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122A - 조절성 안내 렌즈 - Google Patents

조절성 안내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122A
KR20160072122A KR1020167010326A KR20167010326A KR20160072122A KR 20160072122 A KR20160072122 A KR 20160072122A KR 1020167010326 A KR1020167010326 A KR 1020167010326A KR 20167010326 A KR20167010326 A KR 20167010326A KR 20160072122 A KR20160072122 A KR 2016007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uide lens
connecting bar
adjustable guide
hap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346B1 (ko
Inventor
제이. 스튜어트 커밍
Original Assignee
제이. 스튜어트 커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스튜어트 커밍 filed Critical 제이. 스튜어트 커밍
Publication of KR2016007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48Multipar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9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plate-hap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연결 바아가 유리체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변형함으로써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렌즈 광학부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연결 바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결합된 렌즈 광학부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Description

조절성 안내 렌즈{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본 출원은, 명칭이 토션 바아 조절성 안내 렌즈이며 2012년 6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1/689,394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3/910,076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이러한 출원 각각의 내용 및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전적으로 통합된다. 또한 본 출원은 하기의 내용 및 개시내용을 참조로 통합하였다: 2011년 1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공보 번호 20110313519; 2011년 4월 22일 자로 출원된 미국 공보 번호 2011/0313524; 2011년 5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공보 번호 2011/0313525; 2011년 6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공보 번호 2011/0313526; 2012년 5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번호 8,523,942; 2012년 5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공보 번호 2012/0310344; 2013년 5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일련 번호 13/891,088; 및 2013년 6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일련 번호 13/910,076호.
분야
본 개시내용은 단일 초점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고, 이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양체근의 이완과 수축에 의해 자동적으로 원거리부터 근거리까지 균일한 시력을 제공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설명
안내 렌즈 (IOL)는 안구 내로 이식하는 렌즈이고, 이는 대개 백내장에 의해 흐려진 일반적인 인간의 렌즈를 대체하거나, 안구의 광학력(optical power)을 바꾸기 위한 굴절교정 수술의 형태로 일반적인 인간의 렌즈를 대체할 수 있다.
백내장 수술 동안 이식된 고급 안내 렌즈(IOL)는 3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조절성, 다초점, 및 원환체(toric) 안내 렌즈.
최선의 시력은 단일 초점 조절성 렌즈로 달성된다. 이러한 렌즈의 광학부(optic)는 모양체근의 수축 및 이완시에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희미한 조명 조건에서의 독서, 또는 작은 인쇄물을 위해, 약독 안경이 종종 필요하다.
다초점 렌즈는 2개 또는 3개의 초점 길이에서 망막에 광을 집중시킨다. 따라서 망막에 동시에 하나 초과의 이미지가 존재한다. 이는 문제를 생성하는데, 그 이유는 초점에서 광의 양이 다수의 초점 사이에 나뉘어지고, 이로인해 대비 감도가 감소되어, 희미한 조명에서 모든 거리에서의 시력을 곤란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공이 확장되는 밤에 운전할 때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많은 환자들은 심각한 눈부심 및 후광을 경험하고 많은 환자들은 다초점 렌즈를 외식해야 하고 단일 시력 표준 렌즈로 대체해야 한다. 그러나 다초점 렌즈를 통한 근거리 시력은 현재 조절성 렌즈의 근거리 시력보다 우월하다.
원환체 렌즈는 상당한 난시를 가지는 안구를 교정한다.
현재 시판되는 판 조절성 안내 렌즈는 우수한 거리 및 중간 시력을 제공하지만, 장기간 독서를 위해, 작은 인쇄물을 보기 위해, 또는 희미한 조명 조건에서 독서를 위해, 종종, +1.00의, 약독용 안경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양호한 비교정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및 안구의 수직 경선의 가운데에 중심을 두기 위해 안내 렌즈가 안구의 축을 따라 일관된 위치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우수한 비교정 원거리 시력 없이, 원거리부터 근거리까지 균일한 시력을 주도록 설계된 렌즈를 이식할 이유가 없다.
원래의 안내 렌즈는 단일 광학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렌즈는 자주 중심에서 벗어나고 탈구되고, 안구의 수직 경선에 렌즈 광학부를 중심에 두고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캡슐 주머니 내에 렌즈를 중심에 두고 고정시키는 광학부에 대한 부착부는 햅틱이라 불린다. 전통적으로, 햅틱은 다양한 설계의 다수의 가요성의 루프, J 루프, C 루프, 폐쇄 루프, 및 가요성의 반경방향 아암을 포함한다. 최근에, 햅틱은 판 햅틱이라 불리는, 길쭉하고, 편평한 가요성의 판을 갖는 일부 렌즈 설계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판 햅틱은 대개 실리콘으로 만들어졌고, 고형이고, 편평하고, 가요성이고 폭이 3.0과 6.0 mm 사이이고, 두께가 0.20 내지 0.75 mm이고, 테이퍼링되고, 둥글거나 평행한 측부를 가질 수 있다. 판 햅틱은 캡슐 주머니 내에 렌즈를 중심에 두고 고정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가요성의 루프 또는 핑거를 종종 가진다. 이러한 가요성의 핑거는 판 햅틱의 원위 또는 외부 단부를 넘어 및 캡슐 주머니의 직경을 약간 넘어 연장하고 캡슐 주머니 내에 렌즈 및 그 광학부를 중심에 두고 고정시키기 위해 중심에서 구부러지도록 설계된다.
조절성 IOL(AIOL)은 모양체 근의 수축 또는 이완에 반응하여 광축을 따라가는 움직임에 의해 안구의 초점을 다시 맞추는 것을 허용한다. 근거리 시력은 안구의 후측 부분에서 압력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안구의 전측 부분에서 압력을 감소시키는 모양체 근의 수축시에 광학부의 전방 움직임으로부터 초래된다. 원거리 시력은 모양체근의 이완 및 그 결과로 생긴 렌즈의 후방 움직임시에 일어나는 역방향 압력 변화로부터 초래된다. 광학부의 움직임은 렌즈가 이식된 환자가 자동적으로 그들의 시력을 원거리, 중간거리 및 근거리 사이로 바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AIOL들은 렌즈 광학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서로 대향한 햅틱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된다. 환자의 백내장이 예를 들어, 수정체 유화에 의해 제거되었을 때, AIOL은 빈 캡슐 주머니 내로 배치된다. 햅틱은 AIOL을 중심에 두고 섬유화에 의해 캡슐 주머니 내로 이를 고정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AIOL들은 커밍(Cumming)의 미국 특허 번호 5,674,282, 미국 특허 번호 5,476,514, 및 미국 특허 번호 5,496,366에 기재되고, 이들의 전체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게다가, AIOL들은 환자에게 상당하게 복원된 원거리 및 중간거리 시력을 제공하고, 적절한 근거리 시력은 통상적으로 부족하다 - 종종 환자가 근거리 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약독용 안경을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언급한 본 설계의 결함을 극복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가 기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절성 안내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결합하는 렌즈 광학부 및 토션 바아가 유리체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변형함으로써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렌즈 광학부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 사이에 위치하는 토션 바아를 포함한다.
편평한 힌지(hinge) 구부러짐 기구 또는 편평하고 얇은 신장 힌지와는 달리 연결 부분은 둥글고, 타원형이고, 정사각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변형일 수 있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부분은 약 0.1 내지 1.5 m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0.5와 1.0 mm 사이, 또는 약 0.1 mm 내지 1.0 m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분은 신장, 얇아짐, 회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기능하도록, 렌즈 몸체를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광학부에 접선식으로 연결할 수 있거나, 반경방향 또는 수직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안내 렌즈는 직경을 갖는 렌즈 광학부, 렌즈 광학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햅틱, 및 렌즈 광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아는 유리체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변형함으로써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결 바아는 광학부의 직경의 30% 미만의 폭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결합된 렌즈 광학부를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측부들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측부는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렌즈 광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결합된 렌즈 광학부를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측부들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측부는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렌즈 광학부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결합된 렌즈 광학부를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측부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측부는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렌즈 광학부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약 30도 (예를 들어, 약 10도, 약 15도 이내, 약 20도 이내, 또는 약 25도) 이내의 각도로 배치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연결된 렌즈 광학부를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측부들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측부는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렌즈 광학부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축(즉,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횡방향 축)으로부터 약 30도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도, 약 15도, 약 20도, 또는 약 25도) 이내의 각도에 배치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전술한 양태에서, 안내 렌즈는 상기 렌즈 광학부에 부착된 광학부 부속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아는 광학부 부속기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광학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직접적으로 연결한다.
임의의 상기 전술한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약 0.1과 2.0 m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전술한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아의 길이에 직교하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전술한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압력 변화를 받을 때 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압력 변화를 받을 때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압력 변화를 받을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전술한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햅틱과 같이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햅틱과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전술한 양태에서, 안내 렌즈는 상기 안내 렌즈의 횡방향 방향으로 햅틱을 부분적으로 횡단하는 신장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슬롯은 높이가 0.1 내지 0.5 mm 사이이고 길이가 2 내지 5 mm 사이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연결 바아는 조절 안구의 유리체 압력에 비견되는 후측 압력에 반응하여 굽힘보다는 신장에 의해 렌즈 광학부의 전방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전술한 양태에서, 안내 렌즈는 렌즈 광학부와 햅틱 사이에 힌지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얻어진, 하기 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고 예로서, 본원에 기재된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의 원리를 도시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와 햅틱을 연결하는 횡방향으로 유향된 토션 바아를 갖는 AIOL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와 햅틱을 연결하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유향된 커넥터 바아를 갖는 AIOL의 부분을 도시한다.
상기-기재된 도면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개시내용을 도시하는데, 이는 하기 설명에서 자세하게 추가로 규정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에 기재된 것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에 변형 및 변경을 안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것은 단지 예를 목적으로 명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조절성 안내 렌즈(AIOL)(100)를 도시하고 상기 안내 렌즈는 광학부(200), 광학부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햅틱(300)에 결합되는 짧은 부속기(362) 및 상기 부속기(362)를 통해 광학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연결하는 연결 바아(364)를 포함한다.
AIOL(100)은 공지된 기술 예컨대, 예를 들어, 수정체 유화를 수반하는 백내장 수술 동안 환자의 안구의 캡슐 주머니 내로 배치된다. 렌즈의 광축이 환자의 안구의 광축과 일치하도록 렌즈가 중심에 놓인다. 햅틱(300)은 캡슐 주머니와 접촉하고 조직의 자연 섬유화가 햅틱(300)을 그리고 그 결과로 AIOL(100)을 제자리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학부(200)는 유입되는 광을 수집하고 시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환자의 망막에 이를 집중시키는 단일 초점 광학부이다. 광학부(200)는 양면볼록, 굴절, 회절, 평-볼록, 프레넬, 구면, 비구면, 원환체, 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단일 초점인 임의의 다른 유형일 수 있다. 작은 절개부를 통해 광학부(200)가 안구 내로 삽입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광학부(200)는 가요성의 광학 재료, 예컨대, 예를 들어, 실리콘, 아크릴, 히드로겔, 또는 현재 공지되거나 이후 개발될 다른 가요성의 광학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300)은 제2 단부(340) 반대편에 제1 단부(320)를 포함한다. 햅틱(300)의 제1 단부(320)는 광학부(200) 부근에 위치될 수 있는 반면에 제2 단부는 광학부의 원위에 위치된다. 제1 단부(320)는 광학부(200)의 주변부 또는 짧은 부속기(362)에 가요성 있게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AIOL(100)은 AIOL(100)의 (예를 들어, y-축에 평행한)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선형으로 위치하는 서로 대향한 햅틱들을 포함한다.
햅틱 몸체는 AIOL(100)이 작은 절개부를 통해 안구 내로 절첩 및 삽입될 수 있도록 횡방향 방향(예를 들어, x-축에 평행)으로 실질적으로 가요성일 수 있고 길이방향 방향(예를 들어, y-축에 평행)으로 실질적으로 강성일 수 있다. 판 햅틱이 실질적으로 강성이지만, 연결 바아의 가요성이 아치형을 촉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햅틱(300)은 실리콘, 히드로겔, 아크릴 또는 유사한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광학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가요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판 햅틱(300)은 서로 대향한 측방향 패들(3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들(310) 및 돌출 핑거(350)는 캡슐 주머니에서 AIOL을 맞물리고, 고정시키고, 중심에 두도록 작동 가능하다. 특정 양태에서, 패들(310)은 판 햅틱(300)과 상이하고 더 강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들(310)은 폴리아미드, 프롤렌, 또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들은 압력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유리체 공동 내로의 삽입(dipping)을 위해 유용할 수 있다. 패들은 AIOL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또한 돕는다. 패들은 2개의 판 햅틱 중 하나의 전측 탈구를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햅틱(300) 및 패들(310)은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19 A1(미국 특허 번호 13/017,18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4 A1(미국 특허 번호 13/092,35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5 A1(미국 특허 번호 13/111,599); 및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6 A1(미국 특허 번호 13/155,327)에서 논의되고, 이들의 전체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패들(310) 및/또는 판 햅틱(300)은 함께 적어도 광학부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거나 광학부의 대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패들(310) 및/또는 판 햅틱(300)은 함께 광학부의 약 100 내지 350도 사이를, 예를 들어, 약 100과 200도 사이를, 약 150도와 250도 사이를, 약 200도와 약 300도 사이를, 또는 약 250도와 350도 사이를 둘러쌀 수 있다. 패들(310)들은 함께 광학부의 측부를 따라 연장하고 더 구체적으로 광학부의 길이의 약 50%, 60%, 70%, 80% 이상을 따라 연장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패들(310)은 측방향 방향(x-축에 평행)으로 광학부(200)를 따라 광학부의 직경의 적어도 약 10%로 연장한다. 특정 양태에서, 패들은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만곡된 에지를 포함할 수 있고, 패들은 광학부의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르기 위해 내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패들의 길이는 패들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또는 적어도 4배 더 길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광학부에 최근접한 패들의 단부는 테이퍼링될 수 있다.
프레임(330)은 햅틱(30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프레임(330)은 폴리아미드, 프롤렌, 폴리메틸메타닐레이트(PMMA), 티타늄, 또는 유사한 재료의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330)은 메시워크 또는 격자일 수 있고, 판 햅틱을 길이방향으로는 강성이지만 횡방향으로는 가요성으로 만들기 위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프레임(330)은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19 A1(미국 특허 번호 13/017,18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4 A1(미국 특허 번호 13/092,35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5 A1(미국 특허 번호 13/111,599); 및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6 A1(미국 특허 번호 13/155,327)에서 논의되고, 이들의 전체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햅틱(300)은 캡슐 주머니와 맞물리고 거기에 AIOL을 고정하고 중심에 두기 위해 (광학부(200)의 원위에 위치된) 제2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350) 또는 핑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50)는 프레임과 균질일 수 있고 폴리아미드, PMMA, 아크릴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돌출부(350)는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19 A1(미국 특허 번호 13/017,18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4 A1(미국 특허 번호 13/092,35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5 A1(미국 특허 번호 13/111,599); 및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6 A1(미국 특허 번호 13/155,327)에서 논의되고, 이들의 전체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햅틱(300)의 (예를 들어, 광학부(200) 부근에 위치된) 제1 단부(320)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분을 통해 광학부 또는 광학부의 짧은 부속기(362)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바아(364)는 유리체 압력 증가와 함께 서로 대향한 햅틱들의 단부 대 단부 압축을 야기하기 위해 모양체근의 수축을 허용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그 결과로 생긴 광학부의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전방이다. 도 1에 도시된 연결 부분, 바아, 또는 부재(364)는 후측 압력을 받을 때 신축, 굽힘, 및/또는 잠재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연결 부분(364)의 구성에 따라, 연결 부분(364)은 그 길이를 따라 신장될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AIOL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를 수 있으며 및/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AIOL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르거나 또는 (예를 들어, x-축 및/또는 z-축에 평행한) 횡방향 방향을 따를 수 있다. 추가로, 연결 부분(364)은 연결 부분의 길이를 따르는 축에 대해 비틀리거나 회전할 수 있는데, 이는 일부 경우에 AIOL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해서(예를 들어 z-축 및/또는 x-축에 평행한 축에 대해서)일 수 있고/및/또는 AIOL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에 대해서(예를 들어 y-축에 평행한 축에 대해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결 부분(364)은 광학부 주변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이에 가요성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부분(364)은 그 길이가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AIOL(100)의 횡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예를 들어, x-축에 평행한 축을 따라) 또는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AIOL(100)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연결 부분(364)이 AIOL(100)의 횡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예를 들어, x-축에 평행한)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AIOL(100)은 각각의 햅틱(300)을 짧은 부속기(362) 및 광학부(200)에 고정하기 위해 2개의 연결 부분(36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364)은 세장형 슬롯(366)이 짧은 부속기(362)와 햅틱(300) 사이에 형성되도록 햅틱(300)을 짧은 부속기(362)에 연결할 수 있다. 세장형 슬롯(366)의 긴 축은 일부 실시예에서 라인 A-A를 통한 AIOL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예를 들어, y-축에 수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 부분(364)은 AIOL의 횡방향 축(예를 들어, x-축에 평행한 축)으로부터 약 5°, 10°, 15°, 20°, 25°, 30°, 35°, 40°, 또는 45°미만이거나 동일한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세장형 슬롯(366)은 햅틱(300) 내에 형성된 개구로서, 횡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예를 들어, x-축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366)은 타원 형상을 포함하지만, 모든 형상이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롯(366)은 광학부(200)의 원위의 연결 부분에 인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 치수는 높이가 0.1 내지 0.5 mm이고 길이가 2.0 내지 5.0 mm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연결 부분 또는 연결 바아(364)는 AIOL(100)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예를 들어, y-축에 평행한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거나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IOL(100)은 각각의 햅틱(300)을 광학부(200)에 고정하기 위해 2개의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를 포함할 수 있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수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햅틱(300)은 단일 연결 부분(364)에 의해 광학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분(364)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햅틱에 관하여 광학부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줄이는데 유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 부분(364)은 AIOL의 길이방향 축(예를 들어, y-축에 평행한 축)으로부터 약 5°, 10°, 15°, 20°, 25°, 30°, 35°, 40°, 또는 45°미만이거나 동일한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연결 부분(364)은 신장된 슬롯이 광학부(200)와 햅틱(300) 사이에 형성되도록 햅틱(300)을 광학부(200)에 연결할 수 있다. 세장형 슬롯의 긴 축은 라인 A-A를 통과하여 AIOL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예를 들어 x-축에 평행)일 수 있다.
연결 부분(364)은 광학부(200)에 햅틱(300)을 결합하고 바람직하게는 광학부와 동일한 재료이다. 연결 부분이 광학부를 전방으로 미는 압력에 대한 저항을 줄인다는 점에서 연결 부분은(364) 조절을 돕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연결 부분(364)은 조절 동안 유리체 압력의 증가로 인해 광학부(200)가 전방으로 아치형이 될 때 주로 신축하고 힌지처럼 굽혀지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힌지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364)은 예를 들어, 연결 부분의 일부가 힌지처럼 굽혀지는 부근의 광학부(200) 또는 부속기(362) 및 햅틱(300) 사이에 힌지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힌지 구성을 갖는 예시 힌지 또는 스트랩은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19 A1(미국 특허 번호 13/017,18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4 A1(미국 특허 번호 13/092,359);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5 A1(미국 특허 번호 13/111,599); 및 2011년 12월 22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2011-0313526 A1(미국 특허 번호 13/155,327)에서 논의되고, 이들의 전체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는 라인 A-A를 통과하는 AIOL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햅틱의 서로 대향하는 패들들 사이에서 (도 1에서와 같이) 긴 측방향으로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단부 각각에서 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부(200)의 원위의 단부 각각에서 햅틱(300)에 통합되고, 바람직하게는 햅틱과 동일한 가요성의 재료이다. 그러나, 연결 부분(364)은 예를 들어, 연결 부분이 햅틱보다 실질적으로 더 가요성이 있도록 햅틱(300)과는 상이한 재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364)은 길이가 0.1 내지 1.5 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분(364)은 정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지만, 다른 단면 고체 형상도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면은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보다 더 작을 수 있는 폭 및 높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의 길이에 수직인 단면의 폭은 단면의 높이의 1.5, 1.4, 1.3, 1.2, 또는 1.0배 미만일 수 있거나 일부 실시예에서 더 작고 가능한 더 클 수 있다. 유사하게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의 길이에 수직인 단면의 폭은 연결 부분 또는 바아의 길이의 2.0, 1.5, 1.2, 또는 1.0배 미만일 수 있거나 일부 실시예에서 더 작고 가능한 더 클 수 있다.
안구 내로 삽입시에, 광학부(200) 및 햅틱(300)은 후측으로 아치형이 될 수 있다. 햅틱은 모양체근 수축, 즉, 단부 대 단부 압축에 반응하여 중심으로 후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유리체 압력을 증가시키고, 연결 부분(364)의 신장 및 가능하게는 얇아짐에 의해 광학부를 전방으로 아치형이 되게 한다. 압력의 이러한 증가는 유리체 공동 내로 후측으로 삽입되는 패들에 의해 추가로 촉진된다. 이러한 효과는 압력의 증가에 반응하여 연결 부분의 신축, 및 가능하게는 얇아짐, 굽힘, 및/또는 회전에 의해 촉진된다. 모양체근의 이완은 모양체근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전측 부분에서의 압력 증가를 수반하여 유리체 공동 압력을 감소시켜서, 광학부(200)는 안구의 원거리 시력 위치로 후측으로 이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AIOL의 길이방향 길이 (예를 들어, 원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까지, 여기서 원위 단부는 광학부(200)에 관하여 원위임)는 대략 9.0-11.0 mm 사이일 수 있고, 광학부에 관하여 측방향 핑거 돌출부의 팁으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은 대략 11.5-12.0 mm 사이의 직경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햅틱(300)은 폭이 3.0-6.0 mm이고 두께는 0.20-0.75 mm인 반면, 광학부(200)는 직경이 대략 5.0 mm이고 그 중심에서 두께는 1.0 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 또는 연결 바아(364)는 얇고 신장될 때 더 많은 얇아짐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신장이 없는 상태에서, 연결 부분 또는 연결 바아(364)는 광학부(200) 및 렌즈(100)에 관하여 얇아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 또는 연결 바아(364)는 광학부(20)의 폭 또는 직경의 50%, 40%, 30%, 20%, 10%, 5% 미만이거나 그보다 더 적은 (예를 들어, x-축에 평행한) 횡방향으로 폭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연결 부분 또는 연결 바아(364)는 광학부(20)의 폭 또는 직경의 50%, 40%, 30%, 20%, 10%, 5% 미만이거나 그보다 더 적은 (예를 들어, z-축에 평행인) 횡방향 및 길이방향 방향에 수직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폭 및 두께는 광학부(20)의 폭 또는 직경의 0.5% 또는 1%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치수는 적절한 신장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폭은 안구의 공막 또는 각막에 만들어진 작은 개구 내로 AIOL을 삽입할 때 절개의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IOL은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둥글게 말리고 그 결과로 생긴 비틀림은 더 넓은 연결부에 전단력을 도입할 수 있고, 이는 절개를 야기할 수 있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은 전단력을 감소시키고 절개없이 비틀림을 허용한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얇은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는 신장을 허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는 신축하고 이로인해 그 길이의 적어도 0.5, 1.0, 1.5, 또는 2.0배 또는 더 많이 그 길이가 증가시킨다. 따라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구성 및 도 1에 도시된 가능한 구성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는 굽힘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신축에 의해서 조절중 광학부의 전방으로의 아치화를 허용하도록 작동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 또는 바아(364)는 렌즈가 안구 조절로 안구의 후측 부분에서 압력의 증가와 유사한 후측 압력뿐만 아니라 조절동안 안구의 전측 부분에서 압력의 동시 감소와 유사한 동시 전측 압력에 노출될 때 (예를 들어, 힌지처럼) 구부리기보다는 주로 신장하도록 구성된다.
조건부 언어, 예컨대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또는 "할 수 있다"는,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거나 사용된 문맥 내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가 포함하지 않는 반면, 특정 실시예가 특정 구성,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전달하도록 일반적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부 언어는 대체로 구성, 요소, 및/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어떤식으로든 필요하다는 것이나, 또는 사용자 입력 또는 프롬프팅이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 및/또는 단계가 포함되었는지 또는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서 수행될 것인지를 결정할 논리를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반드시 포함한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해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는 요구되는 기능을 계속 수행하거나 요구되는 결과를 달성하는 언급된 양에 가까운 양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용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는 언급된 양의 10% 미만 이내의, 5% 미만 이내의, 1% 미만 이내의, 0.1% 미만 이내의, 및 0.01% 미만 이내의 양을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가 첨부 도면과 관련되어 기재된다. 그러나, 도면은 척도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거리, 각도, 등은 단지 예시적이고 실제 치수 및 도시된 장치의 레이아웃과 반드시 정확한 관계를 지니지 않는다. 구성요소가 추가, 제거,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된 본원의 개시내용의 임의의 특정 구성, 양태, 방법, 성질, 특성, 품질, 속성, 요소 등은 본원에 명시된 모든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은 열거된 단계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상기 상세하게 설명된 실시예는 문헌의 관련 기술에 비해 신규한 것으로 고려되고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의 작동 및 상기-기재된 목적의 달성에 중요한 것으로 고려된다. 본 실시예를 기재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단어는 그의 통상적으로 규정된 의미의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내의 특정한 규정: 통상적으로 규정된 의미의 범주를 벗어난 구조, 재료, 또는 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한 요소가 하나 초과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면, 이의 사용은 명세서에 의해 및 그 요소를 설명하는 단어 또는 단어들에 의해 지지되는 모든 가능한 의미에 대해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기재된 단어 또는 도면 요소의 규정은 문자 그대로 명시된 요소의 조합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등가 구조, 재료 또는 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따라서 2개 이상의 요소의 등가 대체물은 기재된 요소 중 임의의 하나와 이의 다양한 실시예를 위해 만들어질 수 있거나 단일 요소가 청구범위에서 2개 이상의 요소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현재 공지되거나 이후에 고안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관찰되는 청구되는 내용으로부터의 변화는, 의도된 범주 및 이의 다양한 실시예 내에서 등가물인 것으로 명확하게 고려된다. 따라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현재 또는 이후에 공지될 명백한 대체물은 규정된 요소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상기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기재된 것, 개념적으로 등가인 것, 명백하게 대체될 수 있는 것, 및 필수적인 개념을 통합하는 것을 포함하기 위해 이해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설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함께로만 해석될 것이고 여기서, 본 발명자가 청구되는 내용이 특허를 얻게 될것으로 여기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39)

  1. 조절성 안내 렌즈로서,
    직경을 갖는 렌즈 광학부와,
    렌즈 광학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햅틱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를 포함하고, 연결 바아가 유리체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변형함으로써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연결 바아는 렌즈 광학부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고, 연결 바아는 광학부의 직경의 30% 미만의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조절성 안내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광학부에 부착된 광학부 부속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연결 바아는 광학부 부속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광학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0.1과 2.0 mm 사이의 길이를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배향된 길이를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배향된 길이를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압력 변화를 받을 때 길어지도록 구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압력을 받을 때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압력을 받을 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햅틱과 동일한 재료인 조절성 안내 렌즈.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햅틱과는 상이한 재료인 조절성 안내 렌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렌즈는 상기 안내 렌즈의 횡방향으로 햅틱을 부분적으로 횡단하는 긴 슬롯을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6. 제15항에 있어서, 슬롯은 높이가 0.1 내지 0.5 mm 사이이고 길이가 2 내지 5 mm인 조절성 안내 렌즈.
  17. 제15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조절 안구의 유리체 압력에 유사한 후측 압력에 반응하여 굽힘보다는 신장에 의해 렌즈 광학부의 전방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렌즈는 렌즈 광학부와 햅틱 사이에 힌지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조절성 안내 렌즈.
  19. 조절성 안내 렌즈로서,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결합된 렌즈 광학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단부들에 주로 배치되고, 제1 단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부와,
    렌즈 광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광학부에 부착된 광학부 부속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연결 바아는 광학부 부속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1. 제19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광학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의 길이는 0.1과 2.0 mm 사이인 조절성 안내 렌즈.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24.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25.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상기 바의 길이에 직교하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조절성 안내 렌즈.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압력을 받을 때 길어지도록 구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압력을 받을 때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8.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압력을 받을 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햅틱과 동일한 재료인 조절성 안내 렌즈.
  30. 제19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햅틱과는 상이한 재료인 조절성 안내 렌즈.
  31. 제1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길이방향 방향에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햅틱을 부분적으로 횡단하는 긴 슬롯으로 형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2. 제31항에 있어서, 슬롯은 높이가 0.1 내지 0.5 mm이고 길이가 2 내지 5 mm인 조절성 안내 렌즈.
  33.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렌즈는 렌즈 광학부와 햅틱 사이에 힌지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조절성 안내 렌즈.
  34. 제20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안내 렌즈의 광학부 부속물에 대한 연결부에서 햅틱에 대한 연결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5. 제1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축으로부터 약 1 내지 10도 이내의 각도에 있는 축을 따라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6. 조절성 안내 렌즈로서,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연결된 렌즈 광학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단부들에 주로 배치되고, 제1 단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부와,
    렌즈 광학부와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이며, 상기 연결 바아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는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약 1 내지 10도 사이의 각도로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8. 조절성 안내 렌즈로서,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연결된 렌즈 광학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단부들에 주로 배치되고, 제1 단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부와,
    렌즈 광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이며,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약 30도 이내의 각도로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9. 조절성 안내 렌즈로서,
    적어도 하나의 햅틱에 연결된 렌즈 광학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은 렌즈 광학부의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단부들에 주로 배치되고, 제1 단부, 렌즈 광학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부와,
    렌즈 광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햅틱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이며,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축으로부터 약 30도 이내의 각도로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KR1020167010326A 2013-09-24 2013-09-24 조절성 안내 렌즈 KR102243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3/061452 WO2015047227A1 (en) 2013-09-24 2013-09-24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122A true KR20160072122A (ko) 2016-06-22
KR102243346B1 KR102243346B1 (ko) 2021-04-21

Family

ID=5274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326A KR102243346B1 (ko) 2013-09-24 2013-09-24 조절성 안내 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49022B1 (ko)
JP (1) JP2016533203A (ko)
KR (1) KR102243346B1 (ko)
CN (1) CN105658176A (ko)
WO (1) WO2015047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8719B2 (en) * 2017-03-01 2020-02-04 Eye-Pcr B.V. Devices for reconstruction of a lens capsule after cataract surgery
JP7276754B2 (ja) * 2017-10-25 2023-05-18 スタビレンズ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眼内レン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220A (ja) * 1997-12-09 2001-12-11 ジェイ・スチュアート・カミング 調節可能な眼内レンズ
US20080154362A1 (en) * 2006-07-25 2008-06-2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elastic hinges
JP2010515485A (ja) * 2007-01-05 2010-05-13 シー アンド シー ビ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w」調節性眼内レンズ
US20110313526A1 (en) * 2010-06-21 2011-12-22 James Stuart Cumming Semi-Rigid Framework For A Plate Ha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6514A (en) 1990-04-27 1995-12-19 Cumming; J. Stuart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5489302A (en) * 1994-05-24 1996-02-06 Skottun; Bernt 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CA2212459C (en) * 1995-02-15 2006-05-16 J. Stuart Cumming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having t-shaped haptics
US5843187A (en) * 1997-08-06 1998-12-01 Bayers; Jon H. Insertable intraocular lens
FR2841767B1 (fr) * 2002-07-03 2005-04-22 Ioltechnologie Production Lentille intraoculaire accommodative
US6616691B1 (en) * 2003-01-10 2003-09-09 Alcon, In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20080027540A1 (en) * 2006-07-31 2008-01-31 Cumming J Stuart Stabiliz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EP2162092B1 (en) * 2007-05-29 2012-06-27 Steven J. Dell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having a haptic plate
FR2979816A1 (fr) * 2011-09-14 2013-03-15 Qmp Holding Gmbh Dispositif perfectionne d'haptiques pour implant de sulc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220A (ja) * 1997-12-09 2001-12-11 ジェイ・スチュアート・カミング 調節可能な眼内レンズ
US20080154362A1 (en) * 2006-07-25 2008-06-2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elastic hinges
JP2010515485A (ja) * 2007-01-05 2010-05-13 シー アンド シー ビ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w」調節性眼内レンズ
US20110313526A1 (en) * 2010-06-21 2011-12-22 James Stuart Cumming Semi-Rigid Framework For A Plate Ha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9022B1 (en) 2023-06-07
WO2015047227A1 (en) 2015-04-02
EP3049022A4 (en) 2017-10-04
EP3049022A1 (en) 2016-08-03
KR102243346B1 (ko) 2021-04-21
JP2016533203A (ja) 2016-10-27
CN105658176A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942B2 (en) Variable focus intraocular lens
US9358101B2 (en) Intraocular lens
US7354451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US9713526B2 (en) Two optical elements which, in combination, form a lens of variable optical power for application as an intraocular lens
US20160206421A1 (en) Intraocular lens
US8734512B2 (en) Bias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CN107847313B (zh) 人工晶状体组件
US9629711B2 (en) Intraocular lens
JP2009518147A (ja) 調節性眼内レンズ
US9655717B2 (en) Semi-flexible posteriorly vaulted acrylic intraocular lens for the treatment of presbyopia
KR20090041390A (ko) 원근 조절용 다구면 안내 렌즈
JP6680953B2 (ja) 人工調節型レンズ複合体
US20150182327A1 (en)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rigid haptics
KR102336375B1 (ko) 안내 렌즈
KR102243346B1 (ko) 조절성 안내 렌즈
US9918830B2 (en)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rigid haptics
US9585745B2 (en)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rigid hap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