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358A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358A
KR20160076358A KR1020140186467A KR20140186467A KR20160076358A KR 20160076358 A KR20160076358 A KR 20160076358A KR 1020140186467 A KR1020140186467 A KR 1020140186467A KR 20140186467 A KR20140186467 A KR 20140186467A KR 20160076358 A KR20160076358 A KR 2016007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angle
hinge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18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358A/ko
Publication of KR2016007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책상은 상판부와, 상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상판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각도조절부는 지지부와 상판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힌지부에 의해 변경된 상판부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의 높이 및 기울기가 조절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작업이나 학습을 할 수 있는 상판과 소지품 또는 책들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서랍 프레임과 서랍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목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작업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상판과, 상판의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모목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서랍프레임과, 서랍프레임이 안착되고, 상판 및 서랍프레임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책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은 작업대를 이루는 상판이 서랍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동시에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상판과 하부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하부프레임과 평행하게 유지됨으로써, 스케치 작업이나 도면 작업과 같이 정밀도가 요구되는 작업 또는 독서를 행할 때 상체를 상판측으로 기울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제도책상을 구비하거나, 상판에 독서대를 놓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514233호(등록일:2005.09.05)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작업에 따라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판의 각도 조절시 상판의 각도 변경이 용이하고, 상판의 각도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상판 및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각도가 변경되는 가변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 및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구비되는 부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판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각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각도제한부는 상기 부싱부재에 돌출형성되는 제한돌기 및 상기 제한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유지부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고, 일단이 상기 상판부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어 내부에서 상기 가스의 유동에 따라 신축되는 가스실린더 및 상기 가스실린더의 가스유동을 단속하는 작동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 하강시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에 결합되어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작동부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 및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인가부는 상기 제1베벨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전측으로 연장되는 동력인가바 및 상기 동력인가바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승강부에 의해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작업에 따라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각도 조절이 내부에서 가스의 유동에 의해 신축되고, 가스의 유동이 단속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가스실린더에 의해 가능하므로, 원활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각도조절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부와 지지부의 결합에 있어서 상판부의 전측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고, 후측은 후크블럭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수납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힌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에 의한 상판부 승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레그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상판부와 레그부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수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힌지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에 의한 상판부 승강을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레그부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상판부와 레그부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은 상판부(110), 지지부(130) 및 각도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상판부(110)는 물품을 올려둘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목재, 스틸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지지부(130)는 상판부(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판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부(131) 및 레그부(131)에 결합되어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지지패널(135)을 포함한다. 레그부(131)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접하는 받침부(132)가 구비된다.
지지패널(135)은 레그부(131)에 결합되어 책상(10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136)과 레그부(131)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패널(137) 및 상판부(110)와 나란하게 상판부(110)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패널(138)을 포함한다. 후면패널(136)과 측면패널(137)은 상판부(1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수평패널(138)은 레그부(131)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판부(110)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부(110)의 저면에는 수납부(120)가 구비된다. 수납부(120)는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122) 및 가이드레일부(1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124)를 포함한다.
각도조절부(140)는 지지부(130)로부터 상판부(11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작업에 따라 편의를 제공한다. 이때, 상판부(110)는 지지부(130)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상판(112) 및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지지부(130)로부터 각도가 변경되는 가변상판(114)을 포함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상판(114)은 고정상판(112)에서 일부 절개된 형태로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고정상판(112)과는 별개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각도조절부(14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와 상판부(11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150) 및 힌지부(150)에 의해 변경된 상판부(110)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유지부(160)를 포함한다. 힌지부(150)는 가변상판(114)의 전측에 마련되고, 각도유지부(160)는 가변상판(114)의 후측을 지지한다. 즉, 가변상판(114)은 후측이 들어올려져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부(15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힌지축(152)과, 힌지축(152)이 삽입되도록 상판부(110)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154) 및 힌지브라켓(154)과 힌지축(152) 사이에 구비되는 부싱부재(156)를 포함한다. 힌지축(152)은 상판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각 단부가 지지부(130)에 결속되고, 힌지브라켓(154)은 상판부(110)의 전측 저면에 나사 결합되며, 부싱부재(156)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힌지축(152)에 결합되어 힌지축(152)과 힌지브라켓(154) 사이에 개재된다. 힌지부(150)는 상판부(1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각도제한부(157)를 포함한다. 회동각도제한부(157)는 부싱부재(156)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돌기(158) 및 제한돌기(158)가 수용되도록 힌지브라켓(154)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한홀(159)을 포함한다.
각도유지부(16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고, 일단이 상판부(110)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은 지지부(130)에 힌지 연결되어 내부에서 가스의 유동에 따라 신장되는 가스실린더(162) 및 가스실린더(162)의 가스유동을 단속하는 작동단속부(164)를 포함한다.
가스실린더(162)는 베이스튜브와 상하 왕복운동하는 스핀들로 이루이지고, 스핀들내부에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챔버에 충진된 가스의 유동에 따라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즉, 작동단속부(164)에 의해 작동에 의해 챔버내의 가스가 유동되면서, 가스실린더(162)를 신축시킬 수 있다. 이때, 작동단속부(164)에 의해 가스의 유동이 차단되게 되면, 가스실린더(162)의 길이가 고정되므로 상판부(110)의 기울기를 고정할 수 있다. 작동단속부(164)는 가스실린더(162)에 구비되는 작동레버 및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사용자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지지부(130)에는 상판부(110)의 각도 하강시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완충부재(142)가 구비된다. 완충부재(142)는 가변상판(114)과, 가장자리 모서리를 탄성지지하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보스로 이루어진다. 물론, 탄성스프링에 의해 완충될 수도 있으며, 가변상판(114)을 완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상판부(110)는 승강부(170)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승강부(170)는 레그부(131)에 구비되어 상판부(11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131)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171) 및 승강지지부(171)와 치합되고, 레그부(131)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174) 및 스크류(174)를 회전시키는 승강작동부(180)를 포함한다.
승강지지부(171)는 스크류(174)가 수용되는 지지관(172)과, 지지관(172) 상부에 결합되어 스크류(174)와 치합되는 지지블럭(173)을 포함한다. 이때,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74)의 하단에는 지지관(172)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부재(175)가 구비된다. 제1유동방지부재(175)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스크류(174)의 상승 시 스크류(174)를 직선으로 이동되게 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승강작동부(180)는 동력인가부(182) 및 동력인가부(182)의 동력을 스크류(17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85)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185)는 동력인가부(18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187) 및 제1베벨기어(187)와 치합되어 제1베벨기어(187)의 회전을 스크류(174)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베벨기어(188)를 포함한다.
이때, 동력전달부(185)는 기어박스(186)에 구비된다. 기어박스(186)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베벨기어(187)는 기어박스(186)의 어느 일면에 결합된다. 이는 제1베벨기어(187)의 조립방향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동력전달부(185)는 각 레그부(131)에 구비되며, 동력전달부(185)는 동력전달바(189)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동력인가부(182)는 제1베벨기어(187)와 연결되고, 상판의 전측으로 연장되는 동력인가바(183) 및 동력인가바(183)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조작레버(184)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책상의 높낮이를 조잘할 수 있는 구성이다.
승강부(170)는 승강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한 상판부(110)의 승강시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승강가이드부(190)를 포함한다. 승강가이드부(190)는 레그부(131)의 둘레를 감싸는 가이드관으로 이루어지고, 레그부(131)와 승강가이드부(190) 사이에는 제2유동방지부재(192)가 구비된다. 제2유동방지부재(192)는 레그부(131)에 구비되는 접촉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즉, 레그부(131)와 승강가이드부(190)는 다각관으로 이루어져 상판부(110)의 상승시 레그부(131)를 따라 승강가이드부(190)가 상승함으로써, 상판부(110)의 유동없는 승강이 가능하다. 그리고, 승강가이드부(190)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류(17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가이드부(190)와 상판부(110)는 후크블럭(195)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후크블럭(195)은 상판부(110)에 나사 결합되고, 하부로 연장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승강가이드부(190)에 후크결합된다. 따라서, 상판부(110)의 상승시 승강가이드부(190)가 상승되므로 직선 안내가 가능하고, 스크류(174)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가이드부(190)의 내측면에는 판너트(194)가 구비된다. 판너트(194)는 가이드관의 내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며, 지지패널(135)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는 승강가이드부(190)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패널(135)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판부(110)는 지지부(13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일정 높이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판부(110)의 하부에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20)가 구비된다. 수납부(120)는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122)와 가이드레일부(12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납부재(124)로 이루어져 수납부재(124)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30)에는 상판부(1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지지패널(135)이 구비된다. 지지패널(135)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정면을 제외한 후면,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후면패널(136)과 측면패널(13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면패널(136)과 측면패널(137)은 수평패널(138)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수평패널(138)은 상판부(110)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패널(135)이 고정되기 위해 레그부(131)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190)의 내면에는 판너트(194)가 구비되어 지지패널(135)을 볼트 고정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관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짐으로 판너트(194)에 의해 지지패널(135)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판부(110)는 고정상판(112)과 가변상판(114)으로 이루어지며, 가변상판(114)은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상판(112)과 가변상판(114)이 평평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책상(100)으로 사용하다가 작업에 따라 가변상판(114)을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상판부(110)의 각도조절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도조절부(140)는 힌지부(150)와 각도유지부(160)로 이루어진다. 즉, 가변상판(114)는 힌지부(150)에 의해 전측이 지지부(130)에 힌지 연결되고, 가변상판(114)의 후측은 각도유지부(160)에 의해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작동단속부(164)를 작동시키면, 가스실린더(162)가 신장되어 가변상판(114)이 세워지게 된다. 이는 가스실린더(162)의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 내에서 가스의 유동으로 가능하다. 즉, 와이어의 당김작동에 의해 내부 가스의 유동이 발생되고, 가스의 유동에 의해 가스실린더(162)가 신장되고, 가변상판(114)은 힌지축(15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후측이 세워져 기울어지는 것이다. 와이어의 당김을 해제하면, 가스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가스실린더(162)의 신장을 멈출 수 있어 가변상판(114)의 기울기를 고정할 수 있다.
이후, 가변상판(114)을 평평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와이어를 당기고, 가변상판(114)의 후측에 눌러주게 되면, 가변상판(114)을 최초위치로 평평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가스실린더(162)에 의한 작동에 의해 급격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상판(114)은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완충부재(142)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다. 완충부재(142)는 고무재질이 완충보스로 이루어진다. 물론, 완충부재(142)는 하강하는 가변상판(114)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작업에 특성에 따라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가변상판(114)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가스실린더(162)의 작동에 의해 편의를 제공하며, 작동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판부(110)는 승강부(170)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승강부(170)는 레그부(131)에 구비되고, 승강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승강부(170)에 의해 상판부(110)의 높이조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승강부(170)는 레그부(131) 내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171) 및 승강지지부(171)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류(174)로 이루어져 스크류(174)의 회전에 의해 상판부(1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조작레버(184)를 회전시켜 동력인가바(183)를 회전시키면 동력인가바(183)의 회전은 제1베벨기어(187)를 회전시키고, 제1베벨기어(187)와 치합된 제2베벨기어(188)가 회전되며, 제2베벨기어(188)의 회전은 스크류(17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스크류(174)는 지지관(172)내에 수용되고, 지지관(172)의 상단에 고정된 지지블럭(173)에 치합되어 있어 스크류(174)의 회전은 스크류(174)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상판부(110)는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174)의 하단에는 제1유동방지부재(175)가 구비되어 지지관(172) 내면에 접하므로 스크류(174)의 유동을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85)는 정육면체의 기어박스(186)에 구비되므로 제1베벨기어(187)가 저면과 상판을 제외한 모든 면에 결합될 수 있어 설치 방향성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동력인가바(183)가 사용자측으로 연장되도록 제1베벨기어(187)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조작레버(184)를 작동시킬 수 있어 착석상태에서의 상판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최적의 상판부(110) 높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185)는 동력전달바(189)에 의해 타측의 동력전달부(185)로 동력인가부(182)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타측의 스크류(174)를 승강시킴으로써, 상판부(110)는 균일하게 승강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판부(110)의 승강은 승강가이드부(19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승강가이드부(190)는 레그부(131)의 둘레를 감싸는 가이드관으로 이루어져 상판부(110)는 유동없이 원활하게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레그부(131)의 외측면에는 제2유동방지부재(192)가 구비되어 레그부(131)와 승강가이드부(19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흔들림 없는 승강이 가능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판부(110)와 승강가이드부(190)는 후크블럭(195)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즉,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10)의 저면에 후크블럭(195)이 나사 결합되고, 승강가이드부(190)와 후크결합되므로써, 상판부(110)와 승강가이드부(190)를 연결하기 위한 기존의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상판부(110)의 상승시 승강가이드부(190)가 함께 상승되므로 스크류(174)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크류(174)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승강부에 의해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작업에 따라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판의 각도 조절이 내부에서 가스의 유동에 의해 신축되고, 가스의 유동이 단속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가스실린더에 의해 가능하므로, 원활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각도조절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책상 110 : 상판부
112 : 고정상판 114 : 가변상판
120 : 수납부 122 : 가이드레일부
124 : 수납부재 130 : 지지부
131 : 레그부 132 : 받침부
135 : 지지패널 136 : 후면패널
137 : 측면패널 138 : 수평패널
140 : 각도조절부 142 : 완충부재
150 : 힌지부 152 : 힌지축
154 : 힌지브라켓 156 : 부싱부재
157 : 회동각도제한부 158 : 제한돌기
159 : 제한홀 160 : 각도유지부
162 : 가스실린더 164 : 작동단속부
170 : 승강부 171 : 승강지지부
172 : 지지관 173 : 지지블럭
174 : 스크류 175 : 제1유동방지부재
180 : 승강작동부 182 : 동력인가부
183 : 동력인가바 184 : 조작레버
185 : 동력전달부 186 : 기어박스
187 : 제1베벨기어 188 : 제2베벨기어
189 : 동력전달바 190 : 승강가이드부
192 : 제2유동방지부재 194 : 판너트
195 : 후크블럭

Claims (14)

  1. 상판부;
    상기 상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상판; 및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각도가 변경되는 가변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 및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구비되는 부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판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각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각도제한부는 상기 부싱부재에 돌출형성되는 제한돌기; 및
    상기 제한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고, 일단이 상기 상판부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어 내부에서 상기 가스의 유동에 따라 신축되는 가스실린더; 및
    상기 가스실린더의 가스유동을 단속하는 작동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 하강시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에 결합되어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부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 및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인가부는 상기 제1베벨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전측으로 연장되는 동력인가바; 및
    상기 동력인가바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KR1020140186467A 2014-12-22 2014-12-22 책상 KR20160076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67A KR20160076358A (ko) 2014-12-22 2014-12-22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67A KR20160076358A (ko) 2014-12-22 2014-12-22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58A true KR20160076358A (ko) 2016-06-30

Family

ID=5635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67A KR20160076358A (ko) 2014-12-22 2014-12-22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3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0699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CN110260124B (zh) 一种笔记本电脑架
CN107257640B (zh) 高度可调式桌子
US9693624B2 (en) Continuous force spring elevatable work platform
US20070266912A1 (en) Multi-Position Work Tables
US5845587A (en) Two-part table top
US10213015B1 (en) Pneumatic assist adjustable table
US11076688B2 (en) Height adjustable table
MXPA06010770A (es) Escritorio para estudiante.
US9738116B1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CN105579010A (zh) 可调节的家具
KR20150101797A (ko) 높이조절 책상
KR20160054643A (ko) 다용도 가구
KR101653943B1 (ko) 접철식 테이블
KR101702714B1 (ko) 책상
US20080060562A1 (en) Extendable assembly for supporting sofa table
KR20160076358A (ko) 책상
KR200491564Y1 (ko) 음악 전문가용 책상
KR101730092B1 (ko) 책상
KR101394645B1 (ko) 승강 테이블
JP2007279567A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101702713B1 (ko) 책상
GB2591807A (en) A furniture platform lifting mechanism
GB2542571A (en) Support device for positioning a user in relation to a toilet
NL2015857B1 (nl) Tafel met een in hoogte instelbaar bl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