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91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913A
KR20160073913A KR1020150173507A KR20150173507A KR20160073913A KR 20160073913 A KR20160073913 A KR 20160073913A KR 1020150173507 A KR1020150173507 A KR 1020150173507A KR 20150173507 A KR20150173507 A KR 20150173507A KR 20160073913 A KR20160073913 A KR 2016007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resource
base station
objec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6007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78
    • H04W72/005
    • H04W72/042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RA(random access)를 시도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RA 자원과 RA 자원을 구성하는 RA 프리앰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RA 자원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RA 자원은 비경쟁 방식의 RA 절차를 위하여 할당된 RA 자원 및 기지국이 사물통신 전송을 위하여 할당된 별도로 할당한 자원 중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시그널링(signaling)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사람간의 통신을 위한 휴대형 단말기뿐만 아니라, IoT(Internet of Thing) 또는 MTC(Machine Time Communication)와 같이 사물통신(또는 사물간 통신)을 위한 장치, 또는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단말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단말간 직접통신(D2D: Device-to-Device)을 위한 장치에 대한 통신으로 확장하고 있다.
D2D 통신은 기술적으로 디스카버리(Discovery) 기능과 통신(Communication) 기능으로 나뉘어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서비스적으로 근접기반 서비스의 상업적인 인지 서비스와 공공성의 재난 안전 서비스로 나뉘어서 개발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상용 망과 재난망을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술로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이것을 공공안전(Public Safety, PS)이라고 부른다. 공공안전은 통신 관점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우선 모든 제어 정보를 미리 받아서 재난 시 적용하며, 서비스 관점에서 GCSE(Group Call System Enable) 기술을 이용해서 여러 사람이 무전기처럼 다대다 통신이 가능하게 하였다.
광대역 이동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공공안전을 PS-LTE(Public Safety-LTE)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LTE 기반으로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기존의 ETWS(Earthquake and Tsunarmi Warming System), PWS(Public Warning System) 기능 지원 외에, D2D 통신과 GCSE(Group Communication Service) 기능 지원이 논의되고 있으며, 공공안전 통신에 필요한 기능들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광역 기지국과 협역 기지국이 함께 존재하는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 환경에서, 일반 휴대 단말, 직접통신 또는 사물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등, 단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직접통신 또는 사물통신 기능을 제공할 때, 긴급 재난 상황에서 D2D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제어 시그널링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에서, RA(random access)를 시도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RA 자원과 RA 자원을 구성하는 RA 프리앰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RA 자원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A 자원은 비경쟁 방식의 RA 절차를 위하여 할당된 RA 자원 및 기지국이 사물통신 전송을 위하여 할당된 별도로 할당한 자원 중 하나이다.
상기 단말이 사물통신을 지원하는 사물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물 통신 기능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 상기 요구되는 정보는 사물통신 단말의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달라짐--를 기지국으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RA 자원 및 RA 프리앰블은 단말의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임의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에 따라 확인되는 단말의 속성이나 서비스 형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장치 타입 정보 또는 장치 식별자, 서비스 형태 또는 서비스 식별자, 그리고 그룹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 타입 정보 또는 장치 식별자, 서비스 형태 또는 서비스 식별자, 그리고 그룹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형태는 전송해야 할 메시지의 크기, 전송 메시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특정 기능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연결 베어러의 속성을 구분하는 식별자, 논리채널 식별자, 또는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이 가능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은 사물 통신 관련 정보와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사물 통신 관련 정보는 사물통신 단말이 사용한 RA 자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의 형태, 단말의 그룹 정보, 서비스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RA를 시도한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RA를 시도한 단말이 속한 단말 그룹을 대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그리고 RA를 시도한 단말과 동일한 속성, 형태 또는 능력등급(capability)을 갖는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임의 단말이나 단말 그룹 또는 임의 서비스를 위하여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방송채널, 공통 정보 채널, 다중 전송 채널, 직접통신 채널, 및 유니캐스트 채널 중 하나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는 IoT(Internet of Thing) 센서, MTC((Machine Time Communication) 장치 또는 D2D(Device-to-Device) 장치에서의 감시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감지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재난 상황을 포함하는 긴급 상황에서 전송하는 미리 정의된 보고 메시지 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감시 기능 또는 상기 감지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 또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보내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말이 D2D 단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이고 기지국으로 자원을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 공통 정보 채널, 및 다중 전송 채널(multicast channel)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자원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SR(Scheduling Request) 비트를 전송하면서 자원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요청 정보별로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는 SR 비트가 사용되는 방법 및 상기 단말이 요구하는 요청 정보별로 SR 비트가 전송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원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사물 통신 단말인 경우, 배터리의 수명, 배터리의 형태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잔존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남았을 경우에, 배터리의 예상 잔여 시간을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최소한의 전력만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사물통신 단말이고, 상기 사물통신 단말은 정보 송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시스템 정보 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물통신 단말이 임의의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는 경우, 설치 장소가 변경되는 경우 설치 장소 갱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긴급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긴급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휴지 상태이거나 가용 가능한 상향링크 자원이 없는 경우에, RA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재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획득한 RA 자원 및 RA 프리앰블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하나의 RA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선택된 RA 프리앰블을 상기 RA 자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청 정보는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RA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에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장치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변환기,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기와 연결되며,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물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RA 절차를 기반으로 사물 통신 기능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및 상기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요청부는, 사물통신 장치의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하면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상기 단말에 대한 장치 타입 정보 또는 장치 식별자, 서비스 형태 또는 서비스 식별자, 그리고 그룹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면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임의 단말이나 단말 그룹 또는 임의 서비스를 위하여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하면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토대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이 가능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방송채널, 공통 정보 채널, 다중 전송 채널, 직접통신 채널, 및 유니캐스트 채널 중 하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에서 RLF(radio link failure)에 따라 연결 상태가 해지되면, 제1 타이머를 설정하고 카운트하며, 제1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연결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D2D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1 활성화 처리부; 기지국과의 연결이 되지 않은 휴지 상태에서 제2 타이머를 설정하고 카운트하고, 제2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셀 탐색 절차에 따라 접속 가능한 셀이 찾아지지 않는 경우, D2D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2 활성화 처리부; 및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에서 RLF에 따라 연결 상태가 해지되면, 제1 타이머를 카운트하고 제1 카운트가 종료하여도 연결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제2 타이머를 카운트하면서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고, 제2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셀 탐색 절차에 따라 접속 가능한 셀이 찾아지지 않는 경우, D2D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3 활성화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일반 휴대 단말, 사물 통신(IoT) 단말, D2D 단말 등, 단말의 형태에 따라 다른 트래픽 특성을 갖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 주체 및 전송 대상에 따른 효율적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단말간 직접 통신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그널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그널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사물통신 장치(IoT: Internet of Thing),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그 기능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간 직접 통신(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지원시, 셀의 서비스 영역(coverage)과 관련된 D2D 시나리오는 도 1과 같다. 여기서, 셀(cell)은 기지국, AP(Access Point), 노드 등을 나타낸다.
도 1은 단말간 직접 통신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단말간 직접 통신에 대한 시나리오는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4가지 시나리오 1A~1D가 존재할 수 있다. 시나리오 1A는 D2D 단말(UE(User Equipment)1과 UE2)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 가능한 이동 통신 셀(cell)이 없는 경우이며, 이와 같은 경우를 "Out-of-coverage"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제어 시그널링(signaling)은 분산 제어(distributed control) 방식을 기본으로 수행된다.
시나리오 1C와 시나리오 1D는 D2D 단말(UE1과 UE2)이 서비스 제공한 가능한 임의 셀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시나리오 1C는 D2D 단말인 UE1과 UE2가 모두 동일한 셀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이를 "In Coverage-Single-Cell"로 분류할 수 있다. 시나리오 1D는 D2D 단말기인 UE1과 UE2가 서로 다른 셀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이를 "In-Coverage-Multi-Cell"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2D 단말이 임의 셀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제어 시그널링은 기지국 제어(network control) 방식을 기본으로 수행된다.
시나리오 1B는 D2D 단말들 중에서 하나인 UE1은 이동통신 셀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인 UE2는 이동통신 셀의 서비스 영역 바깥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이를 "Partial Coverage"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제어 시그널링은 상황에 따라 기지국 제어 방식 또는 분산 제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은 음성 서비스 중심의 통신으로 하나의 QoS(Quality of Service) 기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D2D 통신은 유니캐스트(unicast) 전송이 아니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D2D 단말은 모드(mode) 1 및 모드 2 중에서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드 1은 기지국의 스케줄링 자원 할당(scheduled resource allocation) 방식을 토대로 하는 것으로, D2D 단말은 기지국이 할당한 자원을 사용하여 D2D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이 가용한 D2D 자원 풀(pool)에서 자원을 할당함에 따라, D2D 단말간에 충돌없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드 2는 D2D 단말이 시스템(또는 임의의 기지국)에서 설정한 D2D 풀에서 독립적으로 송신 자원을 선택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모드 2에서는 임의 단말이 D2D 풀 내에서 선택한 자원에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D2D 단말이 셀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In-coverage" 상황에서는 모드 1이 적용되고, D2D 단말이 셀의 서비스 영역 바깥에 위치하는 "Out-of-Coverage" 상황에서는 모드 2가 적용된다. 시나리오 1B와 같은 "Partial Coverage" 상황 또는, D2D 단말이 셀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서 모드 1 또는 모드 2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모드 1과 모드 2를 선택하는 기준을 별도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모드 1 또는 모드 2를 적용할 수 있다.
모드 1을 기반으로 하는 기지국 제어 방식의 경우,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D2D 단말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상태로 동작하며, 기지국이 D2D 자원을 제어한다.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모드 1 또는 모드 2)를 지정할 수 있다. 기지국과의 정보 전달을 위한 연결이 설정되지 않은 휴지 상태(IDLE state)에 있는 D2D 단말은 송신 데이터가 발생하면 RRC 연결 상태로 천이(transition)해야 한다. RRC 연결 상태에서, D2D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D2D 단말은 D2D 전송을 위한 자원을 요청하며, 이때, 필요에 따라, D2D BSR(Buffer Status Report)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D2D 단말이 요청한 D2D 자원을 할당하고, 자원 할당 정보를 D2D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D2D 단말은 기지국이 설정한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D2D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모드 2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제어 방식의 경우,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D2D 단말은 동기 신호를 획득한 후에 D2D 풀의 자원 중에서 랜덤하게 자원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임의 D2D 단말이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설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방송(broadcast)한 동기 신호일 수 있다. 모드 2에서, D2D 단말은 주변에 검출 가능한 동기 신호가 없으면, 직접 동기 신호를 전송하여 동기신호원(synch. Source)이 될 수 있다.
한편, D2D 통신 기능과 D2D 디스커버리 기능은 사용자 또는 단말의 설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는 D2D 통신 또는 D2D 디스커버리 기능 지원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며, 비활성화 상태는 D2D 통신 또는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제공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D2D 통신 또는 D2D 디스커버리 기능은 부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부분적인 활성화는 해당 기능의 송신 또는 수신 기능만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D2D 통신 기능의 송신 기능만 활성화되거나 또는 D2D 통신 기능의 수신 기능만 활성화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D2D 통신 기능 및 D2D 디스커버리 기능을 포괄하여, "D2D 기능"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D2D 단말들은 직접 통신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으며, 하나의 D2D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직접 통신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직접 통신 그룹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공공안전(Public Safety, P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직접 통신 그룹은 예를 들어, 소방관 그룹, 경찰관 그룹, 앰뷸런스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위급 상황 등의 긴급을 요구하는 재난 상황에 따라 복수의 직접 통신 그룹들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D2D 단말이 D2D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RRC 연결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D2D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D2D 단말이 RRC 연결 상태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즉, D2D 단말은 D2D 기능에서 수신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모드 1 또는 모드 2의 구분 없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2D 기능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또는 단말의 설정에 따라 비활성화할 수 있다. 특히, 지역적인 긴급 재난 상황에서 경찰, 소방관, 긴급 구호 요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D2D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단말의 설정에 따라 D2D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활성화 상태로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존의 ETWS(Earthquake and Tsunarmi Warming System) 또는 PWS(Public Warning System)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 재난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D2D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던 단말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 변경 절차 없이 D2D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그널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공공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이 D2D 기능 지원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공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재난 상황과 같은 이벤트 발생시, 도 2에서와 같이, 기지국(1)이 D2D 기능을 구비한 단말(21, 22)에 지역적인 재난 상황을 알리는 재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0). 여기서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연결이 없는 휴지(IDLE) 상태인 경우에도 재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재난 통보 메시지는 기존의 ETWS 또는 PWS 메시지이거나 또는 별도의 재난 통보 메시지(또는 인디케이션 정보)일 수 있다.
단말(21 또는 22)이 재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D2D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D2D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단말(21)은 재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D2D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설정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S110). D2D 기능의 활성화 상태로의 변경은 사용자 개입 없이 단말이 자체적으로 설정을 변경하거나 강제적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2D 기능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이후에, 단말(21)은 D2D 정보를 주변의 D2D 단말(22)에 전송하거나(S120), 또는 인접한 D2D 단말(22)로부터 D2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0). 여기서, D2D 정보는 재난 통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그런데 정상적으로 ETWS, PWS, 또는 별도의 메시지의 형태로 긴급 재난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단말의 D2D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D2D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단말은 기존의 셀 탐색 절차를 이용하여 캠핑(camping) 가능한 셀을 찾거나 또는 접속 가능한 셀을 찾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셀 탐색 절차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D2D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 재난 상황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셀과의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연결 상태(예를 들어 RRC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은 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 상태가 해지되므로 단말은 다시 연결 상태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때, 단말은 미리 설정한 시간 기준값(예를 들어, 타이머1)을 초과할 때까지 연결 상태로 전환할 수 없으면, 자신의 D2D 기능을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두번째 방법으로, 셀과의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휴지(IDLE) 상태의 단말은, 긴급 재난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 기준값(예를 들어, 타이머2)을 초과할 때까지 캠핑 가능한 셀을 찾거나 또는 접속 가능한 셀을 찾을 수 없다면, D2D 기능을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연결 상태 또는 휴지 상태에 있는 단말이 캠핑 또는 접속 가능한 셀을 찾지 못하여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상황으로 인지하는 경우, 기준 시간값(타이머1, 또는 타이머2)을 설정하고 시간을 카운트하고 해당 기준 시간값이 초과될 때까지(즉, 해당 타이머가 종료할 때까지) 캠핑 또는 접속 가능한 셀을 찾지 못한다면, 현재 상황이 "Out-of-Coverage"인 것으로 인지(또는 긴급 재난 상황으로 인지)하고, D2D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기준 시간값 설정 즉, 타이머 기반으로 D2D 기능을 활성화하는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상태에 따라 타이머1 또는 타이머2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는 타이머1과 타이머 2를 모두 적용하고 타이머 1과 타이머2가 모두 종료하면 D2D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이 연결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고 타이머1이 종료하면, 타이머2에 의하여 휴지 상태에서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고 타이머2가 종료할 때까지 정상적인 셀을 발견하지 못하면 D2D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연결 상태의 단말에 대하여 타이머3를 설정한다. 이후, RLF에 따라 연결이 해지(release)되어 단말이 휴지상태로 전환되고,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였음에도 정상적인 셀을 발견하지 못하고 해당 타이머3가 종료하면, D2D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긴급한 재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별도의 설정에 따라 단말은 긴급 재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단축키를 누르거나, 단말의 표시창에서 특정한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표시창을 미리 설정한 방법에 따라 터치하거나, 음성 또는 주변의 소리 정보에 따라, 또는 단말기의 센서 감지(예를 들어, 사람의 체온, 주변 온도, 연기, 고도 변화 감지 등)에 따라, 단말이 긴급 재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재난 신호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재난 상황을 구분하는 정보 등을 긴급 재난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의 단축키 또는 아이콘에 따라 재난 상황을 구분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 센서 감지의 결과에 따라 재난 상황을 구분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재난 상황 구분 정보를 긴급 재난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재난 신호는 D2D 기능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지국(또는 셀, AP 등)으로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상태의 단말이 가용 가능한 상향링크 자원이 없거나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이 기지국으로 긴급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이 특정한 임의 접속(Random Access, RA)을 이용하여 재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RA 자원에서 비경쟁 방식의 RA 절차를 위하여 할당된 RA 프리앰블 자원(예를 들어, 전용 프리앰블(dedicated preamble))을 긴급 재난 신호 전송을 위한 RA 프리앰블 자원으로 할당하고, 할당된 RA 프리앰블 자원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서비스 영역내의 단말에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위와 같이 할당된 긴급 재난 신호 전송을 위한 RA 프리앰블 자원을 시스템 전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RA 프리앰블 자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존의 RA 자원이 아니라 긴급 재난 신호 전송만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RA 자원을 할당하고, 별도로 할당된 RA 자원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셀내에 통보할 수 있다.
한편, IoT(Internet of Thing),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M2M(Machine-to-Machine) 등의 사물 통신 서비스에서는 트래픽의 형태가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와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통신을 하는 장치(IoT 단말, MTC 단말, M2M 단말, 일반 휴대 단말 등)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가 요구하는 정해진 데이터를 정해진 시간 내에 전송을 완료해야 하거나, 전송완료 시간과는 무관하게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거나, 또는 상당히 긴 시간(예를 들어, 수일, 주, 월 또는 년 단위)을 주기로 데이터를 보내야 하거나, 또는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 없이 소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이벤트 방식으로 소량의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 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물통신을 하는 장치 즉, 사물통신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단말의 설정 정보, SW 갱신, 서비스 추가/변경/중지, 장치의 그룹 정보, 또는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정보 등을 수신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물통신 단말들은 그 속성에 따라 위와 같은 정보들을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받는 방법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물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기지국이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물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단말은 RA 절차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다음에는 위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그널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그널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말은 RA 절차(예를 들어, LTE(LTE-A) 시스템의 RA 절차)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단말(2)은 도 3에서와 같이, 기지국(1)이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RA 자원과 RA 자원을 구성하는 RA 프리앰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300).
단말(2)은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RA 프리앰블을 임의로 선택하고 선택된 RA 프리앰블을 RA 자원을 통하여 기지국(1)으로 전송한다(S310). 이는 예를 들어, RA 절차에서는 MSG1(message1)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1)은 단말의 RA 프리앰블 전송에 대응하여 RA 응답 메시지를 RA를 시도한 단말(2)로 전송한다(S320). 이때, RA 응답 메시지는 RA 절차에서의 MSG2(message2)에 대응할 수 있다. RA 응답 메시지는 기지국이 검출한 RA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에 대하여 할당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은 기지국으로부터 RA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RA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RA 프리앰블 정보를 추출하여 자신이 전송한 RA 프리앰블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두 RA 프리앰블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수신한 RA 응답 메시지가 자신이 전송한 RA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2)은 자신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 즉,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또는 정보 요청 메시지라고 명명될 수 있음)를 기지국(1)으로 전송한다(S330). 이때, 정보 요청 메시지는 RA 절차에서의 MSG3에 대응할 수 있다. RA 절차에서 MSG3를 통하여 단말은 자신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UE ID, 또는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등)와 연결 설정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사물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통신 장치의 설정 정보, SW 갱신, 서비스 추가/변경/중지, 장치의 그룹 정보, 동작 제어 등의 필요한 데이터 또는 서비스를 구분하는 정보, 또는 별도로 정한 요청 정보 등의 사물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단말(2)이 사물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일 경우를 전제로 한다.
기지국(1)은 단말(2)로부터 MSG3와 같은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단말(2)로 전송한다(S340). 이때, 요청 정보가 사물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하는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한다.
기지국(1)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단말이 요청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 기지국(1)은 단말이 요청한 정보(예를 들어, 사물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단말이 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기존의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해당 정보를 즉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말로부터 관련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단말별로 해당 데이터를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관련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복수의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을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과 같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이 가능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MSG3와 같은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기존의 RA 절차에서 요구하는 RA 절차 완료 시간과 무관하게,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 가능한 무선자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데이터는 RA 절차에서 MSG4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예: D2D 단말 또는 IoT 단말)이 RA 절차를 수행하면서 특정한 형태의 MSG1(또는 미리 설정된 RA 프리앰블)을 전송하거나 또는 MSG3에 장치 타입 정보 또는 장치 식별자, 서비스 형태(또는 서비스 식별자), 그룹 식별자 등을 포함시켜 전송하는 경우에, 기지국(1)은 관련 정보를 MSG4에 실어서 방송채널 또는 공통 정보 채널, 다중 전송 채널 등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형태는 전송해야 할 메시지의 크기, 전송 메시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의 최종 수신 노드가 기지국, 다른 단말, 또는 네트워크 내의 서버 등 특정한 노드인지를 구분하는 정보), 또는 특정한 기능(예를 들어, 재난/경보 메시지 전송 기능,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인 보고 기능, D2D 통신 기능, 또는 MTC 등의 사물통신 기능 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현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서비스 식별자는 연결 베어러의 속성을 구분하는 식별자, 논리채널 식별자, 또는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등을 표현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임의 단말이 시도하는 RA 절차에서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자원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MSG4에 실어서 전송하는 경우, 전송되는 정보는 RA를 시도한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RA를 시도한 단말이 속한 단말 그룹을 대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RA를 시도한 단말과 동일한(또는 동급) 속성, 형태 또는 능력등급(capability)을 갖는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MSG3와 같은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기존의 RA 절차에서 요구하는 RA 절차 완료 시간과 무관하게,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 가능한 무선자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사물통신 서비스 중에 정해진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을 완료해야 하는 경우에, 위에 기술된 긴급 재난 정보 전송 절차에서 설명한 별도의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이 시스템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S300)에서, RA 자원에서 비경쟁 방식의 RA 절차를 위하여 할당된 RA 프리앰블 자원을 사물통신 전송을 위한 RA 프리앰블 자원으로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사물통신 전송을 위한 RA 프리앰블 자원은 사물통신 단말의 속성, 또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RA 자원이 아니라 사물통신 전송만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RA 자원을 할당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셀내에 통보할 수 있다.
한편, RA 프리앰블을 전송할 때(S310), 사물통신 단말은 장치의 속성, 또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해당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통신 단말의 속성(또는 능력 등급) 또는 사물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요구되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주파수 축 상에서 RA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서브-캐리어(sub-carrier)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사물통신 서비스의 데이터 패킷 발생 주기(또는 빈도), 긴급성 등에 따라 RA 프리앰블 전송 시간을 특정한 서브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구간으로 지정하거나 전송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지국은 수신된 RA 프리앰블에 따라, RA 응답 메시지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해당 사물통신 단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은 수신되는 RA 프리앰블에 따라 해당 사물통신 단말의 속성이나 서비스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된 속성이나 서비스 형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통신 절차에서, RA 절차에서 복수의 단말들이 시도한 RA 프리앰블들을 구분하지 않고 사물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사물통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물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자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물통신 단말에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할 때, 사물통신 단말이 사용한 RA 자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의 형태, 단말의 그룹 정보, 서비스의 속성에 따라 특정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자원을 사용하도록 매핑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통신 단말이 사용한 RA 자원(또는 RA 프리앰블), 또는 사물통신 단말의 형태, 단말의 그룹 정보, 서비스의 속성 등을 설명의 편의상 "사물 통신 단말 관련 정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사물 통신 관련 정보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자원 사이에 매핑 관계가 설정되면, 매핑관계에 따라 기지국이 특정한 서브 프레임 또는 특정한 캐리어 (또는 서브 캐리어)의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매핑관계는 사물통신 단말의 등록, 서비스 개시 등의 절차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되거나,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단말은 주기적으로 시스템 정보 변경 여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RA 자원이 시스템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해당 셀에서 고정되어 운용되는 경우에는, 단말이 시스템 정보 전송을 요청하기 전에 해당 셀의 RA 자원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이때, RA 자원이 해당 셀의 동기신호의 구성, 또는 주파수 대역폭, 물리계층 셀 식별자(예를 들어, PCI(Physical Cell Identifier))등과 매핑 관계를 갖는다면, 보다 유용하게 해당 RA 자원을 이용하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요청에 따라 기지국(또는 다른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D2D 단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이 자원을 요청하면,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 또는 공통 정보 채널, 또는 다중 전송 채널(multicast channel)을 통하여 관련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D2D 단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이 자원요청 절차를 이용하는 경우에, 방송 채널, 다중 전송 채널, 유니캐스트(unicast)용 채널, 또는 직접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 전용 제어 메시지, 패킷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D2D 단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이 수행하는 자원요청 절차는 SR(Scheduling Request) 비트를 전송하거나 또는 RA 프리앰블을 이용한 RA 절차일 수 있다.
단말이 SR 비트를 이용하여 자원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이 요구하는 요청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전용 제어 메시지, 패킷 데이터 메시지,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다른 SR 비트 패턴을 사용하거나 또는 전송 위치 즉, SR 비트가 전송되는 위치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청 정보에 따라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SR 비트 전송 위치가 다른 경우에, 기지국(또는 수신 장치)에서는 SR 비트를 수신한 위치만으로 단말이 어떤 정보를 요구하는지 알 수 있다. 따라서 SR 비트 수신 위치만으로 확인한 단말의 요청 정보를 방송채널, 다중 전송 채널, 또는 유니캐스트용 채널, 또는 직접통신 채널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RA 절차를 이용하여 자원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이 요구하는 정보에 따라서 다른 RA 프리앰블을 설정하거나 또는 위에 기술된 RA 절차의 MSG3 내에서 요청 정보를 구분하는 식별 정보, 서비스 식별자(ID), 또는 그룹 ID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또는 수신 장치)에서는 RA 프리앰블 또는 MSG3 내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구분하는 정보에 따라 단말이 요구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요구되는 정보를 방송채널, 다중 전송 채널, 또는 유니캐스트용 채널, 또는 직접통신 채널 등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RA 절차를 이용한 자원 요청에 있어서, 단말(또는 D2D 장치, 또는 사물통신 장치)은 RA 절차의 MSG1을 이용한 프리앰블 전송 또는 MSG3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에서, 서비스 형태(type), 서비스 식별자(ID), 그룹 식별자(ID) 등의 부가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MSG1을 이용한 RA 프리앰블 전송시, 서비스 형태 또는 그룹에 따라 프리앰블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부가 정보를 프리앰블 전송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MSG3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시, 서비스 형태, 서비스 식별자(ID), 그룹 식별자(ID) 등의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단말(또는 그룹), 또는 서비스(또는 기능)을 위하여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등의 부가 정보를 MSG3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는 IoT 센서, MTC 장치 또는 D2D 장치에서 감시(또는 감지) 기능, 재난 상황을 포함하는 긴급 상황에서 전송하는 미리 정의된 보고 메시지 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보고 메시지에서 감시(또는 감지)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 또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보내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나타낸다.
RA 절차에서 부가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의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셀, RRH(remote radio head), AP(access point), 릴레이 등) 또는 다른 단말은 부가 정보에 따라 방송채널 또는 공통 정보 채널, 다중 전송 채널, 또는 직접통신 채널을 통하여 관련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또는 감지) 서비스의 경우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SG1 또는 MSG3를 통하여 부가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는 부가 정보에 따라 방송채널, 공통 정보 채널, 다중 전송 채널, 또는 직접통신 채널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 또는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해당 단말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해당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은 네트워크 종단 노드가 자신이 보내고자 하는 부가 정보와 동일한 기준값 또는 중복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여,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가 이미 해당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인지하고. 동일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불필요한 임의 접속 시도를 중지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종단 노드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 또는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MSG4로 전송하거나 또는 MSG4 이후에 별도의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정보를 전송하면서 해당 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감시(또는 감지) 기능을 위한 새로운 기준값(또는 조건)을 전송하거나, 또는 기준값(또는 조건)을 초기화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물통신 단말이 이동하지 않는 고정형 장치이거나, 일회성 배터리 또는 재충전 없이 한번 충전된 배터리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물통신 단말이 시스템 정보, 또는 기타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지 않고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물통신(또는 IoT) 단말은 연결 상태(Connected state) 또는 휴지 상태(Idle state) 등의 상태와 무관하게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여 동작하는 사물통신 단말은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셀, RRH, AP, 릴레이 등) 또는 다른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인 연결(또는 채널)을 유지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이러한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여 동작하는 사물통신 단말은 동기 유지, 시스템 정보 획득, 페이징 정보 수신, 또는 디스커버리 신호 등을 미리 설정된 타이머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신하거나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자체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임의의 장소에 고정(fixed) 설치되어 동작하는 사물통신 단말은, 최초 설치시 또는 이동 설치 시에만 시스템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 이후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최소한의 전력만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성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사물통신 단말이 셀 갱신(cell update), 라우팅 영역 갱신(Routing Area update), 또는 트래킹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등의 절차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단지 단말의 설치 장소가 변경된 경우에만 설치 장소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설치 장소 갱신 절차를 수행하도록, 사물통신 단말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장소 갱신 절차는 사용자에 의한 매뉴얼(manual) 방식을 따라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사물통신(또는 IoT) 단말이 자체적으로 설치 장소 갱신 절차 수행 여부를 인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물통신(또는 IoT) 단말이 자체적으로 설치 장소 갱신 절차 수행 여부를 인지하는 방법은 내장된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gyro) 센서 등)가 위치 이동을 인지하거나, GPS 정보를 이용한 방법, 또는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 경우 등을 설치 장소 변경으로 인지하고, 설치 장소 갱신(또는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물통신(IoT) 단말 중에서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일부 단말들은 배터리가 교체된 경우에 설치 장소 갱신 절차와 유사한 방법 또는 기존의 셀 갱신(cell update), 라우팅 영역 갱신(Routing Area update), 또는 트래킹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등의 절차에 따라 시스템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를 재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사물통신(IoT) 장치의 배터리 교체를 알리면서 해당 베터리의 수명(예를 들어, 남은 시간 또는 충전 백분율 정보 등), 형태 등의 부가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셀, RRH(remote radio head), AP(access point), 릴레이 등)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일부 사물통신(IoT) 단말은 배터리의 잔존 시간(또는 충전 백분율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남았을 경우에, 이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의 예상 잔여 시간(또는 충전 백분율 정보), 또는 배터리 교체 요청)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일부 사물통신(IoT) 단말은, 동작 중에 배터리 잔존 시간(또는 충전 백분율 값)과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필요한 경우(또는 전송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배터리의 예상 잔여 시간(또는 충전 백분율 정보), 또는 배터리 교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는 셀(cell), 기지국(Base station),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SU: 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등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그 일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변환기(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위의 도 1 내지 도 3을 토대로 설명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10)는 활성화 처리부(111), 시스템 정보 획득부(112), 재난 신호 전송 처리부(113), 정보 요청부(114), 정보 획득부(115)를 포함한다.
활성화 처리부(111)는 재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상황으로 판단되면, D2D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위하여, 활성화 처리부(111)는, 제1 활성화 처리부(111a), 제2 활성화 처리부(111b), 제3 활성화 처리부(111c)를 포함한다.
제1 활성화 처리부(111a)는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에서 RLF에 따라 연결 상태가 해지되면, 제1 타이머를 설정하고 카운트하며, 제1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연결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D2D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제2 활성화 처리부(111b), 기지국과의 연결이 되지 않은 휴지 상태에서 제2 타이머를 설정하고 카운트하고, 제2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셀 탐색 절차에 따라 접속 가능한 셀이 찾아지지 않는 경우, D2D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제3 활성화 처리부(111c)는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에서 RLF에 따라 연결 상태가 해지되면, 제1 타이머를 카운트하고 제1 카운트가 종료하여도 연결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제2 타이머를 카운트하면서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고, 제2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셀 탐색 절차에 따라 접속 가능한 셀이 찾아지지 않는 경우, D2D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시스템 정보 획득부(112)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시스템 정보는 비경쟁 방식의 RA 절차를 위하여 할당된 RA 자원, 또는 기지국이 상기 긴급 재난 신호 전송을 위하여 별도로 할당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신호 전송 처리부(113)는 긴급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단말이 휴지 상태이거나 가용 가능한 상향링크 자원이 없는 경우에, 시스템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RA 자원을 이용하여 긴급 재난 신호를 전송한다. 재난 신호 전송 처리부(113)는 재난 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D2D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요청부(114)는 사물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RA 절차를 기반으로 사물 통신 기능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 요청한다. 정보 요청부(114)는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단계, 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정보 요청부(114)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A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RA 프리앰블과 기지국으로 전송한 RA 프리앰블이 일치하는 경우에, RA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향 링크 자원을 통하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물통신 장치의 속성, 또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해당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15)는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획득하며, 위에 기술된 실시 예에 기재된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통신 기능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는, 사물통신 단말의 설정 정보, 소프트웨어 갱신, 서비스 추가/변경/중지, 단말의 그룹 정보, 동작 제어에 요구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구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RF 변환기(13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며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에서,
    RA(random access)를 시도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RA 자원과 RA 자원을 구성하는 RA 프리앰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RA 자원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RA 자원은 비경쟁 방식의 RA 절차를 위하여 할당된 RA 자원 및 기지국이 사물통신 전송을 위하여 할당된 별도로 할당한 자원 중 하나인, 제어 시그널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물통신을 지원하는 사물통신 단말이고,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물 통신 기능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 상기 요구되는 정보는 사물통신 단말의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달라짐--를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A 자원 및 RA 프리앰블은 단말의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어 설정되며,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임의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에 따라 확인되는 단말의 속성이나 서비스 형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장치 타입 정보 또는 장치 식별자, 서비스 형태 또는 서비스 식별자, 그리고 그룹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 타입 정보 또는 장치 식별자, 서비스 형태 또는 서비스 식별자, 그리고 그룹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형태는 전송해야 할 메시지의 크기, 전송 메시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특정 기능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연결 베어러의 속성을 구분하는 식별자, 논리채널 식별자, 또는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제어 시그널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이 가능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은 사물 통신 관련 정보와 매핑 관계를 가지며, 상기 사물 통신 관련 정보는 사물통신 단말이 사용한 RA 자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의 형태, 단말의 그룹 정보, 서비스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RA를 시도한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RA를 시도한 단말이 속한 단말 그룹을 대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RA를 시도한 단말과 동일한 속성, 형태 또는 능력등급(capability)을 갖는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
    중에서 하나인, 제어 시그널링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임의 단말이나 단말 그룹 또는 임의 서비스를 위하여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방송채널, 공통 정보 채널, 다중 전송 채널, 직접통신 채널, 및 유니캐스트 채널 중 하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는 IoT(Internet of Thing) 센서, MTC((Machine Time Communication) 장치 또는 D2D(Device-to-Device) 장치에서의 감시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감지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재난 상황을 포함하는 긴급 상황에서 전송하는 미리 정의된 보고 메시지 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 중에서 하나이며,
    상기 감시 기능 또는 상기 감지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 또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보내는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D2D 단말 또는 사물통신 단말이고 기지국으로 자원을 요청하는 경우에,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 공통 정보 채널, 및 다중 전송 채널(multicast channel)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자원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SR(Scheduling Request) 비트를 전송하면서 자원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요청 정보별로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는 SR 비트가 사용되는 방법 및 상기 단말이 요구하는 요청 정보별로 SR 비트가 전송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원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물 통신 단말인 경우, 배터리의 수명, 배터리의 형태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배터리의 잔존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남았을 경우에, 배터리의 예상 잔여 시간을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최소한의 전력만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사물통신 단말이고, 상기 사물통신 단말은 정보 송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시스템 정보 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물통신 단말이 임의의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는 경우, 설치 장소가 변경되는 경우 설치 장소 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긴급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휴지 상태이거나 가용 가능한 상향링크 자원이 없는 경우에, RA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재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획득한 RA 자원 및 RA 프리앰블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하나의 RA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선택된 RA 프리앰블을 상기 RA 자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 정보는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RA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에 상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시그널링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장치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변환기,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기와 연결되며,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물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RA 절차를 기반으로 사물 통신 기능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및
    상기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요청부는,
    사물통신 장치의 속성 및 서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RA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하면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상기 단말에 대한 장치 타입 정보 또는 장치 식별자, 서비스 형태 또는 서비스 식별자, 그리고 그룹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면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임의 단말이나 단말 그룹 또는 임의 서비스를 위하여 미리 정의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하면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토대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이 가능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방송채널, 공통 정보 채널, 다중 전송 채널, 직접통신 채널, 및 유니캐스트 채널 중 하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에서 RLF(radio link failure)에 따라 연결 상태가 해지되면, 제1 타이머를 설정하고 카운트하며, 제1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연결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D2D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1 활성화 처리부;
    기지국과의 연결이 되지 않은 휴지 상태에서 제2 타이머를 설정하고 카운트하고, 제2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셀 탐색 절차에 따라 접속 가능한 셀이 찾아지지 않는 경우, D2D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2 활성화 처리부; 및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에서 RLF에 따라 연결 상태가 해지되면, 제1 타이머를 카운트하고 제1 카운트가 종료하여도 연결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제2 타이머를 카운트하면서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고, 제2 타이머가 종료하여도 셀 탐색 절차에 따라 접속 가능한 셀이 찾아지지 않는 경우, D2D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3 활성화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KR1020150173507A 2014-12-17 2015-12-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73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88 2014-12-17
KR20140182688 2014-12-17
KR1020150153417 2015-11-02
KR20150153417 2015-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913A true KR20160073913A (ko) 2016-06-27

Family

ID=5634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07A KR20160073913A (ko) 2014-12-17 2015-12-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9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52804A1 (en) * 2017-06-11 2020-08-06 Lg Electronics Inc. V2x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1284471B2 (en) 2017-09-26 2022-03-2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Prioritizing network acc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52804A1 (en) * 2017-06-11 2020-08-06 Lg Electronics Inc. V2x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1284471B2 (en) 2017-09-26 2022-03-2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Prioritizing network ac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997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e,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EP3583792B1 (en) Wlan d2d interworing with lte prose
US11737051B2 (e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3100493B1 (en) Mtc ue and method for coverage enhancement using radio link control configuration
CN106470491B (zh) 中继用户设备控制方法、装置及用户设备
CN106471861B (zh) 提供系统信息的方法、蜂窝网络节点和用户设备
CN107645753B (zh) 一种ue小区重选时的位置上报方法
CN104780609B (zh) 终端到终端资源分配方法、用户设备、基站和通信系统
JP2019507979A (ja) サイドリンク通信を含むセルラ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6150107A1 (zh) 一种设备直通系统中继状态确定方法及装置
US20110237218A1 (en) Mobile terminals, and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WO2018028279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用户设备、基站及存储介质
US9532389B2 (en)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80206248A1 (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relea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075382B (zh) 无线电链路建立
US9942412B1 (en) Use of contention-free random-access preamble in paging process
KR101867387B1 (ko)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를 개선 또는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개선된 무선 커버리지를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개선된 무선 커버리지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계 사용자 장비,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를 개선 또는 인에이블하기 위한 시스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EP2800442B1 (en) Emergency D2D Communication
WO2014158064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selecting a synchronization reference
JPWO2016158266A1 (ja) ユーザ装置
WO2017052569A1 (en) Initiating and selecting a relay ue for d2d communications
US20180103429A1 (en) Power saving method of wireless electronic devices
CN114223254B (zh) 直通链路系统信息传输的方法及其设备
US97882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ging reception optimization in LTE direct devices
EP3105950B1 (en) Methods for service acquisition in device-to-device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