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434A -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 Google Patents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434A
KR20160080434A KR1020140192227A KR20140192227A KR20160080434A KR 20160080434 A KR20160080434 A KR 20160080434A KR 1020140192227 A KR1020140192227 A KR 1020140192227A KR 20140192227 A KR20140192227 A KR 20140192227A KR 20160080434 A KR20160080434 A KR 2016008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output
signal
rep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9061B1 (en
Inventor
김형호
김권
이종구
김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4019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061B1/en
Priority to PCT/KR2015/014451 priority patent/WO2016108602A1/en
Priority to US15/084,875 priority patent/US10448323B2/en
Publication of KR2016008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04L25/202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using mechan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04L25/205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using tuning forks or vibrating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There is provided a digital repeater which comprises: an output control circuit portion which has a circuit configuration that maintains a digital output related to a repeating signal in a disable state when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and a control portion which outputs an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to make the digital output enabled after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an operation of a digital part in the repeater is finished as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Description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0001]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0002]

본 발명은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온(on)시 디지털 출력에서 불요파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capable of interrupting the output of unwanted w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ater capable of interrupting the output of unwanted waves from the digital outpu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거나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설치된다. 특히,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신호의 파워를 단순 증폭하는 방식보다는 수신한 RF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 후 다시 RF 신호로 전송하는 디지털 중계기가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a repeater is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expand a service area of a base station or to resolve a shadow area. In particular, in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ther than a method of simply amplifying the power of an RF signal by receiving an RF signal, a digital signal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RF signal, digital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extracted digital signal, Digital repeater is applied.

이러한 디지털 중계기에서는 전원 온(on)시 디지털 소자들(예를 들어, FPGA, CPU, ADC, DAC, PLL 등)의 초기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소자들의 초기화 과정 중에 디지털 출력이 활성화(Enable)될 경우 디지털 출력에서 불요파가 방사될 수 있다. 이러한 불요파가 외부로 출력되는 경우 후단의 PAU(Power Amplification Unit) 등 전체 시스템에 데미지(demage)을 줄 수 있다.In such a digital repeater,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digital elements (for example, an FPGA, a CPU, an ADC, a DAC, a PLL, and the like) is required upon power on. When the digital output is enabled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such digital elements, a spurious wave may be emitted from the digital output. If such an unwanted wave is outputted to the outside, it can give a demage to the entire system such as a PAU (Power Amplification Unit) at the subsequent stage.

따라서, 디지털 중계기에서 전원 온(on) 디지털 출력에서 불요파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blocking the output of unwanted waves from the power on digital output of the digital repeater.

본 발명은 전원 온(on)시 디지털 출력에서 불요파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the output of unwanted waves in the digital outpu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중계기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gital repeater,

중계기의 전원이 온(on) 되었을 때, 중계 신호에 관한 디지털 출력을 비활성화(disable) 상태로 유지시키는 회로 구성을 갖는 출력 제어 회로부; 및An output control circuit portion having a circuit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a digital output related to a relay signal in a disable state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And

상기 중계기의 전원이 온 됨에 따라 실행되는 상기 중계기 내의 디지털 파트(Digital Part)의 동작 초기화(initialization) 과정이 완료된 이후, 디지털 출력이 활성화(enable)되도록 하는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중계기가 제공된다.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n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for enabling a digital output after completion of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a digital part in the repeater performed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A digital repeater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파트는,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의 시작단을 구성하며 아날로그 중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전단 출력부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관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의 최종단을 구성하며 상기 신호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다시 변환하는 디지털 종단 출력부를 디지털 구성부로서 포함하고,In one embodiment, the digital part comprises a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for constituting a starting end of a digital part based on a signal transmission path and for converting an analog relay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digital termination output section for converting the signal process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constituting a final stage of the digital part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as a digital configuration section,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는, 중계기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상기 디지털 전단 출력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종단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회로를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구성부로 전달할 수 있다.
Wherein the output control circuit unit controls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to be in a deactivated state when the relay power is turned on, To a single digital compon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를 통해서 또는 디지털 출력 비활성화 상태인 디지털 구성부로 직접, 상기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ction may transmit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directly to the digital configuration section through the output control circuit section or in the digital output deactivation st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는, 중계기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신호 전달 경로에 따라 상기 디지털 파트의 후단에 배치되는 PAU(Power Amplification Unit)의 출력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회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put control circui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output of a PAU (Power Amplification Unit)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digital part in a deactivated state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ssion path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는, 상기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PAU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PAU 활성화 제어 신호를 상기 PAU로 전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put control circuitry may communicate a PAU activation control signal to the PAU that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PAU when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의 완료 여부에 추가하여, 중계기 내의 PLL(Phase Lock Loop) 락(lock) 신호, 입력된 중계 신호, 중계기 알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이상 유무에 관한 판별을 수행하고, 판별 결과 정상 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gital part has been initializ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LL (Phase Lock Loop) lock signal, an input relay signal, and a repeater alarm signal in the repeater,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only when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state as a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중계기의 전원 온(on)시 디지털 출력에서 불요파가 방사되어 신호 전달 경로를 따라 후단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PAU 등과 같은 후단의 시스템 데미지(demage)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repeater is turned on, spurious waves are radiated from the digital output and ar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rear end alo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thereby preventing the system demage at the rear end such as PAU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일 예의 디지털 중계기의 블록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repea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spurious wave output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of a spurious wave output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일 예의 디지털 중계기의 블록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gital repea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도 1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신호 전달 경로(즉, 포워드 패스(Forward path)) 상에 그 신호 전달 경로를 따라, 다운 컨버터(1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2), 디지털 신호 처리부(3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4), 업 컨버터(16), PAU(Power Amplification Unit)(18)가 배치되고 있다. 또한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즉, 리버스 패스(Reverse path)) 상에 그 신호 전달 경로를 따라, LNA(Low Noise Amplifier)(28), 다운 컨버터(26), ADC(24), 디지털 신호 처리부(30), DAC(22), 업 컨버터(20)가 배치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a down-converter 10,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2,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not shown) are connected to a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path A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14, an up converter 16, and a PAU (Power Amplification Unit) 18 are disposed. (Low Noise Amplifier) 28, a downconverter 26, an ADC 24, a digital signal processor (not shown), and the like, along its signal propagation path on an uplink signal path (i.e., a reverse path) 30, a DAC 22, and an up-converter 20 are disposed.

다운링크 신호 전달 경로 상의 다운 컨버터(10)는 기지국(Base station)(미도시)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입력받고,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주파수 하향 변환된 IF 신호는 ADC(12)에 의해 샘플링 처리되어 특정 비트수(예를 들어, 14bit)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ADC(12)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0)에 의해 신호 처리되며, 디지털 신호 처리된 신호는 DAC(14)로 입력되어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DAC(1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다시 업 컨버터(16)에 의해 RF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되고, 주파수 상향 변환된 RF 신호는 PAU(18)에 의해 증폭되어 서비스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서비스 커버리지(Service coverage) 내의 단말들로 출력될 수 있다.The down-converter 10 on the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path receive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not shown) by wire or radio, down-converts the RF signal into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is performed. The frequency down-converted IF signal is sampled by the ADC 12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having a specific number of bits (for example, 14 bits).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DC 12 is subjected to signal processing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ed signal is input to the DAC 14 and can be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gain.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DAC 14 is again frequency upconverted to an RF signal by the upconverter 16 and the RF upconverted RF signal is amplified by the PAU 18 and transmitted through a service antenna And may be output to terminals within the coverage.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는 위 설명의 다운링크 신호 전달 경로와 신호 전달 방향을 달리하는 동일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 상의 LNA(28)는 서비스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RF 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다운 컨버터(26)로 전달하며, 다운 컨버터(26)는 RF 신호를 IF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된 IF 신호는 ADC(2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0)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후 DAC(22)로 입력된다. DAC(22)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IF 밴드의 아날로그 신호는 업 컨버터(20)에 의해 RF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되어 기지국(미도시)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uplink signal propagation path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downlink signal propagation path described above, which differs from the signal propagation direction. That is, the LNA 28 on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path low-noise amplifies the RF signal input through the service antenna (not shown) and transmits the RF signal to the down converter 26. The down converter 26 converts the RF signal into an IF signal Frequency downconversion. The frequency down-converted IF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DC 24, and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is subjected to digital signal processing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0 and then input to the DAC 22. [ The DAC 22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 converted analog signal of the IF band can be frequency-up-converted to an RF signal by the up-converter 20 and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not shown).

이와 같이, 디지털 중계기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가 존재하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0)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에 공통으로 구현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디지털 신호 처리부(30)는 다운링크와 업링크에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gital repeater, there i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0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0 can be implemented by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 shown in FIG. 1,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section 3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n the downlink and uplink, alth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section 30 is shown as being implemented in common on the downlink and uplink signal propagation paths.

이러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는, 디지털 신호 전달 경로의 전단(前端)에 배치된 ADC(12, 24)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사전 프로그래밍된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 리젝션(Image Rejection), DC(Direct Current) 성분의 블락킹(blocking), 디지털 필터링, FA(Frequency Allocation) 또는 섹터(sector) 별 신호 처리, 다중화(Multiplexing)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에 의해 신호 처리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전달 경로의 종단의 출력 디바이스(도 1의 경우, 다운링크 신호 전달 경로 및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 상에서의 디지털 신호 전달의 종단(終端)에 배치된 각각의 DAC(14, 22)를 의미함)를 거쳐 외부(즉, 단말 또는 기지국)로 출력되게 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section 30 applies a preprogrammed processing algorithm to the digital signal digitally converted by the ADCs 12 and 24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digital signal transmission path to generate image rejection Digital filtering, FA (Frequency Allocation), signal processing for each sector, and multiplexing. In this way, the digital signal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0 is output to the output device at the end of the digital signal transmission path (in the case of FIG. 1, the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path and the end of digital signal transmission on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path (I.e., a terminal or a base station) through each of the DACs 14 and 22 disposed at the terminating end (i.e., the terminating end).

결국, 디지털 중계기에서는 디지털 파트(Digital Part)에서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최종단에 배치된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서 불요파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종단 출력 디바이스에서 불요파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들은 제안한다.As a result, in a digital repeater, it is necessary to prevent spurious emissions from being emitted through an output device disposed at the final stage based on a signal transmission path in a digital p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various embodiments of methods that can prevent spurious emission in a digital termination output device.

이하에서 설명할 각 실시예들에서의 디지털 종단 출력부란 도 1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신호 전달 경로 상에 놓인 디지털 파트의 종단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 상에 놓인 디지털 파트의 종단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즉, 이하에서 정의하는 디지털 종단 출력부란, 중계기 내의 디지털 파트에서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할 때 디지털 최종단을 구성하는 디지털 구성부를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각 실시예들에서의 디지털 전단 출력부란 디지털 파트에서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할 때 디지털 시작단을 구성하는 디지털 구성부를 의미한다.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in each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n end device of a digital part placed on the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path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Or an end device. That is,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defined below refers to a digital configuration unit that configures a digital final stage based on a signal transmission path in a digital part in a repeater. Similarly, the digital shear output in each of the embodiments refers to a digital component that constitutes the digital starting end when referencing the signal path in the digital part.

이상에서는 후술할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로서 디지털 RF 중계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을 구성하는 MU(Main Unit) 또는/및 MU와 브랜치 연결되는 RU(Remote Unit)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 방법은 MU의 역방향 패스(Reverse Path 혹은 Uplink Path)에, RU의 순방향 패스(Forward Path 혹은 Downlink Path)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regoing, a digital RF repeater has been described as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the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the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MU (Main Unit) constituting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or a RU (Remote Unit) connected to the MU and a branch) have. That is, the spurious output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orward path (a forward path or an uplink path) of an RU to a reverse path (an up path path) of an MU.

제1 1st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에 관하여 설명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the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urious emission output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the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는 전원부(110), 디지털 파트(200), 출력 제어 회로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파트(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 디지털 종단 출력부(230), 제어부(240)가 탑재될 수 있다. 물론 디지털 보드(200)에는 도 2에 도시된 구성부 이외에도 다양한 디지털 소자가 더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2,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the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a digital part 200, and an output control circuit unit 120. 2, a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210,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a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may be mounted on the digital part 200. Of course, various digital elements may be mounted on the digital board 20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도 2는 도면 도시의 편의 및 설명의 집중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 기능을 구현하는데 연관되는 구성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이는 후술할 도 4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이고, 디지털 종단 처리부(230)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이며, 제어부(2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이하, 도 4에서도 동일함).FIG. 2 shows only the constituent part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purious wave outpu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centrate the convenience and explanation in the drawing, and this is also the case in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igital termination processor 230 may be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and the controller 24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20 is implemented by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the same applies also in FIG. 4).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는 중계기가 수신한 RF 신호로부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이때,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IF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일 수 있음은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이다.The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210 outputs a digital signal through analog-to-digital conversion from the RF signal received by the repeater. Of course, the analog signal input to the digital front-end output unit 210 may be a frequency down-converted signal to an IF signal,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는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는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하였는 바,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receives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210 and performs digital signal processing on the input digital signal.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디지털 종단 출력부(230)는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신호 전달의 종단에 배치되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다시 변환한다. 즉, 디지털 종단 출력부(130)는 디지털 중계기 내 디지털 처리가 이루어지는 디지털 파트의 최종단의 디지털 구성부이다.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23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digital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receives the digital signal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That is,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section 130 is a digital section of the final stage of the digital part in which digit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repeater.

전원부(110)는 중계기 내에 각 구성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파트(200) 내의 디지털 구성부들과 출력 제어 회로부(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1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repeater. Th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digital components in the digital part 200 and the output control circuit unit 1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utput.

출력 제어 회로부(120)는 디지털 파트(200) 내의 중계 신호(즉, 다운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신호)에 관한 디지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적 회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40)도 디지털 파트(200) 내의 중계 신호에 관한 디지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후술할 도 3의 순서도의 설명을 통해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디지털 출력이란, 디지털 구성부를 통한 신호 출력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명명되며, 출력 신호 자체가 아날로그 신호인지 또는 디지털 신호인지는 무관하다.The output control circuit unit 120 includes a hardware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digital output relating to a relay signal (i.e., a downlink signal or an uplink signal) in the digital part 200. [ The control unit 240 also performs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digital output of the relay signal in the digital part 200. This can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flowchart of FIG. 3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digital output is termed as a ter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ignal output through the digital configuration unit, and it does not matter whether the output signal itself is an analog signal or a digital signal.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불요파 출력 차단 방식에 대하여, 도 3의 순서도를 중심으로 도 2의 블록도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 a block diagram of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purious emission cutoff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단계 S110에 따라 중계기의 전원이 온(on) 되었을 때, 디지털 파트(200)의 내의 디지털 구성부에서의 디지털 출력을 비활성화(disable) 상태가 유지된다(도 3의 단계 S120 참조). 이와 같은 디지털 출력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는, 일 실시예에서, 출력 제어 회로부(120)와 디지털 구성부 간의 하드웨어적 회로 연결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중계기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출력 제어 회로부(120)로부터 디지털 구성부의 출력 제어 단자로 그 디지털 출력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Low 또는 High 신호)가 강제 인가되도록 회로 구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도 디지털 구성부에 의한 신호 출력은 이루어지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에 놓일 수 있다.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step S110 of FIG. 3, the digital output of the digital component in the digital part 200 is kept in a disabled state (refer to step S120 of FIG. 3). Such maintenance of the inactive state of the digital output can be realized by a hardware circuit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output control circuit portion 120 and the digital configuration portion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relay power is turned on, the circuit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 signal (Low or High signal) for forcing the digital output to be inactivated from the output control circuit part 120 to the output control terminal of the digital configuration part is forcibly applied. Thereby, even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the signal can not be outputted by the digital constituent unit.

이때, 디지털 출력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디지털 구성부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 디지털 종단 출력부(23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위의 전부에서 디지털 출력이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2개의 디지털 출력이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전달 경로를 가정할 때, 중계기 후단의 PAU 등의 최종 출력단으로 불요파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달성되는 한도에서 어떤 디지털 구성부의 디지털 출력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지는 설계자의 선택 사항일 수 있다. 다만, PAU 등의 최종 출력단으로 불요파를 직접 전달하는 디지털 구성부는 도 2에서 디지털 종단 출력부(230)이므로, 디지털 종단 출력부(230)의 디지털 출력이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도록 회로 구현하는 방식이 먼저 고려(선호)될 수는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기 전원 온(on)시,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 디지털 종단 출력부(230)의 디지털 출력이 모두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digital configuration unit in which the digital output is in an inactive state may be at least one of the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210,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and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230 shown in FIG. In all of the above, the circuit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digital output is held in a deactivated state, and any one or two of the digital outputs may be implemented in a deactivated state. That is, assum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downlink or uplink signal, the digital output of any digital component is kept in the inactive state to the extent that the purpose of not transmitting the spurious wave to the final output stage such as PAU at the rear end of the repeater is achieved May be an option of the designer. However, since the digital configuration unit for directly transmitting the unnecessary waves to the final output stage of the PAU is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230 in FIG. 2,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circuit so that the digital output of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230 is maintained in the inactivated state It may be considered first. 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digital outputs of the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210,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and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230 are all kept in the inactivated state when the repeater is powered on .

상술한 단계 S120 이후, 디지털 파트(200) 내의 각 디지털 소자(구성부)의 동작 초기화(initialization)가 수행된다(도 3의 단계 S130). 디지털 중계기에서는 중계기 전원이 온 되었을 때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이 자동 실행되게 되는데, 이 과정이 끝나기 이전에 디지털 구성부들이 활성화(enable)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출력으로서 불요파가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비로소 디지털 구성부들에 의한 디지털 출력이 활성화되도록 구현(도 3의 단계 S150 참조)함으로써, 불요파 방사로 인한 시스템 데미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fter the above-described step S120, the initialization of each digital element (constituent part) in the digital part 200 is performed (step S130 in FIG. 3). In the digital repeater, when the repeater power is turned on, the operation of initializ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part is automatically performed. If the digital components are activated before the end of the process, the spurious emission may be emitted as a digital outpu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output by the digital configuration units is activated (see step S150 in FIG. 3) only after the operation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digital part is completed, thereby solving the system damage problem caused by the spurious emission .

이를 위해, 도 2의 제어부(240)는, 중계기 전원이 온 됨에 따라 실행되는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이후, 디지털 출력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도 2의 Enable Control signal 참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제어 회로부(120)로 전달되고, 이를 전달받은 출력 제어 회로부(120)는 디지털 출력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신호(도 2의 Enable 1 ~ 3 참조)를 각 디지털 구성부로 인가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예시와 달리, 상기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는 제어부(240)로부터 각 디지털 구성부로 직접 인가 또는 전달될 수도 있을 것이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40 of FIG. 2 controls the output of the output enable control signal (see the enable control signal of FIG. 2) for activating the digital output after the operation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digital part executed as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Can be output. At this time,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trol circuit part 120 as shown in FIG. 2, and the output control circuit part 120 receiving the signal outputs a signal (Enable 1 ~ 3) can be applied to each digital component. Of course, unlike the example shown in FIG. 2,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may be directly applied to or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40 to each digital component.

이상에서는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바로 디지털 출력을 활성화시키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디지털 출력을 활성화시키는 시점은 위와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도, 도 3의 단계 S140에서와 같이, 중계기 내의 PLL(Phase Lock Loop) 락(lock) 신호, 입력된 중계 신호, 중계기 알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중계기가 정상 상태에 놓인 경우에 한하여 디지털 출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3의 단계 S140은 구현 방식에 따라 생략되어도 무방하다(이는 도 5의 단계 S240도 마찬가지임).Although the method of activating the digital output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digital part is completed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iming of activating the digital output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 For example, even after the operation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digital part is completed, as in step S140 of FIG. 3, the phase lock loop lock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LL (Phase Lock Loop) lock signal, It may be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nd to activate the digital output only when the repeater is in a normal state. That is, step S140 of FIG. 3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this also applies to step S240 of FIG. 5).

도 3의 단계 S140의 경우, 제어부(240)는,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의 완료 여부에 추가하여, 중계기 내의 PLL(Phase Lock Loop) 락(lock) 신호, 입력된 중계 신호, 중계기 알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이상 유무에 관한 판별을 수행하고, 판별 결과 정상 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한하여 앞서 설명한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
3, in addition to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digital part, the control unit 2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LL (Phase Lock Loop) lock signal, the input relay signal, and the repeater alarm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m, and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described above will be outputt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is normal.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에 관하여 설명한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urious emission output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repeater capable of blocking the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는 전원부(110), 디지털 보드(200), 출력 제어 회로부(120), PAU(130)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디지털 보드(200)에 디지털 전단 출력부(210),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 디지털 종단 출력부(230), 제어부(240)가 탑재된 경우가 도시되고 있다.4,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unit 110, a digital board 200, an output control circuit unit 120, and a PAU 130. 4 shows a case where a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210,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a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are mounted on the digital board 20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출력 차단이 가능한 중계기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방식이 채용됨과 함께, 불요파 출력 차단을 위하여 아날로그 출력의 최종단에 해당하는 PAU(130)의 동작도 제어하는 방식이 이용된다.The repeater capable of interrupting the spurious outp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uses the operation of the PAU 130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age of the analog output Is also used.

이하에서는 앞선 도 2 및 도 3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서 추가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5의 단계 S210, 단계 S230, 단계 S240은 각각 앞선 도 3의 단계 S110, 단계 S130, 단계 S140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이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and FIG. 3 will be omitted, and the contents added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That is, steps S210, S230, and S240 of FIG. 5 are essentially the same processes as steps S110, S130, and S140 of FIG. 3, respectively.

다만, 도 5에서는 도 3의 단계 S120에 대응되는 단계 S220에서, 중계기 전원이 온 되었을 때, 디지털 출력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추가하여 PAU(130)의 동작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 이를 위해, 출력 제어 회로부(120)는 중계기의 전원 온 시 PAU(130)의 동작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FIG. 5, in step S220 corresponding to step S120 in FIG. 3,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the operation of the PAU 130 is maintained in the inactive state in addition to the digital output is kept in the inactive state. To this end, the output control circuit unit 120 may include a circuit configuration for keeping the operation of the PAU 130 in the inactive state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이에 따라, 도 5의 단계 S250에서는, 단계 S230 또는/및 단계 S240 이후에, 디지털 출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고 또한 PAU(130)의 동작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출력 제어 회로부(120)는 제어부(240)로부터 앞서 설명한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도 3의 Enable Control Signal 참조)가 수신된 경우 PAU(130)의 동작을 활성화 시키는 PAU 활성화 제어 신호(도 3의 Enable 4 참조)를 PAU(130)로 전달할 수 있다.Thus, in step S250 of FIG. 5, after step S230 and / or step S240, the digital output is switched to the active state and the operation of the PAU 130 is also switched to the active state. 3)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40, the output control circuit 120 outputs a PAU activation control signal (Fig. 3 (b)) for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PAU 130 To the PAU 130).

이를 통해서, 도 5의 제2 실시예에서는, 중계기의 전원 온 시, 디지털 출력 이외에도 PAU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방식으로, 불요파 출력의 방사에 따른 시스템 데미지 문제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5, in addition to the digital output,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the problem of system damage due to emission of the unnecessary wave output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by disabling the PAU oper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 전원부
120 : 출력 제어 회로부
130 : PAU(Power Amplification Unit)
200 : 디지털 파트(Digital Part)
210 : 디지털 전단 출력부
22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30 : 디지털 종단 출력부
110:
120: Output control circuit
130: PAU (Power Amplification Unit)
200: Digital Part
210: digital front end output section
220: Digital signal processor
230: Digital termination output section

Claims (6)

디지털 중계기에 있어서,
중계기의 전원이 온(on) 되었을 때, 중계 신호에 관한 디지털 출력을 비활성화(disable) 상태로 유지시키는 회로 구성을 갖는 출력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중계기의 전원이 온 됨에 따라 실행되는 상기 중계기 내의 디지털 파트(Digital Part)의 동작 초기화(initialization) 과정이 완료된 이후, 디지털 출력이 활성화(enable)되도록 하는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중계기.
In a digital repeater,
An output control circuit portion having a circuit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a digital output related to a relay signal in a disable state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for enabling digital output after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the digital part in the repeater is performed as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파트는,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의 시작단을 구성하며 아날로그 중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전단 출력부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관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의 최종단을 구성하며 상기 신호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다시 변환하는 디지털 종단 출력부를 디지털 구성부로서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는, 중계기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상기 디지털 전단 출력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종단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회로를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구성부로 전달하는, 디지털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gital part includes a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for constituting a starting end of a digital part based on a signal transmission path and converting an analogue relay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on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for constituting a final stage of the digital part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and converting the signal processed digital signal back into an analog signal,
Wherein the output control circuit unit controls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digital front end output unit,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digital termination output unit to be in a deactivated state when the relay power is turned on, To a digital compon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를 통해서 또는 디지털 출력 비활성화 상태인 디지털 구성부로 직접, 상기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디지털 중계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section directly transmits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configuration section through the output control circuit section or the digital output inactivat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는, 중계기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신호 전달 경로에 따라 상기 디지털 파트의 후단에 배치되는 PAU(Power Amplification Unit)의 동작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회로 구성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control circuit unit further comprises a circuit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an operation of a PAU (Power Amplification Uni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digital part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ssion path when the power of the repeater is turned on,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회로부는, 상기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PAU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PAU 활성화 제어 신호를 상기 PAU로 전달하는, 디지털 중계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utput control circuit part transmits to the PAU a PAU activation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PAU when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파트의 동작 초기화 과정의 완료 여부에 추가하여, 중계기 내의 PLL(Phase Lock Loop) 락(lock) 신호, 입력된 중계 신호, 중계기 알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이상 유무에 관한 판별을 수행하고, 판별 결과 정상 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출력 활성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based on at least one of a PLL (Phase Lock Loop) lock signal, an input relay signal, and a repeater alarm signal in the repeater, And outputs the output activation control signal only when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stat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KR1020140192227A 2014-12-29 2014-12-29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KR1021290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227A KR102129061B1 (en) 2014-12-29 2014-12-29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PCT/KR2015/014451 WO2016108602A1 (en) 2014-12-29 2015-12-29 Node uni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5/084,875 US10448323B2 (en) 2014-12-29 2016-03-30 Node uni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227A KR102129061B1 (en) 2014-12-29 2014-12-29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434A true KR20160080434A (en) 2016-07-08
KR102129061B1 KR102129061B1 (en) 2020-07-01

Family

ID=5650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227A KR102129061B1 (en) 2014-12-29 2014-12-29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6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202A (en) * 2007-04-27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amplif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08044A1 (en) * 2010-10-13 2014-10-16 Ccs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for remote antenna unit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202A (en) * 2007-04-27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amplif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08044A1 (en) * 2010-10-13 2014-10-16 Ccs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for remote antenna unit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061B1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378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rchitectures
US9859982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20100136900A1 (en) Radio Relay Device and Method
EP3607672B1 (en) Output muting for active repeater systems
US10305525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icrowave backhaul systems
EP276173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10820215B2 (en) Node uni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2129061B1 (en)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US20170222694A1 (en) Radio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CN101170330A (en) RF power amplification bypass system and its method
KR102246970B1 (en)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KR102243875B1 (en) Relay capable of blocking spurious output
KR102243876B1 (en) Remote unit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20160081126A (en) Device for removing direct current component from digital output
US10448323B2 (en) Node uni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0389404B2 (en) PAPR reduction in a microwave backhaul outdoor unit
US11924776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emissions of a repeater
KR102189739B1 (en) Node unit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2657963B1 (en) Repeatrer using self-test method
KR101766813B1 (en) Digital input overflow processing device
JP2002152100A (e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