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65A -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65A
KR20160071665A KR1020140179095A KR20140179095A KR20160071665A KR 20160071665 A KR20160071665 A KR 20160071665A KR 1020140179095 A KR1020140179095 A KR 1020140179095A KR 20140179095 A KR20140179095 A KR 20140179095A KR 20160071665 A KR20160071665 A KR 2016007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using
steel plate
electromagnet
load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929B1 (ko
Inventor
임종한
Original Assignee
임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한 filed Critical 임종한
Priority to KR102014017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3Handling device on tracto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1)의 이동, 선하적, 상하차를 위한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는, 보디(BODY)(10); 상기 보디(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그리퍼(GRIPPER) 암(40); 상기 그리퍼 암(40)의 양측에 구비된 그리퍼(5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50)는, 하우징(510), 상기 하우징(5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로드(ROD)(520), 상기 로드(5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1)의 하부를 지지하는 슈(SHOE)(530), 및 상기 하우징(510)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52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540)를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사전 준비작업을 생략하여 인력과 시간의 소요가 감소하고, 안전사고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The electromagnetic lifter including load switch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steel plates and the method of transferring steel plat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전자석으로 인상한 강판의 하중을 인상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힘의 투입없이 동일 장치내 타부분으로 전환시킬수 있는 하중 전환장치인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인 전자석 방식 또는 걸쇠걸이 방식의 각 장점들을 극대화하고 단점들을 해소하여, 강판 이송 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판의 적재, 이동, 상하차, 선하적 등의 작업시 여건에 따라 크레인의 리프터에 장치된 걸쇠, 와이어, 전자석 등을 사용하여 강판을 들어올리고 내린다.
걸쇠의 걸기와 풀기로 강판을 이송하는 방법은 걸쇠의 자중이 작기 때문에 크레인의 작업능력만큼 강판을 이송할 수 있어 회당 작업량이 많아 선박에 선적시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며, 강판 사이에 걸쇠를 삽입할 때 작업자 손의 협착 위험이 있고, 걸쇠 삽입 후에 강판을 들어올릴 때 강판의 흔들림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다. 또한 이송하고자 하는 강판들의 측면이 일치하지 않고 튀어나와 있는 경우 걸쇠를 삽입할 수가 없고, 낙하의 위험이 크므로 사전에 걸쇠가 이송할 수 있는 강판의 수만큼 각각 강판들의 측면을 일치시켜 번들('번들'은 강판들을 여러개 모은 것을 의미한다)을 준비하고, 번들 사이마다 받침목을 설치하여 걸쇠를 삽입할 수 있도록 준비작업을 해야하므로 인력과 시간이 과다 소요된다.
또한, 전자석의 부착과 탈착으로 강판을 이송하는 종래기술은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이 가능하지만 이송되는 강판의 낙하 위험이 높아 이송 중의 충돌, 크레인의 흔들림, 바람에 의한 흔들림, 강판의 휨, 강판의 좌우 끝단부와 상하 출렁거림 등의 요인들을 반영하여 전자석의 세기를 약 15배 증가시켜 제작하므로 전자석의 자중이 증가하고, 따라서 크레인의 작업능력이 감소하여 회당 강판 이송 작업량이 적어진다. 또한 전자석을 이용하여 작업시 강판의 낙하 등에 의한 불안감 때문에 실제로는 전자석의 허용 능력보다 더 적은 양의 강판을 이송하므로 회당 강판 이송 작업량은 더욱더 적어진다.
따라서, 전자석으로 먼저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걸쇠와 같은 기구로 걸어서 이동한다면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함께 확보될 수 있으므로, 전자석으로 먼저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걸쇠와 같은 기구를 강판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걸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36136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걸쇠로만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이송할 수 있는 강판의 수만큼 각각 강판들의 모든 측면을 일치시켜 번들을 준비하거나 번들 사이에 받침목을 삽입하는 등의 사전 준비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인력과 시간의 소요가 감소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기계화된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는 것이므로, 걸쇠로만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강판을 걸기 위한 인력의 투입이 적고, 그에 따라 작업 중의 손 협착이나 강판의 흔들림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줄어드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전자석만으로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강판의 낙하 위험이 해소되고, 작업자들의 불안감이 감소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전자석만으로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강판의 낙하 위험이 해소되므로 전자석의 자중을 대폭 감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당 강판 이송 작업량이 많은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는, 강판의 이동, 선하적, 상하차를 위한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는, 보디(BODY); 상기 보디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그리퍼(GRIPPER) 암; 상기 그리퍼 암의 양측에 구비된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로드(ROD), 상기 로드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슈(SHOE),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디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디와 전자석은 완충 로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상부 로드, 상기 상부 로드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 상기 하부 로드의 하측에 연결되는 슈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는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를 감싸면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는 축방향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를 상하로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로드를 축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장치는 상기 상부 로드의 톱니에 연결되는 제1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는 그 둘레 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2구동장치는 상기 하부 로드의 톱니에 연결되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의 평면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짧은 변은 외측으로 볼록한 원주형상이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측 내면에는 상측은 수평이고 하측은 경사진 다수의 캠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상기 캠들은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가 상승할 때 출몰하면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의 짧은 변 측을 지지하여 하강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부 로드가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는 긴 변 측이 상기 캠쪽으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캠으로부터 벗어나 지지가 해제되어 하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상호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하부 로드는 함께 축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를 상하로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을 축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장치는 상기 상부 로드의 톱니에 연결되는 제1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측에는 둘레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2구동장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톱니에 연결되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는, 상기 로드는, 상부 로드, 상기 상부 로드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 상기 하부 로드의 하측에 연결되는 슈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는 축방향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를 상하로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를 축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에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장치는 상기 상부 로드의 톱니에 연결되는 제1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장치는 상기 상부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의 평면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짧은 변은 외측으로 볼록한 원주형상이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측 내면에는 상측은 수평이고 하측은 경사진 다수의 캠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상기 캠들은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가 상승할 때 출몰하면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의 짧은 변 측을 지지하여 하강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상부 로드가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는 긴 변 측이 상기 캠쪽으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캠으로부터 벗어나 지지가 해제되어 하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들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은, 상기 전자석을 온(ON)하여 복수의 상기 강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강판을 상부로 인상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를 상기 강판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슈가 상기 강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슈가 상기 강판의 하측에 접하도록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석을 오프(OFF)하는 단계; 상기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걸쇠로만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이송할 수 있는 강판의 수만큼 각각 강판들의 모든 측면을 일치시켜 번들을 준비하거나 번들 사이에 받침목을 삽입하는 등의 사전 준비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인력과 시간의 소요가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기계화된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는 것이므로, 걸쇠로만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강판을 걸기 위한 인력의 투입이 적고, 그에 따라 작업 중의 손 협착이나 강판의 흔들림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전자석만으로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강판의 낙하 위험이 해소되고, 작업자들의 불안감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을 전자석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를 인상한 후 그리퍼로 강판을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전자석만으로 강판을 이송하는 것에 비해 강판의 낙하 위험이 해소되므로 전자석의 자중을 대폭 감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당 강판 이송 작업량이 많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와 상부 하우징 내면에 배치된 캠의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전자석에서 슈로 강판의 하중이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 연결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i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제2구동장치, 하부 하우징,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 위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와 상부 하우징 내면에 배치된 캠의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전자석에서 슈로 강판의 하중이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i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는, 강판(1)의 이동, 선하적, 상하차 등의 작업시 다수의 전자석(20)과 그리퍼(50)를 장착하여 강판(1)을 이송한다. 강판(1)을 전자석(20)으로 부착하여 일정 높이 인상한 후에 그리퍼(50)로 강판(1)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송함으로써, 이송시 강판(1)의 낙하 위험이 해소되고, 작업자들의 불안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강판(1)의 낙하 위험이 해소되므로 전자석(20)의 안전율을 과하게 할 필요가 없어 종래기술에 비해 전자석(20)의 자중을 대폭 감소할 수 있으며, 전자석(20)의 자중이 감소함에 따라 크레인의 회당 강판(1) 이송 작업량이 많아진다. 또한 강판(1)을 전자석(20)에 부착하여 인상한 후에 추가적인 힘 없이 강판(1)의 하중을 슈(530)에 이동하여 전자석(20)을 가동하지 않고도 강판(1)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는,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연결된 보디(BODY)(10), 전자석(20), 그리퍼(GRIPPER) 암(40), 그리퍼(50) 등으로 형성된다.
보디(10)는 크레인 호이스트에 연결되어 전자석(20)과 그리퍼(50) 등의 장치가 연결되는 몸체 부분이다.
전자석(20)은 보디(10)의 하측에 구비되어 강판(1)을 부착하며, 강판(1)을 단순히 30cm정도를 들어올릴 수 있는 정도로 경량화된 설계되므로 본 발명의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는 사용되는 전자석(20)의 자중이 감소되고, 회당 이송 작업량이 증대된다. 또한 강판(1)을 이송하기 전에 전자석(20)이 강판(1)을 부착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사전에 강판(1)의 번들 사이마다 그리퍼(50)를 걸기 위한 별도의 받침목을 설치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전자석(20)은 완충 로드(30)를 통해 보디(10)와 연결이 된다. 완충 로드(30)는 전자석(20)이 강판(1)에 접착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상하 30cm 이내로 작동이 된다.
그리퍼 암(40)은 보디(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단부에는 그리퍼(50)가 연결되며, 랙과 피니언 기어 또는 유압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그리퍼 암(4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그리퍼(50)를 강판(1)의 측면에 가깝게 하거나 멀리 할 수 있다.
그리퍼(50)는 보디(10)의 양측으로 연장된 그리퍼 암(40) 각각에 구비되며, 하우징(510), 로드(ROD)(520), 슈(SHOE)(530), 구동장치(540)를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상부 하우징(511)과 하부 하우징(515)을 포함하고, 로드(520)는 하우징(5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부 로드(521), 하부 로드(525), 슈 로드(529)를 포함한다. 또한 슈(530)는 로드(520)의 하측에 구비되어 강판(1)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장치(540)는 하우징(510)에 구비되어 로드(520)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축회전시키는 장치로서 제1구동장치(543)와 제2구동장치(54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그리퍼(50)를 기계화함으로써, 인력의 투입이 적고, 손 협착이나 강판(1)의 흔들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는, 하우징(510), 로드(520), 슈(530), 구동장치(540)를 포함하며, 로드(520)의 상하이동 및 축회전을 통해 전자석(20)으로 부착한 강판(1)의 하부에 슈(530)를 위치하여 강판(1)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하우징(510)은 상부 하우징(511) 및 하부 하우징(515)으로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511)은 상부 로드(521),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 및 하부 로드(525)가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거나 하부 로드(525)가 축방향 회전하는 공간이며, 양측 내면에 후술할 캠(513)이 스프링 등과 함께 설치가 된다. 하부 하우징(515)은 상부 하우징(511)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 로드(525),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 및 슈 로드(529)가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거나, 하부 로드(525) 및 슈 로드(529)가 축방향 회전하는 공간이며, 이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는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로드(520)는 상부 로드(521), 하부 로드(525), 슈 로드(529),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를 포함한다. 상부 로드(521)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톱니(541)가 형성되고, 하부 로드(525)는 상부 로드(521)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부 로드(521)와 슈 로드(529)를 연결하며 둘레방향으로 톱니(541)(도면 미도시)가 형성되고, 슈 로드(529)는 하부 로드(525)의 하측에 연결되며 그 하부에 슈(530)가 연결된다. 하부 로드(525)와 슈 로드(529)의 축회전은 90도가 바람직하나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무부하시에 슈 로드(529)는 하부 하우징(515)과 슈(530)의 최대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하며, 하부 하우징(515)과 슈(530)의 최대 간격은 강판(1) 번들의 최대 두께인 120mm와 캠(513)들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캠(513)의 높이인 30mm를 더한 150mm가 바람직하나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또한 슈 로드(529)에는 강판(1)의 접촉을 인지하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로드(521)와 하부 로드(525)는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에 의해 연결되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하부 로드(525)가 상부 로드(521)를 감싸면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하우징(511) 내에 위치한다.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외곽 평면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직사각형 형상의 짧은 변은 외측으로 볼록한 원주형상이다. 상부 로드(521)와 하부 로드(525)는 베어링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로드(525)가 90도 회전시에도 상부 로드(521)는 회전하지 않는다(도 6 참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짧은 변을 원주형상으로 함으로써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캠(513)에 잘 지지되면서도 하부 로드(525)가 회전시 상부 하우징(511)의 측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하부 로드(525)와 슈 로드(529)는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에 의해 연결되며,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는 하부 로드(525)가 슈 로드(529)를 감싸면서 축방향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하우징(515) 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슈 로드(529)가 하부 로드(525)를 감싸게 하는 것도 무방하다.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의 접촉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거나 원형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연결되어 하부 로드(525)가 회전시 슈 로드(529)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의 신축은 슈 로드(529)의 상측과 하부 로드(525)의 하측 사이에 틈을 두어 가능하게 한다. 이 신축은 강판(1)의 하강 작업시 슈(5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에는 상호간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유압장치 또는 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슈(530)는 슈 로드(529)의 하측에 구비되어 강판(1)의 인상 작업시 강판(1)의 하부를 지지한다. 슈(530)의 축회전은 90도가 바람직하나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구동장치(540)는 제1구동장치(543)와 제2구동장치(545)를 포함한다. 제1구동장치(543)는 상부 하우징(511)에 구비되어 상부 로드(521)를 상하로 구동하며, 제1모터(544)를 포함한다. 제1모터(544)는 상부 하우징(511)의 내측 또는 상측에 구비되어 기어 등을 이용하여 상부 로드(521)의 톱니(541)에 연결되고, 상부 로드(521)를 상하이동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장치(545)는 하부 하우징(515)에 구비되어 하부 로드(525)를 축회전시키며, 제2모터(546)를 포함한다. 제2모터(546)는 하부 하우징(515)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기어 등을 이용하여 하부 로드(525)의 톱니(541)에 연결되고, 하부 로드(525)를 축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는 그리퍼(50)를 이용하여 강판(1)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송하므로 강판(1)의 낙하 위험이 해소되고, 강판(1)의 낙하 위험이 해소됨에 따라 전자석(20)의 안전율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결국 전자석(20)의 자중을 대폭 감소하여 회당 강판(1) 이송 작업량을 크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는, 다수의 캠(513)들이 상부 하우징(511)의 양측 내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상기 캠(513)에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짧은 변이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첫 번째 도면은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상부 하우징(511) 내면에 배치된 캠(513)에 지지된 모습을 정면에서 도시하였고, 두 번째 도면은 상부 하우징(511)의 일측면에 도시된 캠(513)들을 도시하였으며, 세 번째 도면은 상부 하우징(511)의 캠(513)이 도시된 일측면에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캠(513)이 보이도록 반투명하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캠(513)들은 상측은 수평이고 하측은 경사진 형태(도 4의 첫 번째 도면 참조)이다. 도 4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513)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다수의 열을 형성하며, 인접한 열의 캠(513)들 간에는 높이차가 있도록 배치되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상승함에 따라 출몰하면서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하우징(511)의 일측 내면에서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를 지지하는 캠(513)은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며,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한 캠(513)들이 동시에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를 지지한다. 캠(513)을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캠(513)과 캠(513)의 높이 차를 줄여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어떤 위치의 캠(513)에 안착되지 못하고 그 아래쪽의 캠(513)으로 하강시 그 높이차를 줄일 수 있다. 이는 강판(1)을 전자석(20)으로 부착한 후 슈(530)를 상승시켜 강판(1)의 하측면에 접근시킬 때,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도 상승하다가 어떤 지점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때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그 바로 아래쪽의 캠(513)까지 하강하여 지지(도 4의 첫 번째 및 세 번째 도면 참조)되고, 다음으로 전자석(20)을 오프하면 강판(1)의 하중이 슈(5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강판(1)과 슈(530)의 간격이 크면 클수록 슈(5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져 슈(530)가 강판(1)을 지지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장치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캠(513)들 간의 상하 높이차를 낙하 충격에도 무방한 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캠(513)들 간의 상하 높이차는 캠(513)들을 더 많이 배치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짧은 변이 캠(513)에 지지되면서 전자석(20)에 부착되어 인상된 강판(1)의 하중이 슈(530)로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첫 번째 도면은 전자석(20)으로 강판(1)을 부착한 후에 슈(530)를 올려 강판(1)을 지지하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도시하였고, 두 번째 도면은 첫 번째 도면의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와 캠(513)의 작동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상부 로드(521)와 하부 로드(525)가 상승하다가 임의의 지점에서 정지하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바로 아래쪽의 캠(513)까지 하강하여 그 캠(513)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로드(520)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하부 로드(525)를 90도 회전시키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긴 변이 캠(513)쪽을 향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캠(513)에서 벗어나 하강이 가능해진다.
도 7a 내지 7i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은, 전자석(20)으로 강판(1)을 부착하는 단계, 부착된 강판(1)을 상부로 인상하는 단계, 그리퍼(50)를 강판(1) 측면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리퍼(50)의 슈(530)를 강판(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슈(530)를 강판(1)의 하측에 접하도록 상승키시키는 단계, 전자석(20)을 오프(OFF)하는 단계,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석(20)으로 강판(1)을 부착하는 단계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20)을 온(ON)하여 복수의 강판(1)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전자석(20)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강판(1)들의 길이방향의 측면을 맞추거나 강판(1)들의 번들 사이에 받침목을 미리 설치하는 등의 사전작업이 생략되므로 종래의 기술보다 효율적이다.
부착된 강판(1)을 상부로 인상하는 단계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강판(1)을 전자석(20)으로 부착한 후에 상부로 10cm 정도 인상하는 단계이다. 부착하는 복수의 강판(1) 두께(또는 수량)나 중량은 크레인의 인상능력에 따라 다양하지만 두께는 최대 120mm이며, 중량은 최대 20톤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수치들은 더 적게 하거나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50)는 아직 작동이 되지 않은 상태이며, 그리퍼(50)의 슈(530)는 강판(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이다.
그리퍼(50)를 강판(1)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그리퍼(50)의 슈(530)를 강판(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는 도 7c 및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50)를 먼저 강판(1)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구동장치(545)를 구동하여 슈(530)가 90도 회전하여 강판(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슈(530)를 강판(1)의 하측에 접하도록 상승키시키는 단계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장치(543)를 구동하여 슈(530)와 강판(1) 하측의 간격만큼 상부 로드(521)를 상부로 이동하여 슈(530)가 강판(1)의 하측에 접하도록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부 하우징(511)의 양측 내면에 구비된 다수의 캠(513)들에 의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지지되어 슈(530)가 하강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강판(1)의 두께가 120mm인 경우에는 슈(530)가 30mm 상승하여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를 캠(513)들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캠(513)의 상면이 지지한다. 물론 상기의 복수 강판(1)의 두께, 슈(530)의 상승 높이, 또는 캠(513) 자체의 높이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구동장치(543)에 의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캠(513)에 지지되어 슈(530)가 강판(1)의 하측에 접하므로 전자석(20)이 오프되어도 강판(1) 번들의 하중은 슈(530)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된다. 또한 구동장치(540)를 이용하여 그리퍼(50)를 작동하므로 걸쇠 등의 종래기술보다 적은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손 협착이나 강판(1)의 흔들림으로 인한 낙하 등의 안전사고가 현저히 줄어든다.
전자석(20)을 오프하는 단계는 전자석(20)에서 그리퍼(50)로 중력의 부하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이동하는 단계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이용하여 강판(1)을 이송하는 단계이다. 강판(1)을 하강하기 전에 전자석(20)을 온으로 하고, 도 7f 및 도 7g,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의 하측에 접해있던 슈(530)를 회전시키고, 그리퍼 암(40)의 길이를 늘려 그리퍼(50)를 강판(1)으로부터 벌린 후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하강하여 강판(1)을 적재하고 전자석(20)을 오프한다. 또한 강판(1)의 하측에 접해있던 슈(530)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리퍼 암(40)의 길이만 늘려서 그리퍼(50)를 강판(1)으로부터 벌린 후 강판(1)을 적재할 수도 있으며, 먼저 슈(530)를 일부 하강시킨 후에 회전시키고 그리퍼 암(40)을 벌릴 수도 있다. 강판(1)을 적재할 위치에 받침목이 설치된 경우에는 전자석(20)이 오프된 상태에서 그대로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하강하여 받침목 상부에 먼저 강판(1)을 적재하고, 받침목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강판(1) 사이에 위치한 슈(530)를 90도 회전하고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상승 및 이동시킬 수도 있다.
강판(1)의 이송은 상기 단계들을 반복 시행하여 한다.
상기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은 하기의 실시예들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제2구동장치, 하부 하우징,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 위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례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예는 제2구동장치(545), 하부 하우징(515), 하부 로드(525), 및 슈 로드(529)의 연결관계에서 상기 본 발명의 일례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예의 경우 하부 하우징(515)은 상부 하우징(5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 하우징(511)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의 전체 둘레 또는 전체 둘레의 4분의 1 정도 톱니(541)가 형성되고, 이 톱니(541)에 제2구동장치(545)가 연결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515), 하부 로드(525), 및 슈 로드(529)가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삼각, 사각, 육각 등의 다각 형상이거나 원형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도 9 참조), 제2구동장치(545)에 의해 하부 하우징(515)이 회전하는 경우 하부 로드(525) 및 슈 로드(529)도 함께 회전이 되도록 구성된다.
구동장치(540)는 제1구동장치(543)와 제2구동장치(545)를 포함하고, 제1구동장치(543)는 본 발명의 일례와 동일하다. 다만, 제2구동장치(545)는 상부 하우징(511)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 하우징(515)을 축회전시키며, 제2모터(546)를 포함한다. 제2구동장치(545)에 의해 하부 하우징(515)에 연결된 하부 로드(525)가 축회전하므로 하부 로드(525)에 톱니(541)를 형성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제2모터(546)는 기어 등을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515)의 톱니(541)에 연결되고 하부 하우징(515)을 축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515) 및 하부 로드(525), 슈 로드(529), 슈(530)의 축회전은 90도가 바람직하나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의 그리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예들과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상부 로드(521)와 하부 로드(525)가 일체화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로드(521)는 외측에 둘레방향으로 전체 둘레 또는 전체 둘레의 4분의 1 정도에 톱니(541)가 형성되고, 제2구동장치(545)가 상부 로드(521)의 상측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부 하우징(511)의 상측에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실린더 및 피스톤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구동장치(545)는 상부 로드(521)와 함께 상하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부 로드(521)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 타원, 나사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 신축은 가능하나 회전은 되지 않는다.
구동장치(540)는 제1구동장치(543)와 제2구동장치(545)를 포함한다. 제1구동장치(543)는 본 발명의 일례와 동일하며, 제2구동장치(545)는 상부 하우징(511)에 구비되어 상부 로드(521)를 축회전시키며, 제2모터(546)를 포함한다. 제2구동장치(545)에 의해 상부 로드(521)와 일체화된 하부 로드(525)가 축회전하므로 하부 로드(525)에 톱니(541)를 형성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제2모터(546)는 상부 하우징(51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실린더 및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부 로드(521)를 축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며, 제2모터(546)의 동력을 상부 로드(521)에 전달하는 기어 등을 추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로드(520) 및 슈(530)의 축회전은 90도가 바람직하나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강판
2 :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10 : 보디
20 : 전자석
30 : 완충 로드
40 : 그리퍼 암
50 : 그리퍼
510 : 하우징
511 : 상부 하우징
513 : 캠
515 : 하부 하우징
520 : 로드
521 : 상부 로드
523 :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
525 : 하부 로드
527 :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
529 : 슈 로드
530 : 슈
540 : 구동장치
541 : 톱니
543 : 제1구동장치
544 : 제1모터
545 : 제2구동장치
546 : 제2모터

Claims (12)

  1. 강판(1)의 이동, 선하적, 상하차를 위한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는,
    보디(BODY)(10); 상기 보디(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그리퍼(GRIPPER) 암(40); 상기 그리퍼 암(40)의 양측에 구비된 그리퍼(5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50)는, 하우징(510), 상기 하우징(5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로드(ROD)(520), 상기 로드(5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1)의 하부를 지지하는 슈(SHOE)(530), 및 상기 하우징(510)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52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540)를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디(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자석(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디(10)와 전자석(20)은 완충 로드(30)를 통해 연결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10)은 상부 하우징(511), 및 상기 상부 하우징(51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515)을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520)는, 상부 로드(521), 상기 상부 로드(521)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525), 상기 하부 로드(525)의 하측에 연결되는 슈 로드(529)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상기 하부 로드(525)가 상기 상부 로드(521)를 감싸면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11)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는 축방향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515) 내에 위치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540)는, 상기 상부 하우징(511)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521)를 상하로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543), 및 상기 하부 하우징(515)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로드(525)를 축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54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52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5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장치(543)는 상기 상부 로드(521)의 톱니(541)에 연결되는 제1모터(544)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525)는 그 둘레 방향으로 톱니(5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구동장치(545)는 상기 하부 로드(525)의 톱니(541)에 연결되는 제2모터(546)를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511)과 하부 하우징(515)은 상호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515)과 하부 로드(525)는 함께 축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540)는, 상기 상부 하우징(511)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521)를 상하로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543), 및 상기 상부 하우징(5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515)을 축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54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52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5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장치(543)는 상기 상부 로드(521)의 톱니(541)에 연결되는 제1모터(544)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515)의 외측에는 둘레방향으로 톱니(5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구동장치(545)는 상기 하부 하우징(515)의 톱니(541)에 연결되는 제2모터(546)를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평면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짧은 변은 외측으로 볼록한 원주형상이며,
    상기 상부 하우징(511)의 양측 내면에는 상측은 수평이고 하측은 경사진 다수의 캠(513)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상기 캠(513)들은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상승할 때 출몰하면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짧은 변 측을 지지하여 하강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부 로드(525)가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긴 변 측이 상기 캠(513)쪽으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캠(513)으로부터 벗어나 지지가 해제되어 하강할 수 있게 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8. 청구항 7의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이용한 강판(1) 이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20)을 온(ON)하여 복수의 상기 강판(1)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강판(1)을 상부로 인상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50)를 상기 강판(1)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구동장치(540)를 구동하여 상기 슈(530)가 상기 강판(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장치(540)를 구동하여 상기 슈(530)가 상기 강판(1)의 하측에 접하도록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석(20)을 오프(OFF)하는 단계;
    상기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520)는, 상부 로드(521), 상기 상부 로드(521)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525), 상기 하부 로드(525)의 하측에 연결되는 슈 로드(529)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상기 상부 하우징(511)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로드와 슈 로드의 연결부(527)는 축방향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515) 내에 위치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540)는, 상기 상부 하우징(511)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521)를 상하로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543), 및 상기 상부 하우징(511)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로드(521)를 축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54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521)에 길이방향으로 톱니(5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장치(543)는 상기 상부 로드(521)의 톱니(541)에 연결되는 제1모터(5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장치(545)는 상기 상부 로드(521)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모터(546)를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평면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짧은 변은 외측으로 볼록한 원주형상이며,
    상기 상부 하우징(511)의 양측 내면에는 상측은 수평이고 하측은 경사진 다수의 캠(513)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상기 캠(513)들은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가 상승할 때 출몰하면서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의 짧은 변 측을 지지하여 하강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상부 로드(521)가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의 연결부(523)는 긴 변 측이 상기 캠(513)쪽으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캠(513)으로부터 벗어나 지지가 해제되어 하강할 수 있게 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12. 청구항 11의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이용한 강판(1) 이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20)을 온(ON)하여 복수의 상기 강판(1)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강판(1)을 상부로 인상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50)를 상기 강판(1)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구동장치(540)를 구동하여 상기 슈(530)가 상기 강판(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장치(540)를 구동하여 상기 슈(530)가 상기 강판(1)의 하측에 접하도록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석(20)을 오프(OFF)하는 단계;
    상기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2)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KR1020140179095A 2014-12-12 2014-12-12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KR10167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095A KR101679929B1 (ko) 2014-12-12 2014-12-12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095A KR101679929B1 (ko) 2014-12-12 2014-12-12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65A true KR20160071665A (ko) 2016-06-22
KR101679929B1 KR101679929B1 (ko) 2016-11-28

Family

ID=5636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095A KR101679929B1 (ko) 2014-12-12 2014-12-12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9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8054A (zh) * 2017-11-23 2018-06-19 王文娇 一种矩形钢板专用吊具
RU202746U1 (ru) * 2020-06-18 2021-03-04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Магнитная траверс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груза
KR102319169B1 (ko) * 2021-05-25 2021-10-29 유한회사 화진산업 호이스트크레인
CN117383397A (zh) * 2023-12-08 2024-01-12 纽科伦(新乡)起重机有限公司 一种电磁吸盘吊具冗余保护系统的保护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7205A (zh) * 2020-04-03 2020-08-11 来剑锋 一种建筑用钢板吊装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136A (ko) 2012-06-04 2013-1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강판 운반용 크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운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069A (ja) 2001-08-31 2003-03-12 Furukawa Co Ltd 敷板鋼板用落下防止装置
JP4347310B2 (ja) * 2006-02-20 2009-10-21 山九株式会社 フォーク旋回式自動吊具
KR100910456B1 (ko) 2007-12-27 2009-08-04 주식회사 포스코 천정 크레인의 리프트 드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136A (ko) 2012-06-04 2013-1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강판 운반용 크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운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8054A (zh) * 2017-11-23 2018-06-19 王文娇 一种矩形钢板专用吊具
RU202746U1 (ru) * 2020-06-18 2021-03-04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Магнитная траверс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груза
KR102319169B1 (ko) * 2021-05-25 2021-10-29 유한회사 화진산업 호이스트크레인
CN117383397A (zh) * 2023-12-08 2024-01-12 纽科伦(新乡)起重机有限公司 一种电磁吸盘吊具冗余保护系统的保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929B1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929B1 (ko) 하중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강판 이송 전자석 리프터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이송 방법
CN204450039U (zh) 棒料下料结构及棒料切割系统
US9714135B2 (en) Container for solar string transportation
KR102529595B1 (ko) 무거운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CN107381343A (zh) 一种自行走式龙门升降装置
KR102542655B1 (ko)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
CN109952263A (zh) 提升组件
EP2277818A1 (en) Device for handling bundles of profiles such as beams, I-beams, pipes and the like
JP2011079657A (ja) 移載装置、移載方法
EP2354054A1 (en)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CN202609616U (zh) 装车机
KR20220146782A (ko)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
EP3868518A1 (en) Robot and method for warehouse automation
CN108128693B (zh) 多功能吊具及吊装方法
WO2019138907A1 (ja) 荷役運搬機械
CN210286630U (zh) 一种箔材极片卷移动车以及设备转移装置
CN114408606A (zh) 一种基于货物的自动装车设备
CN211687900U (zh) 一种用于大型机械零件的安全吊运翻转装置
CN110683328B (zh) 循环供料装置
EP3162694A1 (en) Sea-worthy container catching system
CN211414493U (zh) 一种硅钢片叠装用供料系统
CN204802941U (zh) 叉车卸料推挡机构
CN102085996B (zh) 高温气冷堆电站乏燃料贮罐吊具
EP3506493B1 (en) Storage and assembly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assembling solar panels
CN207090891U (zh) 物料箱提升省力装置和上料移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