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254A -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254A
KR20160080254A KR1020140191910A KR20140191910A KR20160080254A KR 20160080254 A KR20160080254 A KR 20160080254A KR 1020140191910 A KR1020140191910 A KR 1020140191910A KR 20140191910 A KR20140191910 A KR 20140191910A KR 20160080254 A KR20160080254 A KR 2016008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unit
mode
displa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260B1 (ko
Inventor
박시화
이도영
천시내
김종호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60B1/ko
Priority to PCT/KR2015/000638 priority patent/WO2016108326A1/en
Priority to US14/619,816 priority patent/US9485341B2/en
Publication of KR2016008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5Pen-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1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by use of 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 장치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우징에 수납되고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 하우징의 일부에 배치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립부, 단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제1 모드를 설정하고,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제1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수납되고,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제2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 장치는 정형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전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등 새로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기존 전자 장치에 비해 디스플레이부만 변경되었을 뿐 유사한 형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전자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전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둥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배치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립부,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제1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장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분리되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수납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합체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중 하나의 키를 상기 제1 모드에서는 홈 키로 매핑시키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전송 키로 매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하고, 수신 거절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끝단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물체와 접촉되는 경우 스피커폰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통화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기록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끝단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물체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기록 모드를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통화가 종료되고,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상기 통화 정보와 함께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화 정보는 수신 시간, 통화 시간, 송신자, 상기 인식된 메시지 기록 시간, 통화 녹음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화상 통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경우, 상대방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하고,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제1 보안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보안 설정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서명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는 경우, 제2 보안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서명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인증 화면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때,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서명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는 경우,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지 않거나 상기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둥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제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는 단계,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조건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모드에 따라 동일한 키를 다른 기능으로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은 간편하게 기록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은 편리하게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복수 단계의 보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은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단말 장치가 컨택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화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시 언락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된 단말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된 단말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된 단말 장치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상술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그립부(120), 입력부(130), 센서부(140), 제어부(150),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기둥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단말 장치(100)는 펜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구체적인 형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상대방과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화상 이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그립부(120)는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한쪽 끝단부에 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20)는 팁 위쪽에 일정한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120)는 손가락과 같은 오브젝트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그립부(120)는 오브젝트가 컨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립부(120)가 감지한 컨택 포인트의 개수, 위치 등을 기준으로 제어부(150)는 감지된 컨택이 필기를 위한 그립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외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물리적인 키, 소프트 키,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수납 여부 및 그립부(120)에서 감지된 컨택 상태 등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가 다른 모드로 동작할 때, 입력부(130)의 키도 다른 기능으로 매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으로 노출되면,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펼쳐지고, 이미지 등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에 수납되고, 그리부(120)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전자 펜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 펜 모드는 단말 장치(100)가 펜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고, 글씨를 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모드일 때 입력부(130)의 하나의 키는 홈 키로 매핑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가 전자 펜 모드로 전환되면, 홈 키로 매핑된 입력부(130)의 키는 전송 키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일 때 홈 키로 매핑된 키는 전자 펜 모드일 때 종료키로 매핑될 수 있다. 모드 전환에 따라 키에 매핑된 기능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가 수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4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노출을 감지하면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40)는 전자 펜 모드에서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펜 모드일 때,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를 펜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전자 펜 모드에서 펜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팁은 글자 모양으로 움직일 수 있다. 센서부(140)는 단말 장치(100) 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움직임은 제어부(150)로 전달되고, 제어부(150)는 전달된 움직임을 기초로 글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흔들림 또는 단말 장치(100)의 팁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센서부(140)가 기 설정된 강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단말 장치(100)의 흔들림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현재 메뉴를 다음 메뉴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40)가 기 설정된 강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단말 장치(100)의 팁의 눌림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기록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기록 모드는 단말 장치(100) 또는 단말 장치 팁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인식함으로써 글자를 인식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인식된 글자는 상대방에게 전송되거나 단말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하우징에 수납되고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롤링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노출될 때,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표면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제어부(110)에서 인식되고, 제어부(110)는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분리되는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독자적인 입력부, 제어부,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하우징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그립부(120)의 상단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전자 펜 모드에서 단말 장치(100)가 인식한 글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 통화를 수행 중에 전자 펜 모드로 전환되면,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상대방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인증을 위해 필요한 글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으로 노출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30)의 키를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에 수납되고, 그립부(120)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전자 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30)의 키를 전자 펜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신호 또는 입력부(130)에서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 장치는 통신부(110), 그립부(120), 입력부(130), 센서부(140), 제어부(150),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 서브 디스플레이부(165), 카메라부(170), 오디오부(175), 저장부(180), 파워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패드, 노트북,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이 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 탑, DVD (Digital Video Disc or 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TV 등이 될 수 있다.
다양한 프로토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인 경우,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데이터 전송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IEEE 1394, 또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다른 유사 규격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인 경우, 통신부(110)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외부 통신망으로의 무선 접속을 고려한 RF 전기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그 외에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그립부(120)는 사용자의 컨택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펜 모드에서 그립부(120)는 사용자의 컨택 방식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감지된 컨택 방식과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수납 여부를 고려하여 전자 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전자 펜 모드에서 그립부(120)는 필기를 위한 손잡이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120)는 단말 장치의 팁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그립부(120)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120)는 컨택된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립부(12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은 보안 설정 해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마우스, 터치패드, 버튼, 소프트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넓은 의미로 입력부(130)는 마이크,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마이크는 오디오부에 포함시킬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센서부(140)는 단말 장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의 주위 환경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사용자의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15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싱 수단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단말 장치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센서부(140)를 그립부(120),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 상에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는 그립부(120),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 상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가 터치 센서를 포함할 경우, 단말 장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 상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가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단말 장치는 그립부(120) 상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단말 장치의 팁 부분에 구비되어 팁이 눌리는 강도 또는 시간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말 장치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말 장치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관련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제어부(15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저장부(18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제어부(15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가 수납되었을 때, 상대방 이미지,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센서부(140)에서 감지되고 제어부(150)에서 인식한 필기 내용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단말 장치의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170)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에서 촬영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후 제어부(150)로 출력되거나, 저장없이 바로 제어부(150)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17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이 될 수도 있고,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70)는 모션 센서 또는 비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70)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부(175)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수단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는 저장부(18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출력 수단은 공기 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전도 스피커는 이어폰 등이 해당된다. 공기 전도 스피커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공기를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킨다. 즉,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귓속에 있는 고막으로 전달되고, 고막의 진동은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통해 나사 모양의 와우에 전달된다. 와우에는 림프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 신호로 바뀌면서 청각 신경에 전달되어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한다. 골전도 스피커는 주파수 형태의 진동으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원할하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만일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다면, 오디오 신호는 골전도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골전도 음파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전도되어 주파수 형태의 진동이 사용자의 내이로 전달되게 된다.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고막에 무리없이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디오부(175)는 오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부(170)는 화상 통화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의 하우징과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분리되는 경우, 스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또는 사진은 카메라부(17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18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8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하여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80)는 단말 장치에 착탈 가능한 외부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저장 매체는 SD(Secure Digital)나 CF(Compact Flash) 메모리와 같은 슬롯 형태, 메모리 스틱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 형태 등이 가능하다. 즉, 외부 저장 매체는 단말 장치에 착탈 가능하고,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컨텐츠를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80)는 램(RAM), 롬(ROM), 캐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FDD), 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플래쉬 메모리, USB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부(185)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단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일차 전지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의 경우,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단말 장치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의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TV,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네비게이터, PMP, 결제용 단말기, 보안용 단말기,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는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장치로도 활용되고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 장치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수납된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기둥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은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펜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팁(11)은 기둥 형태의 하우징 아래쪽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팁(11)은 펜의 펜촉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팁(11)은 잉크가 포함되지 않고, 팁(11)의 움직임, 팁(11)에 대한 압력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팁(11) 위쪽에는 그립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펜이 손잡이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에서 그립할 수 있도록 그립부(120)는 기둥을 한바퀴 감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사용자의 컨택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그립부(120)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물리적인 키, 소프트 키,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 입력부(13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부(13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 상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의 동일한 키는 단말 장치(100)의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으로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펜 모드에서 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키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홈 기능으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전자 펜 모드에서 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키는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 기능으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전자 펜 모드에서 메시지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키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홈 기능으로 매핑될 수도 있다. 상술한 매핑 키 전환은 일 실시 예이며, 입력부(130)의 키는 다양한 기능으로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의 일부 키는 모드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입력부(130)의 전원 키는 모드에 상관없이 전원 온-오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입력부(13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즉,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입력부(13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 위쪽에 입력부(13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팁(11), 그립부(120), 서브 디스플레이부(165),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안에 수납될 수 있다.
도 3(b)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노출된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노출되거나 단말 장치(100)에 수납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30)의 키를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하우징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에 롤링될 수 있다. 즉,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밖으로 노출시키는 힘을 받는 경우, 롤링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힘이 사라지면 소재의 탄성력에 의해 롤링되면서 하우징 안으로 수납될 수 있다. 또는, 팁(11)은 회전 가능하고, 팁(11)의 일부분은 하우징 안쪽에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 안쪽에 팁(11)의 일부분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팁(11)의 회전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수납되거나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팁(11)과 별도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를 롤링하는 축의 일부분이 하우징 바깥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 바깥쪽으로 노출된 축의 일부분을 회전시키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수납된 단말 장치(100a)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a)는 팁(11), 그립부(120), 입력부(130),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a)의 각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 장치(100a)는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은 분리될 수 있다.
도 4(b)는 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100a)가 도시되어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외부로 노출되거나 단말 장치(100a)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양 끝단은 단말 장치(100a)의 제1 부분(13a)과 제2 부분(13b)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13a)와 제2 부분(13b)은 분리될 수 있고, 제1 부분(13a)과 제2 부분(13b)의 분리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노출될 수 있다. 제1 부분(13a) 또는 제2 부분(13b)은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에 롤링될 수 있다. 제1 부분(13a)과 제2 부분(13b)이 분리되면, 롤링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풀리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이 다시 결합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에 다시 롤링되면서 수납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a)의 하우징은 장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이 분리되어 펼쳐지는 경우, 수납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이 합체되는 경우,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수납될 수 있다.
팁(11)은 제1 부분(13a) 또는 제2 부분(13b) 중 하나의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13a)과 제2 부분(13b)이 분리되면, 팁(11)은 하나의 부분에만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단말 장치가 컨택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펜을 잡는 경우, 펜의 세 부분이 손가락과 접촉될 수 있다. 하나의 접촉부는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두 개의 접촉부는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일 펜의 두 부분이 손가락과 접촉한다면, 그립 구조는 불안정할 수 있다. 또한, 펜의 네 부분 이상이 손가락과 접촉하는 것은 손가락 및 펜의 구조상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이고 안정적은 펜 그립 구조는 펜의 세 부분이 손가락과 접촉하는 구조이다.
도 5에는 단말 장치(100)를 아래에서 바라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2a, 2b, 2c)에 의해 그립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1 손가락(2c)은 필기를 할 때 펜의 하부를 지지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제2 및 제3 손가락(2a, 2b)은 필기를 할 때 펜의 상부를 지지해 줄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의 그립부를 그립할 수 있다. 그립부는 사용자의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컨택이 감지되면, 그립부는 감지된 컨택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달된 컨택 정보가 기 설정된 컨택 정보와 매칭되면 필기를 위한 그립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두 개의 인접한 컨택 및 이와 떨어진 하나의 컨택의 세 개의 컨택 포지션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전달받은 컨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택 지점이 세 지점인지, 컨택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컨택 정보와 전달받은 컨택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화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화가 수신되는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수납된 전자 펜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전화가 수신되면,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에 수신되는 전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전화 수신을 표시하는 이미지와 상대방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할 데이터가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의 표시 가능 영역보다 많은 경우, 단말 장치(100)는 데이터를 흐르는 것처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부(165)가 표시할 수 있는 글자가 5글자이고, 표시할 데이터가 10글자인 경우, 단말 장치(100)는 표시할 데이터의 1번째 글자부터 5번째 글자까지 표시한 후, 1번째 글자를 지우고, 2번째 글자부터 5번째 글자를 한 칸씩 이동시킨 후, 6번째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오디오부를 포함하여 전화가 수신되었는 것을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모터를 포함하여 진동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b)에는 단말 장치(100)로 필기를 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화가 오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신을 거절하고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팁(11)은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팁(11)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눌리면 단말 장치(100)는 기록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100)는 전화가 수신된 후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메시지로 인식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을 메시지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 설정된 조건은 전화 수신 후 기 설정된 컨택 상태가 되는 조건, 단말 장치(100)가 지면과 수평이 된 후 기 설정된 컨택 상태가 되는 조건 또는 단말 장치(100)가 지면과 수직이 된 후 기 설정된 컨택 상태가 되는 조건 등일 수 있다.
기록 모드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call later'의 글자를 쓰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기초로 'call later'라는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인식한 메시지를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취소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취소 명령을 입력받으면 인식한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글자를 쓰면, 단말 장치(100)는 다시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6(c)는 단말 장치(100)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기초로 사용자의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메시지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입력부(130)는 메시지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메시지 인식 후 전송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대방에게 인식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수신 전화를 거절할 수 있다. 상대방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100)는 수신 전화 종료나 거절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메시지 인식 후 전화 종료나 거절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대방에게 인식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수신 전화를 거절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전자 펜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수신 거절 명령이 입력될 때, 인식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펼쳐진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팁(11), 그립부(120),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카메라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30)를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와 일체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노출된 경우,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다양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화상 통화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화상 통화 모드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상대방의 이미지 및 자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대방과 통화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수납될 수 있다.
도 7(b)에는 단말 장치(100)로 필기를 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화 통화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에 수납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스피커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상대방의 이미지 또는 상대방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120)의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100)는 팁(11)에 가해진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기록 모드를 실행할 수 있고, 단말 장치(100)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록 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는 인식된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c)는 단말 장치(100)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기초로 사용자의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메시지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의 입력부(130)는 메시지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가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와 일체로 구현된 경우,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키는 터치 패널 상의 키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메시지 인식 후 전송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대방에게 인식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대방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에 수납되고, 그립부(120)에서 감지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하고, 전송 명령을 입력받으면 인식됨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가 전자 펜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되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노출되면, 단말 장치(100)는 화상 통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화가 수신되는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수납된 전자 펜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팁(11)은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팁(11)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 눌리거나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눌리는 경우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전자 펜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스피커폰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전자 펜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하우징 하단부의 끝단(예, 팁)(11)이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물체와 접촉하거나 기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프레스되는 경우 스피커폰 기능을 활성화하여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중 필기를 할 수 있다.
도 8(b)에는 단말 장치(100)로 필기를 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120)의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기록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기록 모드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19:00'의 글자를 쓰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기초로 '19:00'라는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인식한 메시지를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인식한 메시지를 통화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00)는 취소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취소 명령을 입력받으면 인식한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글자를 쓰면, 단말 장치(100)는 다시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팁(11)이 물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움직일 때만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100)는 팁(11)이 물체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움직일 때만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단말 장치(100)는 기록 모드가 실행 중일 때, 팁(11)이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상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 기록 모드를 중지시킬 수도 있다.
도 8(c)에는 통화 정보와 함께 기록된 메시지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록 모드에서 기록된 메시지는 통화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통화 정보는 수신 시간, 통화 시간, 송신자, 인식된 메시지 기록 시간 및 통화 녹음 파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QQQ라는 사람과 15부터 15시30분까지 통화하였고, 15시10분에 30초간 '19시 음식 준비(19:00 prepare food)'라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통화 중 메시지 기록의 실시 예는 도 8(b)에서 설명하였다. 통화가 종료된 후,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통화 정보와 함께 인식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상대방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대방과의 통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통화 정보가 전체 통화 녹음 파일인 경우, 단말 장치(100)는 15시부터 15시30분까지 통화 내용을 녹음한 녹음 파일과 함께 '19시 음식 준비(19:00 prepare food)'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이전 또는 이후에 상대방과의 통화 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다른 통화 정보 전환 메뉴 또는 공유 메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다른 통화 정보 전환 메뉴가 선택되면, 단말 장치(100)는 다른 통화 정보와 함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정보가 수신 시간이면, 15시와 함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화 정보가 통화 시간이면 15시부터 15시30분과 함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화 정보가 인식된 메시지 기록 시간이면, 15시10분부터 15시10분30초와 함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화 정보가 메시지 기록 통화 녹음 파일이면, 15시10분부터 30초간 녹음된 통화 파일과 함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화 정보가 통화 녹음 파일인 경우, 단말 장치(100)는 통화 녹음 파일이 선택되면 녹음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상대방이 선택되고 공유 메뉴가 선택되거나 전송 명령을 입력받으면 선택된 상대방에게 인식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120)를 통해 손가락의 컨택을 인식할 수 있고, 필기를 통해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상술한 동작을 잉용하여 보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1차 보안 해제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의 그립부(120)에 손가락이 컨택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의 그립부(120)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컨택된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단말 장치(100)는 보안 해제 모드를 세 가지 종류로 설정할 수 있다. 세 가지 종류의 보안 해제 모드는 1차 보안 해제 모드, 2차 보안 해제 모드, 임시 보안 해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보안 해제 모드는 지문을 인식하여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모드이다. 단말 장치(100)는 보안 해제를 위한 지문을 미리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보안 해제를 위한 지문이 인식되면,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120)를 통해 입력된 지문을 기 설정된 지문과 비교할 수 있다.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제1 보안 설정을 해제하여 1차 보안 해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9(b)는 1차 보안 해제 모드가 실행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1차 보안 해제 모드는 단말 장치(100)의 일반적인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통화, 카메라, 인터넷 연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문서 폴더, 이미지 폴더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2차 보안 해제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2차 보안 해제 모드는 지문과 서명을 인식하여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모드이다. 즉, 2차 보안 해제 모드는 2 단계의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를 그립하여 필기를 할 수 있다. 그립부(120)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컨택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지문을 기 설정된 지문과 비교할 수 있다.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일차적으로 제1 보안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기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움직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서명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보안 해제를 위한 서명을 미리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명을 인식하면, 인식된 서명을 기 설정된 서명과 비교할 수 있다.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제2 보안 설정을 해제하여 2차 보안 해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인식된 사용자의 서명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b)는 2차 보안 해제 모드가 실행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2차 보안 해제 모드는 단말 장치(100)의 개인적이고 비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환경 설정, 개인 정보 입력, 인증서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에 개인 사진, 일기 등의 폴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2차 보안 설정을 한 기능이나 폴더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시 언락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임시 보안 해제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임시 보안 모드는 서명을 인식하여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모드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에 자신의 지문을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타인의 지문은 단말 장치(100)에 인식시키고 싶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타인이 자신의 단말 장치(100)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시 보안 해제 모드는 간단한 서명을 인식하여 기능 제한적인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로 필기를 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사용자의 지문은 단말 장치(100)에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제1 보안 설정을 해제하지 않는다. 사용자의 필기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움직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서명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명을 인식하면, 인식된 서명을 기 설정된 서명과 비교할 수 있다. 지문이 매칭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임시 보안 해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임시 보안 해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서명은 도 10에서 설명한 2차 보안 해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서명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한편,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인식된 사용자의 서명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b)는 임시 보안 해제 모드가 실행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임시 보안 해제 모드는 단말 장치(100)의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통화, SMS, 인터넷 연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폴더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임시 보안 해제 모드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는 설정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지문과 서명을 기초로 복수의 보안 해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지문과 서명을 기초로 다양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결제 서비스가 실행되는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지문 및 서명 기능을 이용하여 안전한 결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쇼핑 및 결제 관련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위해 전자 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2(b)는 전자 펜 모드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수납되고,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전자 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립부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지문을 미리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그립부를 통해 지문이 인식되면, 단말 장치(100)는 인식된 지문을 기 설정된 지문가 비교할 수 있다. 인식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인식된 지문을 결제를 위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의 보안 또는 결제 방식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인식된 지문을 전송함으로써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서버의 결제 방식은 서명을 추가적으로 요구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로 필기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기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움직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서명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명을 인식하면, 인식된 서명을 기 설정된 서명과 비교할 수 있다.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인식된 서명을 결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는 일정 시간 동안 인식된 서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결제 서버는 결제를 위한 방식으로 서명만을 요구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인식된 지문과 인식된 서명이 매칭되는 경우에만 결제 서버로 서명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인식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지 않거나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서명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안전한 결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설명한 결제 서비스는 인증 방식의 일 실시 예이며,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인증 과정을 상술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인증 화면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된 후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하우징에 수납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전자 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120)를 통해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고,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는 경우,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인증 화면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방식은 다양하다. 일 실시 예로서, 일부 사이트는 가입하거나 로그인을 위해 보안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서명 및 보안 문자를 입력받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장치(100) 안으로 수납될 수 있다.
도 13(b)는 전자 펜 모드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지문을 기 설정된 지문과 비교할 수 있다.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만일, 단말 장치(100)는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지 않으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신호는 사운드일 수 있고,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통한 메시지 출력 또는 점멸 신호일 수 있다.
보안 문자가 있을 때, 단말 장치(100)는 보안 문자를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안 문자는 자동 가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문자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펜 모드에서 사용자는 보안 문자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단말 장치(10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에 보안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로 필기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기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움직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하면, 인식된 필기를 보안 문자와 비교할 수 있다. 인식된 필기가 보안 문자와 매칭되면 단말 장치(100)는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인식된 필기가 보안 문자와 매칭되지 않느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모드 및 전자 펜 모드에서 단말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단말 장치(100)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분리된 단말 장치(100)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드의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는 그립부(120), 입력부(130),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120)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는 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팁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안에 삽입될 수 있다. 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분리되는 경우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하우징에 수납되는 경우 바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장치(100)와 분리될 수 있다.
도 14(b)는 분리된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와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분리되면 각각의 부분은 독립한 전자 장치로서 동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하우징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포함하는 부분을 메인 단말 장치(101)라고 부르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는 부분을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라고 부르기로 한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외하고 모든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의 일 영역에 통신부, 오디오부, 저장부, 파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의 각 구성부는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는 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 메인 단말 장치(1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분리된 경우에만 독립적인 전원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의 일 부분은 전기적 및 기계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되는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의 단말 장치(100a)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100a)는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의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부분(13a)과 제2 부분(13b)은 분리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에 연결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팁은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부분(13a) 또는 제2 부분(13b)의 일 부분과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분리될 수 있다.
도 15(b)는 분리된 단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b)에는 제1 부분(13a)과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분리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부분(13a)과 연결되고 제2 부분(13b)와 분리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와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가 분리되면 각각의 부분은 독립한 전자 장치로서 동작될 수 있다. 하우징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65)를 포함하는 부분이 메인 단말 장치(13a)이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는 부분이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a)이다.
단말 장치(100)가 제1 부분(13a)과 제2 부분(13b)을 포함하여 제1 부분(13a)과 제2 부분(13b)이 분리되는 점이 도 14의 단말 장치(100)와의 차이이다. 다른 점은 도 14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된 단말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메인 단말 장치(101)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가 도시되어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160)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을 인식하면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을 인식한 지점에 메뉴(5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다양한 방식으로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와 메인 단말 장치(101)의 팁(11)은 전자기 유도를 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팁(11)이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로 접근하면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류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에 흐를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을 인식하고 메뉴(5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를 터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터치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의 입력부(130)는 메뉴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에 터치했을 때 메뉴 키가 선택되면, 메인 단말 장치(101)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로 메뉴 표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터치 지점에 메뉴(5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로 메뉴 표시 명령을 전송하면,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을 인식한 지점에 메뉴(5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뉴 표시는 일 실시 예이며,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선택, 복사, 관련 정보 표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된 단말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메인 단말 장치(101)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가 디스플레이한 컨텐츠를 스캔하고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스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메뉴가 선택되면, 메인 단말 장치(101)는 카메라를 턴-온 시킬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이 디스플레이부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메인 단말 장치(101)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단말 장치(101)는 파노라마 모드와 유사하게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촬영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촬영된 컨텐츠를 하나의 이미지로 생성함으로써 스캔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단말 장치(101)는 생성된 스캔 파일로부터 문자를 인식하고, 이미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단말 장치(101)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일정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알림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단말 장치(101)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에 이동 속도 및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와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메인 단말 장치(101)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에 초기 이동 속도 및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와의 거리의 변화를 사운드나 점멸 등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메인 단말 장치(101)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일정한 주기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빠른 주기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느린 주기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메인 단말 장치(101)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와의 거리를 유지할 때는 LED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LED를 느린 주기로 점멸하고, 거리가 가까와짐에 따라 LED를 빠른 주기로 점멸할 수 있다.
도 18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된 단말 장치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와 컨텐츠를 복사한 메인 단말 장치(101)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한 컨텐츠를 복사 또는 오려둘 수 있다. 또는, 메인 단말 장치(101)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스캔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의 파일일 수 있으며, 한 단어 또는 하나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스캔된 컨텐츠로부터 이미지와 문자를 구별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불러오기 명령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서브 디스플레이부(16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메뉴는 문자, 이미지, URL 주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으면 선택된 컨텐츠를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메뉴(53)가 선택될 수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는 현재 저장된 이미지를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단말 장치(101)가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접근하거나 터치하면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메인 단말 장치(101)의 접근 또는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102)는 인식된 지점에 수신한 이미지(5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단말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1910). 하우징은 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고, 이미지 등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외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를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할 수 있다(S1920). 단말 장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의 키는 물리적인 버튼, 소프트 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입력부의 하나의 키를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홈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홈 키로 매핑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는 하우징에 수납될 수 있다(S1930).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는 내부에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롤링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롤링 축의 일부가 단말 장치 외부로 노출되거나 롤링 축과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부분이 단말 장치 외부에 포함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롤링 축 또는 외부의 회전할 수 있는 부분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는 수납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1940). 그립부는 사용자의 컨택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립부는 단말 장치의 팁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립부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여 지문을 인식할 수도 있다. 전자 펜 모드는 단말 장치(100)가 펜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고, 글씨를 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를 전자 펜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할 수 있다(S1950). 일 실시 예로서,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홈 키로 매핑된 키를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키 또는 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할 수도 있다. 키에 매핑된 기능은 일 실시 예이며, 다양한 기능이 매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00a: 단말 장치
101: 메인 단말 장치 102: 플렉서블 단말 장치
110: 통신부 120: 그립부
130: 입력부 140: 센서부
150: 제어부 160: 롤러블 디스플레이부
165: 서브 디스플레이부 170: 카메라부
175: 오디오부 180: 저장부
185: 파워부

Claims (20)

  1. 기둥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배치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립부;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제1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장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분리되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수납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합체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중 하나의 키를 상기 제1 모드에서는 홈 키로 매핑시키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전송 키로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하고, 수신 거절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끝단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물체와 접촉되는 경우 스피커폰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통화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기록 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끝단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물체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기록 모드를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가 종료되고,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상기 통화 정보와 함께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정보는,
    수신 시간, 통화 시간, 송신자, 상기 인식된 메시지 기록 시간, 통화 녹음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화상 통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경우, 상대방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식하고,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제1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보안 설정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서명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는 경우, 제2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서명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인증 화면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때,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서명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는 경우, 인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지문이 기 설정된 지문과 매칭되지 않거나 상기 인식된 서명이 기 설정된 서명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기둥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경우, 제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는 단계;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컨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립부가 감지한 컨택 상태가 기 설정된 컨택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매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91910A 2014-12-29 2014-12-29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7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910A KR102277260B1 (ko) 2014-12-29 2014-12-29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PCT/KR2015/000638 WO2016108326A1 (en) 2014-12-29 2015-01-21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619,816 US9485341B2 (en) 2014-12-29 2015-02-11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910A KR102277260B1 (ko) 2014-12-29 2014-12-29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254A true KR20160080254A (ko) 2016-07-07
KR102277260B1 KR102277260B1 (ko) 2021-07-14

Family

ID=5616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910A KR102277260B1 (ko) 2014-12-29 2014-12-29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85341B2 (ko)
KR (1) KR102277260B1 (ko)
WO (1) WO20161083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892A (ko) * 2019-04-25 2020-11-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스크린 전개 및 수납 어셈블리 및 단말기
WO2022119187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태 검출 방법
WO2023080280A1 (ko) * 2021-11-05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16B1 (ko) 2013-06-20 2020-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4310B1 (ko) * 2015-02-13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US9716778B1 (en) * 2015-04-27 2017-07-25 Derrick Kingsley Walker Three dimensional extension-screen smart phone
KR102526609B1 (ko) * 2015-07-30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JP1550320S (ko) * 2015-10-09 2016-05-30
KR102384744B1 (ko) * 2015-12-18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6713538A (zh) * 2016-12-07 2017-05-2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集成式移动终端
CN106790883A (zh) 2016-12-07 2017-05-3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集成式移动终端
CN108536225A (zh) * 2018-03-30 2018-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026235A (zh) * 2019-11-22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电子设备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12A (ko) *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기
US20140210757A1 (en) * 2013-01-29 2014-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1998B (fi) * 1999-12-08 2003-10-15 Nokia Corp Käyttöliittymä
KR100769783B1 (ko) 2002-03-29 2007-10-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입력 장치 및 표시 입력 시스템
US7456823B2 (en)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JP2005174006A (ja) 2003-12-11 2005-06-30 Canon Inc 表示装置
EP1753210A3 (en) 2005-08-12 2008-09-0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US20070247422A1 (en) 2006-03-30 2007-10-25 Xuuk, Inc.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US7880718B2 (en) 2006-04-18 2011-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aper flex input
US9823833B2 (en)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DE102007048596A1 (de) 2007-10-10 2009-04-23 Vodafone Holding Gmbh Flexibles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JP4909922B2 (ja) 2008-02-29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撓操作可能な情報表示端末装置、及び情報表示用インタフェース
US20100011291A1 (en)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EP2309710B1 (en) 2009-10-12 2018-10-17 BlackBerry Limited Call note management on communication device
US20120169609A1 (en) 2010-12-29 2012-07-0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navigation
US8587539B2 (en) 2011-01-21 2013-11-19 Blackberry Limited Multi-bend display activation adaptation
US8754961B2 (en) 2011-08-17 2014-06-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data from overlapping regions of images
KR101879615B1 (ko) 2011-11-23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59233A (ko) 2011-11-28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148717B1 (ko)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411423B2 (en)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2556B1 (ko) 2012-09-05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36356A (ko) 2013-05-20 2014-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인터렉션 방법
US20140347326A1 (en) * 2013-05-21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using hovering input
KR20140145480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전자 펜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12A (ko) *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기
US20140210757A1 (en) * 2013-01-29 2014-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892A (ko) * 2019-04-25 2020-11-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스크린 전개 및 수납 어셈블리 및 단말기
WO2022119187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태 검출 방법
WO2023080280A1 (ko) * 2021-11-05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8326A1 (en) 2016-07-07
KR102277260B1 (ko) 2021-07-14
US20160191690A1 (en) 2016-06-30
US9485341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260B1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824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98866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2808781B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KR10218240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2885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3853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9847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511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201302B (zh) 移动终端和用于该移动终端的控制方法
KR10225250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9060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313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302982B (zh)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该移动终端的方法
US10372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EP328234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135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9611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552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522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41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73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73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590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347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