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092B1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092B1
KR101730092B1 KR1020140130577A KR20140130577A KR101730092B1 KR 101730092 B1 KR101730092 B1 KR 101730092B1 KR 1020140130577 A KR1020140130577 A KR 1020140130577A KR 20140130577 A KR20140130577 A KR 20140130577A KR 101730092 B1 KR101730092 B1 KR 10173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unit
angle
lif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677A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13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0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2009/00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inclined slidabl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책상은: 상판부와, 상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지지부로부터 상판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의 높이 및 기울기가 조절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작업이나 학습을 할 수 있는 상판과 소지품 또는 책들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서랍 프레임과 서랍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목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작업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상판과, 상판의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모목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서랍프레임과, 서랍프레임이 안착되고, 상판 및 서랍프레임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책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은 작업대를 이루는 상판이 서랍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동시에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상판과 하부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하부프레임과 평행하게 유지됨으로써, 스케치 작업이나 도면 작업과 같이 정밀도가 요구되는 작업 또는 독서를 행할 때 상체를 상판측으로 기울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제도책상을 구비하거나, 상판에 독서대를 놓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514233호(등록일:2005.09.05)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작업에 따라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판의 각도 조절시 상판의 각도 변경이 용이하고, 상판의 각도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에 결합되어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레그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상판부의 승강 시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상판부는 후크블럭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 및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구비되는 부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케이스와, 상기 가이드케이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판부에 힌지 연결되는 가변바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로부터 상기 가변바의 인출상태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가변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케이스에 구비되는 걸림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 하강시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승강부에 의해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작업에 따라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각도 조절시 상판의 각도 변경이 용이하고, 걸림턱부와 걸림뭉치의 치합에 의해 상판의 각도를 지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부와 지지부의 결합에 있어서 상판부의 전측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고, 후측은 후크블럭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부의 각도조절에 의한 하강시에 회동감쇄부에 의해 상판부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수납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힌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에 의한 상판부 승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레그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상판부와 레그부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수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힌지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각도조절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승강부에 의한 상판부 승강을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레그부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상판부와 레그부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은 상판부(110), 지지부(130) 및 각도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상판부(110)는 물품을 올려둘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목재, 스틸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지지부(130)는 상판부(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판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부(131) 및 레그부(131)에 결합되어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지지패널(135)을 포함한다. 레그부(131)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접하는 받침부(132)가 구비된다.
지지패널(135)은 레그부(131)에 결합되어 책상(10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136)과 레그부(131)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패널(137) 및 상판부(110)와 나란하게 상판부(110)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패널(138)을 포함한다. 후면패널(136)과 측면패널(137)은 상판부(1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수평패널(138)은 레그부(131)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판부(110)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부(110)의 저면에는 수납부(120)가 구비된다. 수납부(120)는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122) 및 가이드레일부(1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124)를 포함한다.
각도조절부(140)는 지지부(130)로부터 상판부(11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작업에 따라 편의를 제공한다. 이때, 상판부(110)는 지지부(130)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상판(112) 및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지지부(130)로부터 각도가 변경되는 가변상판(114)을 포함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상판(114)은 고정상판(112)에서 일부 절개된 형태로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고정상판(112)과는 별개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수납부(120)와 상판부(110) 사이에는 마감패널(125)이 구비될 수 있다. 마감패널(125)은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가변상판(114)의 각도 변경시 수납부(120)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마감패널(125)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수납부(120)의 내부 물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각도조절부(14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와 상판부(11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150) 및 힌지부(150)에 의해 변경된 상판부(110)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유지부(160)를 포함한다. 힌지부(150)는 가변상판(114)의 전측에 마련되고, 각도유지부(160)는 가변상판(114)의 후측을 지지한다. 즉, 가변상판(114)은 후측이 들어올려져 경사면(166a,167a)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부(15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힌지축(152)과, 힌지축(152)이 삽입되도록 상판부(110)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154) 및 힌지브라켓(154)과 힌지축(152) 사이에 구비되는 부싱부재(156)를 포함한다. 힌지축(152)은 상판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각 단부가 지지부(130)에 결속되고, 힌지브라켓(154)은 상판부(110)의 전측 저면에 나사 결합되며, 부싱부재(156)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힌지축(152)에 결합되어 힌지축(152)과 힌지브라켓(154) 사이에 개재된다. 힌지부(150)는 상판부(1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각도제한부(157)를 포함한다. 회동각도제한부(157)는 부싱부재(156)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돌기(158) 및 제한돌기(158)가 수용되도록 힌지브라켓(154)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한홀(159)을 포함한다.
각도유지부(160)는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가이드케이스(162)와, 가이드케이스(16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판부(110)에 힌지 연결되는 가변바(164) 및 가이드케이스(162)로부터 가변바(164)의 인출상태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165)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각도유지부(160)는 가변상판(114)의 후측으로 지지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위치고정부(165)에 의해 가능하며, 위치고정부(165)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바(164)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턱부(166) 및 걸림턱부(166)와 접촉되도록 가이드케이스(162)에 구비되는 걸림뭉치(167)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턱부(166)와 걸림뭉치(167)에는 상호 대응되는 방향에 경사면(166a,167a)이 형성된다. 상판부(110)가 힌지부(1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기울어지게 되면, 경사면(166a,167a)이 상호 대응되므로 걸림턱부(166)는 가이드케이스(162)의 외부로 돌출되고, 해당위치에 정지하면, 걸림턱부(166)를 걸림뭉치(167)가 지지하므로써, 가변상판(114)의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걸림뭉치(167)는 가이드케이스(162)의 내부에서 탄성부재(168)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걸림뭉치(167)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바(169)가 구비된다. 작동바(169)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상판부(110)의 전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작동바(169)를 잡아당기면 걸림뭉치(167)와 걸림턱부(166)의 결합은 해제될 수 있고, 작동바(169)를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68)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어 걸림뭉치(167)와 걸림턱부(166)는 결속상태가 되어 가변상판(114)의 후측을 지지한다.
지지부(130)에는 상판부(110)의 각도 하강시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완충부재(142)가 구비된다. 완충부재(142)는 가변상판(114)과, 가장자리 모서리를 탄성지지하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보스로 이루어진다. 물론, 탄성스프링에 의해 완충될 수도 있으며, 가변상판(114)을 완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판부(110)의 각도 복귀 시 상판부(110)의 급격한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감쇄부(145)를 포함한다. 회동감쇄부(145)는 상판부(110)와 지지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각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쇼크업소버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상판부(110)는 승강부(170)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승강부(170)는 레그부(131)에 구비되어 상판부(11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131)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171) 및 승강지지부(171)와 치합되고, 레그부(131)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174) 및 스크류(174)를 회전시키는 승강작동부(180)를 포함한다.
승강지지부(171)는 스크류(174)가 수용되는 지지관(172)과, 지지관(172) 상부에 결합되어 스크류(174)와 치합되는 지지블럭(173)을 포함한다. 이때,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74)의 하단에는 지지관(172)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부재(175)가 구비된다. 제1유동방지부재(175)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스크류(174)의 상승 시 스크류(174)를 직선으로 이동되게 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승강작동부(180)는 레그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182) 및 동력인가부(182)의 동력을 스크류(17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84)를 포함한다. 동력인가부(182)는 동력전달부(184)와 축 연결되고 레그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동력인가부(182)에는 조작레버(183)가 구비되고, 조작레버(183)는 동력인가부(182)로부터 편심되게 구비되고,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때, 기어박스(185)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베벨기어(186)는 기어스의 어느 일면에 결합된다. 이는 제1베벨기어(186)의 조립방향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동력전달부(184)는 각 레그부(131)에 구비되며, 동력전달부(184)는 동력전달바(18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후면패널(136)에는 동력전달바(188)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89)이 구비되어 동력전달바(188)의 처짐 또는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170)는 승강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한 상판부(110)의 승강시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승강가이드부(190)를 포함한다. 승강가이드부(190)는 레그부(131)의 둘레를 감싸는 가이드관으로 이루어지고, 레그부(131)와 승강가이드부(190) 사이에는 제2유동방지부재(192)가 구비된다. 제2유동방지부재(192)는 레그부(131)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마찰블럭으로 이루어진다. 즉, 레그부(131)와 승강가이드부(190)는 다각관으로 이루어져 상판부(110)의 상승시 레그부(131)를 따라 승강가이드부(190)가 상승함으로써, 상판부(110)의 유동없는 승강이 가능하다. 그리고, 승강가이드부(190)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류(17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가이드부(190)와 상판부(110)는 후크블럭(195)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후크블럭(195)은 상판부(110)에 나사 결합되고, 하부로 연장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승강가이드부(190)에 후크결합된다. 따라서, 상판부(110)의 상승시 승강가이드부(190)가 상승되므로 직선 안내가 가능하고, 스크류(174)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가이드부(190)의 내측면에는 판너트(194)가 구비된다. 판너트(194)는 가이드관의 내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며, 지지패널(135)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는 승강가이드부(190)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패널(135)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판부(110)는 지지부(13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일정 높이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판부(110)의 하부에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20)가 구비된다. 수납부(120)는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122)와 가이드레일부(12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납부재(124)로 이루어져 수납부재(124)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상판부(110)와 수납부(120) 사이에는 마감패널(125)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125)은 상판부(110)의 각도 변경시 개방된 상부를 통해 이물질이 수납부(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30)에는 상판부(1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지지패널(135)이 구비된다. 지지패널(135)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정면을 제외한 후면,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후면패널(136)과 측면패널(13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면패널(136)과 측면패널(137)은 수평패널(138)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수평패널(138)은 상판부(110)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패널(135)이 고정되기 위해 레그부(131)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190)의 내면에는 판너트(194)가 구비되어 지지패널(135)을 볼트 고정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관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짐으로 판너트(194)에 의해 지지패널(135)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판부(110)는 고정상판(112)과 가변상판(114)으로 이루어지며, 가변상판(114)은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상판(112)과 가변상판(114)이 평평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책상(100)으로 사용하다가 작업에 따라 가변상판(114)을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상판부(110)의 각도조절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도조절부(140)는 힌지부(150)와 각도유지부(160)로 이루어진다. 즉, 가변상판(114)는 힌지부(150)에 의해 전측이 지지부(130)에 힌지 연결되고, 가변상판(114)의 후측은 각도유지부(160)에 의해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가변상판(114)의 외측 가장자리를 파지하여 후측을 세우게 되면, 가변상판(114)은 힌지축(15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후측이 세워져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가변상판(114)에 힌지 연결된 가변바(164)가 가이드케이스(162)로부터 인출되고, 가변바(164)는 가이드케이스(162)에 구비되는 위치고정부(165)에 의해 가변상판(114)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가변바(164)의 인출은 걸림뭉치(167)의 경사면(167a)과 가변바(164)의 경사면(166a)이 대응되므로 가변상판(114)의 회동시 상부방향으로는 인출이 가능하고, 하부방향으로는 걸림뭉치(167)가 가변바(164)의 걸림턱부(166)에 걸리게 되므로 상판부(110)의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걸림뭉치(167)와 가변바(164)의 걸림턱부(166)에 의해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여 의도되지 않은 가변바(164)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가변상판(114)을 평평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측으로 연장되는 작동바(169)를 잡아당겨 걸림턱부(166)로부터 걸림뭉치(167)의 결합을 해체함으로써, 가변상판(114)을 평평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이때, 가변상판(114)의 하강은 회동감쇄부(145)에 의해 천천히 이루어진다. 즉, 쇼크업소버로 이루어지는 회동감쇄부(145)는 가변상판(114)의 급격한 회동을 방지할 수 있어 파손 및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상판(114)은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완충부재(142)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다. 완충부재(142)는 고무재질이 완충보스로 이루어진다. 물론, 완충부재(142)는 하강하는 가변상판(114)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작업에 특성에 따라 각도조절부(140)에 의해 가변상판(114)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10)는 승강부(170)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승강부(170)는 레그부(131)에 구비되고, 승강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승강부(170)에 의해 상판부(110)의 높이조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승강부(170)는 레그부(131) 내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171) 및 승강지지부(171)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류(174)로 이루어져 스크류(174)의 회전에 의해 상판부(1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조작레버(183)를 펼쳐 동력인가부(182)를 회전시키면 동력인가부(182)의 회전은 제1베벨기어(186)를 회전시키고, 제1베벨기어(186)와 치합된 제2베벨기어(187)가 회전되며, 제2베벨기어(187)의 회전은 스크류(17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스크류(174)는 지지관(172)내에 수용되고, 지지관(172)의 상단에 고정된 지지블럭(173)에 치합되어 있어 스크류(174)의 회전은 스크류(174)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상판부(110)는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174)의 하단에는 제1유동방지부재(175)가 구비되어 지지관(172) 내면에 접하므로 스크류(174)의 유동을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84)는 정육면체의 기어박스(185)에 구비되므로 제1베벨기어(186)가 저면과 상판을 제외한 모든 면에 결합될 수 있어 설치 방향성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184)는 동력전달바(188)에 의해 타측의 동력전달부(184)로 동력인가부(182)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타측의 스크류(174)를 승강시킴으로써, 상판부(110)는 균일하게 승강 작동될 수 있다. 이때, 후면패널(136)에는 동력전달바(188)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89)이 구비되어 동력전달바(188)의 처짐이나 휨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판부(110)의 승강은 승강가이드부(19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승강가이드부(190)는 레그부(131)의 둘레를 감싸는 가이드관으로 이루어져 상판부(110)는 유동없이 원활하게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레그부(131)의 외측 모서리에는 제2유동방지부재(192)가 구비되어 레그부(131)와 승강가이드부(19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흔들림 없는 승강이 가능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판부(110)와 승강가이드부(190)는 후크블럭(195)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즉,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10)의 저면에 후크블럭(195)이 나사 결합되고, 승강가이드부(190)와 후크결합되므로써, 상판부(110)와 승강가이드부(190)를 연결하기 위한 기존의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상판부(110)의 상승시 승강가이드부(190)가 함께 상승되므로 스크류(174)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크류(174)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승강부에 의해 상판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판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사용 및 작업에 따른 대응 사용이 가능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책상 110 : 상판부
112 : 고정상판 114 : 가변상판
120 : 수납부 122 : 가이드레일부
124 : 수납부재 125 : 마감패널
130 : 지지부 131 : 레그부
132 : 받침부 135 : 지지패널
136 : 후면패널 137 : 측면패널
138 : 수평패널 140 : 각도조절부
142 : 완충부재 145 : 회동감쇄부
150 : 힌지부 152 : 힌지축
154 : 힌지브라켓 156 : 부싱부재
157 : 회동각도제한부 158 : 제한돌기
159 : 제한홀 160 : 각도유지부
162 : 가이드케이스 164 : 가변바
164a: 안내관 165 : 위치고정부
166 : 걸림턱부 166a, 167a : 경사면
167 : 걸림뭉치 168 : 탄성부재
169 : 작동바 170 : 승강부
171 : 승강지지부 172 : 지지관
173 : 지지블럭 174 : 스크류
175 : 제1유동방지부재 180 : 승강작동부
182 : 동력인가부 183 : 조작레버
184 : 동력전달부 185 : 기어박스
186 : 제1베벨기어 187 : 제2베벨기어
188 : 동력전달바 189 : 지지브라켓
190 : 승강가이드부 192 : 제2유동방지부재
194 : 판너트 195 : 후크블럭

Claims (10)

  1.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에 결합되어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상판부의 승강 시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상판부는 후크블럭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상판; 및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각도가 변경되는 가변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상판은 사용자의 착석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가변상판의 가로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와 상기 상판부 사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한 상기 가변상판의 각도 변경시 상기 수납부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수납부의 내부 물품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레그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판부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 및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구비되는 부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케이스;
    상기 가이드케이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판부에 힌지 연결되는 가변바;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로부터 상기 가변바의 인출상태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가변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케이스에 구비되는 걸림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 하강시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KR1020140130577A 2014-09-29 2014-09-29 책상 KR10173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577A KR101730092B1 (ko) 2014-09-29 2014-09-29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577A KR101730092B1 (ko) 2014-09-29 2014-09-29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677A KR20160037677A (ko) 2016-04-06
KR101730092B1 true KR101730092B1 (ko) 2017-04-25

Family

ID=5579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577A KR101730092B1 (ko) 2014-09-29 2014-09-29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1895B (zh) * 2021-01-19 2023-11-03 台州市欧佳汽摩部件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更换的学生课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125A (ja) * 2001-07-31 2003-08-12 Itoki Crebio Corp 脚装置を備えた家具
KR200381979Y1 (ko) * 2005-01-24 2005-04-18 김영기 수강용 책상의 상판 가변장치
KR100566732B1 (ko) * 2005-06-16 2006-04-05 곽인근 책상용 독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125A (ja) * 2001-07-31 2003-08-12 Itoki Crebio Corp 脚装置を備えた家具
KR200381979Y1 (ko) * 2005-01-24 2005-04-18 김영기 수강용 책상의 상판 가변장치
KR100566732B1 (ko) * 2005-06-16 2006-04-05 곽인근 책상용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677A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7640B (zh) 高度可调式桌子
JP5915825B2 (ja) 仕切り要素を保持するキャリッジ及び仕切り要素
US9693624B2 (en) Continuous force spring elevatable work platform
US20180008037A1 (en) Motorized, height adjustable desktop system
US5845587A (en) Two-part table top
US7066098B2 (en) Nesting table with controlled pivoting movement
US20110247532A1 (en) Height adjustable work surface system
US9439511B2 (en) Hangable artist's easel and accessories
US9943955B2 (en) Portable workstation
US7726732B1 (en) Chair mountable desk apparatus
US4781126A (en) Adjustable desk-top assembly
US9119467B2 (en) Ironing board storage device assembly and method
KR101702714B1 (ko) 책상
US8567325B1 (en) Work table stowage and support fixture
KR101730092B1 (ko) 책상
KR20160054643A (ko) 다용도 가구
US20170239987A1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US8677910B2 (en) Extendible table
KR101702713B1 (ko) 책상
KR200479292Y1 (ko) 스탠딩 테이블
KR101748414B1 (ko)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KR101869352B1 (ko)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KR200491564Y1 (ko) 음악 전문가용 책상
JP2007279567A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RU2695936C2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льного мест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