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202A - 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202A
KR20160073202A KR1020140181703A KR20140181703A KR20160073202A KR 20160073202 A KR20160073202 A KR 20160073202A KR 1020140181703 A KR1020140181703 A KR 1020140181703A KR 20140181703 A KR20140181703 A KR 20140181703A KR 20160073202 A KR20160073202 A KR 20160073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bolt
connecting ba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6606B1 (en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to KR102014018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606B1/en
Publication of KR2016007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2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2001/386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for foam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orming a joint of reinforced concrete and a method for continuously placing a joint of reinforced concrete using the same. The device for forming a joint of reinforced concrete includes: a connection bar formed in a rectangular timber shape in which through holes are bored at fixed intervals; and a stopper bolt mounted on the connection bar, wherein one end is exposed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othe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constructed in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 additional device except for a coupler and an anchor member is not buried in the joint of the structure constructed in advance and later. So, reinforcing bars are easily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of the joint in the structure constructed in advance and later can be stably performed.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apparatus and a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 시공 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이어치기로 다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추가 시공하는 경우에, 추가 시공되는 구조물의 철근과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선 시공 구조물에 커플러가 매립된 이음부를 형성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and a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conduction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when anothe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add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construct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coupler is embedd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o that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orming a part and a method of conducting a reinforced concrete using the same.

종래 소형 건물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할 때에는, 일부 내력벽체를 포함하는 기둥을 세우고 층간 경계를 이루는 슬래브(slab)를 타설한 후, 다시 내력벽체와 기둥을 세우는 것을 반복하여 층을 단계적으로 올리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when constructing a small-sized building with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column including a part of a proof wall is laid, a slab for forming an inter-layer boundary is laid, and then a load bearing wall and a column are repeatedly raised to gradually raise the layer .

그리고 대형 고층 건물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할 때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슬래브를 형성하지 않은 공간을 형성하여, 타워크레인으로 이 공간을 통하여 각종 자재를 이동시키고, 차후 슬래브를 형성하여 이 공간을 막는 공법이 흔히 적용되고 있다.When a large-scale high-rise building is constructed with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space in which a vertically penetrating slab is not formed is formed, various materials are moved through the space by a tower crane, and a slab is formed later, Is often applied.

특히 최근에는 대형 고층 건물의 시공 시 코어선행공법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통상 대형고층건물에서는 건물의 중앙부에 계단이나 승강기 통로가 모여 있는 코어 부분이 형성되고, 이 코어 부분은 구조적인 안정성이 좋다는 점에 착안하여, 코어 월(core wall)을 먼저 몇 층 정도 먼저 시공한 후, 기 시공된 코어 월을 뒤따라 올라가면서 슬래브 등을 코어 월에 연결 시공하는 방법이다.
Especially recently, core prior construction method is often applied when constructing a large high-rise building. This is because, in a large-sized high-rise building, a core portion in which a staircase or an elevator passag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uilding is formed and the core portion is structurally stable. After that, a slab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core wall while climbing up the core wall.

따라서 이러한 대형 고층 건물 시공과정에서는 선 시공된 철근콘크리트 부분과 후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 부분을 이어치기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선후 시공된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uch a large-scale high-ris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reinforced concrete portion of the pre-installed reinforced concrete to the reinforced concrete portion of the post-construction.

상기 철근 연결은, 선 시공하는 철근콘크리트에서 추후 이어치기 시공이 이루어질 부분의 철근을 소정 길이만큼 철근콘크리트 밖으로 뽑아놓은 후, 후 시공될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을 겹이음이나 커플러이음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In the reinforcing steel connection,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concrete to be installed after the reinforcing bars are removed from the reinforcing concret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concrete to be reinforced are folded or coupled to each other .

그런데 선 시공된 철근콘크리트에서 뽑아 놓은 돌출 철근은 다른 공사작업 시 방해가 되므로, 일단 구부려 놓았다가, 추후 이어치기 시공을 할 때에 다시 곧게 펴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철근을 구부리고 펴는 과정은 철근에 크랙 발생 등을 야기하여, 이어치기한 경계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일으킨다.
However, since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s extracted from the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ed beforehand are obstructed during the other construction work, they are bent once, and then work to straighten them again when constructing the next building. And, the process of bending and stretching the reinforcing bars causes cracks in the reinforcing bars,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interfaced boundar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80836호 및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81074호의 발명을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invention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0836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81074.

상기 종래 기술들은, 선 시공된 철근콘크리트의 이어치기 이음부에 후 시공되는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커플러를 결합시킨 매립강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종래기술들은 후 시공되는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이 상기 커플러에 직접 체결되므로, 선 시공된 철근콘크리트의 이어치기 이음부에 외부로 돌출된 철근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s, a buried steel plate is used in which a coupler capable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which are to be installed afterwards, is coupled to a joint por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That is, since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ed concrete after being installed are directly fastened to the couplers, the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reinforcing bar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joints of the pre-installed reinforced concrete.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이어치기 시공 후, 매립강판이 이어치기 전후 경계선에 매립되므로 이 부분에서 선후 시공된 철근콘크리트 상호 간의 접합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since the buried steel sheet is buried in the boundary line before and after the striking, the joint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ed concrete after the reinforcing concrete is lowered at this portion.

그리고 콘크리트와 매립강판은 열팽창률이 상이하므로 이어치기 이음부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 부분을 통하여 수분이 침투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since the concrete and the buried steel sheet have different thermal expansion rates, cracks may occur in the joint portion of the joint,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moisture penetration through the joint portion.

한편 상기 종래기술들에서는 일자형 철근 단부에 정착판이 결합된 이음철근(이하 '일자앵커' 함)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매립강판에 커플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자앵커의 결합은 비교적 용이하다.Meanwhile, in the related arts, there is disclosed a technique of using a joint reinforcing ba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raight anchor') having a fixing plate coupled to a straight reinforcing bar end. Since the coupler is fixed to the buried steel plate, the anchoring of the straight anchor is relatively easy.

그리고 수직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90°앵커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결합된 90°앵커들의 구부러진 방향이 모두 동일하도록 나란히 정렬시키는 것(보통은 수직하향 시킨다)이 바람직하다. When combining 90 ° anchors in a vertically bent shape, it is desirable to align them (usually vertically down) so that the bent directions of the combined 90 ° anchors are all the same.

즉 90°앵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구부러진 철근의 방향이 일정해야, 추후 철근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로 고르게 인장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In case of using 90 ° anchor, the direction of the bent reinforced concrete embedd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is required to be constant, and the tensile load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concrete when the tensile force acts on the reinforced concrete.

그런데 커플러에 90°앵커를 완전히 체결하면 자연적으로 90°앵커들의 구부러진 방향이 모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커플러의 암나사산과 90°앵커의 끝단 외경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을 제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Howe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manufacture a male thread, which is form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female thread of the coupler and the end of the 90 ° anchor, so that the 90 ° anchors are naturally completely aligned with the 90 ° anchors.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처럼, 커플러가 매립강판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플러에 90°앵커들을 나사 결합시켰을 때 90°앵커들의 구부러진 철근이 향하는 방향이 모두 제각각으로 틀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when the coupler is completely fixed to the buried steel plate by welding or the like as in the prior art, when the 90 ° anchors are screwed to the coupler, the directions in which the bent reinforcing bars of the 90 ° anchors are turn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be.

이에 따라 90°앵커의 구부러진 철근이 향하는 방향을 나란히 정렬시키기 위하여, 작업자는 90°앵커들이 커플러에 나사 결합되는 깊이를 서로 다르게 적절히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결합 깊이의 차이가 나면 커플러 이음부의 인장강도도 서로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refore, in order to align the direction of the bent reinforcing bars of the 90 ° anchor parallel to each other, the operator must adjust the screw depth of the 90 ° anchor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is undermined.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43910호 (공개일 : 2006.05.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43910 (published on May 16, 2006)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81074호 (공개일 : 2010.07.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1074 (published on July 14, 2010)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80836호 (등록일 : 2011.11.0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0836 (Registered on November 11,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끊어치기 시공부에 철근이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용이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철근이음용 커플러가 부착된 연결바로 이루어지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even when reinforcing bars are not protruded in a cut- And a method of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은 끊어치기 시공 후 일면을 제외하고 매립되어 있던 연결바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연결바의 분리작업 시 콘크리트면과 연결바 자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separate a connecting bar that has been buried except for one side after a cutting operation and prevents damage to the concrete surface and the connecting bar itself during a separating operation of the connecting ba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concrete con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이어치기 시공 시 연결바가 분리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후 시공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매립됨으로써 요철형 이음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수직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며, 이어치기가 이루어지는 경계선에서 양측 콘크리트 상호 간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t-construction concrete is buried in the space formed by separating the connection bar during the connection construction, the concave-convex joint part can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resist the vertical shear for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pose an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capable of enhancing a sense of unity between two concrete members at a boundary line between the two concrete members and a reinforcing concret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볼트를 포함하는 연결바가 거푸집과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concrete joint forming apparatus and a reinforcing concrete joint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in which a connecting bar including a stopper bolt can be uniform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formwork.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 목적은 연결바에 결합되어 선 시공 철근 콘크리트 내로 매립되는 90°앵커의 구부러진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Further,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device coupled to a connecting bar and capable of easily adjusting and fixing the bending direction of a 90 ° anchor embedded in a wire reinforced concret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관통홀이 천공된 각재 형태를 가지는 연결바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바에 장착되는 마개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에는 복수 개의 나사홀을 더 형성하고, 상기 나사홀에는 무두볼트를 장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comprising: a connecting bar having a perforated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topper bolt mounted on the connection bar such that one end of the stopper bolt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hole. The connection bar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and the screw holes may be provided with a tongue bolt.

또한, 상기 구성에 마개볼트의 노출된 일단에 결합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각재 형태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며, 거푸집 제거시 상기 사다리꼴의 평행한 대변 중 장변 쪽에 형성되는 면이 노출면을 이루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일단에 내경이 확장되는 헤드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볼트의 헤드가 수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coupler coupled to the exposed end of the stopper bolt. The connection bar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cross sec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a surface formed on a side of a long side of the parallelepipedal side of the trapezoid when the form is removed may be an exposed surface.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may have a head receiving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extended at one end thereof to accommodate the head of the plug bolt.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선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에 후 시공되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를 이어치기하는 방법은, 연결바에 천공된 관통홀에 마개볼트를 장착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노출된 마개볼트의 일단에는 앵커철근이 체결된 커플러를 결합하여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커플러에 체결된 앵커철근이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조립된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를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을 탈거하는 단계; 상기 마개볼트와 연결바를 차례로 제거하여 커플러의 장착홀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커플러의 노출된 장착홀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의 철근을 결합하는 단계; 및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nect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or a beam to be re-installed to a pre-install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a device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comprising the steps of: Assembling a reinforcing concrete joint forming device by coupling a coupler having an anchor reinforcing bar to one end of a cap bolt that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Fixing the assembled reinforced concrete joint part forming device to the mold so that the anchor reinforcement fastened to the coupler faces inward; Installing the mold to place and cure concrete, and then removing the mold; Removing the plug bolt and the connecting bar in order to expose the mounting hole of the coupler; and coupling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or beam to the exposed mounting hole of the coupler; And installing a mold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or beam to place and cure the concrete, and then to demolish the concrete form.

또한, 상기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를 조립하는 단계에서 앵커철근이 90°앵커인 경우에는, 마개볼트를 회전시켜 90°앵커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anchor reinforcing bars are 90 ° anchors at the step of assembling the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device, the step of aligning the 90 ° anchors by rotating the stopper bolts may be further included.

아울러, 상기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의 연결바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무두볼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나사홀에 장착된 무두볼트을 회전시켜 무두볼트 단부가 양생 경화된 콘크리트 면을 밀어붙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바가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연결바 제거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of the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part, the tongue bolt mounted on the screw hole is rotated so that the tongue bolt end pushes the cured cured concrete surface The connection bar may be removed from the concrete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끊어치기하는 부분에 철근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매립된 커플러의 철근연결 구멍만 노출되므로, 후공정 작업 시 돌출 철근에 의한 방해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어치기를 실시할 때 용이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inforcing bars are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pre-cut concrete structure, only the reinforcing connection holes of the buried coupler are exposed, so that no disturbance by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s occurs in the post- ,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when the striking is performed.

또 본 발명은 끊어치기 시공 후 연결바를 분리하여 제거하므로, 선 시공된 철근콘크리트 부분과 후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 부분을 이어치기로 연결하는 이음부에는 종래 기술의 매립강판과 같은 이물질의 존재로 인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bar is separated and removed after the cutting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esence of the foreign materials such as the buried steel sheet of the prior art in the joints connecting the reinforced concrete portions, .

그리고 연결바를 분리한 자리에 생기는 콘크리트 함몰부는 후 시공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매몰됨으로써 요철형 이음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요철형 이음부는 콘크리트 상호 간의 접촉면적을 넓혀 접합력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수직하중에 의한 저항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The concave and convex joints are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after the concrete is put in place. The concave and convex joints enlarg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crete and increase the bonding force. At the same time, the resistance of the concrete due to the vertical load .

또한, 본 발명은 끊어치기 시공 후 일면을 제외하고 매립되어 있는 연결바를 무두볼트에 의한 가압력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분리작업 시 콘크리트면 및 연결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바의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connection bars, which are buried except for one sid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tongue bolts, so that the separation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damage of the concrete surface and the connecting bar The connection bar can be recycled as well as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연결바의 단면을 사다리꼴로 형성하고, 끊어치기 시공 시 매립되는 연결바의 상기 사다리꼴의 대변 중 장변 쪽 표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바, 이는 추후 연결바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bar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long side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trapezoidal flank of the connecting bar buried at the time of breakage is exposed, Lt; / RTI >

또한, 본 발명은 연결바에는 마개볼트의 헤드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바가 거푸집과 균일하게 밀착되어 연결바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ng bar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ead of the plug bolt, the connecting bar can be uniform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orm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being introduced between the connecting bar and the formwork.

또한, 본 발명은 커플러와 연결바가 상호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마개볼트와 커플러를 서로 상대 회전시켜 90°앵커의 구부러진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coupler and the connecting bar are not fix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90 ° anchor can be easily adjusted by rotating the stopper bolt and the coupler relative to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시공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끊어치기 작업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이어치기를 위한 철근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례 1에서 추가시공과정을 포함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따른 연결바의 분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reaking work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for a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n additional construction process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ing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실시례 1][Exampl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는 소정 간격으로 관통홀(311)이 천공된 각재 형태를 가지는 연결바(31)와 상기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바(31)에 장착되는 마개볼트(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노출된 마개 볼트의 일단은 커플러(2)의 장착홀(21)로 나사 체결되고, 상기 커플러(2) 장착홀(21) 반대편으로는 앵커철근(13)이 나사 체결된다.
1 and 2, an apparatus 3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bar 31 having a perforated hole 311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topper bolt (32) mounted on the connecting bar (31) so that one end thereof is exposed through the hole (311). One end of the exposed stopper bolt is screwed into the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and the anchor reinforcing bar 13 is screw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도 1과 도 2에는 연결바(31)를 구성하는 각재의 단면 모양이 사다리꼴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꼴의 평행한 대변 중 장변 쪽이 포함되는 연결바 표면은 끊어치기 시공 시 거푸집을 제거하였을 때 외부로 드러나는 노출면이다. 그리고 상기 노출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은 끊어치기 시공 후 모두 콘크리트 속으로 매몰되어 있는 면이 된다(도 4 참조).1 and 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s constituting the connection bar 31 is shown as a trapezoid. The connecting bar surface including the long side of the parallelogram of the trapezoid is an exposed surface exposed when the form is removed during the cutting operation. The remaining surface except for the exposed surface is a surface that is buried in the concrete after the cutting process (see FIG. 4).

물론 상기 각재의 단면 모양은 사다리꼴 외에 정사각형, 직사각형, 반달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반달형으로 형성하였을 때에는 곡면부가 매몰면이 되고 평면부가 노출면이 될 것이다.Of cours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bove-mentioned grooves may be formed as a square, a rectangle, a half-moon, etc. in addition to a trapezoid. When formed in a half-moon shape, the curved surface portion will be a buried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portion will be an exposed surface.

마개볼트(32)가 삽입되는 관통홀(311)은 상기 노출면과 그 반대쪽 매립면 사이에 천공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노출면 쪽 관통홀(311) 입구는 내경이 표면을 향해 점차 확장되는 형상의 헤드수용부(312)가 형성된다.The through hole 311 through which the stopper bolt 32 is inserted is formed so as to be punched between the exposed surface and the other embedded surface. 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 through-hole 311 is formed with a head receiving portion 312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surface.

상기 관통홀(311)의 헤드수용부(312) 깊이는 삽입될 마개볼트(32)의 헤드 높이보다 깊게 하고, 헤드수용부(312)의 모양은 헤드 전체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헤드는 헤드수용부(312)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노출면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는다.
The depth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312 of the through hole 311 is set to be deeper than the head height of the stopper bolt 32 to be inserted and the head receiving portion 312 is formed to have a shape capable of completely accommodating the entire head . Accordingly, when the head is received in the head receiving portion 312, the head does not protrude above the exposed surface.

마개볼트(32)는 헤드와 나사산이 형성된 자루로 이루어지는데, 헤드는 접시머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bolt 32 is formed of a head and a thread formed in a thread, and the head is preferably formed as a dish head.

또한, 상기 마개볼트(32)의 나사산이 형성된 자루는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일단이 연결바(31)의 상기 노출면의 반대쪽 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일단은 커플러(2)의 장착홀(21)에 나사 결합 된다. The screw thread of the stopper bolt 32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and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31. The one end exposed in this way is screwed into the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이때 커플러(2)는 마개볼트 자루와 결합된 장착홀(21)의 반대편으로는 후술할 앵커철근(13)들을 결합하여야하므로, 상기 연결바(31)에 결합 시 노출되는 마개볼트 자루의 길이는 커플러(2) 길이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anchor steel bars 13 to be described later are to be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hole 21 coupled with the stopper bolt bag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topper bolt exposed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the connecting bar 31 is It is preferable to form it so as not to exceed half the length of the coupler 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커플러(2)는 공지의 기계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coupler 2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own mechanical element, it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앵커철근(13)은 한쪽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철근 또는 봉강으로서, 중간을 90°로 꺾은 형상을 갖는 90°앵커(12)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정착판(11′)이 결합된 일자앵커(11)를 사용할 수 있다. The anchor reinforcing bar 13 is a reinforcing bar or a bar having a thread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has a 90 ° anchor 12 having a shape bent at an angle of 90 ° or a straight anchor 12 having a fixing plate 11 'Can be used as the anchor 11.

정착판(11′)은 통상의 원형, 타원형,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앵커철근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콘크리트와 앵커철근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plate 11 'is formed in any one of the general circular shape, elliptical shape and square shape and serves to prevent the concrete and the anchor reinforcing bars from being easily separated by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anchor reinforcing bars.

그리고 도 1 및 도 2에는 90°앵커(12)와 일자앵커(11)가 교대로 연결바(31)와 결합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표현이다. 즉 필요에 따라 90°앵커(12)와 일자앵커(11)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히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In FIGS. 1 and 2, the 90 ° anchor 12 and the straight anchor 11 are shown as being alternately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bar 31,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That is, any one of the 90 ° anchor 12 and the straight anchor 11 may be used as needed, and they may be mixed and used properly.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를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를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3 to 5, a method of conduct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using the apparatus 3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이어치기 시공을 위해서는, 선 시공하는 철근 콘크리트에 상기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를 매립하여 이음부를 형성하는 끊어치기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concrete joint part forming device 3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concrete to be jointed to form a joint part.

이를 위하여 우선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를 조립하여야 한다.(S1 단계) 그 조립 절차는 다음과 같다,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unit 3 should be assembled (Step S1). The assembling procedure is as follows.

우선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철근(13) 일단을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2) 중공부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앵커철근(13)이 커플러(2)에 삽입되는 깊이는 커플러 길이의 절반 정도로 한다.First, one end of the anchor reinforcing bar 13 having threads is screw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oupler 2 in which the female screw is formed. At this time, the depth at which the anchor reinforcing bars 13 are inserted into the coupler 2 is about half of the coupler length.

이어서 연결바(31)의 관통홀(311)에 마개볼트(32)를 삽입 관통시켜 마개볼트(32)의 일단을 노출시킨 후, 앵커철근(13)이 결합 되어있지 않은 커플러(2)의 타단 쪽으로 나사 결합하면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가 조립된다.
The plug bolt 3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1 of the connecting bar 31 to expose one end of the plug bolt 32 and then the other end of the coupler 2 to which the anchor reinforcing bar 13 is not coupled The reinforcing concrete joint forming unit 3 is assembled.

이후 상기 커플러(2)에 체결된 앵커철근(13)이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조립된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를 거푸집(4)에 고정시킨다(S2 단계).Thereafter, the assembled reinforced concrete joint part forming device 3 is fixed to the mold 4 so that the anchor reinforcing bars 13 fastened to the coupler 2 are directed inward (step S2).

이때 거푸집(4)과 연결바(31)는 접촉면이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접촉면 사이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 4 and the connecting bar 31 ar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surfaces are uniform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crete does not flow into the contact surfaces when the concrete is poured.

예를 들어 마개볼트(32)의 헤드가 돌출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연결바(31)과 거푸집(4)의 접촉면이 떠버린 상태가 된다면, 이 사이로 타설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거푸집 제거 후 시공면이 불균일해질 뿐만 아니라 마개볼트(32)의 분리작업에 지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onnecting bar 31 and the mold 4 is in a floating state due to the head of the plug bolt 32 being protruded or the like, the poured concrete flows in between the connecting bar 31 and the mold 4,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may interfere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stopper bolt 32 as well as the deterioration.

상기 S1 단계에서 앵커철근(13)이 90°앵커(12)인 경우에는, 도 6의 시공과정 블록도처럼 마개볼트(32)를 회전시켜 90°앵커(12)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S1' 단계).In the case where the anchor reinforcement 13 is a 90 ° anchor 12 in the step S1,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stopper bolt 32 to align the 90 ° anchor 12 with the position of the anchor 12 (Step S1 ').

즉 상기 90°앵커(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구부러진 철근의 방향이 일정해야 추후 철근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로 고르게 인장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90 ° anchor 12, the direction of the bent reinforced concrete embedd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that has been preformed is fixed so that the tensile load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concrete when the tensile force acts on the reinforced concrete.

그런데 앞서 소개한 종래기술들을 보면, 커플러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매립강판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고정된 커플러에 다수의 90°앵커를 동일 깊이로 나사 결합시키면, 결합 후 90°앵커의 구부러진 철근이 향하는 방향이 모두 제각각으로 틀어져 있는 현상이 발생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s described above, the coupler is completely fixed to the embedded steel plate by welding or the like. When a plurality of 90 ° anchors are screwed to the fixed coupler at the same dep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nt reinforcing bars of the 90 ° anchors are rotate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90°앵커의 구부러진 철근이 향하는 방향을 나란히 정렬시키려면 90°앵커들이 커플러에 나사 결합 되는 깊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결합 깊이의 차이가 나면 커플러 이음부의 인장강도도 서로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refore, in order to arrange the directions of the bent reinforcing bars of the 90 ° anchors side by side, the depth at which the 90 ° anchors are screwed to the couplers must be adjusted differently. If the difference of the coupling depths is differen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upler joints must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roblem arises that the st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deteriorated.

하지만 본원의 경우 90°앵커(12)를 커플러(2)를 규정된 깊이로 나사 결합한 후, 90°앵커의 구부러진 철근을 원하는 방향으로 미리 정렬한 상태에서 커플러(2)를 마개볼트(32)에 의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present case, after the 90 ° anchor 12 is screwed into the coupler 2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coupler 2 is inserted into the plug bolt 32 in a state where the bent reinforcing bars of the 90 ° anchor are aligned in a desire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work in a fixed way.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해 90°앵커(12)의 위치를 정렬하는 과정이 대단히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arrange the position of the 90 ° anchor 12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art.

다음으로 상기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가 고정된 거푸집(4)을 설치하여 콘크리트(5)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4)을 탈거한다(S3 단계).Next, the reinforced concrete joint part forming device 3 is installed to fix the concrete 5, and after the concrete 5 is laid and cured, the mold 4 is removed (step S3).

거푸집을 탈거하면, 상기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 중 연결바(31)의 노출면과 상기 마개볼트(32)의 접시머리 헤드 상부가 외부로 드러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 속에 매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form is removed,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3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ish head of the plug bolt 32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concrete joint forming unit 3,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buried in the concrete .

이 상태에서 상기 마개볼트(32)를 회전시켜 연결바(31)에서 분리해 빼내고, 이어서 연결바(31)를 제거하여 콘크리트에 매몰된 커플러(2)의 장착홀(21)을 외부로 노출시킨다(S4 단계).In this state, the stopper bolt 32 is rotated and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bar 31, and then the connecting bar 31 is removed to expose the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buried in the concrete to the outside (Step S4).

위에서 마개볼트가 분리된 연결바(31)의 경우는 앵커철근이 결합된 커플러와 더 이상 물리적으로 결합된 관계가 아니므로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bar 31 in which the plug bolt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the anchor reinforcing bar is no longer physically coupled with the coupled coupler,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crete.

한편 연결바(31)의 분리를 용이하게 위하여 연결바(31)의 단면을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사다리꼴의 평행한 대변 중 장변 쪽에 형성되는 면이 거푸집 제거시 노출면을 이루게 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면, 연결바(31)가 콘크리트로 매몰되는 부분의 단면이 노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쐐기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연결바(31)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Meanwhile,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ing bar 31,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bar 31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he shape of the trapezoidal parallel side- The connecting bar 31 can be easily separated because the end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bar 31 is buried with concrete becomes a wedge shape gradually becoming narrower from the exposed surface toward the inside.

결국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바(31)가 제거된 콘크리트 면은 기다란 요홈 형태로서 그 바닥면에는 커플러(2)의 장착홀(21)이 드러나 있어 후 시공될 철근의 연결이 가능한 상태인 이음부를 형성하게 된다.
5, the concrete surface from which the connecting bar 31 is removed is an elongated concave shape and the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is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reby forming a joint.

다음에는 상기 커플러(2)의 노출된 장착홀(21)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에 배근될 철근(1)을 나사 결합한다(S5 단계).Next,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or the reinforcing bar 1 to be placed on the beam is screwed to the exposed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step S5).

이어서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을 철거한다(S6 단계).Subsequently, a mold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or beam is installed, and after the concrete is laid and cured, the mold is removed (step S6).

이로써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시공이 완료된다.
This completes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nduit.

[실시례 2][Practical 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따른 연결바의 분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ing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실시례 2는 상기 실시례 1과 동일한 구성에다가 나사홀(313) 및 무두볼트(314) 구성이 부가된 것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ut has the screw hole 313 and the tongue bolt 314.

즉 실시례 2의 구성은 연결바(31)에 복수 개의 나사홀(313)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나사홀(313)에는 무두볼트(31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a plurality of screw holes 31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nnecting bar 31, and a tongue bolt 314 is attached to the screw hole 313.

상기 무두볼트(314)는 머리부가 없는 일자형 몸통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나사홀(313)을 완전히 관통하여 빠져나올 수 있다.
The tongue bolt 314 is made of a straight body without a head, so that the tongue bolt 314 can completely pass through the screw hole 313.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를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를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a method of conduct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using the apparatus 3 for forming a reinforced concrete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례 2의 이어치기 방법은 전술한 실시례 1의 이어치기 방법과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다만 실시례 2는 연결바(31)에 나사홀(313)이 형성되어 무두볼트(314)가 장착되는 있으므로, 실시례 1의 S4 단계에서 연결바(31)를 제거하기가 용이 해진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crew hole 313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31 and the tongue bolt 314 is mounted thereon. In this case, , It is easy to remove the connecting bar 31 in the step S4 of the first embodiment.

즉 실시례 2의 연결바(31) 제거 방법은, 상기 S4 단계에서 나사홀(313)에 장착된 무두볼트(314)를 연결바(31) 내부로 계속 파고들도록 회전시키면, 무두볼트(314)가 양생 경화된 콘크리트(5) 면을 밀어붙이게 되므로, 이 밀어붙이는 힘의 반력에 의해 상기 연결바(31)는 콘크리트(5) 면으로부터 쉽게 탈리되도록 하는 방법인 것이다.That is, when the tongue bolt 314 attached to the screw hole 313 is continuously rotated into the connecting bar 31 in step S4, the tongue bolt 314 is removed, The connection bar 31 is easily detached from the concrete 5 surface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pressing force.

본원의 연결바(31)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단면을 사다리꼴로 형성하였으나, 양생 후 콘크리트(5)와 발생하는 접착력에 의해 연결바(31)를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만일 연결바(31) 단면을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경우라면 이러한 어려움을 더 커질 수 있다.Although the connecting bar 3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order to facilitate separation, it may be difficult to separate the connecting bar 31 by the adhesive force generated with the concrete 5 after curing. I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bar 31 is formed as a square or a rectangle, this difficulty can be increased.

상기 실시례 2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연결바(31)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The second embodiment solves such a problem and is a method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ing bar 31. [

특히 무두볼트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례 1의 경우에는 연결바(31)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연결바(31)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파손됨으로써 재활용할 수 없게 되거나, 연결바(31)와 인접한 콘크리트 부위가 파손될 수 있지만, 실시례 2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결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mbodiment 1 in which the tongue bolts are not used,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bar 31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onnecting bar 31, so that it can not be recycled, In the case of Practical Example 2, this problem can be solved at its sour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of its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철근
11 : 일자앵커 11' : 정착판
12 : 90°앵커 13 : 앵커철근
2 : 커플러
21 : 장착홀
3 :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31 : 연결바 32 : 마개볼트
311 : 관통홀 312 : 헤드수용부
313 : 나사홀
4 : 거푸집
5 : 콘크리트
1: Rebar
11: Date anchor 11 ': Fixing plate
12: 90 ° Anchor 13: Anchor steel
2: Coupler
21: Mounting hole
3: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device
31: connecting bar 32: plug bolt
311: through hole 312: head receiving portion
313: Screw hole
4: Formwork
5: Concrete

Claims (8)

소정 간격으로 관통홀(311)이 천공된 각재 형태를 가지는 연결바(31)와;
상기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바(31)에 장착되는 마개볼트(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A connecting bar 31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31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g bolt (32) mounted on the connecting bar (31) so that one end of the through bolt (311)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31)는 복수개의 나사홀(3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313)에는 무두볼트(314)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bar 31 is furth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313 and the screw hole 313 is fastened with a tongue bolt 314. [
제 1항 또는 제 2항 있어서,
상기 마개볼트(32)의 노출된 일단에 결합되는 커플러(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coupler (2) coupled to an exposed end of the plug bolt (32).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31)는 상기 각재 형태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며,
상기 사다리꼴의 평행한 대변 중 장변 쪽에 형성되는 면이, 거푸집 제거시 노출면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nection bar 31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cross section,
Wherein a surface formed on a side of a long side of the parallel side surface of the trapezoid is formed as an exposed surface when the formwork is removed.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311)은 일단에는 상기 마개볼트(32)의 헤드를 수용하는 헤드수용부(3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rough hole (311) is formed at one end with a head receiving portion (312) for receiving the head of the plug bolt (32).
선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에 후 시공 되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바(31)에 천공된 관통홀(311)에 마개볼트(32)를 장착하고, 상기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노출된 마개볼트(32)의 일단에는 앵커철근(13)이 체결된 커플러(2)를 결합하여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를 조립하는 단계(S1);
상기 커플러(2)에 체결된 앵커철근(13)이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조립된 철근 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3)를 거푸집(4)에 고정시키는 단계(S2);
상기 거푸집(4)을 설치하여 콘크리트(5)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4)을 탈거하는 단계(S3);
상기 마개볼트(32)와 연결바(31)를 차례로 제거하여 커플러(2)의 장착홀(21)을 노출시키는 단계(S4);
상기 커플러(2)의 노출된 장착홀(21)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의 철근(1)을 결합하는 단계(S5); 및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나 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을 철거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
A method of connect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or beam to a pre-install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stopper bolt 32 is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311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31 and an anchor reinforcing bar 13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stopper bolt 32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S1) of assembling the reinforced concrete joint forming device (3) by coupling the coupler (2);
(S2) fixing the assembled reinforced concrete joint part forming device (3) to the mold (4) so that the anchor reinforcing bars (13) fastened to the coupler (2) are directed inward;
(S3) of installing the mold (4) to remove the mold (4) after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5);
(S4) removing the plug bolt (32) and the connecting bar (31) in order to expose the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Coupling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or reinforcing bar 1 of the beam to the exposed mounting hole 21 of the coupler 2; And
And a step (S6) of installing the concrete for forming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or beam, and removing the concrete after the concrete is laid and cured (S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 앵커철근(13)이 90°앵커(12)인 경우에는,
마개볼트(32)를 회전시켜 90°앵커(12)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S1')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f the anchor reinforcing bars 13 are 90 ° anchors 12 in the step S1,
(S1 ')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90 ° anchor (12) by rotating the stop bolt (3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 연결바(31)에 나사홀(313)이 형성되어 무두볼트(314)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단계(S4)에서 상기 연결바(31)를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나사홀(313)에 장착된 무두볼트(314)을 회전시켜 양생 경화된 콘크리트(5) 면을 밀어붙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바(31)가 콘크리트(5) 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ethod of removing the connecting bar 31 in step S4 when the screw hole 313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31 in the step S1 and the tongue bolt 314 is mounted,
The connecting bar 31 is detached from the concrete 5 surface by rotating the tongue bolt 314 mounted on the screw hole 313 so as to push the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5 A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conduction.
KR1020140181703A 2014-12-16 2014-12-16 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 KR101956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03A KR101956606B1 (en) 2014-12-16 2014-12-16 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03A KR101956606B1 (en) 2014-12-16 2014-12-16 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02A true KR20160073202A (en) 2016-06-24
KR101956606B1 KR101956606B1 (en) 2019-03-11

Family

ID=5634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03A KR101956606B1 (en) 2014-12-16 2014-12-16 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60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48B1 (en) * 2018-12-19 2020-03-02 (주)피티씨 I-typ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Rahmen Bridge using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reof
KR102169272B1 (en) * 2020-06-12 2020-10-23 주식회사 네오시티 Fitting for forming concrete bracket, Concrete bracket for supporting slab of vertical shaft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69270B1 (en) * 2020-06-12 2020-10-23 주식회사 네오시티 Fitting for forming concrete bracket, Concrete bracket for supporting slab of vertical shaft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910A (en) 2004-11-10 2006-05-1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Method and anchor reinforce rod connect device for enlargement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KR20090056485A (en)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Aligning apparatus for tempered glass door
KR20100081074A (en) 2009-01-05 2010-07-14 (주)대우건설 Buit-in steel sheet for iron reinforcing rod joint
KR101080836B1 (en) 2009-04-13 2011-11-08 (주)대우건설 Buit-in steel plate with shear key for rebar splice
KR20120052059A (en) * 2010-11-15 2012-05-2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Establishment method using embedded reinforcement strand and fixing apparatus with flange
KR20140058076A (en) * 2012-11-06 2014-05-14 진언식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new and old concre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910A (en) 2004-11-10 2006-05-1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Method and anchor reinforce rod connect device for enlargement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KR20090056485A (en)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Aligning apparatus for tempered glass door
KR20100081074A (en) 2009-01-05 2010-07-14 (주)대우건설 Buit-in steel sheet for iron reinforcing rod joint
KR101080836B1 (en) 2009-04-13 2011-11-08 (주)대우건설 Buit-in steel plate with shear key for rebar splice
KR20120052059A (en) * 2010-11-15 2012-05-2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Establishment method using embedded reinforcement strand and fixing apparatus with flange
KR20140058076A (en) * 2012-11-06 2014-05-14 진언식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new and old concre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48B1 (en) * 2018-12-19 2020-03-02 (주)피티씨 I-typ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Rahmen Bridge using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reof
KR102169272B1 (en) * 2020-06-12 2020-10-23 주식회사 네오시티 Fitting for forming concrete bracket, Concrete bracket for supporting slab of vertical shaft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69270B1 (en) * 2020-06-12 2020-10-23 주식회사 네오시티 Fitting for forming concrete bracket, Concrete bracket for supporting slab of vertical shaft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606B1 (en)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1880B2 (en) Precast wall balustrade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KR101937680B1 (en) Prefabricated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40919B1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all
KR101870309B1 (en) Aseismatic Reinforcement Steel Frame Structur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KR101956606B1 (en) Joint part forming apparatus of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placing joint using the same
JP2010138685A (en) Dowel device for joining concrete member to steel member, combined floor slab having the dowel device, and steel-concrete structure
KR20170120259A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06348664A (en) Connect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column/beam member
KR101847827B1 (en) Exterior panel anchorage for building, and outer wall and exterior panel install method with form combined with insulation
KR101299008B1 (en) Vertical shear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bridge pier
KR101308053B1 (en)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JP4423644B2 (en) Hollow precast pillar
JP5875951B2 (en) Girder and floor slab joint structure and method
JP2016205051A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
JP4447632B2 (en) Beam and beam-column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joining the same
KR100710583B1 (en) Hybrid system of pc column and steel beam
JPH08135087A (en) Precast concrete column member and joint method thereof
KR100860592B1 (en) Temporary system for vertical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at block
KR20160012670A (en) Rebar connecting implement and concrete embed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JP7474393B2 (en) Method of installing anchor bolts and formwork for box removal used in said method
KR20190046336A (en) Sandwich precast concret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40407B1 (en) Mamanufacturing method of PSC girder using end form steel plate
KR101308055B1 (en)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KR101482523B1 (en)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180280B1 (en) Hollow Core Slab Joint Structure Using Reinforcement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07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9

Effective date: 201901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