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166A -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166A
KR20160071166A KR1020140178544A KR20140178544A KR20160071166A KR 20160071166 A KR20160071166 A KR 20160071166A KR 1020140178544 A KR1020140178544 A KR 1020140178544A KR 20140178544 A KR20140178544 A KR 20140178544A KR 20160071166 A KR20160071166 A KR 20160071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collection
collection policy
polici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민
이동열
김영수
서재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166A/ko
Priority to US14/814,127 priority patent/US9870655B2/en
Priority to CN201510524530.0A priority patent/CN105701876B/zh
Publication of KR2016007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oftwar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3Visualisation of programs or trac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06F11/3476Data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25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optical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생성된 복수의 수집정책을 검증하고, 무결성(integrity)이 검증된 복수의 수집정책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복수의 수집정책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 데이터용 수집정책을 입력받는 수집정책 입력부; 상기 수집정책 입력부가 입력받은 수집정책들을 저장하는 수집정책 저장부;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한 후 변수를 추출하는 수집정책 해석부; 상기 수집정책 해석부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로직 생성부; 및 상기 로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수집정책을 읽어와 처리하는 수집정책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LOGGING POLIC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데이터(센서 데이터, 제어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등)를 수집하기 위한 복수의 수집정책을 상호 충돌없이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품질개선, 신차의 차별화 및 각종 편의 서비스(공공 서비스, 개인화 서비스)에 활용할 목적으로, 차량 동작시 발생하는 각종 차량 데이터(센서 데이터, 제어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데이터는 다양한 제어정보 및 튜닝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10~100ms 수준의 짧은 시간간격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전수(full set) 데이터를 수집하기보다는 활용 목적에 따라 선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활용 목적에 따라 차량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사양(수집 데이터의 종류, 수집 시간, 수집 주기, 수집 방법, 우선순위 등)이 정의된 수집정책(logging policy)을 기반으로, 차량으로부터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멀티 사용자 및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 하나의 차량에 복수의 수집정책이 적용되는 경우, 수집정책 간 충돌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생성된 복수의 수집정책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복수의 수집정책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복수의 수집정책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 데이터용 수집정책을 입력받는 수집정책 입력부; 상기 수집정책 입력부가 입력받은 수집정책들을 저장하는 수집정책 저장부;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한 후 변수를 추출하는 수집정책 해석부; 상기 수집정책 해석부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로직 생성부; 및 상기 로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수집정책을 읽어와 처리하는 수집정책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에 있어서, 수집정책 입력부가 복수의 차량 데이터용 수집정책을 입력받는 단계; 수집정책 저장부가 상기 입력받은 수집정책들을 저장하는 단계; 수집정책 해석부가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한 후 변수를 추출하는 단계; 로직 생성부가 상기 추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수집정책 처리부가 상기 생성된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수집정책을 읽어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생성된 복수의 수집정책을 대상으로 무결성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 수집정책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1차 검사를 수행하고, 1차 검사를 통과한 수집정책을 대상으로 수집정책의 내용정보를 기반으로 2차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생성된 복수의 수집정책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복수의 수집정책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복수의 수집정책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선순위가 낮은 정책을 적용중에 우선순위가 높은 정책의 적용 시점이 도래한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정책을 홀딩한 후 우선순위가 높은 정책을 먼저 처리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정책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홀딩을 해제함으로써, 복수의 수집정책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집정책 입력부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정책 해석부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에 적용되는 복수의 수집정책(logging policy)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수집정책 입력부(10), 수집정책 저장부(20), 수집정책 해석부(30), 로직 생성부(40), 수집정책 처리부(50), 및 표시부(Displayer)(6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수집정책 입력부(10)는 서버 또는 단말에서 생성된 차량 데이터용 수집정책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수집정책의 1차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며, 1차 무결성 검사를 통과한 수집정책을 대상으로 ID(Identification)를 부여(Tagging)한다. 이때, 수집정책 입력부(10)는 1차 무결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수집정책에 대해서는 ID 부여 과정 없이 곧바로 폐기 처리한다.
여기서, 수집정책은 스크립트 형태의 정책 파일(File)로서, 정책 프로파일 정보와, 정책의 적용시점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정보, 및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정책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정책 프로파일 정보는 파싱(parsing) 없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서, 정책이름, 목적, 생성자, 생성일시, 크기 등과 더불어 1차 무결성 검사의 대상이 되는 차종, 개발단계(fast, proto, pilot, master), 소프트웨어 버전을 포함하고, 상기 변수정보는 파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서, 우선순위, 적용시각(년/월/일/시/분/초), 적용시간(일례로, 10초, 1분, 10분 등), 적용주기, 천이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정책정보 역시 파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서, 수집할 차량 데이터의 종류 및 특성, 차량 네트워크의 종류, 토폴로지(CAN 채널 수, DBC(Data Base Computer) 파일 버전 등), 차량 데이터 수집 방법 등을 포함한다. 이때,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등을 포함한다.
또한, 수집정책 입력부(10)는 입력받은 수집정책들을 대상으로 1차 무결성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 하기의 3단계를 수행한다.
1단계로서, 수집정책이 사전에 인증된 소스(Source)로부터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수집정책의 공인 인증서 또는 수집정책 자체를 암호화하는 보안키 등을 활용하여 수집정책을 인증할 수 있다.
2단계로서, 파싱 없이 확인할 수 있는 프로파일 정보 중에서 차종, 개발단계(fast, proto, pilot, master), 소프트웨어 버전을 기반으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즉, 대상 차량의 차종과 개발단계 및 소프트웨어 버전과, 입력받은 수집정책의 차종과 개발단계 및 소프트웨어 버전을 비교하여 모두 동일한 경우에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수집정책 적용 대상 차종이 '제네시스'인데, 입력받은 수집정책의 차종이 '에쿠스'라면 이는 적합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 수집정책 적용 대상 차량의 개발단계가 'master'인데, 입력받은 수집정책의 개발단계가 'proto'라면, 역시 적합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3단계로서, 파싱 없이 확인할 수 있는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수집정책이 존재하는지 중복성 검사를 수행한다. 즉, 동일한 수집정책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받은 수집정책을 폐기한다.
다음으로, 수집정책 저장부(20)는 수집정책 입력부(10)에 의해 ID가 부여된 수집정책들을 저장한다. 이때, 수집정책 저장부(20)는 파일 검색기 형태 또는 데이터베이스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수집정책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수집정책 해석부(30)는 수집정책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하며, 상기 파싱 결과를 바탕으로 2차 무결성 검사를 수행한다. 즉, 수집정책 해석부(30)는 2차 무결성 검사로서, 스크립트 형태의 수집정책 파일의 구조적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문법 검사를 수행하고, 1차 무결성 검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내용(contents) 검사를 수행하며, 아울러 복수의 수집정책 간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변수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로직 생성부(40)는 수집정책 해석부(30)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한다. 이때, 변수는 우선순위, 적용시각, 적용시간, 적용주기, 천이조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은 스케줄러 방식 또는 룩업 테이블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는데, 이때 스케줄러 방식은 우선순위, 적용시간, 천이조건을 포함하고, 룩업 테이블 방식은 우선순위, 적용시간, 적용주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직 생성부(40)는 로직 템플릿(Rule Template) 데이터베이스(DB)(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로직 템플릿(스케줄링 알고리즘 또는 룩업 테이블 형식)을 읽어온 후, 상기 로직 템플릿에 수집정책 해석부(30)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적용하여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로직 생성기(Rule Maker)(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집정책 처리부(50)는 로직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된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수집정책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수집정책을 읽어와 처리한다.
예를 들어,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가정하자.
정책 ID 우선순위 적용시간 적용주기
001 2 10초 3분
002 1 1초 30초
003 3 1분 5분
일반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002, 001, 003)로 정책이 적용되는데, 001이 적용되고 있는 도중에 002의 적용주기가 도래하면 001을 홀딩한 후 002를 적용하고, 002의 적용시간이 완료되면 다시 002의 적용을 재개한다. 즉, 우선순위가 낮은 정책이 적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정책의 적용주기가 도래하면 우선순위가 낮은 정책은 홀딩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정책을 먼저 적용한다.
한편, 수집정책 처리부(50)는 수집정책 해석부(30)의 도움을 받아 수집정책 파일 내 정책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60)는 수집정책 처리부(50)에 의해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수집정책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집정책 해석부(30)와 로직 생성부(40) 및 수집정책 처리부(50)를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한 예를 설명했지만, 하나의 제어모듈로 통합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집정책 입력부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집정책 입력부(10)는, 메모리(110), 필터(120), ID 부여기(130)를 포함한다.
먼저, 메모리(110)는 큐(Queue)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수집정책(스트립트 형태의 정책 파일)을 임시로 저장한다.
필터(120)는 메모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수집정책을 인증하고, 1차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며, 아울러, 중복 검사를 수행한다.
ID 부여기(130)는 필터(120)를 정상적으로 통과한 수집정책에 ID를 부여한다. 즉, ID 부여기(130)는 인증되었고 1차 무결성이 입증되었으며 중복이 아닌 수집정책을 대상으로 ID를 부여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정책 해석부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집정책 해석부(30)는, 파서(parser)(310), 변수 추출기(320), 내용 검사기(330), 및 문법 검사기(340)를 포함한다.
먼저, 파서(310)는 수집정책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한다.
변수 추출기(320)는 파서(310)에 의해 파싱된 수집정책으로부터 로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변수를 추출한다.
내용 검사기(330)는 수집정책 입력부(10)에 의해 이루어진 1차 무결성 검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내용(contents) 검사를 수행한다.
문법 검사기(340)는 스크립트 형태의 수집정책 파일의 구조적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문법 검사를 수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수집정책 입력부(10)가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복수의 차량 데이터용 수집정책을 입력받는다(401).
이후, 수집정책 저장부(20)가 수집정책 입력부(10)에 의해 입력된 수집정책들을 저장한다(402).
이후, 수집정책 해석부(30)가 수집정책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한 후 변수를 추출한다(403).
이후, 로직 생성부(40)가 수집정책 해석부(30)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한다(404).
이후, 수집정책 처리부(50)가 로직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된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수집정책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수집정책을 읽어와 처리한다. 즉, 수집정책 처리부(50)가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해당 수집정책을 차량에 적용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각 수집정책을 통해 수집되는 차량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 즉 복수의 수집정책 간 수집되는 차량 데이터 중에서 공통되는 차량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수집정책 입력부
20 : 수집정책 저장부
30 : 수집정책 해석부
40 : 로직 생성부
50 : 수집정책 처리부
60 : 표시부

Claims (20)

  1. 복수의 차량 데이터용 수집정책을 입력받는 수집정책 입력부;
    상기 수집정책 입력부가 입력받은 수집정책들을 저장하는 수집정책 저장부;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한 후 변수를 추출하는 수집정책 해석부;
    상기 수집정책 해석부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로직 생성부; 및
    상기 로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수집정책을 읽어와 처리하는 수집정책 처리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처리부에 의해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수집정책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생성부는,
    로직 템플릿(Rule Template)에 상기 수집정책 해석부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적용하여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은,
    스크립트 형태의 정책 파일(Fi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은,
    정책 프로파일 정보와, 정책의 적용시점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정보, 및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정책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프로파일 정보는,
    차종, 개발단계, 소프트웨어 버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정보는,
    우선순위, 적용시간, 적용주기, 천이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정보는,
    수집할 차량 데이터의 종류 및 특성, 차량 네트워크의 종류, 토폴로지, 차량 데이터 수집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입력부는,
    입력받은 수집정책을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을 인증하고, 1차 무결성 검사 및 중복 검사를 수행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정상적으로 통과한 수집정책에 ID를 부여하는 ID 부여기
    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해석부는,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하는 파서; 및
    상기 파서에 의해 파싱된 수집정책으로부터 로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변수를 추출하는 변수 추출기
    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해석부는,
    상기 필터에 의해 이루어진 1차 무결성 검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내용 검사를 수행하는 내용 검사기; 및
    상기 스크립트 형태의 정책 파일의 구조적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문법 검사를 수행하는 문법 검사기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처리부는,
    우선순위가 낮은 수집정책이 적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수집정책의 적용주기가 도래하면, 우선순위가 낮은 수집정책은 홀딩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수집정책을 먼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13. 수집정책 입력부가 복수의 차량 데이터용 수집정책을 입력받는 단계;
    수집정책 저장부가 상기 입력받은 수집정책들을 저장하는 단계;
    수집정책 해석부가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한 후 변수를 추출하는 단계;
    로직 생성부가 상기 추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수집정책 처리부가 상기 생성된 수집정책 적용 로직에 따라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수집정책을 읽어와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상기 수집정책 처리부에 의해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수집정책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생성단계는,
    로직 템플릿(Rule Template)에 상기 수집정책 해석부에 의해 추출된 변수를 적용하여 수집정책 적용 로직을 생성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은,
    스크립트 형태의 정책 파일(File)로서, 정책 프로파일 정보와, 정책의 적용시점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정보, 및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정책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입력단계는,
    메모리가 입력받은 수집정책을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
    필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을 인증하고, 1차 무결성 검사 및 중복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ID 부여기가 상기 필터를 정상적으로 통과한 수집정책에 ID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해석단계는,
    파서가 상기 수집정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정책들을 파싱하는 단계; 및
    변수 추출기가 상기 파서에 의해 파싱된 수집정책으로부터 로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변수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해석단계는,
    내용 검사기가 상기 필터에 의해 이루어진 1차 무결성 검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내용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문법 검사기가 상기 스크립트 형태의 정책 파일의 구조적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문법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정책 처리단계는,
    우선순위가 낮은 수집정책이 적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수집정책의 적용주기가 도래하면, 우선순위가 낮은 수집정책은 홀딩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수집정책을 먼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방법.
KR1020140178544A 2014-12-11 2014-12-11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1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44A KR20160071166A (ko) 2014-12-11 2014-12-11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14/814,127 US9870655B2 (en) 2014-12-11 2015-07-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logging policies
CN201510524530.0A CN105701876B (zh) 2014-12-11 2015-08-24 用于处理多个记录策略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44A KR20160071166A (ko) 2014-12-11 2014-12-11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166A true KR20160071166A (ko) 2016-06-21

Family

ID=5611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544A KR20160071166A (ko) 2014-12-11 2014-12-11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70655B2 (ko)
KR (1) KR20160071166A (ko)
CN (1) CN1057018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32A1 (ko) * 2022-10-25 2024-05-02 주식회사 에이데이타 수집 데이터 자동 처리를 위한 데이터 적재 프로파일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016B1 (ko) * 2014-12-1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6701030B2 (ja) * 2016-08-25 2020-05-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装置、ログ収集システム
JP7229783B2 (ja) * 2019-01-10 2023-02-28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車載型情報処理装置、車両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220476B (zh) * 2021-04-22 2024-02-23 行云新能科技(深圳)有限公司 驾驶教学系统兼容方法、汽车实训台及可读存储介质
US11561848B2 (en) * 2021-06-14 2023-01-2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licy-based logging using workload profiles
CN114390119A (zh) * 2021-12-28 2022-04-22 杭州鸿泉物联网技术股份有限公司 自适应多车型can数据自动解析方法及系统
DE102022002450A1 (de) 2022-07-05 2024-01-11 Mercedes-Benz Group AG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Logdateien, Datenverarbeitungssystem und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944B1 (en) * 1999-08-12 2010-10-12 Fair Isaac Corporation Detection of insurance premium fraud or abuse using a predictive software system
KR100576725B1 (ko) 2003-12-26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위치정책관리 방법 및위치정책 관리 장치
US20050187881A1 (en) * 2004-02-20 2005-08-25 Mcgiffin Gail E. System and data structure for account management
JP4841982B2 (ja) 2006-03-20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性能情報収集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46835B1 (ko) 2006-11-27 2008-07-16 (주)타임네트웍스 문맥 언어 기반의 보안이벤트 상관분석 장치 및 방법
US8675511B2 (en) * 2008-12-10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List elimination for distributed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CoMP) framework
US20110099271A1 (en) * 2009-10-22 2011-04-28 Park Joo Sang System and method for enforcing rfid event management policy
KR20110044126A (ko) 2009-10-22 2011-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이벤트 관리 정책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318990B1 (ko) 2009-12-17 2013-10-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된 웹서비스 환경에서의 웹서비스 정책 관리 시스템
KR101483994B1 (ko) 2012-02-22 2015-01-22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다중 센서 기반의 차량용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3595650B (zh) * 2012-08-16 2018-02-09 华耀(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负载均衡设备策略定制系统及方法
KR102039063B1 (ko) 2013-03-21 2019-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39018B1 (ko) 2013-04-11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32A1 (ko) * 2022-10-25 2024-05-02 주식회사 에이데이타 수집 데이터 자동 처리를 위한 데이터 적재 프로파일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0655B2 (en) 2018-01-16
US20160171801A1 (en) 2016-06-16
CN105701876B (zh) 2020-05-08
CN105701876A (zh)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1166A (ko)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3888490B (zh) 一种全自动的web客户端人机识别的方法
CN107085549B (zh) 故障信息生成的方法和装置
KR101684016B1 (ko)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9169760A1 (zh) 测试用例范围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7454118A (zh) 验证码获取方法及装置、登录方法及系统
CN110659569A (zh) 电子签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6506471A (zh) 应用控制方法及装置
CN113050900A (zh) 屏幕分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357619B (zh) 一种板卡配置文件的生成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EP3945416B1 (en) Software que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oftware que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03164324A (zh) 微博测试方法和装置
US20070233818A1 (en) Recording medium storing input/output screen generation program, and method for suppressing an unreasonable screen shift
JP4215255B2 (ja) デグレード確認検査方法、デグレード確認検査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CN109635552A (zh) 电子设备身份信息验证方法与装置
JP2000222228A (ja) リソース占有順序の検証によるデッドロック防止方法
CN112131611B (zh) 数据正确性验证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4627419A (zh) 基于多应用场景的视频质检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708698B (zh) 一种应用程序模拟备案方法及相关装置
CN114003784A (zh) 请求录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67501A (zh) 基于自动化挡板的链路测试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06874270A (zh) 一种数据一致性认证的方法和装置
CN111324796A (zh) 基于区块链和sdn边缘计算网络系统的域名爬取方法及装置
CN110532775A (zh) 一种计算机进程管制的方法和工具
CN117040927B (zh) 一种密码服务监控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