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348A - 분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348A
KR20160072348A KR1020140179424A KR20140179424A KR20160072348A KR 20160072348 A KR20160072348 A KR 20160072348A KR 1020140179424 A KR1020140179424 A KR 1020140179424A KR 20140179424 A KR20140179424 A KR 20140179424A KR 20160072348 A KR20160072348 A KR 20160072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hamber
supply device
salt powder
metal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788B1 (ko
Inventor
김홍준
김준섭
김진유
이재곤
최철희
김현태
양홍석
정관호
홍재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피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7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6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D21/14Controlled addition of electroly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되며, 분말이 비대칭구조로 수용되는 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분말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부가 비대칭구조인 챔버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교반기 없이도 금속염 분말을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염 분말을 상방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함으로써, 금속염 분말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금속염 분말을 정량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금속염 분말을 전해조 측으로 분사키는 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금속염 분말이 전해조로 낙하 시 분사되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전해조의 전해액에 덩어리로 떨어져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전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된 각 밸브와 모터를 제어부에 의해 조절제어함으로써, 금속염 분말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 잔존하는 금속염 분말과 흄의 반응에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말 공급장치{Apparatus for feeding powder}
본 발명은 분말 공급장치로서, 전해조에 금속염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 금속박판은 금속이온이 함유된 전해액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전자를 공급함으로써, 금속이온을 환원석출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한다.
그런데, 전해액 내의 금속이온이 석출됨에 따라 전해액에 함유된 금속이온의 농도가 감소하므로, 작업자가 직접 금속염 분말을 전해조 내에 공급하였는데, 전해액 내의 금속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에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은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금속염 분말이 대기 중에 비산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로 금속염 분말을 공급하는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챔버 내에서의 분말 공급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금속염을 수용하는 챔버(10)와, 상기 챔버(10)로부터 전해조(40)로 금속염 분말(1)을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라인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챔버(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수용부가 배출구(10a)를 기준으로 대칭구조를 취함으로써, 수용된 금속염 분말(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배출구(10a)의 상측으로 동공이 발생하고 자중에 의한 금속염 분말(1)의 붕괴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수용된 금속염 분말(1)이 배출구(10a)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금속염 분말(1)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내부 수용부에서 금속염 분말(1)을 교반하도록 별도의 교반기(미도시)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 설비가 구조적으로 복잡해짐으로써 유지관리에 따른 노동부하 및 노동시간이 낭비되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교반기가 설치되면 챔버(10)에 추가 금속염 분말(1)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도 공급루트에 간섭이 발생함으로써, 작업적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말이송라인은 챔버(10)로부터 금속염 분말(1)을 전해조(40)로 이송시키는 라인으로서,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송관(21), 수평스크류(22), 수평모터(23)로 구성된 수평이송유닛(20)이 적용될 수 있고, 다른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이송관(31), 하방스크류(32), 하방모터(3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염 분말(1)을 단순히 횡방향 또는 종방향 이송만 하게 되면, 금속염 분말(1) 내부, 즉 분말 사이사이에 있는 기포에 의해 금속염 분말(1)을 정량적으로 이송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금속염 분말(1)이 전해조(40)로 인입되는 과정에 금속염 분말(1)이 자유낙하에 의하여 공급됨으로써, 전해액과 반응하여 덩어리로 뭉쳐 용해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염 분말(1)을 전해조(40)로 공급하는 과정에 전해조(40) 내부의 전해액에 포함된 수분과 불순물 등이 역으로 분말이송라인에 침투함으로써, 금속염 분말(1)에 혼입되어 반응하고 아울러 수분을 함유한 금속염 분말(1)이 스크류에 흡착되어 금속염 분말(1)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해조에 금속염 분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분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되며, 분말이 비대칭구조로 수용되는 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분말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급수단은, 내부의 수용부가 배출구를 기준으로 비대칭구조로 형성된 상기 챔버; 및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분말을 이송시키되 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는 상기 분말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의 배출단부에는 개폐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분말을 상방 이송시키는 상방이송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방이송유닛은, 상기 챔버로부터 연결되되 상방 배치된 상방이송관; 상기 분말을 상기 상방이송관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상기 상방이송관 내에 배치된 상방스크류; 및 상기 상방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방이송관은 상방 경사진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방이송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분말을 상기 상방이송유닛으로부터 하방 이송시키는 하방이송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방이송유닛은, 상기 챔버로부터 연결되되 하방 배치된 하방이송관; 상기 분말을 상기 하방이송관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방이송관 내에 배치된 하방스크류; 및 상기 하방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분말을 분사하도록, 상기 하방이송관의 하부에 제공되는 분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계되어 하방 배치된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사관은 상기 가스공급관과의 연결부위 전단에 오리피스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관의 분사단부에는 체크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가스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챔버의 배출구에 장착된 개폐밸브, 상기 이송부의 모터, 및 상기 분사부의 체크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말 이송의 순서대로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분사부의 체크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본 발명은 수용부가 비대칭구조인 챔버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교반기 없이도 금속염 분말을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염 분말을 상방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함으로써, 금속염 분말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금속염 분말을 정량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금속염 분말을 전해조 측으로 분사키는 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금속염 분말이 전해조로 낙하 시 분사되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전해조의 전해액에 덩어리로 떨어져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전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된 각 밸브와 모터를 제어부에 의해 조절제어함으로써, 금속염 분말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 잔존하는 금속염 분말과 흄의 반응에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챔버 내에서의 분말 공급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말 공급장치에서 챔버 내에서의 분말 공급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분말은 어떠한 소재를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만들어진 것으로서, 후술되는 기술내용에서는 금속염 분말을 일례로 하여 분말 공급장치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분말 공급장치에서 챔버 내에서의 분말 공급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장치프레임과, 분말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장치프레임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술되는 공급수단이 분말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면 될 뿐,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은 금속염 분말(1)이 비대칭구조로 수용되는 챔버(100)를 구비하여 금속염 분말(1)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수단은 내부의 수용부가 배출구(100a)를 기준으로 비대칭구조로 형성된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로부터 금속염 분말(1)을 이송시키되 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100)는 내부에 금속염 분말(1)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의 하단부에 배치된 배출구(100a) 위치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비대칭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챔버(100)로 인하여, 수용부에 수용되는 금속염 분말(1)은 자중에 의해 배출구(100a) 근처에서 붕괴가 발생하여 상단이 평활한 계면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의 수용부가 대칭구조인 경우 금속염 분말(1)의 서로에 대한 마찰력에 의하여 배출구(10a)의 상부로 구멍이 발생함으로써, 자중에 의한 금속염 분말(1)의 붕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챔버(100)는 수용부가 비대칭 구조를 이룸으로써, 배출구(100a)의 양측에서 배출구(100a)로 유입되는 금속염 분말(1)의 양이 다르고, 이에 따라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금속염 분말(1)의 양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금속염 분말(1)이 많이 쌓여 있는 부분이 적게 쌓여 있는 부분의 하부에 충격을 가하여 자중에 의한 붕괴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자중에 의한 자연붕괴된 금속염 분말(1)의 상단은 계속해서 평활화된 계면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챔버(100)는 비대칭 구조의 형상에 의하여 금속염 분말(1)이 연속적으로 붕괴됨으로써 수용된 금속염 분말(1)의 상단이 평활한 계면을 유지함에 따라, 추가적인 교반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활하면서도 정량적으로 전해조(40) 측으로의 공급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챔버(100)와 연결되어 챔버(100)로부터 금속염 분말(1)을 상방 이송시키는 상방이송유닛(21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방이송유닛(210)은, 챔버(100)로부터 연결되어 상방 배치된 상방이송관(211), 금속염 분말(1)을 상기 상방이송관(211)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상방이송관(211) 내에 배치된 상방스크류(212), 및 상기 상방스크류(212)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2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방이송유닛(210)은, 챔버(100)의 배출구(100a)로부터 배출되는 금속염 분말(1)을 상방스크류(212)가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송시킴으로써, 금속염 분말(1) 사이의 기공을 압착하여 제거함에 따라, 즉 금속염 분말(1) 사이의 기공이 빠져나옴에 따라 이송시키는 금속염 분말(1)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방이송유닛(210)은, 금속염 분말(1)을 상방 이송, 즉 중력의 역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금속염 분말(1)이 자중과 함께 중력 반대방향 이송에 의해 압박되면서 이송됨에 따라, 금속염 분말(1) 내부에 포함된 기공이 제거되어 금속염 분말(1)을 정량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방이송관(211)은 상방 경사진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일정 거리에 위치된 이송 목적지까지 횡방향 이송도 하면서 상술된 바와 같은 정량이송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배치구조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송부는 상방이송유닛(210)과 연결되어 금속염 분말(1)을 상방이송유닛(210)으로부터 하방 이송시키는 하방이송유닛(2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방이송유닛(220)은, 챔버(100)로부터 연결되어 하방 배치된 하방이송관(221), 금속염 분말(1)을 하방이송관(221)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하방이송관(221) 내에 배치된 하방스크류(222), 및 상기 하방스크류(222)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2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방이송유닛(220)은 하방스크류(222)의 회전에 의해 금속염 분말(1)의 정량이송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방이송유닛(220)은 바람직하게 수직 하방 배치구조를 이룸으로써, 전해조(40) 측으로 금속염 분말(1)을 자유낙하시킴에 따라, 금속염 분말(1)을 전해조(40)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하방이송유닛(220)은 상방이송유닛(210)에 의한 금속염 분말(1)의 상방 이송높이를 보상하고자 금속염 분말(1)을 다시 하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챔버(100)의 배출구(100a)가 전해조(40)의 입구와 수평상 거의 높이가 같은 경우, 금속염 분말(1)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정량이송을 할 수 있도록 상방이송유닛(210)을 배치 시, 금속염 분말(1)의 이송위치 보상을 위해 상방이송유닛(210)과 함께 하방이송유닛(22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수단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금속염 분말(1)을 분사하도록, 하방이송관(221)의 하부에 제공되는 분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부는 이송부와 연계되어 하방 배치된 분사관(310), 상기 분사관(310)에 연결되어 분사관(310)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관(320)은 금속염 분말(1)을 고압으로 전해조(40) 측으로 밀어내면서 분사관(310)에 의해 분사될 수 있도록, 고압의 가스가 제공되는 가스공급라인(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관(310)은 가스공급관(320)과의 연결부위 전단에 오리피스(3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관(310)은 내부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구멍인 오리피스(311)가 형성됨으로써, 금속염 분말(1)의 유동속도를 높여서 분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사부에 의해, 금속염 분말(1)이 전해조(40)로 낙하 시 분사되어 균일하게 분포함으로써, 전해조(40)의 전해액에 덩어리로 떨어져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전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분말 공급장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기능을 위해 별도의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100)는 금속염 분말(1)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1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로드셀(110)에 의해 전해조(40)에 추가되는 금속염 분말(1)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0)의 배출단부에는 개폐밸브(120)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폐밸브(120)에 의해 금속염 분말(1)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관(310)의 분사단부에는 체크밸브(312)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체크밸브(312)에 의해 전해조(40) 내의 전해액에서 발생되는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체크밸브(312)는 개폐되는 일반밸브가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스공급관(320)에는 가스밸브(321)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스밸브(321)에 의해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챔버(100)의 배출구(100a)에 장착된 개폐밸브(120), 이송부의 모터, 및 분사부의 체크밸브(312)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제어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술된 개폐밸브(120), 체크밸브(312), 및 가스밸브(321)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아울러 제1 모터(213), 제2 모터(223)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계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C)는 금속염 분말(1) 이송의 순서대로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챔버(100)의 개폐밸브(120)를 폐쇄하고, 이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분사부의 체크밸브(312)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챔버(100)에서 전해조(40) 측으로 금속염 분말(1)의 공급이 중단되면, 금속염 분말(1)의 이송순서대로 분사부의 체크밸브(312)를 폐쇄하고, 제2 모터(223), 제1 모터(213)를 작동정지시키고, 챔버(100)의 개폐밸브(120)를 폐쇄할 수 있다. 물론, 분사부의 체크밸브(312) 폐쇄 시 가스공급관(320)의 가스밸브(321)도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염 분말(1)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에 있어서 챔버(100)의 하부에 설치된 개폐밸브(120)가 가장 먼저 닫히고, 이후 상방이송관(211) 내부에 잔존하는 금속염 분말(1)이 제거될 때까지 제1 모터(213)가 작동한 후 동력이 차단되고, 하방이송관(221) 내부에 잔존하는 금속염 분말(1)이 제거될 때까지 제2 모터(223)가 작동한 후 동력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분사관(310) 내부에 잔존하는 금속염 분말(1)이 제거될 때까지 가스가 공급된 후 가스밸브(321)가 닫히고, 최종적으로 전해조(40)에 연결된 체크밸브(312)도 닫히게 된다. 참고로, 금속염 분말(1)의 공급 중단은 챔버(100)에 장착된 로드셀(110)을 통하여 알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로드셀(110)은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금속염 분말(1)을 중단하지 않는 경우, 전해조(40)에서 상승하여 역류하는 흄이 분사부와 이송부에 잔존하는 금속염 분말(1)과 반응하여 스크류 등의 각 구성에 흡착됨으로써, 재가동시 설비트러블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수용부가 비대칭구조인 챔버(100)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교반기 없이도 금속염 분말(1)을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염 분말(1)을 상방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함으로써, 금속염 분말(1)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금속염 분말(1)을 정량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금속염 분말(1)을 전해조(40) 측으로 분사키는 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금속염 분말(1)이 전해조(40)로 낙하 시 분사되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전해조(40)의 전해액에 덩어리로 떨어져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전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된 각 밸브와 모터를 제어부(C)에 의해 조절제어함으로써, 금속염 분말(1)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 잔존하는 금속염 분말(1)과 흄의 반응에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금속염 분말 40 : 전해조
100 : 챔버 100a : 배출구
110 : 로드셀 120 : 개폐밸브
210 : 상방이송유닛 211 : 상방이송관
212 : 상방스크류 213 : 제1 모터
220 : 하방이송유닛 221 : 하방이송관
222 : 하방스크류 223 : 제2 모터
310 : 분사관 311 : 오리피스
312 : 체크밸브 320 : 가스공급관
321 : 가스밸브

Claims (16)

  1.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되며, 분말이 비대칭구조로 수용되는 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분말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수단;
    을 포함하는 분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내부의 수용부가 배출구를 기준으로 비대칭구조로 형성된 상기 챔버; 및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분말을 이송시키되 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분말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배출단부에는 개폐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분말을 상방 이송시키는 상방이송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이송유닛은,
    상기 챔버로부터 연결되어 상방 배치된 상방이송관;
    상기 분말을 상기 상방이송관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상기 상방이송관 내에 배치된 상방스크류; 및
    상기 상방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이송관은 상방 경사진 배치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방이송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분말을 상기 상방이송유닛으로부터 하방 이송시키는 하방이송유닛;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이송유닛은,
    상기 챔버로부터 연결되되 하방 배치된 하방이송관;
    상기 분말을 상기 하방이송관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방이송관 내에 배치된 하방스크류; 및
    상기 하방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분말을 분사하도록, 상기 하방이송관의 하부에 제공되는 분사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계되어 하방 배치된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상기 가스공급관과의 연결부위 전단에 오리피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의 분사단부에는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가스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배출구에 장착된 개폐밸브, 상기 이송부의 모터, 및 상기 분사부의 체크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말 이송의 순서대로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분사부의 체크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KR1020140179424A 2014-12-12 2014-12-12 분말 공급장치 KR10166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424A KR101665788B1 (ko) 2014-12-12 2014-12-12 분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424A KR101665788B1 (ko) 2014-12-12 2014-12-12 분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348A true KR20160072348A (ko) 2016-06-23
KR101665788B1 KR101665788B1 (ko) 2016-10-13

Family

ID=5635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424A KR101665788B1 (ko) 2014-12-12 2014-12-12 분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5257B (zh) * 2017-01-19 2018-09-25 南京麦文环保设备工程有限责任公司 用于镀铜工艺的硫酸铜溶液全自动配制系统
CN106757294B (zh) * 2017-01-19 2018-09-25 南京麦文环保设备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补充镀铜槽内硫酸铜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429Y1 (ko) * 1989-12-28 1995-01-2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분체의 정량공급장치
JP2009051170A (ja) * 2007-08-29 2009-03-12 Kashima Polymer Kk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429Y1 (ko) * 1989-12-28 1995-01-2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분체의 정량공급장치
JP2009051170A (ja) * 2007-08-29 2009-03-12 Kashima Polymer Kk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788B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266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lating solution to plating tank, plating system, powder container, and plating method
KR101803856B1 (ko) 도료 미스트 포집 장치
PL2180956T3 (pl) Sposób zasilania instalacji powlekającej materiałem pomocniczym w postaci cząstek
KR102353054B1 (ko) 도금조에 도금액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도금 시스템, 분체 용기 및 도금 방법
KR101665788B1 (ko) 분말 공급장치
TWI736636B (zh) 在潔淨室條件下化學製造過程的粉末計量裝置,其用途及計量添加方法
RU244876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бавления порошка в жидкость
KR20130050286A (ko) 고체 화학적 용해기 및 방법
KR20120033217A (ko) 응집제 용해 장치
CN109989093B (zh) 粉末供给装置及镀覆系统
US20220074064A1 (en) Copper oxide solid for use in plating of a substrate, method of producing the copper oxide soli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 plating solution into a plating tank
US201702252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Blasting A Suspension Onto Workpieces
JP4387674B2 (ja) 微量粉末物質の液体混合装置
CN108883884B (zh) 供给系统和使用供给系统的方法
CN210418414U (zh) 流水线在线喷粉系统
JP6068195B2 (ja) 気体搬送される粉体の湿式溶解装置
CN204429544U (zh) 自动喷湿机
CN210286687U (zh) 一种瓶装水生产集中供盖装置
CN205873126U (zh) 一种适用啤酒糟的料位控制系统
KR101630985B1 (ko) 고체금속 용해장치
JP2012110844A (ja) シャワー式塗装装置
RU2268224C1 (ru) Питатель порошковых и пылевых материалов установки инжек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расплавов
CN104315851A (zh) 喷补剂定量输送装置
JP2007333331A (ja) コンテナ収容液体のクリーン維持装置及びコンテナ収容液体のクリーン計量・送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