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458A -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458A
KR20160076458A KR1020150181300A KR20150181300A KR20160076458A KR 20160076458 A KR20160076458 A KR 20160076458A KR 1020150181300 A KR1020150181300 A KR 1020150181300A KR 20150181300 A KR20150181300 A KR 20150181300A KR 20160076458 A KR20160076458 A KR 20160076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oltage source
converter
circuit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133B1 (ko
Inventor
제롬 라쉐즈
다미앙 베르디에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6007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직류 전류를 제1차 회로(3)에 공급하는 제1 전기 전압 소스(2)와, 직류 전류를 제2차 회로(5)에 공급하는 제2 전기 전압 소스(4)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는 상기 제2 소스보다 더 큰 전압 값을 구비하며, 상기 제1차 회로와 제2차 회로는 제어 및 안전 수단에 의해 명령받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상기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1)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에 있으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15
단계(10): 상기 제1차 회로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차 회로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가 비활성되기를 기다리는 단계,
Figure pat00016
단계(20):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의 전압보다 더 큰 출력 전압을 상기 컨버터로부터 명령받는 단계,
Figure pat00017
단계(30): 상기 제1차 회로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 단계(50): 만약 전송이 없다면, 상기 컨버터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Description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METHOD FOR ESTABLISHING A FUNCTIONAL DIAGNOSIS FOR A BUCK STATIC DC-DC VOLTAGE CONVERTER}
본 발명은, 직류 전류를 제1차 회로에 공급하는 제1 전기 전압 소스와, 직류 전류를 제2차 회로에 공급하는 제2 전기 전압 소스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는 상기 제2 소스보다 큰 전압 값을 구비하고, 상기 제1차 회로와 제2차 회로는 제어 및 안전 수단에 의해 명령을 받는 벅 스태틱(buck static) DC-DC 전압 컨버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상기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functional diagnosis)을 수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마이크로-하이브리드(micro-hybrid), 마일드(mild) 하이브리드, 또는 풀(full) 하이브리드 차량일 수 있다.
차량 내 컴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12 볼트 온보드 네트워크(on-board network)는 차량의 동작 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온보드 네트워크에 안전 장벽의 상실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사용 상황에서 한정된 방법으로 구성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제1차 회로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를 비활성화(Deactivating)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차 회로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가 비활성되기를 기다리는 단계,
Figure pat00002
이후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의 전압보다 큰 출력 전압을 상기 컨버터로부터 명령받는 단계,
Figure pat00003
이후 상기 제1차 회로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전송이 없다면, 상기 컨버터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온보드 네트워크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제1차 회로와 상기 제2차 회로 사이를 연결하여 이 제2차 네트워크에 대해 안전 장벽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컨버터를 테스트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차 회로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의 전압이 증가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상기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전압 소스의 전력 상태의 감소를 야기하는 전류를 의미한다.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차 회로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상기 제2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2 전압 소스의 전력 상태의 감소를 야기하는 전류를 의미한다.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차 회로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로 전력 전송이 있는 경우에 상기 컨버터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의 특징에 대안인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차 회로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로 전력 전송이 있는 경우에 그리고 전류-비-가역적인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의 경우에,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Figure pat00004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의 전압보다 더 작은 출력 전압을 상기 컨버터로부터 명령받는 단계,
·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가 상기 제2차 회로로 방전하는지 판정하는 단계, 및:
- 만약 방전한다면, 상기 컨버터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 만약 방전하지 않다면, 상기 컨버터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가 상기 제2차 회로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의 전압이 감소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가 상기 제2차 회로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다른 특징과 장점은 비 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음 예를 판독하면 드러날 것이다:
- 도 1은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개략적인 전기 회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 2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및 제2 일반적인 예의 논리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 도 3은 도 1에 따른 제1 및 제2 일반적인 예를 구현하는 제1 특정 예의 논리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 도 4는 도 1에 따른 제1 및 제2 일반적인 예를 구현하는 제2 특정 예의 논리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설명된 방법 예를 구현하는 동안 제1 및 제2 전압 소스의 전압과 방전 전류의 진행 곡선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전기 회로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알려진 방식으로 제공된 제2차 네트워크의 전력 공급 회로이다.
이 전력 공급 회로는 직류 전류를 제1차 회로(3)에 공급하는 제1 전기 전압 소스(2)와, 직류 전류를 제2차 회로(5)에 공급하는 제2 전기 전압 소스(4), 및 제1차 회로와 제2차 회로(3 및 5)를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1)를 포함한다.
제1 전압 소스(2)는 제2 전압 소스(4)보다 큰 전압 값을 구비한다. 예로서, 제1 전압 소스(2)는 12 볼트보다 더 큰 전압을 갖는 배터리, 예를 들어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48-볼트 배터리일 수 있고, 제2 전압 소스(4)는 실질적으로 12 볼트인 공칭 전압을 갖는 배터리, 예를 들어 납 축전지 배터리일 수 있다.
제1차 회로는, 예를 들어, 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전기 전력 트레인을 위한 공급 회로이고, 제2차 회로는 차량의 12-볼트 온보드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회로는 유리하게는 제2 전기 전압 소스(4)의 방전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7)와, 제1 전기 전압 소스(4)의 방전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8)를 포함한다. 설명된 예에서 방전 전류는, 대응하는 배터리의 전력 상태의 감소를 야기하는 전류를 의미한다.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1)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도 2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된 수단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 정지 단계 동안 모터 제어 유닛(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 및 안전 수단(6)에 의해 명령을 받는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논리 다이어그램은 약어 DCDC(1)를 사용하는 컨버터(1), 약어 Hv-Batt(2)를 사용하는 제1 전압 소스(2), 약어 Lv-Batt(4)를 사용하는 제2 전압 소스(4), 약어 PC(3)를 사용하는 제1차 회로(3), 및 약어 SC(5)를 사용하는 제2차 회로(5)를 언급한다.
도 2는, 동일한 논리 다이어그램에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상에 있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1)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제1 및 제2 일반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제1 일반적인 예에 따른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5
단계(10): 진단 방법이 수행되는 동안 제1 전압 소스(2)로부터 전력이 인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1차 회로(3)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제1차 회로(3)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가 비활성되기를 기다리는 단계,
Figure pat00006
단계(20): 컨버터(1)의 제어 및 안전 수단(6)을 통해 제2 전기 전압 소스(4)의 전압보다 큰 출력 전압을 컨버터(1)로부터 명령받는 단계,
Figure pat00007
단계(30): 제1차 회로(3)로부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 단계(40): 만약 전송이 있다면, 도 2의 점선에 따라서, 컨버터(1)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 단계(50): 만약 전송이 없다면, 컨버터(1)에 대해 잘못된(즉, 결함 있는)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대안적으로, 제2 일반적인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단계(30)의 종료시에 바로 컨버터(1)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을 수립하지는 않는다. 점선은 이 제2 예로부터 배제된다. 그리하여, 이 제2 일반적인 예에 따르면, 방법은, 제1차 회로(3)로부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 경우에 그리고 전류-비-가역적인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1)의 경우에, 단계(30)로부터, 하기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Figure pat00008
단계 31: 제2 전기 전압 소스(4)의 전압보다 더 작은 출력 전압을 전압 컨버터(1)로부터 명령받는 단계,
Figure pat00009
단계(32): 제2 전기 전압 소스(4)가 제2차 회로(5)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 단계(40): 만약 방전한다면, 전압 컨버터(1)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 단계(50): 만약 방전하지 않는다면, 전압 컨버터(1)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
도 3의 논리 다이어그램은 도 2의 논리 다이어그램을 취하고 도 2의 논리 다이어그램으로 한정된 방법의 2개의 일반적인 예를 구현하는 제1 특정 예에 따른 단계(30)와 단계(32)의 내용을 상술한다. 도 3의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에 설명된 전력 공급 회로는 전기 전압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따르면, 제1차 회로(3)로부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0)는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제2 전압 소스(4)의 전압이 증가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따르면, 제2 전기 전압 소스(4)가 제2차 회로(5)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2)는,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 그리고 제2 전압 소스(4)의 전압이 감소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도 4의 논리 다이어그램은 도 2의 논리 다이어그램을 취하고 도 2의 논리 다이어그램에서 한정된 2개의 일반적인 방법 예를 구현하는 제2 특정 예에 따른 단계(30)와 단계(32)의 내용을 상술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따르면, 제1차 회로(3)로부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0)는,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제2 전압 소스(4)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따르면, 제2 전기 전압 소스(4)가 제2차 회로(5)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2)는,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 그리고 제2 전압 소스(4)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의 상황에서 모니터링되는 양, 즉 제1 및 제2 전압 소스(2 및 4)의 전압과 전류에 대한 진행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x-축에 초 단위의 시간, 우측 y-축에 암페어 단위의 전류, 및 좌측 y-축에 볼트 단위의 전압을 도시한다.
도 5에서, 곡선(60)은 전압 컨버터(1)의 전압 명령을 도시한다. 곡선(61)은 제2 전압 소스(4)의 전류 응답을 도시한다. 곡선(62)은 제2 전압 소스(4)의 전압 응답을 도시한다. 곡선(63)은 제1 전압 소스(2)의 전류 응답을 도시한다. 곡선(64)은 제1 전압 소스(2)의 전압 응답을 도시한다.
도 5에서, y-축에서 (좌측에 있는) 전압과 (우측에 있는) 전류에 대한 수치 스케일은 지시되어 있지 않다. 대응하는 y-축은 각각 예시되는 고려되는 양의 변동을 의미한다.
도 5에서, 연대순으로, 제1 일반적인 예의 경우에, 컨버터(1)에 대한 명령 곡선(60)에 따라, 출력 전압은, 전압 컨버터(1)로부터, 이 예에서, 순간 t = 5 s에서 실질적으로 명령되는데, 이 출력 전압은 곡선(62)으로 도시된 제2 전압 소스의 전압보다 더 크고, 이것은 곡선(60)이 도시된 구형파(square wave) 신호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 스케일에 대해 거의 순간적이다. 예를 들어, 전압 증가는 1 볼트를 약간 초과하는 전압,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1 볼트 내지 2 볼트의 전압을 나타내어서, 컨버터(1)가 대략 10.5 볼트 내지 14 볼트 사이의 전압을 갖는 납 축전지 배터리의 형태를 취하는 제2 전압 소스에 대해 대략 15 볼트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곡선(63)에서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의 증가가 거의 즉시 나타나고, 또한 곡선(62)에서 제2 전압 소스에서 전압의 증가가 여전히 시간 스케일에 대해 거의 즉시 나타난다(단계(30) - 도 3). 이 2개의 결합된 지시자는 제1 일반적인 예의 제1 특정 예의 경우에 단계(40)에서 전압 컨버터(1)의 올바른 기능의 직접 진단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곡선(63)에서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의 증가가 거의 즉시 나타나고, 또한 곡선(61)에서 제2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의 감소가 시간 스케일에 대해 거의 즉시 나타난다(단계(30) - 도 4). 이 2개의 결합된 지시자는 제1 일반적인 예의 제2 특정 예의 경우에 단계(40)에서 전압 컨버터(1)의 올바른 기능의 직접 대안적인 진단을 제공한다.
도 5에서, 연대순으로, 제2 일반적인 예의 경우에 그리고 전류-비-가역적인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1)의 경우에, 컨버터(1)에 대한 명령 곡선(60)에 따라, 출력 전압은, 유리하게는, 전압 컨버터(1)로부터, 이 예에서, 순간 t = 19 s에서 실질적으로 명령되고, 이 출력 전압은 곡선(62)으로 도시된 제2 전압 소스의 전압보다 더 작으며, 이것은 곡선(60)이 도시된 구형파 신호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 스케일에 대해 거의 순간적이다. 예를 들어, 전압 감소는 단계(20)에서 증가된 전압으로부터 5 볼트보다 약간 더 작은 전압을 나타내어서, 컨버터(1)는 대략 10.5 볼트 내지 14 볼트의 전압,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0.5 볼트의 전압을 갖는 납 축전지 배터리의 형태를 취하는 제2 전압 소스에 대해 배터리의 무부하 전압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10.8 볼트보다 더 작은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곡선(63)에서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의 감소가 거의 즉시 나타나고, 또한 곡선(62)에서 시간 스케일에 대해 제2 전압 소스의 전압 감소가 거의 즉시 나타나고, 이후 이 전압의 감소가 점진적으로 나타난다(단계(32) - 도 3). 이 2개의 결합된 지시자는, 제2 일반적인 예의 제1 특정 예의 경우에, 전압 컨버터(1)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이 단계(40)에서 수립되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컨버터(1)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이 단계(50)에서 수립된다.
대안적으로, 나아가 곡선(63)에서 제1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의 감소가 거의 즉시 나타나고, 또한 곡선(61)에서 제2 전압 소스의 방전 전류의 증가가 여전히 시간 스케일에 대해 거의 즉시 나타난다(단계(32) - 도 4). 이 2개의 결합된 지시자는 대안적으로, 제2 일반적인 예의 제2 특정 예의 경우에, 전압 컨버터(1)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이 단계(40)에서 수립되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컨버터(1)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이 단계(50)에서 수립된다.

Claims (7)

  1. 직류 전류를 제1차 회로(3)에 공급하는 제1 전기 전압 소스(2)와, 직류 전류를 제2차 회로(5)에 공급하는 제2 전기 전압 소스(4)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2)는 상기 제2 소스(4)보다 더 큰 전압 값을 구비하고, 상기 제1차 회로와 제2차 회로(3 및 5)는 제어 및 안전 수단(6)에 의해 명령받는 벅 스태틱(buck static) DC-DC 전압 컨버터(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상기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1)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Figure pat00010
    상기 제1차 회로(3)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차 회로(3) 상의 임의의 전력 소비자가 비활성되기를 기다리는 단계(10),
    Figure pat00011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4)의 전압보다 더 큰 출력 전압을 상기 컨버터(1)로부터 명령받는 단계(20),
    상기 제1차 회로(3)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0) 및:
    - 만약 전송이 없다면, 상기 컨버터(1)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5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회로(3)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0)는, 상기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4)의 전압이 증가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회로(3)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0)는, 상기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4)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회로(3)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 경우에 상기 컨버터(1)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40)를 더 포함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회로(3)로부터 상기 제2차 회로(5)로 전력 전송이 있는 경우에 그리고 전류-비-가역적인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의 경우에, 하기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Figure pat00013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4)의 전압보다 더 작은 출력 전압을 상기 전압 컨버터(1)로부터 명령받는 단계(31),
    Figure pat00014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4)가 상기 제2차 회로(5)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2) 및:
    - 만약 방전한다면, 상기 컨버터(1)에 대해 올바른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40),
    - 만약 방전하지 않는다면, 상기 컨버터(1)에 대해 잘못된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단계(5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4)가 상기 제2차 회로(5)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2)는, 상기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4)의 전압이 감소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전압 소스(4)가 상기 제2차 회로(5)로 방전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32)는, 상기 제1 전압 소스(2)의 방전 전류가 감소하는지 그리고 상기 제2 전압 소스(4)의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KR1020150181300A 2014-12-22 2015-12-17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KR102488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63049A FR3030766B1 (fr) 2014-12-22 2014-12-22 Procede pour etablir un diagnostic fonctionnel d'un convertisseur de tension continu-continu statique devolteur
FR1463049 2014-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458A true KR20160076458A (ko) 2016-06-30
KR102488133B1 KR102488133B1 (ko) 2023-01-12

Family

ID=5298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300A KR102488133B1 (ko) 2014-12-22 2015-12-17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59784B2 (ko)
KR (1) KR102488133B1 (ko)
CN (1) CN105717462B (ko)
FR (1) FR3030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191A1 (ko) * 2017-07-31 2019-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Dc-dc 전압 컨버터를 벅 동작 모드에서 안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4226B2 (en) 2016-11-25 2020-02-18 Lg Chem, Ltd. Diagnostic system for a DC-DC voltage converter
US10353015B2 (en) 2017-07-24 2019-07-16 Lg Chem, Ltd. Diagnostic system for a DC-DC voltage converter
US10714928B2 (en) 2017-07-31 2020-07-14 Lg Chem, Ltd. Diagnostic system for a vehicle electrical system having a DC-DC voltage converter and a voltage regulator
CN111162735A (zh) * 2020-03-03 2020-05-15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升压电路失效检测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6524A1 (en) * 2010-06-23 2011-12-2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diagnosing dc-dc converter and method thereof
US20120268058A1 (en) * 2011-04-19 2012-10-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US20130175858A1 (en) * 2012-01-10 2013-07-11 Honda Motor Co., Ltd.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2557B2 (en) * 2004-03-30 2008-04-2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for bi-directional DC/DC power conversion
DE102004041511A1 (de) * 2004-08-27 2006-03-02 Robert Bosch Gmbh Spannungsregler mit Überspannungsschutz
EP2287995B1 (en) * 2004-08-31 2018-02-28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KR20130078181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직류-직류 변환기의 시험회로
US20140327467A1 (en) * 2013-02-25 2014-11-06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Energy track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6524A1 (en) * 2010-06-23 2011-12-2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diagnosing dc-dc converter and method thereof
US20120268058A1 (en) * 2011-04-19 2012-10-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US20130175858A1 (en) * 2012-01-10 2013-07-11 Honda Motor Co., Ltd. Electric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191A1 (ko) * 2017-07-31 2019-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Dc-dc 전압 컨버터를 벅 동작 모드에서 안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8708A1 (en) 2016-06-23
FR3030766B1 (fr) 2016-12-23
US9759784B2 (en) 2017-09-12
KR102488133B1 (ko) 2023-01-12
FR3030766A1 (fr) 2016-06-24
CN105717462B (zh) 2018-12-25
CN105717462A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7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pid charging of a vehicle
KR20160076458A (ko) 벅 스태틱 dc-dc 전압 컨버터에 대해 기능 진단을 수립하는 방법
US9696385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rechargeable battery to be checked
EP2693592A1 (en) Power supply system, vehicle mounted therewith,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system
US11077765B2 (en) Controller for dc-dc converter and dc-dc converter
EP2509186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9604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6602638B2 (ja) 車両部品絶縁破壊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6446325B2 (ja) 電源供給装置
KR20150077820A (ko) 자동차의 보조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JP2011035985A (ja) 駆動装置およびその絶縁抵抗低下箇所判定方法並びに車両
JP2015154641A (ja) 車両の漏電検出回路
US202100395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US11342772B2 (en) Precharge controller
US20200142002A1 (en) Relay Diagnosis Circuit
US20150311704A1 (en) Power conversion circuit
EP2821802B1 (en) In-vehicle charger
US10752115B2 (en) Contactor supply bus
EP3020594A1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and power supply system
US10429432B2 (en) Method for detecting a faulty connection of an auxiliary battery
JP2018038138A (ja) 車両
KR20200124786A (ko) 배터리 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6362812B2 (ja) 車載用充電器
US11305669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11372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of quick charge re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