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955A -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955A
KR20160077955A KR1020140188516A KR20140188516A KR20160077955A KR 20160077955 A KR20160077955 A KR 20160077955A KR 1020140188516 A KR1020140188516 A KR 1020140188516A KR 20140188516 A KR20140188516 A KR 20140188516A KR 20160077955 A KR20160077955 A KR 2016007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allast
ballast tanks
ship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955A/ko
Publication of KR2016007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동요로 인하여 발생되는 발라스트 수의 수위 변화에 따른 수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동요를 억제 하는 기능과 더불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a ship including a power generating system of oscillating water column type}
본 발명은,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동요로 인하여 발생되는 발라스트 수의 수위 변화에 따른 수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자연환경에 의해서 다양한 동요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동요 운동은 선박의 안전을 저해한다. 여기서 동요 운동이라 함은 파랑 또는 파고에 의하여 선박이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짐을 반복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히, 대형 컨테이너선의 경우에 선박의 횡동요에 의해 높게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들의 균형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이처럼 화물이 높게 적재되어 무게중심이 높은 경우에는 횡동요에 의해 선박이 전복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박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롤링(rolling)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며,발라스트 탱크를 이용한 안티 롤 시스템을 이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안티 롤 시스템은 선박이 동요 운동을 할 때, 한 측의 발라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발라스트 수를 다른 측의 발라스트 탱크로 이동하여 선박의 균형을 유지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파랑에 의하여 실린더 내부에 물기둥이 차지하는 체적의 변화가 발생된다. 그리고, 물기둥의 체적 변화에 따라 실린더 내부의 물기둥 상부에 채워진 내부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며, 이러한 공기의 유동을 유도관으로 유입시켜, 상기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유도관 내에 설치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얻는 방식이다.
관련 특허선행문헌으로는 KR20140067682A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의 동요를 억제 하는 동시에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안티 롤 시스템과, 상기 발라스트 탱크를 상호 연결하고, 발라스트 수 수위 조절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연결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에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라스트 탱크는, 각각의 상기 발라스트 탱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장착되는 제 1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펌프는,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발라스트 수를 펌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 발라스트 수를 독립적으로 투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펌프가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펌프는, 상기 선박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서 발라스트 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는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비동작하여 상기 선박의 동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기울기 변화값을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 값으로 상기 제 1펌프와 상기 제 2펌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발라스트 수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를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내측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장치는, 공기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결된 제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한 개의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적으로 수위조절이 가능한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와,선박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하여 각 구역의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안티 롤 시스템과,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수 수위 조절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연결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에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라스트 탱크는, 각각 독린된 구역의 발라스트 수를 차단하거나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펌핑하는 제 3펌프가 중앙부에 구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 발라스트 수를 독립적으로 투입 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4 펌프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기울기 변화값을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측정된 기울기 측정값으로 상기 제 3펌프와 상기 제 4펌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발라스트 수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를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내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장치는, 공기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결된 제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은,선박의 안티 롤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요를 억제 하는 기능과 더불어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운동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박이 기울어짐에 따라 선박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는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발라스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 공기는 그 체적만큼 발라스트 탱크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유도관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유도관의 일측은 발전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내부 공기는 발전장치를 거치게 되고, 발전장치는 상기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이 기울어짐에 따라 동요를 억제하기 위해 안티 롤 시스템이 가동되면, 선박의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위치한 발라스트 탱크로 발라스트 수가 투입되게 되고, 발라스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체적만큼 내부 공기가 이동하게 되어, 상기와 동일하게 발전장치를 거쳐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선박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 1펌프로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2의 반대 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 1펌프로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관의 위치를 예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관의 위치를 예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펌프의 위치를 예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구성도 이다.
도 8은 선박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 3펌프로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8의 반대 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 3펌프(141)로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관의 위치를 예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관의 위치를 예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선박이 횡동요할 때, 유도관과 합류관을 따라 흐르는 내부 공기를 발전장치로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선박이 종동요할 때, 유도관과 합류관을 따라 흐르는 내부 공기를 발전장치로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2개의 독립된 발라스트 탱크(110, 120)와,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 120)와 연결된 연결관(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은 상기 연결관(130)에 설치되어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 120)에 저장된 발라스트 수를 상호 펌핑하는 제 1펌프(131)와, 발라스트 수를 투입 또는 배출하는 제 2펌프(111, 121)를 포함한다. 각 펌프의 구체적인 위치 및 기능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설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은 상기 선박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150)와, 발라스트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160)와,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관(180)과, 상기 유도관(180)의 공기의 흐름으로 발전하는 발전장치(19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박(100) 내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타측에 위치한 독립된 발라스트 탱크(110, 120)를 보유하고, 선박(100)의 균형 및 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발라스트 수를 저장한다.
또한, 독립된 발라스트 탱크(110, 120)는 좌우 또는 전후 방향의 균형 및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체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로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선박크기에 따라 크기와 개수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독립된 발라스트 탱크(110, 120)는 서로 연결관(130)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30)은 만선 상태, 즉 발라스트수의 수위가 최소 레벨인 경우에도 상기 연결관(130)을 통하여 발라스트수가 상호 이동될 수 있도록 각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30)은 발라스트 수의 유량과 흐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 1펌프(131)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제1펌프(131)의 역할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은 선박(100)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 1펌프(131)로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선박이 일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라스트 수는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한 발라스트 탱크(110, 120)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울어진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하기 위해 반대 측 방향에 위치한 발라스트 탱크(110, 120)로 발라스트 수를 이동시켜야 하며, 발라스트 수는 연결관(130)에 설치된 제 1펌프(131)의 펌핑으로 이동되어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으로, 독립된 각각의 발라스트 탱크(110, 120)는 선박 외부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발라스트 수를 독립적으로 투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제 2펌프(111, 121)를 포함한다.
또한, 제 2펌프(111, 121)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각각의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제 1펌프(131)와 제 2펌프(111, 121)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여부, 유량, 펌핑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 모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박(100)의 안티 롤 시스템은 전자식 제어 모듈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티 롤 시스템은 선박(100)의 기울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기울기 센서(150)를 구비하고, 기울기 센서(150)는 선박(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발라스트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이 기울어짐에 따라, 기울기 센서(150)와 수위감지센서(160)에서 출력된 측정값이 제어부로 입력되고, 제어부에서 결정된 명령에 따라 제 1펌프(131)와 제 2펌프(111, 121)를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선박(100)의 동요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독립된 발라스트 탱크(110, 120)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각각의 내부 공기가 상호 교환되는 유도관(180)을 포함한다.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하부에는 저장된 발라스트 수가 채워지며, 상기 발라스트 수의 상부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진다.
즉, 발라스트 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은 감소되며, 발라스트 수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은 증가된다. 이러한 발라스트 수의 증감에 따라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의 변화가 발생된다.
안티 롤 시스템이 작동되어 각각의 발라스트 탱크(110, 120) 사이의 발라스트 수가 선박이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발라스트 수의 체적 변화만큼의 내부 공기가 상기 유도관(180)을 통하여 선박(100)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유도관(180)은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상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관(180)의 일측에는 발전장치(190)가 마련된다.
상기 유도관(180)을 따라 이동되는 내부 공기는 발전장치(19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발전장치(190)는, 상기 내부 공기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너레이터는 교류, 직류 발전기 등 다양한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을 도 4, 도 5, 도 6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유도관(180)의 위치를 예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유도관(180)은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상면 및 상측면에 위치할 수있고,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펌프(111, 121)의 다양한 위치를 예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펌프(111, 121)는 발라스트 탱크(110, 120) 내부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비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제 2펌프(111, 1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일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구성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140)에 저장된 발라스트 수를 독립되어 나누어진 구역으로 상호 펌핑하는 제 3펌프(141)와 발라스트 수를 투입 또는 배출하는 제 4펌프(142, 143)를 포함한다. 각 펌프(141, 142, 143) 의 구체적인 위치 및 기능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설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은 상기 선박(10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150)와, 발라스트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160)와,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관(180)과, 상기 유도관(180)의 공기의 흐름으로 발전하는 발전장치(19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박(100) 내부에 위치한 발라스트 탱크(140)를 보유하고, 선박(100)의 균형 및 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발라스트 수를 저장한다.
또한, 발라스트 탱크(140)는 독립적으로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나누어진 독립된 구역을 구비하고, 좌우 또는 전후 방향의 균형 및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체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로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선박크기에 따라 크기와 개수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발라스트 탱크(140)는 발라스트 수의 유량과 흐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 3펌프(1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9을 참조하여 제1펌프의 역할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과 도 9는 선박(100)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 3펌프(141)로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선박(1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라스트 수는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한 발라스트 탱크(140)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울어진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하기 위해 반대 측 방향에 위치한 발라스트 탱크(140)로 발라스트 수를 이동시켜야 하며, 발라스트 수는 제 3펌프(141)의 펌핑으로 이동되어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으로,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140)는 선박 외부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발라스트 수를 독립적으로 투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제 4펌프(142, 143)를 포함한다.
또한, 제 4펌프(142, 143)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고, 발라스트 탱크(14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 3펌프(141)와 제 4펌프(142, 143)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여부, 유량, 펌핑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 모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박(100)의 안티 롤 시스템은 전자식 제어 모듈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티 롤 시스템은 선박(100)의 기울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기울기 센서(150)를 구비하고, 기울기 센서(150)는 선박(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라스트 탱크(14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발라스트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이 기울어짐에 따라, 기울기 센서(150)와 수위감지센서(160)에서 출력된 측정값이 제어부로 입력되고, 제어부에서 결정된 명령에 따라 제 3펌프(141)와 제 4펌프(142, 143)를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선박(100)의 동요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140)를 상호 연결하며 각각의 내부 공기가 상호 교환되는 유도관(180)을 포함한다.
상기 발라스트 탱크(140)의 하부에는 저장된 발라스트 수가 채워지며, 상기 발라스트 수의 상부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진다.
즉, 발라스트 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은 감소되며, 발라스트 수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은 증가된다. 이러한 발라스트 수의 증감에 따라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의 변화가 발생된다.
안티 롤 시스템이 작동되어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140)의 발라스트 수가 선박(100)이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발라스트 수의 체적 변화만큼의 내부 공기가 상기 유도관(180)을 통하여 선박(100)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유도관(180)은 발라스트 탱크(140)의 상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관(180)의 일측에는 발전장치(190)가 마련된다.
상기 유도관(180)을 따라 이동되는 내부 공기는 발전장치(19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발전장치(190)는, 상기 내부 공기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너레이터는 교류, 직류 발전기 등 다양한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을 도 10, 도 11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도관(180)의 다양한 위치를 예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유도관(180)은 발라스트 탱크(140)의 상면 및 상측면에 위치하여 구비될 수 있고, 발라스트 탱크(14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을 도 12, 도 13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2와 도1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발라스트 탱크(110, 110a, 120, 120a)는, 선박의 좌우에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발라스트(110,120) 탱크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다른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110a, 120a)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110,120)는 상호 독립된 좌우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14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개의 발라스트 탱크(110, 110a, 120, 120a)의 내부 공기가 발전장치(190)에 거치도록 유도하기 위해 복수개의 유도관(180)과 유도관(180)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연결되는 복수개의 합류관(18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관과 합류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181)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제어밸브(181)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개폐여부, 개폐율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 모듈을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선박(100)이 횡동요(선박의 좌, 우)할 때, 유도관(180)과 합류관(185)을 따라 흐르는 내부 공기를 발전장치(190)로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선박(100)이 횡동요할 때, 제1 발라스트 탱크(110)와 제 2발라스트 탱크(120) 사이에 연결된 제1좌우유도관(180c)에 구비된 제 5밸브(181e)와 제 6밸브(181f)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제3 발라스트 탱크(110a)와 제 4발라스트 탱크(120a) 사이에 연결된 제2좌우유도관(180d)에 구비된 제 7밸브(181g)와 제 8밸브(181h)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3합류관(185c)과 제4합류관(185d)에 각각 구비된 제11밸브(181k)와 제12밸브(181m)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발라스트 탱크(110)와 제3발라스트 탱크(110a)의 내부 공기는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 110a)의 발라스트 수가 증가되면, 제어밸브(181)가 개방되어 있는 제1전후유도관(180a)과 상기 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에 연결된 제1합류관(185a)을 따라 흘러 발전장치(190)를 거치게 되고, 상기 발전장치를 거쳐서 나온 내부 공기는 발전장치(190)와 연결된 제2합류관(185b)과 상기 합류관의 일측이 중간에 연결된 제2전후유도관(180b)으로 흘러 제2발라스트 탱크(120)와 제4발라스트 탱크(120a)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반대로 제2발라스트 탱크(120)와 제4발라스트 탱크(120a)의 내부 공기는 상기 발라스트 탱크(120, 120a)의 발라스트 수가 증가되면, 제어밸브(181)가 개방되어 있는 제2전후유도관(180b)과 상기 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190)에 연결된 제2합류관(185b)을 따라 흘러 발전장치(190)를 거치게 되고, 상기 발전장치(190)를 거쳐서 나온 내부 공기는 발전장치(190)와 연결된 제1합류관(185a)과 상기 합류관의 일측이 중간에 연결된 제1전후유도관(180a)으로 흘러 제1발라스트 탱크(110)와 제3발라스트 탱크(110a)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3은, 선박(100)이 종동요(선박의 전, 후)할 때, 유도관(180)과 합류관(185)을 따라 흐르는 내부 공기를 발전장치(190)로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선박(100)이 종동요할 때, 제1 발라스트 탱크(110)와 제 3발라스트 탱크(110a) 사이에 연결된 제1전후유도관(180a)에 구비된 제1밸브(181a)와 제 2밸브(181b)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제2발라스트 탱크(120)와 제 4발라스트 탱크(120a) 사이에 연결된 제2전후유도관(180b)에 구비된 제 3밸브(181c)와 제 4밸브(181d)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1합류관(185a)과 제2합류관(185b)에 각각 구비된 제9밸브(181i)와 제10밸브(181j)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발라스트 탱크(110)와 제2발라스트 탱크(120)의 내부 공기는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 120)의 발라스트 수가 증가되면,
제어밸브(181)가 개방되어 있는 제1좌우유도관(180c)과 상기 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190)에 연결된 제4합류관(185d)을 따라 흘러 발전장치(190)를 거치게 되고, 상기 발전장치(190)를 거쳐서 나온 내부 공기는 발전장치(190)와 연결된 제3합류관(185c)과 상기 합류관의 일측이 중간에 연결된 제2좌우유도관(180b)으로 흘러 제3발라스트 탱크(110a)와 제4발라스트 탱크(120a)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반대로 제3발라스트 탱크(110a)와 제4발라스트 탱크(120a)의 내부 공기는 상기 발라스트 탱크(110a, 120a)의 발라스트 수가 증가되면, 제어밸브(181)가 개방되어 있는 제2좌우유도관(180d)과 상기 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190)에 연결된 제3합류관(185c)을 따라 흘러 발전장치(190)를 거치게 되고, 상기 발전장치(190)를 거쳐서 나온 내부 공기는 발전장치(190)와 연결된 제4합류관(185d)과 상기 합류관의 일측이 중간에 연결된 제1좌우유도관(180c)으로 흘러 제1발라스트 탱크(110)와 제2발라스트 탱크(120)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에 기존의 공지기술을 단순 주합하거나 본 발명을 단순 변형한 실시 또한,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선박
110,120,140: 발라스트 탱크
111, 121: 제 2펌프
130: 연결관
131: 제 1펌프
141: 제 3펌프
142,143: 제 4펌프
150: 기울기센서
160: 수위감지센서
180: 유도관
181: 제어밸브
185: 합류관
190: 발전장치

Claims (36)

  1. 적어도 2개의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선박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안티 롤 시스템;
    상기 발라스트 탱크를 상호 연결하고, 발라스트 수 수위 조절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연결하는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에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장치;
    를 포함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탱크는,
    각각의 상기 발라스트 탱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장착되는 제 1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펌프는,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발라스트 수를 펌핑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 발라스트 수를 독립적으로 투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펌프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펌프는,
    상기 선박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서 발라스트 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는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비동작하여 상기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것이 특징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펌프는,
    상기 선박이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를 외부로부터 유입하고,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는 내부로 배출시키거나 비동작하여 상기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것이 특징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기울기 변화값을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발라스트 수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를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내측면에 구비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기울기 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측정값을 입력 받아 전자식 제어 모듈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펌프와 상기 제 2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공기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결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유도관으로 흐르는 내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한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밸브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개폐여부와 개폐율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측정값으로 상기 제어밸브의 전자식 제어 모듈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발라스트 탱크는 선박 좌우에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다른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관은
    선박 좌우에 마련된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좌우유도관과, 상기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와 다른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에 있어서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전후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유도관은
    선박 좌우에 마련된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1좌우유도관과 상기 다른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2좌우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와 다른 한쌍의 발라스트 탱크 중, 좌측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1전후유도관과, 우측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2전후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로 연결되는 제1합류관과; 상기 제2전후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로 연결되는 제2합류관과; 상기 제1좌우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상기 발전장치 측에 인접한 1합류관으로 연결되는 제3합류관과; 상기 제2좌우연결과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중간 일 측으로부터 상기 발전장치 측에 인접한 2합류관으로 연결되는 제4합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유도관은 전후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1밸브와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후유도관은 다른 전후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3밸브와 제4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좌우유도관은 좌우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5밸브 및 제6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좌우유도관은 다른 좌우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7밸브 및 제8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합류관은 제 3합류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9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합류관은 제 4합류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10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3합류관은 제 1합루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11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4합류관은 제 2합류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1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7. 제16항에 있어서,
    횡동요(좌, 우)시,
    상기 제5밸브와 상기 제6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 7밸브와 상기 제8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9밸브와 상기 제10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8. 제16항에 있어서,
    종동요(전, 후)시,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2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 3밸브와 상기 제4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11밸브와 상기 제12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9.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적으로 수위조절이 가능한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
    선박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하여 각 구역의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안티 롤 시스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수 수위 조절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연결하는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에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장치;
    를 포함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탱크는,
    각각 독립된 구역의 발라스트 수를 차단하거나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펌핑하는 제 3펌프가 중앙부에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포함하는 선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 발라스트 수를 독립적으로 투입 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4 펌프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펌프는,
    상기 선박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서 발라스트 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는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비동작하여 상기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것이 특징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펌프는,
    상기 선박이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를 외부로부터 유입하고,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발라스트 수는 내부로 배출시키거나 비동작하여 상기 선박의 동요를 억제하는 것이 특징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기울기 변화값을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발라스트 수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를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내측면에 구비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기울기 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측정값을 입력 받아 전자식 제어 모듈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펌프와 상기 제 4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공기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결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8.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롤 시스템은,
    상기 유도관으로 흐르는 내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한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밸브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개폐여부와 개폐율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측정값으로 상기 제어밸브의 전자식 제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인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좌우 구역으로 나누어진 발라스트 탱크는,
    상기 발라스트 탱크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발라스트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관은
    선박 좌우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좌우유도관과, 상기 발라스트 탱크와 다른 발라스트 탱크에 있어서,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전후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유도관은
    선박 좌우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1좌우유도관과 상기 다른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2좌우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탱크와 다른 발라스트 탱크 중, 좌측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1전후유도관과, 우측에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2전후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로 연결되는 제1합류관과; 상기 제2전후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발전장치로 연결되는 제2합류관과; 상기 제1좌우유도관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상기 발전장치 측에 인접한 1합류관으로 연결되는 제3합류관과; 상기 제2좌우연결과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중간 일 측으로부터 상기 발전장치 측에 인접한 2합류관으로 연결되는 제4합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유도관은 전후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1밸브와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후유도관은 다른 전후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3밸브와 제4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좌우유도관은 좌우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5밸브 및 제6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좌우유도관은 다른 좌우측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한 부분에 제7밸브 및 제8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합류관은 제 3합류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9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합류관은 제 4합류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10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3합류관은 제 1합루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11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4합류관은 제 2합류관과 인접한 부분에 제 1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5. 제34항에 있어서,
    횡동요(좌, 우)시,
    상기 제5밸브와 상기 제6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 7밸브와 상기 제8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9밸브와 상기 제10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6. 제34항에 있어서,
    종동요(전, 후)시,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2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 3밸브와 상기 제4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고,
    상기 제11밸브와 상기 제12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140188516A 2014-12-24 2014-12-24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20160077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16A KR20160077955A (ko) 2014-12-24 2014-12-24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16A KR20160077955A (ko) 2014-12-24 2014-12-24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55A true KR20160077955A (ko) 2016-07-04

Family

ID=5650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516A KR20160077955A (ko) 2014-12-24 2014-12-24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95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56745C1 (ru) * 2017-06-06 2018-06-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ассивный успокоитель качки плавающего средства
WO2019124720A1 (ko) * 2017-12-22 2019-06-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 챔버를 활용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용 터빈 실해역 시험 시스템 및 방법
CN110254653A (zh) * 2019-06-27 2019-09-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平衡舱室及平衡舱室的设计方法
RU2717402C2 (ru) * 2017-06-06 2020-03-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ассивный успокоитель качки плавающего средства
KR102249656B1 (ko) * 2020-03-26 2021-05-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평형수탱크 공기유동 기반 발전장치 및 선박 비상기기용 전력공급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56745C1 (ru) * 2017-06-06 2018-06-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ассивный успокоитель качки плавающего средства
RU2717402C2 (ru) * 2017-06-06 2020-03-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ассивный успокоитель качки плавающего средства
WO2019124720A1 (ko) * 2017-12-22 2019-06-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 챔버를 활용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용 터빈 실해역 시험 시스템 및 방법
CN110254653A (zh) * 2019-06-27 2019-09-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平衡舱室及平衡舱室的设计方法
KR102249656B1 (ko) * 2020-03-26 2021-05-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평형수탱크 공기유동 기반 발전장치 및 선박 비상기기용 전력공급시스템
WO2021194009A1 (ko) * 2020-03-26 2021-09-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평형수탱크 공기유동 기반 발전장치 및 선박 비상기기용 전력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7955A (ko) 진동수주형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JP2005271673A (ja) 浮体構造物における姿勢制御装置
US11299242B2 (en) U-tank active roll dampening system for and method for active roll dampening of a vessel
JP2016094902A (ja) 波力発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30003809A (ko) 선박용 밸러스트 탱크의 자유표면 조절장치
JP2019077258A (ja) 浮力調整装置及び浮力調整システム
US11199173B2 (e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wave motion of the sea
CN109625204A (zh) 基于被动式减摇水舱的快速减摇装置
KR101655191B1 (ko) 유체유동을 이용한 타워의 진동저감 장치
JP2005280550A (ja) パラメトリック横揺れ防止装置
JP3743054B2 (ja) 海洋構造物の減揺装置
JP2017154867A (ja) 吊り荷のスキュー振れ止め制御装置
KR101400003B1 (ko) 해양구조물의 동요 저감 장치
WO2021094635A1 (es) Sistema para adrizar y reducir movimientos en plataformas flotantes
JP4596999B2 (ja) 減揺水槽装置の制御方法
KR102358231B1 (ko) 요동 운동을 하는 구조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6907775B2 (ja) 水中浮遊式装置
CN103661826A (zh) 适用于海上和建筑物的减震系统
KR102014636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CN107891958A (zh) 阻水箱和无人遥控潜水艇
WO2013070083A9 (en) Method and device to dampening of roll movements of a ship
KR20120084385A (ko) 에어 캐비티 선박의 압력센서를 이용한 공기방 공기 공급 제어방법
KR101984908B1 (ko) 횡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선박
KR101859026B1 (ko) 부유체의 고유주기 제어를 위한 부유체에 적재된 유체 유동 조절 장치
KR101799963B1 (ko) 구조물의 동요를 저감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