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764A -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764A
KR20160076764A KR1020140187224A KR20140187224A KR20160076764A KR 20160076764 A KR20160076764 A KR 20160076764A KR 1020140187224 A KR1020140187224 A KR 1020140187224A KR 20140187224 A KR20140187224 A KR 20140187224A KR 20160076764 A KR20160076764 A KR 2016007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an
cooling water
control unit
radiato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764A/ko
Publication of KR2016007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228Heat exchange with fan or pump
    • Y10S165/302Rotary gas pump
    • Y10S165/307Rotary gas pump including plural impellers
    • Y10S165/308Coaxial impellers
    • Y10S165/309Radial impe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성애 제거 시스템은, 운전석 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취부되는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후방에서 외부공기가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도록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동팬,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가 운전석의 앞유리창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전동팬 후방의 공간과 앞유리창 하부 공간 사이에 온풍이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상덕트 및 전동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Defrosting system using the motor fan of a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본 발명은 성애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따뜻해진 공기를 전동팬을 이용해 운전석으로 끌어들여 앞유리창 성애를 제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한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통, 건설, 레져, 농용 등 폭넓은 분야에서 다목적 운반차량 Utility vehicle, UTV)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다목적 운반차량은 험로주행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흙이나 작물을 싣고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요한 도구 등을 싣고 나를 목적으로 주로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 운반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목적 운반차량은 운전석(10)과 적재함(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운전석(10)은 전복시 운전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전복방지구조체(30)가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전복방지구조체(30)는 차량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 프레임(부호 생략)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된다.
차체 프레임은 다수의 전방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전방 프레임 구조체와, 전방 프레임 구조체와 다수의 후방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여 커플링된 후방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며, 운전석(10)을 기준으로 뒤쪽의 적재함(20) 하부 공간에 엔진룸(60)이 형성되어 있고, 운전석(10) 앞쪽 공간에는 보닛으로 둘러싸인 라디에이터 룸(70)이 형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룸(70)에는 엔진에서 발생한 열의 일부를 냉각수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라디에이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복방지구조체(30)의 전면에는 주행 시 전방에서 유입되는 주행풍이 운전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앞유리창(Windshield)이 상기 전복방지구조체(30)의 전면 개구부에 상당하는 크기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개방형 구조의 다목적 운반차량에는 공조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운전석 공간이 개방된 관계로 공조자체에 별 의미가 없기 때문이며, 라디에이터 룸(70)이 매우 협소한 관계로
그러나 최근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켜 외부환경으로부터 운전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전복방지구조체(30)를 캐빈(Cabin) 형태로 구성하고, 일반적인 차량에나 탑재하던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모듈을 채택하여 캐빈 내 냉난방을 구현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사용되는 다목적 운반차량은 겨울에는 난방이 요구되나 여름에는 굳이 냉방을 구현시킬 필요가 없어, 일반적인 형태의 HVAC 모듈을 채택하는 것은 다목적 운반차량의 용도나 가격적인 측면을 고려했을 때 과잉사양이라 할 수 있으며, HVAC 모듈의 추가 적용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곤란함이 수반된다.
즉 캐빈 내 냉난방을 위해 종래의 HVAC 모듈과 같이 복잡한 시스템을 다목적 운반차량(UTV)에 탑재하는 것은, 전체적인 차량 중량 증대, 원가 상승 부담, HVAC 모듈 탑재를 위한 설치공간의 문제 등이 있어 지양해야 하며, 겨울철에만 난방을 구현하고 특히 앞유리창에 생성된 성애를 제거할 수 있는 형태로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9217호(공개일 2012. 02. 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가상승 및 설계변경의 부담이 큰 HVAC 모듈과 같은 별도의 공조장치 적용 없이도 캐빈 내 효율적인 난방 과 성애 제거를 도모할 수 있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이 캐빈으로 보호되고 엔진이 운전석 후방에 위치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취부되는 라디에이터; 상기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상기 라디에이터 후방에 배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도록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동팬;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가 상기 캐빈의 앞유리창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팬 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캐빈 사이에 온풍이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상덕트; 및 상기 전동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달하는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유닛이 전동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가 80℃ 이상이면 상기 제어유닛이 전동팬 구동을 위한 구동명령을 출력하여 전동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가 75℃ 이하이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전동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전동팬이 인접한 제상덕트의 입구 측 통로 개폐 또는 개도량 조절을 위한 조절유닛과, 상기 조절유닛을 통한 상기 입구 측 통로 개폐를 위한 작동명령이 입력되는 제상명령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상명령입력부를 통해 제상명령이 입력되면 냉각수 온도에 상관없이 상기 전동팬이 구동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운전자에 의한 상기 제상명령입력부 조작을 감지하여 제어유닛에 전달하는 조작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감지부를 통해 제상명령입력부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닛은 냉각수온 검출부재가 제공하는 냉각수 온도정보에 상관없이 상기 전동팬 구동을 위한 구동명령을 출력하여 전동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상덕트는, 조절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전동팬 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는 단일의 도입부와, 앞유리창 하단과 인접한 운전석 전방의 데쉬보드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둘 이상의 밴트부와, 상기 도입부와 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동팬 후방의 보닛이 둘러싸는 공간에 배치되거나, 캐빈 안쪽의 상기 데쉬보드의 내측공간에 차량의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수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따뜻해진 공기를 전동팬을 이용하여 캐빈으로 둘러싸인 운전석으로 끌어들여 난방 및 앞유리창 성애를 제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원가상승 및 설계변경 부담이 큰 HVAC 모듈과 같은 공조 시스템의 적용 없이도 난방과 성애 제거 기능을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다목적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애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다목적 운반차량의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애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다목적 운반차량의 평면 개략도.
도 5는 제상 또는 라디에이터 냉각을 위한 전동팬 구동 제어 로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제안된 형태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애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다목적 운반차량의 측면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애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다목적 운반차량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의 성애 제거 시스템은, 라디에이터(100), 전동팬(110), 제상덕트(120), 제어유닛(160)을 포함한다. 라디에이터(100)는 운전석 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라디에이터 룸, 70)에 취부되며, 전동팬(110)은 상기 라디에이터(100) 후방에서 외부공기가 상기 라디에이터(100)를 통과하도록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라디에이터(100)는 운전석 뒤쪽의 적재함(20) 하부의 엔진 룸(60)에 탑재되는 엔진과 냉각수 순환관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엔진에서 발생한 열의 일부를 냉각수 순환관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흡수하고 라디에이터(100)를 통해 방출하며, 라디에이터(100)가 방출한 열에 의해 따듯해진 공기는 운전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제상덕트(120)를 통해 운전석 측에 도입된다.
제상덕트(120)는 라디에이터 룸(70)의 전동팬(110) 후방의 공간과 운전석을 보호하는 캐빈(30) 사이에 온풍이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며, 따라서 라디에이터(100)를 통과하면서 따뜻해진 공기는 운전자 선택조작 시 상기 전동팬(110)에 의해 제상덕트(120)로 유입되고, 제상덕트(120)를 통해 캐빈 내부 구체적으로는, 캐빈(30)의 전면 앞유리창(40)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제상덕트(120)는 바람직하게, 전동팬 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팬(110)의 인접후방에 개구부를 형성한 도입부(122)와, 캐빈(30)의 앞유리창(40) 하단과 인접한 운전석 전방의 데쉬보드(부호 생략)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밴트부와(126)와, 상기 도입부(122)와 밴트부(126)를 연결하는 연결부(124)로 된 구성일 수 있다.
도입부(122)에는 그 내부 통로를 개폐하거나 개도량을 조절하는 조절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24)는 상기 전동팬(110) 후방의 보닛이 둘러싸는 공간(라디에이터 룸, 70)에 차량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캐빈 안쪽의 상기 데쉬보드에 내측에 차량의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수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조절유닛(130)은 상기 도입부(12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의 개폐를 단속하는 조절판(132)과, 조절판(132)을 회전시키는 도입부(122) 외측의 전동모터(134)로 된 전동식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운전석의 핸들주변에 배치된 조작레버를 통해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켜 통로의 개폐를 단속하는 수동식 구성일 수도 있다.
조절유닛(130)을 통한 상기 도입부(122) 측 통로 개폐 또는 개도량 조절을 위한 작동명령은 제상명령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상명령입력부(140)는 운전석 적소, 예컨대 핸들주변의 데쉬보드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버튼 또는 로터리 타입의 전기적인 입력수단(조절유닛이 전동식인 경우)이거나 레버와 같은 기구식 입력수단(조절유닛이 수동식인 경우)일 수 있다.
제어유닛(160)은 상기 전동팬(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수 순환관에 설치된 냉각수온 검출부재(170)가 제공하는 냉각수의 온도정보에 따라 전동팬(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냉각수온 검출부재(170)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유닛(160)에 전달하며, 제어유닛(160)은 전달받은 냉각수 온도정보에 기초해 전동팬(110)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수온 검출부재(170)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가 80℃ 이상 경우 상기 제어유닛(160)이 전동팬(110) 구동을 위한 구동명령을 출력하여 전동팬(110)이 구동되며, 냉각수온 검출부재(170)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75℃) 이하이면 상기 제어유닛(160)에 의해 상기 전동팬(11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냉각수의 온도가 전동팬이 구동되는 소정의 온도(80℃)까지 도달하기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앞유리창(40)에 서린 김이나 성애를 제거하려면 엔진이 충분히 예열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상명령입력부(140)를 통해 제상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냉각수 온도에 상관없이 상기 전동팬(110)이 구동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즉 앞유리창(40)에 성애나 김이 서려 제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운전자가 상기 제상명령입력부(140)를 통해 제상명령을 입력하면, 냉각수 온도에 상관없이 제상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전동팬(110)이 구동되고 조절유닛(130)이 상기 도입부(122)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됨으로써, 작동팬(110)이 강제 송출한 공기가 제상덕트(120)를 통해 앞유리창(40)에 분사될 수 있다.
성애나 김의 발생 정도에 따라 전동팬(110)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상명령입력부(140)는 전동팬(1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식 구성이나 다이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버튼 또는 다이얼의 위치에 따라 제어유닛(160)이 다른 전류 값으로 구동명령을 출력함으로써 전동팬(110)의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앞서 간단히 언급했듯이, 상기 제상명령입력부(140)는 조절유닛(130)의 조절판(132)에 링크부재를 통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절판(132)을 각도를 직접 조정하는 수동식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상명령입력부(140)의 조작을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160)에 전달함으로써 전동팬(110)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상명령입력부(140)와 상기 조절유닛(130)이 기구식으로 연결된 수동식 구성인 경우에는, 운전자에 의한 상기 제상명령입력부(140) 조작을 상기 조작감지부(150)가 감지하여 제어유닛(160)에 관련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유닛(160)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 온도와는 상관없이 전동팬(110)이 구동되어 제상작업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운반차량의 성애 제거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제상구동에 대해 이하 도 5의 제상 또는 라디에이터 냉각을 위한 전동팬 구동 제어 로직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이 키온(KEY-ON) 상태인지를 제어유닛(160)이 판단한다. 알려진 회전식 시동 키인 경우에는 키를 돌렸을 때 스위치 접점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여 키온 여부를 판단하며, 버튼식 시동 키인 경우 키를 눌렀을 때 스위치 접점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여 키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키온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유닛(160)은 다시 제상명령입력부(140)를 통한 제상명령 입력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전동식 구성인 경우 상기 제상명령입력부(140) 조작과 함께 제어유닛(160)에 직접 전달되는 신호로서 제상명령 입력여부를 판단하며, 수동식인 경우에는 상기한 조작감지부(150)가 보내온 신호에 기초해 제상명령 입력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상명령이 입력된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유닛(160)은 냉각수온 검출부재(170)로부터 전달받은 냉각수의 온도정보와 상관없이 구동명령을 출력하여 전동팬(110)을 구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며, 제상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냉각수온 검출부재(17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냉각수의 온도를 체크한다.
제상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한 전동팬(110) 구동과 함께 조절유닛(130)이 공기 도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작동되며, 이에 따라 전동팬(110)의 구동으로 외부에서 도입되고 라디에이터(1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따뜻한 공기가 상기 전동팬(110)의 송풍력에 의해 제상덕트(120)로 강제 유입되고, 제상덕트(120)를 통해 앞유리창(40)을 향해 토출됨으로써 제상이 구현된다.
한편, 제상명령 미입력 시 냉각수 온도 체크 결과, 냉각수의 온도가 저장매체에 미리 기록된 소정의 온도(80℃)까지 상승된 경우, 제어유닛(160)이 전동팬(110)을 구동시켜 라디이에터(100)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며, 전동팬(110)의 구동으로 냉각수의 온도가 미리 기록된 다른 온도(75℃) 이하로 떨어지면 전동팬(11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물론, 이때 조절유닛(130)은 공기 도입을 차단하는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제상은 수행되지 않는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따뜻해진 공기를 전동팬을 이용하여 운전석으로 끌어들여 앞유리창 성애를 제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원가상승 및 설계변경 부담이 큰 HVAC 모듈과 같은 공조 시스템의 적용 없이도 난방 및 성애 제거 기능을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라디에이터
110 : 전동팬
120 : 제상덕트
130 : 조절유닛
140 : 제상명령입력부
150 : 조작감지부
160 : 제어유닛
170 : 냉각수온 검출부재

Claims (9)

  1. 운전석이 캐빈으로 보호되고 엔진이 운전석 후방에 위치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취부되는 라디에이터;
    상기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상기 라디에이터 후방에 배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도록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동팬;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가 상기 캐빈의 앞유리창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팬 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캐빈 사이에 온풍이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상덕트; 및
    상기 전동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달하는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유닛이 전동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가 80℃ 이상이면 상기 제어유닛이 전동팬 구동을 위한 구동명령을 출력하여 전동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각수온 검출부재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가 75℃ 이하이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전동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전동팬이 인접한 제상덕트의 입구 측 통로를 개폐하거나 개도량을 조절하는 조절유닛;
    상기 조절유닛을 통한 상기 입구 측 통로 개폐를 위한 작동명령이 입력되는 제상명령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상명령입력부를 통해 제상명령이 입력되면 냉각수 온도에 상관없이 상기 전동팬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상기 제상명령입력부 조작을 감지하여 제어유닛에 전달하는 조작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감지부를 통해 제상명령입력부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닛은 냉각수온 검출부재가 제공하는 냉각수 온도정보에 상관없이 상기 전동팬 구동을 위한 구동명령을 출력하여 상기 전동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덕트는,
    조절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전동팬 후방의 보닛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는 단일의 도입부와;
    앞유리창 하단과 인접한 운전석 전방의 데쉬보드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둘 이상의 밴트부와;
    상기 도입부와 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동팬 후방의 보닛이 둘러싸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캐빈 안쪽의 상기 데쉬보드 내측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KR1020140187224A 2014-12-23 2014-12-23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KR20160076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24A KR20160076764A (ko) 2014-12-23 2014-12-23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24A KR20160076764A (ko) 2014-12-23 2014-12-23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64A true KR20160076764A (ko) 2016-07-01

Family

ID=5650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224A KR20160076764A (ko) 2014-12-23 2014-12-23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7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17A (ko) 2010-07-23 2012-02-01 대동공업주식회사 파킹브레이크 경고음 발생장치를 갖는 다목적 운반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17A (ko) 2010-07-23 2012-02-01 대동공업주식회사 파킹브레이크 경고음 발생장치를 갖는 다목적 운반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1428B1 (en) Vehicle ventilation system
EP0756955B2 (en) Air-handl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20120071075A1 (en) Air guiding device for guiding radiator outlet air for a radiator unit
US20130103265A1 (en) Vehicle grille shutter
CN102745064A (zh) 开闭器控制系统和方法
US8403734B2 (en) Vent control system
JP3976246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
BR102014005610A2 (pt) Control system in a work vehicle
KR202100562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76764A (ko)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동팬을 이용한 성애 제거 시스템
US20200130464A1 (en) Air ventilation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7032A (ko) 콤바인
US20180178614A1 (en) Airflow control system of a work vehicle
JP2006168631A (ja) エンジンルームの排熱装置
KR2018013221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24568B1 (ko)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KR1025366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6126539A (en) Pilot valve mounting which functions as a hot air duct
US20120205946A1 (en) Hvac system for a work vehicle
JP4292336B2 (ja)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2000168342A (ja) 建設機械の空調装置
KR1015448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3769985A1 (en) Vehicle lighting
KR20200127667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10129237A (ja) 空調ユニットを装備した走行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