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63B1 -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063B1
KR102039063B1 KR1020130057029A KR20130057029A KR102039063B1 KR 102039063 B1 KR102039063 B1 KR 102039063B1 KR 1020130057029 A KR1020130057029 A KR 1020130057029A KR 20130057029 A KR20130057029 A KR 20130057029A KR 102039063 B1 KR102039063 B1 KR 10203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sensor
service
data
collection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901A (ko
Inventor
이현정
허재두
이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220,82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01183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각 서비스에서 데이터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고, 이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된다.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는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과 서비스의 특성을 정의한 센서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와, 기 설치된 서비스를 관리하고,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 및 추천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부 및 센서 시스템 및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Sensor Data}
본 발명은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원의 효율적 관리 기술 분야에 속하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각 서비스에서 데이터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고, 이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 내 여러 지역에 걸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이러한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여러 환경정보를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정보에 의해 건물 내 여러 지역의 상황을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자동으로 취할 수 있게 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s)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는 환경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건물 내 각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을 항상 활성화시키고,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어떠한 변화가 발생될 경우 그 변화들에 의해 센싱한 환경정보에 의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이와 같이 건물 내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경우에는 센서에 지속적인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환경정보에 의해 작은 변화에도 건물 내 자동화 시스템을 동작시키게 되어 효율적인 관리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의 건물, 자동차, 물류, 로봇, 실감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다양한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센서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의 기술로, 서비스의 주기와 데이터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데이터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에 따라 센서 데이터의 효율적인 수집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46849호는 이러한 시간 키 기반의 센서데이터 보안 유지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시간 키 기반 센서데이터 보안 유지 방법에서는 난수 값, 센서노드와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공유하는 비밀키를 이용하여 유도된 시간 키 기반의 다항식을 이용하여 도출된 암호키로 센서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난수 값 및 상기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 키 기반의 다항식과 동일한 다항식을 유도하여 도출된 복호키로 암호화된 센서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센서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은 데이터 수집 간격에 대한 고려가 없으므로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져 데이터 관리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적절한 데이터 수집 간격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각 분야에 설치되어 있거나 관련 있는 서비스들을 정의하고,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적절한 센서를 정의하고, 여러 가지 가중치를 고려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간격을 판단하고, 이 간격에 따라 각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센서의 전력과 센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는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과 서비스의 특성을 정의한 센서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와, 기 설치된 서비스를 관리하고,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 및 추천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와,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부 및 센서 시스템 및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때, 센서 시스템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로 송부한다.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의 프로파일 관리부는 서비스와 센서의 이름, 기능 특성을 정의 및 관리한다.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의 서비스 관리부는 실행, 변경, 삭제, 추천의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정보를 관리한다.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의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는 서비스에 따라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 시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또한,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의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양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주기를 판단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은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의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비스의 변경 시 다시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부터 반복하고, 서비스의 변경이 없으면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한다.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의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과 서비스의 특성을 정의한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다.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의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비스에 따라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 시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의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양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주기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초기에 수집된 센서 데이터와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센서의 전력과 센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자원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 및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센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 및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센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건물, 자동차, 물류, 로봇, 실감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다양한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센서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은 데이터 수집 간격에 대한 고려가 없으므로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져 데이터 관리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제안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 각 분야에 설치되어 있거나 관련 있는 서비스들을 정의하고,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적절한 센서를 정의한다. 또한, 서비스의 주기와 데이터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데이터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제안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120)는 유무선네트워크(130)를 통해 센서 시스템(110)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시스템(110)은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120)에 최초 한번 송부하고, 이후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경우에 다시 송부한다. 이렇게 송부된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은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120)의 서비스 관리부에서 수집된다.
이후, 서비스 별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 시,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간격을 판단하고, 이 간격에 따라 각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센서의 전력과 센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는 프로파일 관리부(210), 서비스 관리부(220),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230), 센서 데이터 관리부(240), 인터페이스부(250)로 구성된다.
프로파일 관리부(210)는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110)과 서비스의 특성을 정의한 센서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이러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부(220)에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센서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집 및 추천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220)는 기 설치된 서비스를 관리하고,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센서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집 및 추천한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시스템(110)은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120)에 최초 한번 송부하고, 이후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경우에 다시 송부한다. 이렇게 송부된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은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120)의 서비스 관리부(220)에서 수집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220)는 기 설치된 서비스의 실행, 변경, 삭제, 추천 등 서비스를 관리하고,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수집 및 추천한다. 또한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230)는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정책에 따라 서비스 별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별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 시,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이러한 주기 판단을 위해 일정량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에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판단한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 관리부(240)에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 관리부(240)는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관리한다.
서비스 별 필요한 센서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저장, 검색 등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의 변경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의 변경이 있을 시 다시 서비스 관리부(220)를 통해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부터 반복한다. 반면에, 서비스의 변경이 없으면 센서 데이터 관리부(240)를 통해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한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센서 시스템 및 외부 장치를 연결한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시스템(110)이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송부하는 경우와, 이후 프로파일이 변경되어 다시 송부하는 경우에도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송부할 수 있다.
도 3은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은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310),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320),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단계(330) 및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34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안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는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310).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 시스템 및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시스템은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에 최초 한번 송부하고, 이후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경우에 다시 송부한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시스템이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송부하는 경우와, 이후 프로파일이 변경되어 다시 송부하는 경우에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송부할 수 있다. 이렇게 송부된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은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의 서비스 관리부에서 수집된다.
이후, 서비스 별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 시,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간격을 판단하고, 이 간격에 따라 각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센서의 전력과 센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부에서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과 서비스의 특성을 정의한 센서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이러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부에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 및 추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320).
서비스 관리부는 기 설치된 서비스의 실행, 변경, 삭제, 추천 등 서비스를 관리하고,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수집 및 추천한다. 또한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 따라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는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정책에 따라 서비스 별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별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 시,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이러한 주기 판단을 위해 일정량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에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판단한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 관리부에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한다(330).
센서 데이터 관리부는 판단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관리한다. 서비스 별 필요한 센서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저장, 검색 등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340).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의 변경이 있을 시 다시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310)부터 반복한다. 반면에, 상기 서비스의 변경이 없으면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한다(340).
이러한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에서 데이터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오류 가능성 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고, 이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함으로써,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센서의 전력과 센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과 서비스의 특성을 정의한 센서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기 설치된 서비스를 관리하고, 상기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 및 추천하는 서비스 관리부;
    상기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센서 시스템 및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는,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스템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상기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로 송부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는 서비스와 센서의 이름, 기능 특성을 정의 및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실행, 변경, 삭제, 추천의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정보를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 주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양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주기를 판단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장치.
  7.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수집 주기 별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처리 시간, 각 수집 주기 별 오류 가능성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변경 시 다시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부터 반복하고,
    상기 서비스의 변경이 없으면 적응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각 센서 및 센서 시스템과 서비스의 특성을 정의한 센서 프로파일에 기반한 서비스를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양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주기를 판단하는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130057029A 2013-03-21 2013-05-21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3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20,825 US10101183B2 (en) 2013-03-21 2014-03-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nsor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111 2013-03-21
KR20130030111 2013-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01A KR20140115901A (ko) 2014-10-01
KR102039063B1 true KR102039063B1 (ko) 2019-10-31

Family

ID=5199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029A KR102039063B1 (ko) 2013-03-21 2013-05-21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016B1 (ko) * 2014-12-1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1166A (ko) 2014-12-11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의 수집정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7113B1 (ko) 2018-07-13 2019-10-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184B1 (ko) * 2005-12-02 2006-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속성 기반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210075A1 (en) * 2005-02-23 2009-08-20 Hitachi, Ltd. Sensor Net Manag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0075A1 (en) * 2005-02-23 2009-08-20 Hitachi, Ltd. Sensor Net Management Method
KR100654184B1 (ko) * 2005-12-02 2006-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속성 기반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01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6174B2 (ja) 接続された装置のデータ管理
KR20190001546A (ko)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기 위한 블록체인의 사용
Cao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edge computing
RU2640653C2 (ru) Сетевое управление наборами защищенных данных
US101011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nsor data
CN104255011B (zh) 云计算安全数据存储
US20170257322A1 (en) Connected device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106232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nonfunctional endpoint devices
JP2017511673A (ja) ウェブとモバイルの間の汎用のオーセンティケータ
US10423802B2 (en) Establishing data security over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KR102039063B1 (ko)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19186B1 (ko)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197329B1 (ko) 스크래핑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JP7452813B2 (ja) エッジシステムにおける加速化階層キーキャッシングのための技術
KR102229438B1 (ko) 클라우드 컴퓨팅 및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홈 시스템
EP2172821B1 (en) Aggregation server with industrial automation control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placeshifting
US20160034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virtual object
KR101505468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내 데이터 비교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70201464A1 (en) Apparatus for managing optimized asset of distributed resource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80120451A (ko)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접근제어정책 분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ires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Smart City Network Management Through Blockchain and Cloud Computing
Lv et al. Blockchain-based communication for digital twins
Choi et al. Cost-effective monitoring algorithm for cyber-physical system platform using combined spatio-temporal model
KR102398085B1 (ko) 인공지능 기반 기업 정보 자동 처리 및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93183B1 (ko) 기업 서버의 로그 데이터 관리 및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