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111A -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111A
KR20160077111A KR1020167013345A KR20167013345A KR20160077111A KR 20160077111 A KR20160077111 A KR 20160077111A KR 1020167013345 A KR1020167013345 A KR 1020167013345A KR 20167013345 A KR20167013345 A KR 20167013345A KR 20160077111 A KR20160077111 A KR 20160077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esource
transmission
data
resource poo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우빈 가오
웬홍 첸
잉 펭
루이 자오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6007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based on age of data to be s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종래 기술에 있어서 송신단의 UE가 송신한 다수의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수신단의 UE가 병합한 후 검출할 수 없어 검출 성공률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은,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 및 제1 전송 자원과 관련되는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수신단이 송신단의 UE가 송신한 다수의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병합한 후 검출할 수 있도록 확보되므로, 검출 성공률이 향상되고, 전송 성능이 더 향상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본 출원은 2013년 11월 8일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1310553612.9, 발명명칭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하였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기술에서 두 유저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 절차는 도 1과 같다. 두 유저 장치의 음성과 데이터 등 서비스는 각자에 상주하는 eNB(진화형 기지국) 및 코어망을 통해 인터랙티브를 진행한다.
유저 장치 D2D(Device-to-Device) 기술은 도 2와 같이, 서로 근접한 유저 장치가 근거리 범위 내에서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으로서, 센터 노드(즉 기지국)을 통해 전달하지 않아도 된다. D2D 기술은 그 자체의 단거리 통신 특징과 직접 통신 방식에 의해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유저 장치의 근거리 직접 통신 방식은 비교적 높은 데이터 속도, 비교적 낮은 지연 및 비교적 낮은 파워 손실을 구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광범위하게 분포된 유저 장치 및 D2D 통신 링크의 단거리 특징을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럼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D2D 직접 통신 방식은 무선 P2P 등 서비스와 같은 로컬 데이터 공유 수요에 적응하여, 융통성 있는 적응 능력을 가진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D2D 직접 통신은 네트워크 중 수량이 방대하고 분포가 광범위한 통신 유저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커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D2D 발견은 D2D의 하나의 서비스 형태이며, 이는 하나의 D2D UE(유저 장치)가 근처의 다른 D2D UE가 송신한 무선 신호를 검출하여, 장치 정보, 응용 정보, 서비스 유형 등을 포함한 근처 UE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가리킨다.
도 3과 같이, UE는 하나의 자원 풀 내의 일부 자원에서 신호 전송을 진행한다. 상기 신호 전송은 D2D 신호의 전송일 수 있으며, 셀룰러 신호의 전송일 수도 있다. 자원 풀은 일부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시간 범위와 일정한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자원 풀은 일정한 주기로 시간 영역 내에서 반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자원 풀은 시간과 주파수 대역 내에서 모두 연속된 것이나, 사실상 자원 풀은 비연속적인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원 풀 내의 자원은 다수의 전송 자원으로 분할되며, UE는 자원 풀 내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송 자원을 차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나의 전송 자원은 하나의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일 수 있으며, 다수의 PRB일 수도 있다. 다수의 PRB는 연속 또는 비연속적일 수 있다.
송신단의 UE는 자원 풀로부터 하나의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여 전송에 이용한다. 신호 전송의 커버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송신단의 UE는 다수의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여 전송한다. 다만, 수신단의 UE는 검출 전 송신단이 선택한 자원 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수신단의 UE는 수신된 데이터만 검출할 수 있을 뿐, 송신단의 UE가 송신한 다수의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병합한 후 검출할 수 없으며, 검출 성공률이 비교적 낮다.
상기와 같이, 종래 수신단의 UE는 송신단의 UE가 송신한 다수의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병합한 후 검출할 수 없으며, 검출 성공률이 비교적 낮다.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이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수신단의 UE가, 송신단의 UE가 송신한 다수의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병합한 후 검출할 수 없어 검출 성공률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대응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수신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측정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을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반복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로 다른 여분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그 중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의 일부를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상기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상기 제2 지시 정보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수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제1 확정 모듈;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반복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로 다른 여분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그 중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일부를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상기 수신단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상기 제2 지시 정보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수신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 후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수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제2 확정 모듈;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수신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단;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송 자원과 관련되는 제2 전송 자원에서 송신단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 전송 자원과 관련되는 제2 전송 자원에서 수신단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검출의 성공 확률이 향상된다.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 및 제1 전송 자원과 관련되는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수신단이 송신단의 UE가 송신한 다수의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병합한 후 검출 가능하도록 확보되어, 검출 성공률이 향상되고 전송 성능이 더 향상된다.
도 1은 배경 기술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 중 유저 장치 통신의 데이터 흐름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배경 기술에 따른 유저 장치간 직접 통신의 데이터 흐름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배경 기술에 따른 자원 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자원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지시 정보 전송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 중 송신단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 중 수신단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 중 송신단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 중 수신단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관련되는 제2 전송 자원에서 전송 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관련되는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검출의 성공 확률이 향상된다.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 및 제1 전송 자원과 관련되는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수신단이 송신단의 UE가 송신한 다수의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병합한 후 검출 가능하도록 확보되어, 검출 성공률이 향상되고, 전송 성능이 더 향상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은 송신단(40)과 수신단(41)을 포함한다.
송신단(40)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poll)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단(41)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은 서로 다르다.
실시에서,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다. 이하 몇 가지를 나열한다.
제1 전송 자원 확정 방식 1:
송신단이, 수신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 또는 기타 장치는 송신단에 제1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고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할당된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송신단에 송신한다.
네트워크측 장치 또는 기타 장치는 필요에 따라 송신단에 제1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제1 전송 자원의 위치 정보 등이다.
제1 전송 자원 확정 방식 2: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여기서 제1 전송 자원 풀은 네트워크측 장치 또는 기타 장치으로부터 송신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프로토콜 등 방식으로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송신단이,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실시에서,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할 때, 서로 같은 확률 또는 서로 다른 확률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 자원 풀 내의 전송 자원의 수를 N이라고 가정하면, 선택 시 송신단은 먼저 [1, 2, …, N]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랜덤 변수를 생성하며, 상기 랜덤 변수을 인덱스 값으로하여 대응하는 자원 풀 내의 전송 자원이 바로 송신단이 선택한 자원이다. [1, 2,…, N]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랜덤 변수의 값이 n(1<=n<=N)이 되는 확률은 1/N이다.
또는, 송신단은 선택 시 먼저 [1, 2, …, N]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랜덤 변수를 생성하며, 상기 랜덤 변수을 인덱스 값으로하여 대응하는 자원 풀 내의 전송 자원이 바로 송신단이 선택한 자원이다. [1, 2,…, N]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랜덤 변수의 값이 n(1<=n<=N)이 되는 확률은 1/N과 같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랜덤 변수의 값이 1이 되는 확률은 1/2이고, n(1<n<=N)이 되는 확률은 1/(2(N-1))이다.
실시에서, 송신단은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할 때, 먼저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을 측정하여 모든 전송 자원의 신호 강도를 확정한 후, 신호 강도가 가장 낮은 N개 전송 자원을 제1 전송 자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신호 강도는 신호의 파워, 신호 전파의 경로 손실, 신호와 간섭 및 노이즈의 파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등일 수 있다.
실시에서,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은 수학식 1일 수 있다.
M = EQUIP_ID mod N … 수학식 1
여기서, M은 선택된 제1 전송 자원이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서의 인덱스 값이고, EQUIP_ID는 송신단의 식별자이며, N은 제1 전송 자원 풀 내의 전송 자원의 수이다.
송신단의 식별자는 국제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임시 이동국 식별번호(Temporary Mobile Station Identity, TMSI;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라고도 함), 셀 무선네트워크 임시 식별번호(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C-RNTI), 장치 식별자(ID),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주소 등일 수 있다. 제1 전송 자원 풀 내의 각각의 전송 자원은 모두 하나의 고유 인덱스 값을 구비하고, 인덱스 값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생성되거나(예를 들어 자원 위치에 따라 생성, 랜덤 생성 등), 또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제1 선택 규칙은 수학식 2일 수도 있다.
M = InformationBits mod N … 수학식 2
여기서, M은 선택된 제1 전송 자원이 자원 풀 내에서의 인덱스 값이고, InformationBits는 송신단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비트의 십진 표현이며, N은 전송 자원 풀 내의 전송 자원의 수이다. InformationBits는 송신단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일부 비트의 십진 표현, 예를 들어 마지막 10자리 비트의 십진 표현일 수도 있다.
실시에서,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은,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송신단은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송신단은 측정된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송신단은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도 5와 같이, 전송 자원(1)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는 3개의 전송 자원, {7,13,19}가 포함된다. 전송 자원(11)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는 3개의 전송 자원, {17,23,29}가 포함된다. 송신단 장치가 전송 자원(1)을 그 제1 전송 자원으로 선택하면, 그 제2 전송 자원은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7,13,19}로부터만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신단 장치는 13을 그 제2 전송 자원으로 선택한다.
제2 전송 자원 풀에 포함된 전송 자원의 수는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3 또는 4이다.
송신단은 아래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할 수 있다.
제2 전송 자원 풀의 확정 방식 1:
송신단은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한다.
예를 들어 어느 데이터 전송 자원이 제2 전송 자원 풀에 속하는지를 프로토콜에서 규정할 수 있다.
제2 전송 자원 풀의 확정 방식 2: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서의 제1 전송 자원의 인덱스가 k이면, 제2 전송 자원 풀은 {k+t+1, k+2t+2, k+3t+3}이며, 여기서 t는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제2 전송 자원 풀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t는 제2 전송 자원 풀에 포함된 서브 프레임의 수 또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 내의 PRB수이다.
다시 예를 들면,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서의 제1 전송 자원의 위치가 (k, m)이고, 그 중 첫번째 좌표가 k번째 시간 영역 유닛을 나타내고, 두번째 좌표가 m번째 주파수 영역 유닛을 나타내고, (k, m)이 제1 전송 자원 풀 내의 k번째 시간 영역 유닛의 m번째 주파수 영역 유닛 내에 제1 전송 자원이 위치함을 나타내면, 제2 전송 자원 풀은 {(k+1, m)}이거나, 또는 제2 전송 자원 풀은 {(k+1, m), (k+2, m)}이거나, 또는 제2 전송 자원 풀은 {(k+1,m), (k+2, m), (k+3, m)}이거나, 또는 제2 전송 자원 풀은 {(k+1, m+1), (k+1, m+2)}이다. 여기서 제2 전송 자원 풀은 제2 전송 자원 풀의 요소가 제1 전송 자원 풀에 위치하는 위치로써 나타낸 것이다. 실시에서, 제2 전송 자원 풀의 요소는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장기 진화형(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전송 자원 풀은 K개 서브 프레임 상의 M개 PRB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PRB가 모두 하나의 전송 자원이면,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는 K×M개 전송 자원이 있다. 제1 전송 자원이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서의 위치가 (k, m)이고, 그 중 첫번째 좌표가 k번째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고, 두번째 좌표가 m번째 PRB를 나타내고, (k, m)은 제1 전송 자원이 제1 전송 자원 풀 내의 k번째 서브 프레임의 m번째 PRB 내에 위치함을 나타내면, 제2 전송 자원 풀은 {(k+1, m)}이거나, 또는 제2 전송 자원 풀은 {(k+1, m), (k+2, m)}이거나, 또는 제2 전송 자원 풀은 {(k+1,m), (k+2, m), (k+3, m)}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로서, 제2 전송 자원 풀과 제1 전송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인접한 서브 프레임을 차지하고 동일한 PRB를 차지한다. 제2 전송 자원 풀 내에는 하나의 요소만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송 자원 풀은 제2 전송 자원 풀의 요소가 제1 전송 자원 풀에 위치하는 위치로써 나타낸 것이다. 실시에서, 제2 전송 자원 풀의 요소는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전송 자원 풀의 확정 방식 3:
송신단은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 풀 내의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신호 파워가 가장 낮은 L개(제1 전송 자원을 제거) 자원을 선택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구성한다.
제2 전송 자원 풀의 확정 방식 4:
송신단은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은 동일한 확률 또는 서로 다른 확률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L개(제1 전송 자원을 제거) 자원을 랜덤 선택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구성한다.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 풀을 선택할 때,
{M, M+1, M+2,…,M+L}일 수 있다.
여기서, L+1은 제2 전송 자원 풀의 크기이고, M, M+1, M+2,…, M+L은 선택된 제2 전송 자원 풀의 요소의 제1 전송 자원 풀 내에서의 인덱스 값이고; M = EQUIP_ID mod N, EQUIP_ID는 송신단의 식별자이고, N은 제1 전송 자원 풀 내의 전송 자원의 수이다.
송신단의 식별자는 IMSI, TMSI, C-RNTI, 장치 ID, IP 주소, MAC 주소 등일 수 있다. 제1 전송 자원 풀 내의 각각의 전송 자원은 모두 하나의 고유 인덱스 값을 가지며, 인덱스 값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생성되거나(예를 들어 자원 위치에 따라 생성, 랜덤 생성 등), 또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는 M = InformationBits mod N이며, 그 중 InformationBits는 송신단이 전송 하고자 하는 데이터 비트의 십진 표현이고, N은 전송 자원 풀 내의 전송 자원의 수이다. InformationBits는 송신단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일부 비트의 십진 표현, 예를 들어 마지막 10자리 비트의 십진 표현일 수도 있다.
제2 전송 자원 풀의 확정 방식 5: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한다.
여기서 자원 풀은 일부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시간 범위와 일정한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자원 풀은 일정한 주기로 시간 영역 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때 송신 방식은 아래와 같다.
송신 방식 1: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반복하여 송신한다.
송신 방식 2: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다양한 여분(redundancy)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방식 3:
송신단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해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송신 방식 3은 송신이 필요한 데이터를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을 하나의 전송 자원을 통해 송신한다.
수신단에 있어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할 때, 네트워크측 장치의 지시 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미리 배치하여 확정할 수 있다.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정보를 획득한다. 데이터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드 판단 정보 또는 소프트 비트 정보이다.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에 대해 정확한 디코딩이 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통해 검사가 가능한 경우, 후속 단계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데이터 전송중 상기 송신 방식 3을 이용하는 경우, 정확하게 디코딩한 후 후속 단계를 진행해야 한다).
후속 단계는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전송 자원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와 함께 병합하는 것이다.
실시에서, 수신단이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다. 아래 몇 가지를 나열한다.
제2 전송 자원의 확정 방식 1: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한다.
제2 전송 자원의 확정 방식 1에 대하여,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단은 각각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모두 먼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를 각각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병합할 수 있으며, 병합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검출에 성공되면 수신 성공으로 확정하고 후속 병합을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수신단은 또한, 각각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모두 먼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모든 데이터 정보를 병합할 수도 있다.
수신단은 또한,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를 병합하고, 병합된 데이터가 검출에 성공하면 수신 성공으로 확정하며, 계속하여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며,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한다.
도 5를 예로 들면,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1)을 통해 수신을 수행하여 소프트 비트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7, 13, 19)에서 각각 수신하여 소프트 비트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전송 자원(1)의 소프트 비트 정보와 각각 병합한다. 예를 들어, 제2 전송 자원(7) 상의 소프트 비트 정보와 제1 전송 자원(1) 상의 소프트 비트 정보를 병합한 후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으면 데이터 수신에 성공한다.
여기서, 수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은 송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즉,
수신단은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거나(여기서 자원 풀은 일부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시간 범위와 일정한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자원 풀은 일정한 주기로 시간 영역 내에서 반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또는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거나; 또는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한다.
제2 전송 자원의 확정 방식 2:
송신단은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이와 상응하게, 수신단은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제2 전송 자원의 확정 방식 2에 대하여,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실시에서, 송신단은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이와 상응하게, 수신단은 수신한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다.
송신 방식 1: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이와 상응하게,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지배적으로 제2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값을 지시할 수 있으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 정보, 즉 구체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를 지시할 수도 있다.
지배적인 지시 정보와 데이터 정보는 독립적으로 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제1 전송 자원은, 제1 전송 자원 내부에 일부 자원을 미리 남겨 제2 지시 정보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보다 낮은 코딩 속도로 전송된다.
송신 방식 2:
송신단은 제2 지시 정보를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수신단에 전송하고,
이와 상응하게,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하여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도 5를 예로 들면, 제1 전송 자원 내부에는 2열의 파일럿 신호가 있으며, 제2 지시 정보를 제2 열의 파일럿으로 변조한다. 수신단은 제1 열 파일럿을 토대로 채널 예측값을 획득하여, 제2 열 파일럿으로 변조된 지시 정보를 복조한다. 또는,
수신단은 제1 열 파일럿, 제2 열 파일럿 및 제2 지시 정보에 대해 합동 검출을 진행하여, 채널 예측값과 파일럿으로 변조된 지시 정보를 동시에 획득한다.
예를 들어, 후보 전송 자원 집합에는 4개 요소가 있으면, 2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지시해야 하며, 각각 {00, 01, 11, 10}에 대응된다. 이를 {1, -1, j, -j} 중의 하나로 맵핑할 수 있으며, z로 기재한다. 파일럿 시퀀스가 s(n)이고, n = 0, 1,…, P-1이며, 그 중 P가 파일럿 시퀀스의 길이이면, 변조된 파일럿 시퀀스는 r(n) = z · s(n)이고, n = 0, 1,…, P-1이다. 송신단은 변조된 파일럿 시퀀스를 제2 열 파일럿의 위치에서 송신한다. 여기서 제1 전송 자원에 2열의 파일럿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며, 그밖의 다른 형태의 파일럿도 유사한 방법으로 지시 정보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열 파일럿이 있으면, 지시 정보를 그 중의 2열 파일럿으로 변조할 수 있다.
송신 방식 3: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즉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파라미터 값을 제2 지시 정보로 하고,
이와 상응하게,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확정한 후,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제2 지시 정보로 맵핑한다.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제1 전송 자원 상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은 DMRS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또는 직교 커버 코드(Orthogonal Cover Code, OCC) 값을 통해 지시될 수 있으며,
수신단은 DMRS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하여 순환 시프트 값 또는 OCC값을 확정함으로써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DMRS를 정의하는 회로 교환(Circuit Switched, CS) 값에 {0,6}의 두 가지 선택이 있고, 수신단이 검출을 통해 CS값을 0로 확정하면, 제2 전송 자원은 제2 전송 자원 풀의 첫번째 자원이다. 수신단이 검출을 통해 CS값을 6로 확정하면, 제2 전송 자원은 제2 전송 자원 풀의 두 번째 자원이다. 이와 유사하게, OCC 검출를 통해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할 수 있다. 순환 시프트 값과 OCC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존재 여부를 지시할 수도 있다. 제2 지시 정보가 제2 전송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면,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한 후 후속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시 정보는 4개의 상태 {00, 01, 10, 11}을 지시할 수 있으며, 그 중 00, 01과 10은 3개의 후보 전송 자원에 각각 대응하고, 11은 제2 전송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이 하나의 전송 자원을 포함하면, 제2 지시 정보는 두 개의 상태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의 존재 여부를 지시한다. 제2 지시 정보가 제2 전송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면, 수신단은 제2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한 후 후속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다. 제2 지시 정보가 제2 전송 자원이 존재함을 지시하면, 수신단은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수신단은 제2 전송 자원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와 제1 전송 자원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를 병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은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이와 상응하게, 수신단은 수신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을 통해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수신단은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하여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 하나의 전송 자원이 포함되면, 제3 지시 정보는 두 개의 상태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의 존재 여부를 지시한다. 제3 지시 정보가 제2 전송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면, 수신단은 제2 전송 자원 상의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한 후 후속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다. 제3 지시 정보가 제2 전송 자원이 존재함을 지시하면, 수신단은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수신단은 제2 전송 자원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와 제1 전송 자원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를 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1 전송 자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전송 자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전송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단과 수신단은 핸드폰 등 단말 장치일 수 있고, 기지국 등 네트워크측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기지국, eNodeB(진화형 기지국) 등 접속망 장치, 또는 이동성 관리 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등 코어망 장치일 수 있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송신단은 제1 확정 모듈(701)과 송신 모듈(702)을 포함한다.
제1 확정 모듈(701)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송신 모듈(702)은,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수신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반복 송신하거나; 또는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로 다른 여분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그 중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또한,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일부를 통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2 지시 정보를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수신단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제2 지시 정보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702)은 또한,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수신단은 제2 확정 모듈(801)과 수신 모듈(802)을 포함한다.
제2 확정 모듈(801)은,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수신 모듈(802)은,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확정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확정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하고,
수신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확정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수신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확정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802)은 또한,
수신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 후,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실시에서, 도 7의 송신단을 수신단으로 할 수도 있으며, 도 8의 수신단을 송신단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신단과 수신단의 기능은 하나의 개체에 병합될 수 있으며(즉 송신단과 수신단의 모듈은 하나의 개체에 포함됨), 필요에 따라 송신단의 기능 또는 수신단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확정 모듈(701), 송신 모듈(702), 제2 확정 모듈(801)과 수신 모듈(802)은 하나의 개체에 병합될 수 있으며, 제1 확정 모듈(701)과 제2 확정 모듈(801)이 하나의 모듈로 병합되고, 송신 모듈(702)과 수신 모듈(802)이 하나의 모듈로 병합되어 하나의 개체 속에 병합될 수도 있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송신단은 프로세서(900)와 송수신기(9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90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송수신기(910)를 제어하여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며,
송수신기(910)는 프로세서(900)의 제어를 받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송수신기(910)를 통해 수신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송수신기(910)를 제어하여,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반복 송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송수신기(910)를 제어하여,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로 다른 여분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송수신기(910)를 제어하여. 그 중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또한,
송수신기(910)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91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일부를 통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91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2 지시 정보를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송수신기(91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제2 지시 정보로 하도록 송수신기(91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는 또한,
송수신기(910)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도 9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9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9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고,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저 장치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9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900)는 버스 구성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며,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00)의 작업 수행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 중 수신단은, 프로세서(1000)와 송수신기(10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00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송수신기(1010)를 제어하여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며,
송수신기(1010)는 프로세서(1000)의 제어를 받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하며, 송수신기(1010)를 제어하여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송수신기(1010)를 제어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송수신기(1010)를 통해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송수신기(1010)를 제어하여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송수신기(1010)를 제어하여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확정된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병합하고, 병합하여 얻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딩한 후 수신 성공으로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송수신기(1010)를 제어하여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또한,
송수신기(1010)를 이용하여 수신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 후, 송수신기(1010)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000)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여기서, 도 10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0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고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고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저 장치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10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00)는 버스 구성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며,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00)의 작업 수행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에서, 도 9의 송신단은 수신단으로 할 수도 있으며, 도 10의 수신단은 송신단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신단과 수신단의 기능은 하나의 개체에 병합될 수 있으며(즉 송신단과 수신단의 모듈은 하나의 개체에 포함됨), 필요에 따라 송신단의 기능 또는 수신단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00), 송수신기(910), 프로세서(1000)와 송수신기(1010)는 하나의 개체에 병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900)와 프로세서(1000)를 하나의 프로세서로 병합하고, 송수신기(910)와 송수신기(1010)를 하나의 송수신기로 병합하여 하나의 개체 속에 병합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방법과 데이터 수신 방법을 더 제공한다. 이들 방법에 대응되는 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시스템 중의 장치이고, 또한 방법이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가 시스템과 유사하므로, 상기 방법의 실시는 시스템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부분은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은,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1101;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110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수신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는 단계; 또는
송신단이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는 단계; 또는
송신단이 측정된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송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송신단이, 측정된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송신단이,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을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반복 송신하는 단계; 또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로 다른 여분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송신단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그 중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신호를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또한,
송신단이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의 일부를 통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제2 지시 정보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또한,
송신단이,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은,
수신단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1201;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120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을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수신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 후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단이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사용가능 저장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이용하여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기를 형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로 하여금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으로 하여금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 장치는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일련의 작업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기술자는 기본적인 창조적 컨셉을 파악한 후 이들 실시예를 추가로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 기술 범위에 속하면, 본 발명은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43)

  1.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수신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측정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을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반복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로 다른 여분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그 중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이 제1 전송 자원의 일부를 통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상기 제2 지시 정보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상기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2. 수신단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14 항 또는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이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제12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수신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2.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거나; 또는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이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1 선택 규칙에 따라,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랜덤 선택하거나; 또는
    측정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라,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6.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측정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 중 모든 전송 자원 상의 신호 강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설정된 제2 선택 규칙에 따르거나 또는 랜덤 방식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서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7. 제22 항 내지 제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반복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로 다른 여분 버전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그 중 일부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한 신호를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8. 제22 항 내지 제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자원의 일부를 통해 상기 수신단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하여 상기 수신단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상기 제2 지시 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1. 제29 항 또는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2. 제22 항 내지 제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전송 자원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3.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제2 확정 모듈; 및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4.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5.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 중 각각의 전송 자원을 모두 하나의 제2 전송 자원으로 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6.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와,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병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8. 제3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 시퀀스의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9. 제37 항 또는 제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에서의 상기 제2 전송 자원의 인덱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0. 제35 항 또는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제2 전송 자원 풀의 맵핑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전송 자원 풀을 상기 제2 전송 자원 풀로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전송 자원 풀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1. 제33 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수신된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2.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복조 파일럿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조함으로써, 제3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3.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 풀로부터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단;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제1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제2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제1 전송 자원과 상기 제2 전송 자원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시스템.
KR1020167013345A 2013-11-08 2014-11-06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60077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53612.9A CN104640211B (zh) 2013-11-08 2013-11-08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CN201310553612.9 2013-11-08
PCT/CN2014/090491 WO2015067196A1 (zh) 2013-11-08 2014-11-06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111A true KR20160077111A (ko) 2016-07-01

Family

ID=5304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345A KR20160077111A (ko) 2013-11-08 2014-11-06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286560A1 (ko)
EP (1) EP3068180B1 (ko)
JP (1) JP2017502552A (ko)
KR (1) KR20160077111A (ko)
CN (1) CN104640211B (ko)
TW (1) TWI554051B (ko)
WO (1) WO2015067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6881B (zh) * 2014-01-16 2019-01-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d2d数据传输方法及设备
US9750056B2 (en) * 2015-01-27 2017-08-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in a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scheme
CN107710850B (zh) * 2015-06-25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20180270037A1 (en) * 2015-09-24 2018-09-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3352511A4 (en) 2015-09-24 2018-10-03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WO2017066941A1 (zh) * 2015-10-21 2017-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网络设备及设备到设备数据传输方法
US10285174B2 (en) * 2016-01-11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ata channel design for narrowband devices
WO2017184865A1 (en) 2016-04-20 2017-10-26 Convida Wireless, Llc Configurable reference signals
JP2019517182A (ja) 2016-04-20 2019-06-20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ダウンリンク同期
EP3446515B1 (en) 2016-04-20 2020-12-02 Convida Wireless, LLC System information provisioning
EP3446425B1 (en) 2016-04-20 2024-02-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hysical channels in new radio
KR20220141916A (ko) 2016-05-11 2022-10-20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새로운 라디오 다운링크 제어 채널
WO2017218794A1 (en) 2016-06-15 2017-12-21 Convida Wireless, Llc Upload control signaling for new radio
US10306671B2 (en) 2016-06-15 2019-05-28 Convida Wireless, Llc Grant-less operations
WO2017218785A1 (en) * 2016-06-15 2017-12-21 Convida Wireless, Llc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for new radio
CN107708209B (zh) * 2016-08-09 2023-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非正交多址接入的重传数据接收、发送方法及装置
EP3484224B1 (en) 2016-08-09 2023-09-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2x message transmission
WO2018031875A1 (en) 2016-08-11 2018-02-15 Convida Wireless, Llc Beamforming sweeping and training in a flexible frame structure for new radio
WO2018032435A1 (en) * 2016-08-17 2018-02-22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Resource assignment indication for further emtc
CN109792754A (zh) * 2016-09-21 2019-05-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CN109891772B (zh) 2016-11-03 2022-10-04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Nr中的帧结构
US10931358B2 (en) 2017-07-26 2021-02-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9047178A1 (zh) * 2017-09-08 2019-03-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布式物理层资源映射方法、装置、发送端及接收端
EP3739985B1 (en) * 2018-01-12 2024-04-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0034864B (zh) 2018-01-12 2021-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和装置
WO2020068251A1 (en) 2018-09-27 2020-04-02 Convida Wireless, Llc Sub-band operations in unlicensed spectrums of new radio
JP6856950B2 (ja) * 2019-07-25 2021-04-14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変換装置、変換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3936B1 (en) * 1998-04-29 2001-1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processing resources
JP2005130122A (ja) * 2003-10-22 2005-05-19 Toshiba Corp 周波数ホッピング無線装置
CN102090132A (zh) * 2008-05-15 2011-06-08 诺基亚公司 用于提供对设备到设备通信的协调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GB2464987A (en) * 2008-11-03 2010-05-05 Nec Corp Methods for designating resource allocation
WO2010114446A1 (en) * 2009-04-03 2010-10-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link adaption at the user equipment
JP5011546B2 (ja) * 2009-05-27 2012-08-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受信方法
EP2265077B1 (en) * 2009-06-18 2012-03-21 Panasonic Corporation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obile communications
CN102082641B (zh) * 2010-02-11 2016-01-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多比特ack/nack信息的方法及装置
JP5939734B2 (ja) * 2010-11-02 2016-06-2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2612090B (zh) * 2011-01-19 2015-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联合传输的方法及装置
WO2012122170A1 (en) * 2011-03-07 2012-09-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operation
US9750030B2 (en) * 2011-08-03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ownlink rate adaptation for LTE heterogeneous network base stations
GB2496153B (en) * 2011-11-02 2014-07-02 Broadcom Corp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2711216A (zh) * 2012-05-08 2012-10-0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传输资源的选择方法及用户设备、确定方法及接入网设备
WO2015065107A1 (ko) * 2013-10-31 2015-05-0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2552A (ja) 2017-01-19
TW201526571A (zh) 2015-07-01
WO2015067196A1 (zh) 2015-05-14
CN104640211A (zh) 2015-05-20
EP3068180A4 (en) 2016-11-02
EP3068180A1 (en) 2016-09-14
EP3068180B1 (en) 2023-08-30
TWI554051B (zh) 2016-10-11
CN104640211B (zh) 2019-06-25
US20160286560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7111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11736935B2 (en)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308293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20200252910A1 (en) Methods and devices of assigning resource for sidelink communication system
US10972165B2 (en) Beam determination method, downlink transmission demodul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8767629B2 (en) Method for triggering terminal to send sounding reference signal,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2105984B1 (ko) D2d 통신에서 디바이스 id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041018B (zh) 一种资源确定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02395206B (zh)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US10075975B2 (en) Radio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202106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beam failure, and storage medium
EP333408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JP6789302B2 (ja)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側装置、及び端末
JP6643457B2 (ja) 物理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送信方法および装置
KR101813822B1 (ko) D2d 발견 신호의 송신 방법과 송신 장치
JP6935499B2 (ja) 情報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装置
JP2016532334A (ja) 装置間データチャネルシグナリング
US1114069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CN104754524A (zh) 一种群组通信的方法、用户设备、基站设备及系统
WO2014043902A1 (zh) 下行控制信息传输的方法、网络侧设备及用户设备
KR20190073408A (ko) 업링크 신호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US2019008245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9500783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装置
CN103312435B (zh) 一种控制信道的调制或传输层数的确定方法及设备
CN103427934A (zh) 公共参考信号crs信息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