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054A -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 Google Patents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054A
KR20160074054A KR1020140182813A KR20140182813A KR20160074054A KR 20160074054 A KR20160074054 A KR 20160074054A KR 1020140182813 A KR1020140182813 A KR 1020140182813A KR 20140182813 A KR20140182813 A KR 20140182813A KR 20160074054 A KR20160074054 A KR 2016007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anese
transfer line
mining
connec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459B1 (ko
Inventor
정도현
Original Assignee
이너스페이스원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너스페이스원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너스페이스원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4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50/00Obtaining minerals from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채광 모선 및 운반선과, 심해저의 망간단괴를 수집하는 채집광 로봇과, 상기 채광 모선 및 운반선과 상기 채집광 로봇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채집광 로봇에 의해 채집광된 망간단괴를 상기 채광 모선 및 운반선으로 이송하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복수개의 본관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본관의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transferring-line for manganese nodules}
본 발명은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심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의해 이송라인이 변형되는 것에 대해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심해저 광물은 크게 해저열수광상, 망간단괴, 망간각 등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본격 생산을 위한 시장진입 단계에 있다.
특히, 망간단괴는 구리, 코발트, 니켈, 망간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주로 망간이 주성분이며, 물질모양이 덩어리로 되어 있어서 '단괴'라 칭한다. 크기는 평균 40 ~ 60cm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상어의 이빨이나 망간단괴의 파편, 돌멩이와 같은 핵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망간단괴는 산업적으로 가치가 커서 1970년대 말에 OMI(Ocean Management Incorporated) 등에서 심해저에서 채광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채광시스템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OMI에 의해서 망간단괴 채광시험에 성공한 유압승강시스템(Hydraulic Lifing System)으로 여러 가지 펌프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시스템으로서 도 1에서 종래 해저광물 채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채광기지 역할 및 특수장비 운반에 사용되는 채광 모선 및 운반선(10)과, 심해저의 망간단괴를 수집하는 집광기(collecting device; 13)와, 집광기(13)와 연결되는 이송배관(12) 및 이송배관(12)에 연결되어 망간단괴를 채광선(10)으로 운반하는 양관펌프시스템(11)으로 구성된다.
이때, 집광기(13)에서 파쇄된 망간단괴를 양광하여 해상의 망간단괴 채광 모선(미도시)까지 이송하려면 상당한 길이에 걸쳐서 망간단괴 이송배관을 통과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송배관은 복수개의 관이 상호 플랜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수심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의해 이송배관이 변형되는 것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수심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해 이송라인이 자연스럽게 변형이 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광 모선 및 운반선과, 심해저의 망간단괴를 수집하는 채집광 로봇과, 상기 채광 모선 및 운반선과 상기 채집광 로봇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채집광 로봇에 의해 채집광된 망간단괴를 상기 채광 모선 및 운반선으로 이송하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복수개의 본관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본관의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은 상기 복수개의 본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부가 일단에 구비된 제1 연결부와, 다른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부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본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에는 보조 연결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심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해 이송라인이 자연스럽게 변형이 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해저광물 채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100)는 채광 모선 및 운반선(10)과, 심해저의 망간단괴를 수집하는 채집광 로봇(13)과, 채광 모선 및 운반선(10)과 채집광 로봇(13)에 상호 연결되어 채집광 로봇(13)에 의해 채집광된 망간단괴를 채광 모선 및 운반선(10)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송라인(100)은 복수개의 본관(110)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본관(110)의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관(120)이 결합된다.
복수의 연결관(120)은 복수개의 본관(11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부(122a)가 일단에 구비된 제1 연결부(122)와, 다른 하나의 본관(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부(124a)가 일단에 구비되고, 제1 연결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연결부(12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연결부(124)가 제1 연결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수심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의해 이송라인(100)이 자연스럽게 변형이 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연결부(122)와 제2 연결부(124) 사이에는 실링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개의 본관(11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제1 연결부(122) 사이에는 보조 연결관(13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연결부(122)의 직경이 제1 연결부(122)에 결합되는 본관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이송라인(100)을 통해 이송되는 망간단괴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본관의 직경과 제1 연결부(122)의 직경이 동일하게 맞추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간단되 이송라인 구조에 의하면, 수심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해 이송라인이 자연스럽게 변형이 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110'; 본관
120; 연결관
122; 제1 연결부
122a; 제1 플랜지부
124; 제2 연결부
124a; 제2 플랜지부
130; 보조 연결관

Claims (3)

  1. 채광 모선 및 운반선과, 심해저의 망간단괴를 수집하는 채집광 로봇과, 상기 채광 모선 및 운반선과 상기 채집광 로봇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채집광 로봇에 의해 채집광된 망간단괴를 상기 채광 모선 및 운반선으로 이송하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복수개의 본관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본관의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은 상기 복수개의 본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부가 일단에 구비된 제1 연결부와, 다른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부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본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에는 보조 연결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KR1020140182813A 2014-12-18 2014-12-18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KR10175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813A KR101752459B1 (ko) 2014-12-18 2014-12-18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813A KR101752459B1 (ko) 2014-12-18 2014-12-18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054A true KR20160074054A (ko) 2016-06-28
KR101752459B1 KR101752459B1 (ko) 2017-07-05

Family

ID=5636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813A KR101752459B1 (ko) 2014-12-18 2014-12-18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8502A (zh) * 2018-10-17 2020-04-24 柯世苑 淤泥清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8502A (zh) * 2018-10-17 2020-04-24 柯世苑 淤泥清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459B1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8653B2 (en) Decoupled seafloor mining system
ATE410584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eiten von fluiden von einem wasserfahrzeug zu einem unterwassereingreifmodul
CN108672425B (zh) 一种深水水下管道自动清管方法
AU2012206995B2 (en) Marine or underwater vehicle and associated securing method
WO201002613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 sea pipe abandonment and recovery
CN106761761A (zh) 一种智能化协同作业海底集矿装备
KR101752459B1 (ko) 망간단괴 이송라인 구조
CN206468353U (zh) 一种智能化协同作业海底集矿装备
MY186679A (en) Method and system for cargo fluid transfer at open sea
CN203371246U (zh) 一种用于水下法兰连接的机具
CN108512134B (zh) 浅水域分支缆铺设工艺
CN104294895A (zh) 一种下水道疏通装置
AU2014275020B2 (en) Jumper line configurations for hydrate inhibition
GB2546675A (en) Weak link arrangement and a method comprises a weak link arrangement
CN108426109A (zh) 用于水下法兰接口的快速连接装置
CN204554049U (zh) 一种深海管道连接系统
KR101836906B1 (ko) 해저플랜트의 구조 및 해저플랜트의 전력 운영 방법
CN104141467B (zh) 煤层气井尾管打捞合并作业特种工具及其作业工艺
CN201144104Y (zh) 输送设备连续翻面装置
GB2562387A (en) Methods and systems employing a conductive path with a segmentation module for decoupling power and telemetry in a well
CN203258231U (zh) 直通管接头
CN205221000U (zh) 一种新型船用设备电缆进线方向转变装置
CN203010005U (zh) 用于深水海底管线终端安装和回收的悬挂机构
CN204624629U (zh) 一种自动翻转装置
CN105246255A (zh) 一种柔性电路板的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