부(400)가 오티피생성부(200)가 특정 코드를 생성하는 키 값과 동일한 키 값으로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60초 이내에 서버부(400)에 출력하는 것을 수신부(3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오티피생성부(200)는 생성한 특정 코드를 수신부(300)에 출력한다. 수신부(300)는 오티피생성부(200)가 생성하여 출력한 특정 코드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수신부(300)는 오티피생성부(200)가 특정 코드를 생성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특정 코드를 생성한다. 수신부(300)는 오티피생성부(200)로부터 수신한 특정 코드와 수신부(300)가 생성한 특정 코드를 비교하고, 특정 코드가 서로 동일할 때 시건 장치(500)가 해제되도록 하는 시건 장치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송신부(100) 및 수신부(300)는 자체에 오티피 발생 코드를 내장할 수도 있다. 송신부(100) 및 수신부(300)는 서버부(400)에 접속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서로 간의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송신부(100) 및 수신부(300) 자체적으로 오티피 코드를 생성하고 매칭(match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오티피 발생 코드는 차대번호, 차량의 모델, 차량 OEM 회사명, 오티피 사용 시각 및 오티피 자체 고유넘버 등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송신부(100) 및 수신부(300)는 자체 MCU(Micro control Unit)를 구비하여 코드 생성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송신부
150 :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200 : 오티피생성부
300 : 수신부
400 : 서버부
500 : 시건 장치

Claims (6)

  1.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설정된 고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설정된 소리를 수신하여 송신부의 접근을 감지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서버부; 및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수신부에 상기 특정 코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오티피생성부; 를 포함하는 도어 보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소리의 세기, 높낮이 및 맵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도어 보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티피생성부는 상기 송신부에 구비되는 도어 보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특정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특정 코드를 암호화 하여 상기 수신부에 출력하는 도어 보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버부가 암호화하여 출력한 특정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송신부가 출력한 상기 특정 코드와 상기 복원된 특정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보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적으로 제어되고, 도어(door)를 잠그는 시건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서버부가 출력한 특정 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상기 도어가 해제되는 도어 보안 장치.
KR1020140195447A 2014-12-31 2014-12-31 도어 잠금 장치 KR20160081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47A KR20160081514A (ko) 2014-12-31 2014-12-31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47A KR20160081514A (ko) 2014-12-31 2014-12-31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14A true KR20160081514A (ko) 2016-07-08

Family

ID=5650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447A KR20160081514A (ko) 2014-12-31 2014-12-31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5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905A (ko) * 2021-11-26 2023-06-02 (주)트루엔 카메라를 이용하여 번호를 인식하는 도어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905A (ko) * 2021-11-26 2023-06-02 (주)트루엔 카메라를 이용하여 번호를 인식하는 도어 잠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6565B2 (ja) 車両の起動方法
KR102408290B1 (ko) 전자식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 및 액세스 제어 방법
EP3289789B1 (en) Wearable discovery for authentication
US9940764B2 (en) Key fob challenge request masking base station
CN101872542B (zh) 用于发送射频控制信号的发射机和方法
WO2015064016A1 (ja)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JP6441615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9220935A (ja) 固有のマスターキーを有するデジタルドアロック及びその操作方法
KR2012009014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7989514A (zh) 具有动态密码功能的保险箱
JP2016010158A (ja) ロック制御方法
KR20090079515A (ko) 휴대용 무선 지문인식 시스템 및 방법
US99023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range detection in a vehicle
KR10202734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스위칭 제어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US11978293B2 (en) Electronic lock with wireless control
US20160189539A1 (en) Battery-free smart key
WO2017098721A1 (ja) 車載器、携帯機、及び車両用無線通信システム
CN113449285A (zh) 认证系统以及认证方法
KR20130118008A (ko)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스마트 키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02840B2 (ja) 無線通信正否判定システム
KR20160081514A (ko) 도어 잠금 장치
TWI602978B (zh) 感應鑰匙及其校正系統、校正方法
CN211319214U (zh) 用于启用或禁用可训练收发器的操作的锁定机构
JP2004040803A (ja) 個人的な携帯物を介して所定スペース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携帯物
JP2020076242A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